[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96896A - 조명 센서 - Google Patents

조명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896A
KR20150096896A KR1020140017750A KR20140017750A KR20150096896A KR 20150096896 A KR20150096896 A KR 20150096896A KR 1020140017750 A KR1020140017750 A KR 1020140017750A KR 20140017750 A KR20140017750 A KR 20140017750A KR 20150096896 A KR20150096896 A KR 2015009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unit
housing
illumination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혁
전수민
박희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896A/ko
Publication of KR2015009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9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95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removing other types of optical noise or for performing 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센서와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감지영역 범위의 빛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둘러싸며, 상기 감지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센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 센서{Lighting sensor}
본 발명은 조명센서와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영역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효율, 긴 수명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이 마련된다.
상기 조명 시스템은 복수 개의 LED 조명장치의 온/오프, 각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중앙 제어기 및/또는 로컬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실시간으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고,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LED 조명장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조명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상기 조명 시스템은 복수 개의 조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센서는 감지영역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는 감지영역의 인체(또는 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LED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도 센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도 센서(10)는 벽체(W)에 장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마련되는 감지부(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는 소정 감지영역 범위의 빛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감지영역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2)는 전방위 감지영역, 구체적으로 360˚의 감지영역을 갖는다.
이때, 상기 조도 센서(10)는 인접한 LED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까지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도 센서(10)에서 측정한 조도 값은 조명공간의 실제 조도 값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조도값과 실제 조도값의 오차는 조명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감지영역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공간의 실제 조도 값과 감지된 조도 값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조명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영역 중 일부 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나머지 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조명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감지영역 범위의 빛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둘러싸며, 상기 감지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센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우선, 상기 조명센서는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조명공간의 조도 또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 또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는 감지영역 범위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센서는 조명공간의 실제 조도 값과 감지된 조도 값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는 감지영역 중 일부 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나머지 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는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도센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도센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도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도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도센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센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도센서(1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도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센서(100)는 소정 감지영역 범위의 빛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20)의 기능에 따라, 상기 조명센서(100)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즉,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감지영역의 조도 또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센서(100)는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조명공간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100)는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빛(예를 들어, 적외선)을 감지하여 조명 공간의 인체(또는 동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센서의 감지부(120)는 360˚의 감지영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120)는 전방위 감지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100)는 상기 감지부(120)를 둘러싸며, 상기 감지부(120)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13)를 갖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조명공간의 벽체(W)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130)는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개구부(11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개구부(1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조명 센서(100)가 조도 센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감지부(120)는 360˚의 감지영역을 가짐으로써, 상기 조도 센서는 인접한 LED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까지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도센서에서는 인접한 LED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차단부재(130)를 통해 감지부(120)의 감지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되는 감지영역의 범위는 상기 차단부재(130)의 크기(또는 단면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3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특정 방향의 빛이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30)를 상기 LED 조명장치 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LED 조명장치 측에서 상기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도 센서는 LED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확한 감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조도 센서는 외부로부터 조명공간으로 들어오는 햇빛만을 감지하여 조명공간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 센서는 햇빛 이외의 다른 외부 빛을 기초로 조명공간의 조도를 측정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센서(100)는 인체감지센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30)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빛(예를 들어,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30)에 의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감지영역 범위 중 일부 영역의 인체(또는 동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20)는 PIR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조명센서(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도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도센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프론트 하우징(111)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에 장착되는 리어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112)은 벽체(W)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은 상기 조명 센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에는 상기 감지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1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명 센서(100)는 상기 조명 센서(10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LED(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에는 상기 LED(15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14)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센서(100)는 상기 LED(150) 및 상기 감지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과 상기 리어 하우징(112)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140)의 지지 및 고정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중앙 제어기 및/또는 로컬 제어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인체 감지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부(131)와 상기 링부(131)로부터 연장되는 차단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링부(131)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33)는 상기 링부(131)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132)는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120)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132)는 상기 링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132)는 상기 링부(131)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132)는 상기 링부(131)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132)는 상기 링부(131)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의 직경은 상기 링부(1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30)를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링부(13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부(131)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 및 직경이 변경될 수 있고, 하우징(110)에 장착되면 상기 링부(131)는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의 개구부(113)에는 상기 링부(131)의 둘레부를 둘러싼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115, '제1 지지벽'이라고도 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115)에 의하여 상기 링부(131)에 마련된 걸림돌기(133)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센서(100)는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차단부재(130) 사이에 배치되는 링 브라켓(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브라켓(160)은 상기 제어부(140)의 회로기판과 상기 차단부재(130)의 링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브라켓(16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 브라켓(160)은 상기 링부(131)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브라켓(160)의 직경은 상기 링부(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 브라켓(160)의 둘레부를 둘러싼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벽(116)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프론트 하우징(111)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112)에는 상기 제어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의 회로기판은 상기 감지부(120)가 실장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리어 하우징(112)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제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117)와 상기 회로기판의 제2 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118)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100: 조명센서 110: 하우징
120: 감지부 130: 차단부재
140: 제어부 150: LED
160: 링 브라켓

Claims (4)

  1. 소정 감지영역 범위의 빛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둘러싸며, 상기 감지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감지영역 범위 중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부;
    상기 링부로부터 연장되는 차단부; 및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기 링부의 둘레부를 둘러싼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링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링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의 조도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센서.
KR1020140017750A 2014-02-17 2014-02-17 조명 센서 Abandoned KR20150096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50A KR20150096896A (ko) 2014-02-17 2014-02-17 조명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50A KR20150096896A (ko) 2014-02-17 2014-02-17 조명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96A true KR20150096896A (ko) 2015-08-26

Family

ID=540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750A Abandoned KR20150096896A (ko) 2014-02-17 2014-02-17 조명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8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981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8049639B2 (en) Ceiling mount light with 360-degree motion sensor
US9404646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9874341B2 (en) Double fresnel pir lens
US9683721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CN102933898A (zh) 照明装置
KR101292098B1 (ko)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US11215340B2 (en) Connected luminaire
US10859248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JP6601722B2 (ja) 照明器具
KR101818220B1 (ko) 카메라 모듈 일체형 led 등기구
KR20110028214A (ko) 조명장치
AU2016247786A1 (en) Luminaire housing
CN103017083A (zh) 透镜模块和具有该透镜模块的照明装置
CA3038496C (en) Luminaire with adapter collar
KR20150096896A (ko) 조명 센서
TWI548837B (zh) 照明器具
JP5836470B2 (ja) 光源モジュール
JP5404886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20170089560A1 (en) Outdoor light
JP6805238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5404885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JP5657080B2 (ja) 照明器具
KR101427509B1 (ko) 능동 배광 제어 조명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20401A1 (en) An led ligh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