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053A -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5053A KR20150095053A KR1020140016106A KR20140016106A KR20150095053A KR 20150095053 A KR20150095053 A KR 20150095053A KR 1020140016106 A KR1020140016106 A KR 1020140016106A KR 20140016106 A KR20140016106 A KR 20140016106A KR 20150095053 A KR20150095053 A KR 201500950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inspection
- defect information
- inspection result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102 re-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00 fin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8—Reliability or availability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48—Semiconductor; IC;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 검사가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된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각 불량 정보에 따른 상기 제품의 불량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 상기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하나의 영상에 표시하며, 미리 저장된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 모듈을 포함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ating a product inspection are provided.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ed whether or not a defect inspection of a product conveyed by a conveyor is valid,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modules each for detecting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based on the defect information an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efect information to generate an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A central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and generating total defect information by summing up each defect information; And a validity check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one image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inspection stand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검사 후, 검사가 유효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which can confirm whether the inspection has been effectively performed after inspection of the product.
전자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판, 웨이퍼 등은 검사기에 의해 불량을 검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인 제품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제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한다.Substrates, wafers, etc.,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onic industry, are detected by a tester. For example, the product to be inspected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to classify the product as a good product or a defective product.
검사기에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을 세팅하여 파라미터를 조작하고 검사를 한다. 그런데, 검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품을 장비에서 꺼내어 마이크로스코프 혹은 확대경 위에 올려 놓고 검사 불량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비젼 세팅이 정상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련의 자동화된 작업에 따른 제품 생산(Auto Run)을 시작하여 생산 제품의 검사 오류를 발생시키고, 검사기의 검출 능력과 수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일등급의 검사 장비 운용자에 의하여 검사기의 검출 능력과 수율이 좌우되고 있는 상태이며 초급의 검사장비 운용자를 교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Set the product to be inspected in the inspection machine, manipulate the parameters and inspect it. Howev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product was taken out of the equipment and placed on a microscope or a magnifying glass to check whether the inspection defect was normal or not. In addition, when the vision setting is not normally verified, a series of automated tasks are started to produce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automatic operation, causing an inspection error of the manufactured product, and deteriorating the detecting ability and yield of the inspection device. For this reason, the detection ability and yield of the inspection apparatus are influenced by the operator of the first-class inspection equipment,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in the operator of th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beginning level.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검사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which can confirm whether the inspection of the product is vali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 검사가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된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각 불량 정보에 따른 상기 제품의 불량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 상기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하나의 영상에 표시하며, 미리 저장된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the apparatus verifying whether or not a defect inspection of a product conveyed by a conveyor is valid,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modules each for detecting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basis of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efe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A central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and generating total defect information by summing up each defect information; And a validity check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one image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inspection standar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검사 대상 제품을 촬영한 영상과,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 및 상기 제품의 개별 검사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마스터 영상에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불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이 진성 불량인지 가성 불량인지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을 재설정하여 상기 제품을 재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validating a product inspection, comprising: obtaining an image of a product to be inspected,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of the product;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to generate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of the product, and summing the defect information to generate total defect information;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a master image of the product; Verifying whether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is an intrinsic defect or a false defect based on the displayed defect information; And reassigning the product by resetting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제품의 검사가 유효하게 이루어졌는지 검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Auto Run 모드로 변경하여 연속으로 시료를 자동 검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inspection of a specific product has been effectively performed, and accordingly, the automatic run mode can be continuously tested by continuously changing to the Auto Run mode.
또한, Auto Run 모드 전에 검사 파라미터의 세팅 및 세팅 값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어 검사 장비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etting of the inspection parameters and the errors of the setting values before the auto run mod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equipment.
도 1은 컨베이어에서의 제품 검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연결되는 장비들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센서 모듈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센서 모듈의 빔 패턴 및 출력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영상 처리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중앙 처리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재검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유효성 검증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수행한 후, Auto Run 모드인 경우에 제품 검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수행한 후, Auto Run 모드인 경우에 제품 검사 방법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oduct inspection on a conveyor.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vices connected to the validity checking device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of the device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beam pattern and an output profile of the sensor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image processing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product validity shown in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examin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FIG.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alidation module of the validation device for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acquired by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spec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Auto Run mode after performing the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method for validating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product inspec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Auto Run mode after performing the method for validating the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made of" means that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thereof.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컨베이어에서의 제품 검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oduct inspection on a conveyor.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11)에 제품(P)이 이송되며, 그랩 센서(Grab sensor, 142)가 제품(P)을 센싱하여 컨베이어(11)의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21)가 제품(P)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제품(P)의 결함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그랩 센서(142)는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센서로써, 컨베이어(11)에서 이송되는 제품(P)이 감지될 때마다 카메라(21)가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하여 검사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정지한다. 이때,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검사하려는 제품(P)의 결함에 따라 다양하게 조명 장치(27)가 설치된다. 그랩 센서(142)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라는 명령을 영상 처리 모듈(110)이 받으면 조명 장치(27)와 카메라(21)가 동기화되어 영상이 획득되게 된다.1, a product P is conveyed to a conveyor 11, and a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는,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P)의 불량 검사가 유효한지를 검증하며,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110), 중앙 처리 모듈(120), 유효성 검증 모듈(130), 센서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P)은 기판, 웨이퍼 등 카메라(21)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불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품(P)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글래스일 수 있다.2, a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는, 영상 처리 모듈(110)에 의해 컨베이어(11)에 설치된 각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제품(P)의 불량 정보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각 불량 정보에 따른 상기 제품(P)의 불량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중앙 처리 모듈(120)에 의해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110-1, 110-2, … , 110-n)로부터 획득한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P)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고, 유효성 검증 모듈(130)에 의해 전체 불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하며, 미리 저장된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영상 처리 모듈(110), 중앙 처리 모듈(120),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각각의 모듈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 모듈(140)에 의해 각 카메라(21)가 제품(P), 예를 들어, 글래스(glass)를 촬영하도록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글래스를 감지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의해 불량 정보를 영상에 표시한다.Specifically,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품(P)이 각 검사 단계별 컨베이어(11)에 설치된 카메라(21)를 통과 시 각 영상 처리 모듈(110)은 검출된 개별 검사 결과값을 중앙 처리 모듈(120)로 보낸다. 제품(P)이 마지막 검사 컨베이어를 지나 최종 영상 처리 모듈(110-n)에서 판정 결과가 나오고 제품(P)은 유효성(Verify) 판정 대기 위치에 멈추게 된다. 최종 영상 처리 모듈(110-n)로부터 검사된 개별 검사 결과값이 중앙 처리 모듈(120)에 도달하면 그 제품(P)에 대한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최종 검사 결과값을 중앙 처리 모듈(120)이 갖게 된다. 일례로, 개별 검사 결과값이 하나라도 불량이면 최종 검사 결과값은 불량이 되고, 모두 양품이면 최종 검사 결과값은 양품이 된다. 검사된 제품(P)의 합산된 판정 결과는 중앙 처리 모듈(120)보다 상위에 놓인 유효성 검증 모듈(130)이 있어 그 합산된 최종적인 판결 결과를 변경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즉, 자동화 검사 장비에서 검사 장비와 검사 기준서 또는 작업자간 검사 유효성을 확인하는 검증 과정이 있으며, 이를 Verifier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제품(P)의 합산된 판정 결과가 발생하면 중앙 처리 모듈(120)로 자동으로 접속하여 결과 영상을 가져오며, 검사 합산된 제품(P)의 전체 영상을 표시하고, 그 전체 영상 중에 검사된 결함(Defect)을 표시한다. 각각의 결함을 클릭하면 화면이 확대되고, 제품(P)이 진성 불량인지 가성 불량인지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판별한다. 유효성 검증 모듈(130)에서 판정된 제품(P)의 검증 결과에 의해 중앙 처리 모듈(120)에 최종 검사 결과값을 양품(OK), 불량(NG), 재검사(Rework) 등으로 재설정하고, 중앙 처리 모듈(120)은 변경된 판정 결과값으로 이송 장비에 자동으로 제품(P)을 분류하라고 하는 명령을 내린다. 물론, 양품(OK), 불량(NG), 재검사(Rework)은 제품(P)을 분류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분류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That is, there is a verification process that confirms the validity of inspection equipment, inspection standards, or operator-to-operator inspection in an automated inspection equipment,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verifier mode. The
유효성 검증 모듈(130)에 의해 특정 제품(P)에 대하여 검사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즉 검사 장비와 검사기준서 또는 작업자 간 눈높이 맞추는 과정이 완료되면, Auto Run 모드로 변경하여 연속으로 제품(P)을 자동 검사하여 검사 장비의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Auto Run 모드의 자동 운전 검사 전에 검사 파라미터의 튜닝 작업, 세팅 값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어 검사 장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가 작업자를 개별 지도하여 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에서, Auto Run 모드는 유효성 검증 모듈(130)이 제품(P)에 대한 최종 검사 결과값에 대한 판정 권한을 갖지 않는 모드로 마지막 단계의 검사가 완료되면 중앙 처리 모듈(120)이 최종 검사 결과값 판정을 자동으로 직접 하는 것이다. 만약, 마지막 컨베이어를 통과하고 각 영상 처리 모듈(110)로부터 개별 검사 결과값을 받지 못하였거나, 검사 설정 시간보다 늦게 개별 검사 결과값을 받게 되면 중앙 처리 모듈(120) 또는 이송 장비에서는 자동으로 재검사 판정을 내린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When the validity of the inspection is verified for the specific product P by the
도 3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연결되는 장비들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vices connected to the validity checking device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는 중앙 처리 모듈(120)을 통해 Front 장비(200) 및 이송 장비(10)와 연결되어 정보 등을 송수신하고, 중앙 처리 모듈(120)에 의해 장비 등을 제어한다. 이송 장비(10)로 제품(P)의 투입은 Front 장비(200)와 인라인화되어 제품(P)의 투입 신호를 중앙 처리 모듈(120)이 Front 장비(200)로 보내면 이송 장비(10)로 제품(P)이 투입된다. 이송 장비(10)에서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에 의해 제품(P)이 다시 양품, 불량, 재검사로 분류되어 유효성이 검증된 후, Rear 장비(300)로 제품(P)이 이동한다. 예를 들어, 이송 장비(10)는 카메라(21)와 조명장치(27)가 설치된 도 1의 컨베이어(11) 또는 제품(P)을 반송하는 장비이며, 중앙 처리 모듈(120)은 양품(OK), 불량(NG), 재검사(Rework)와 같이 분류 목적별로 분류 신호를 보낸다. 중앙 처리 모듈(120)이 상기 양품(OK), 불량(NG), 재검사(Rework)의 최종 판정결과를 이송 장비(10)로 보내면, 이송 장비(10)에 포함된 분류장치(미도시)는 그 판정결과에 따라 분류를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송 장비(10)는 분류장비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분류 장비를 포함하지 않고 분류 장비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분류 장비는 제품(P)을 흡착하여 상기 양품(OK), 불량(NG), 재검사(Rework)의 분류 위치에 처리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X-Y-Z 로봇)로서, 분류 목적별로 개별 컨베이어로 구성되거나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할 것이다.3, the product
도 4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센서 모듈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센서 모듈의 빔 패턴 및 출력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of the device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beam pattern and an output profile of the sensor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이 되는 제품(P)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글래스(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글래스(G)는 카메라 렌즈 등을 위한 홀(H)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홀(H) 때문에 센서 모듈(140)의 센싱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P to be inspected may include glass (G) for display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display glass G of the mobile device may have a hole H for a camera lens or the like. However, a sensing error of the sensor module 140 may occur due to the hole H.
도 4를 참조하면, 각 카메라(21)가 글래스(G)를 촬영하도록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글래스(G)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140)은 영상 취득을 위한 그랩 센서(142)와 다른 용도의 감지 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컨베이어(11) 내의 각 센서(142, 144) 위치가 글라스(G) 중심에 홀(H)을 피하여 글라스(G) 절반의 1/2되는 지점에서 상하로 세팅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센서(142, 144)의 위치 변경으로 글라스(G)의 홀(H) 유무와 관계 없이 각 센서(142, 144)가 글래스(G)를 항상 검출할 수 있다.4,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140 for sensing the glass G conveyed by the conveyor 11 such that each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센서 모듈(140)을 상하로 이동시켜 빔 패턴(Beam Pattern)을 조절하여 글라스(G)에 홀(H)이 있어도 센서 모듈(140)이 글라스(G)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글라스(G)에 홀(H)이 있는 경우, 센서 모듈(140)을 글라스(G) 측으로 이동하여 각 센서(142, 144)에서 조사되는 빔의 출력을 크게 함으로써 센싱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도 5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랩 센서(142)가 항상 일정한 출력 프로파일을 보이게 될 것이다.5, when the sensor module 140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a beam pattern, the sensor module 140 detects the glass G even if the glass G has a hole H, can do. That is, when the hole H exists in the glass G, the sensor module 140 is moved to the glass G side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beams irradiated by the
도 6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영상 처리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image processing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product validity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모듈(110)은 카메라(21)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2),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정보를 검출하는 불량 정보 검출부(114), 및 상기 불량 정보를 기초로 제품(P)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여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는 불량 판단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모듈(1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획득된 영상의 불량 정보에 따른 판단 결과가 최종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6, the
도 7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중앙 처리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재검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module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examin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중앙 처리 모듈(120)은 영상 처리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제품(P)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영상 처리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합산 정보 생성부(122), 및 유효성 검증 모듈(130)에 의해 검증된 검증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제품(P)을 재분류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처리 모듈(120)은 영상 처리 모듈(110)의 검사 결과를 합산하여 제품(P)을 분류하며, 이에 대한 검증은 별도의 유효성 검증 모듈(130)에서 수행하고 유효성 검증 모듈(130)의 검증 결과에 따라 제품(P)을 재분류한다. 7, the
이때, 중앙 처리 모듈(120)은 제품(P)의 재검사 판정을 내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처리 모듈(120)의 중앙 제어부(124)는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110-1, 110-2, ... , 110-n)로부터 수신한 개별 검사 결과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재검사에 해당하는 경우, 제품(P)의 불량 검사를 다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모듈(120)의 중앙 제어부(124)는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110-1, 110-2, ... , 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개별 검사 결과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늦게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P)의 불량 검사를 다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모듈(120) 혹은 이송 장비(10)의 제어장치에서 검사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문제가 발생되어 검출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 설정 시간을 기다리다가(즉, 결과값이 Null일 경우) 재검사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2)에 의해 감지 후, 글래스(G)의 설정된 길이 값이나 설정된 시간 값으로 센서 검출을 ON/OFF 제어한다. 센서(142)에 의해 감지 후, 설정된 Null Result Time 초과 시 재검사로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9는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의 유효성 검증 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FIG.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alidation module of the validation device for product inspection of FIG. 2; FIG.
도 9를 참조하면,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검사 기준서를 저장하는 저장부(132), 및 전체 불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의 검사 기준서를 DB화하여 불량 및 양품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DB화된 영상은 제품(P)의 중앙 처리 모듈(120)에 의한 합산 최종 검사 결과값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물리적인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거나 가상의 운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9, the
도 10은 도 2의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acquired by the apparat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of FIG.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스크린(155)에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0)에 의해 처리된 영상(Ig)이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image Ig processed by the device
영상(Ig)의 여러 결함(f) 중에서 하나의 결함(f')이 선택되면, 화면이 확대되고 작업자가 검사 기준서를 보고 각각의 결함을 확인하여 판정 결과를 내릴 수 있다. 판정 결과가 내려지면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중앙 처리 모듈(120)의 최종 결과값을 변경하고, 제품(P)의 재분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Verifier 모드의 검증이 완료되면 Auto Run 모드로 변경되어 유효성 검증 모듈(130) 없이 영상 처리 모듈(110)과 중앙 처리 모듈(120)에 의한 자동 검사가 수행된다.When one defect f 'is selected from among several defects f of the image Ig, the screen is enlarged and the operator can check each defect by referring to the inspection standard, and can output the judgment resul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btained,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검사 대상 제품을 촬영한 영상과,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 및 상기 제품의 개별 검사 결과값을 획득하며(S110), 상기 획득된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고(S120), 상기 제품의 마스터 영상에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표시한 후(S130), 상기 표시된 불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이 진성 불량인지 가성 불량인지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검증하고(S140), 상기 검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을 재설정하여 상기 제품을 재분류한다(S150). Referring to FIG. 11, a validation method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an image of a product to be inspected,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of the product (S110) , Summing up the obtained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to generate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of the product, adding the defect information to generate total defect information (S120), and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the master image of the product (S130), the result of the final inspection is compared with the inspection standard, whether the final inspection result is an intrinsic defect or a false defect (S140), and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is reset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The product is reclassified (S150).
여기에서,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S120 단계에서,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늦게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의 불량 검사를 재검사(Rework)할 수 있다. Here, if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is not received in the step S120 of generat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r if it is received lat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defect inspection of the product can be reworked.
또한, 제품을 재분류하는 S150 단계에서, 상기 제품을 불량(NG), 양호(OK), 재검사(Rework)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불량(NG)은 제품이 불량품인 것을 의미하고, 양호(OK)는 제품이 양품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재검사(Rework)는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확인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step S150 of reclassifying the product, the product can be classified into failure (NG), good (OK), and re-inspection (rework). At this time, the failure (NG) means that the product is defective, and the good (OK) means that the product is good. The rework means that it is not a good product or a defective product.
이를 통해, 제품 검사의 유효성을 다시 한번 검증할 수 있으며, Verifier 모드라 칭할 수 있다. 그리하여, Verifier 모드에서 특정 제품에 대하여 검사 장비와 검사기준서 또는 작업자간 눈높이 맞추는 과정이 완료되면 Auto Run 모드로 변경하여 연속으로 제품을 자동 검사 하도록 하여 자동 검사 장비의 수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Auto Run 모드의 자동 검사 전에 검사 파라미터의 튜닝 작업, 세팅 값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어 검사 장비를 신뢰할 수 있으며, 검사 장비가 작업자를 개별 지도하여 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Through this,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can be verified once again, and it can be called Verifier mode. In Verifier mode, whe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nspection equipment, inspection standard or operator level is completed for a specific product, the product is automatically inspected continuously by changing to the Auto Run mode, thereby maximizing the yield of the automatic inspection equipment. In addition, it can check the tuning operation of inspection parameters and error of setting value before automatic inspection of Auto Run mode, so that the inspection equipment can be trusted and the inspection equipment can guide the operator to operate the equipment .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수행한 후, Auto Run 모드인 경우에 제품 검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spec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Auto Run mode after performing the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품의 검증이 모두 완료되면, 즉 Verifier 모드가 완료되면,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도 11의 S140 단계 없이 도 11의 각각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검사 대상 제품을 촬영한 영상과,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 및 상기 제품의 개별 검사 결과값을 획득하며(S210),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고(S220), 상기 제품의 마스터 영상에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표시하고(S230),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제품을 분류한다(S240).When the verification of the product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verifier mode is completed, each step of FIG. 11 can be repeatedly performed without step S140 of FIG. 11 to be verified and compared with the inspection standard. 12, an image of a product to be inspected,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of the product are obtained (S210), and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s of the product are generated by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S220),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ster image of the product (S230), and the product is sorted on the basis of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S240 ).
그리하여, 제품에 대한 최종 검사 결과값에 대한 검증 절차가 없으므로, 마지막 영상의 검사가 완료되면 모두 합산한 결과만으로, 즉 최종 검사 결과값만으로 불량 판정을 자동으로 하는 것이다.Thus, since there is no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for the product, when the inspection of the final image is completed, the defect judg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based on the sum of all the results, that is, only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도 13은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수행한 후, Auto Run 모드인 경우에 제품 검사 방법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method for validating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product inspec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Auto Run mode after the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is performed.
도 13을 참조하면, Verifier 모드인 경우(①), 컨베이어(11)의 구동에 따라(②), 글래스(G)가 감지되면 Input 카운팅한다(③). 그리고, 첫 번째 글래스(G)가 첫 번째 그랩 센서(142)를 통과하고 나면 하강 Edge 검출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컨베이어(11)의 다음 위치에 정지하며, 두 번째부터 네 번째 글래스(G)도 마찬가지로 동작이 수행되고 첫 번째 글래스(G)가 마지막 그랩 센서(142)를 통과하고 나면 컨베이어가 정지하고, 카메라(21)가 촬영할 수 있는 각 컨베이어의 위치에는 모두 글래스(G)가 올라간 상태가 되며 글래스(G)의 개별 검사 결과값은 영상 처리 모듈(110)에서 중앙 처리 모듈(120)로 전송된다(④~⑧). 개별 검사 결과값이 중앙 처리 모듈(120)에 도달하면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자동으로 중앙 처리 모듈(120)에 접속하여 영상의 전체를 표시하고 전체 영상에 검출된 각각의 결함(Defect)을 표시한다(⑨). 작업자가 검사 기준서를 보고 각각의 결함(Defect)을 확인하여 판정 결과를 내린다(⑩). 판정 결과가 내려지면 유효성 검증 모듈(130)은 중앙 처리 모듈(120)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변경한다(⑪). 중앙 처리 모듈(120)은 이송 장비(10)에 검증이 완료되어 변경된 최종 검사 결과값을 보내어 분류(양품, 불량, 재검사) 명령을 내린다(⑫).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verifier mode (1), the conveyor 11 is driven (2), and when the glass G is detected, input is counted (3). When the first glass G passes through the
이후에, 투입된 글래스(G)를 연속적으로 검사하여 검사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 유효성 검증이 모두 완료되면 Auto Run 모드로 바꾸어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Auto Run 모드에서의 자동 검사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Thereafter, the inserted glass (G) is continuously inspe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pection. When the validation of the inspection is completed, the automatic inspection is performed by switching to the Auto Run mode. Such automatic checking in the Auto Run mode is shown in Fig.
도 14에서, Verifier 모드가 아닌 Auto Run 모드인 경우(①), 컨베이어(11)의 구동에 따라(②), 글래스(G)가 감지되면 Input 카운팅한다(③). 그리고, 첫 번째 글래스(G)가 첫 번째 그랩 센서(142)를 통과하고 나면, 연속적으로 두 번째부터 네 번째 글래스(G)도 마찬가지로 동작이 수행되고 첫 번째 글래스(G)가 마지막 그랩 센서(142)를 통과하고 나면, 카메라(21)가 촬영할 수 있는 각 컨베이어의 위치에는 모두 글래스(G)가 올라간 상태가 되며 글래스(G)의 개별 검사 결과값은 영상 처리 모듈(110)에서 처리되어 중앙 처리 모듈(120)로 전송된다(④~⑧). 즉, 중앙 처리 모듈(120)은 영상 처리 모듈(110)들로부터 개별 검사 결과값을 모두 받고, 유효성 검증 모듈(130)의 판단 없이 연속으로 검사 판정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11)가 정지하지 않게 된다. 이때, 영상 처리 모듈(110)로부터 중앙 처리 모듈(120)로 설정된 시간 내에 결과값이 도달하지 않으면 재검사((Rework)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영상 처리 모듈(110)의 개별 검사 결과값이 중앙 처리 모듈(120)에 도달하면, 중앙 처리 모듈(120)이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최종 검사 결과값을 계산하고(⑨), 중앙 처리 모듈(120)은 이송 장비(10)에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을 보내어 분류(양품, 불량, 재검사) 명령을 내린다(⑩).In FIG. 14, when the conveyor 11 is driven (②), when the glass G is detected, the input counts (3). After the first glass G passes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product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by software and hardware,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creat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 And a general-purpose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a ROM, a floppy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 or a DVD, and a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110: 영상 처리 모듈
120: 중앙 처리 모듈
130: 유효성 검증 모듈
140: 센서 모듈
150: 디스플레이 모듈100: Validation device for product inspection
110: image processing module
120: central processing module
130: Validation module
140: Sensor module
150: Display module
Claims (14)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된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품의 불량 정보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각 불량 정보에 따른 상기 제품의 불량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
상기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하나의 영상에 표시하며, 미리 저장된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 모듈을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An apparatu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a defect inspection of a product conveyed by a conveyor is valid, comprising: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means for respectively detecting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basis of an image photographed by each camera installed in the convey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efect information, module;
A central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and generating total defect information by summing up each defect information; And
And a validity check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one image and verifying validity of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inspection standard.
상기 제품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글래스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comprises a display glass of a mobile device.
상기 각 카메라가 상기 글래스를 촬영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글래스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for sensing the glass being conveyed by the conveyor such that each camera captures the glass.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글래스의 이송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이격되어 상기 글래스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glass, spaced apart from a virtual center line of the glass in the conveying direction.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글래스 측으로 이동하여 빔 패턴을 조절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module moves to the glass side to adjust the beam pattern.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정보를 검출하는 불량 정보 검출부; 및
상기 불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는 불량 판단부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module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image from the camera;
A defect informa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defect information from the image; And
And a failure judgment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defective based on the defe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각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각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합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유효성 검증 모듈에 의해 검증된 검증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제품을 재분류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module,
A summ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summing up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to generate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of the product, and to sum up each defect information to generate total defect information; And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duct to be reclassifie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value verifi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module.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늦게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의 불량 검사를 재검사하도록 제어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o re-inspect the defect inspection of the product when it fails to receive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modules or is received later than a preset time Validation device.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하나의 영상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nd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one image.
상기 유효성 검증 모듈은,
상기 검사 기준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alidation module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spection standard; And
And a verif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otal failure information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y comparing with the inspection standard.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품의 최종 검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불량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마스터 영상에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불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이 진성 불량인지 가성 불량인지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최종 검사 결과값을 재설정하여 상기 제품을 재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Obtaining an image of a product to be inspected, defe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of the product;
Summing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s to generate a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of the product, and summing the defect information to generate total defect information;
Display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on a master image of the product;
Verifying whether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is an intrinsic defect or a false defect based on the displayed defect information; And
And re-classifying the product by resetting the final inspection result valu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상기 전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검사 결과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늦게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의 불량 검사를 재검사(Rework)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total defect information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efect inspection of the product to be reworked if the individual inspection result value is not received or is received l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Validation method of test.
상기 제품을 재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을 불량(NG), 양호(OK), 재검사(Rework)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reclassifying the product comprises classifying the product into a defect (NG), a good (OK), and a rework (Rework).
상기 제품의 검증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검사 기준서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 없이 상기 각각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peatedly performing each of the steps without verifying with the inspection standard when the verification of the product is complet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6106A KR20150095053A (en) | 2014-02-12 | 2014-02-12 |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
CN201410400690.XA CN104834656B (en) | 2014-02-12 | 2014-08-14 | The validation verification device and its method of product examin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6106A KR20150095053A (en) | 2014-02-12 | 2014-02-12 |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5053A true KR20150095053A (en) | 2015-08-20 |
Family
ID=5381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6106A KR20150095053A (en) | 2014-02-12 | 2014-02-12 |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95053A (en) |
CN (1) | CN104834656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93909A (en) * | 2018-06-28 | 2018-12-14 |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 Sorting device and metho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glass |
CN114279716A (en) * | 2021-11-16 | 2022-04-05 |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 Door plate defect verific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0991B1 (en) * | 2016-02-04 | 2018-01-25 |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 Inspection stand,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
KR101782363B1 (en) * | 2016-05-23 | 2017-09-27 | (주)에이앤아이 | Vision inspection method based on learning data |
CN107239813B (en) * | 2017-07-18 | 2020-07-14 | 北京创享合一管理咨询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information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86166A1 (en) * | 2002-11-01 | 2004-05-06 | Photon Dynam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patterned media inspection |
CN2847275Y (en) * | 2005-08-26 | 2006-12-13 | 山东省药用玻璃股份有限公司 | Glass bottle mouth detector |
DE102005045625B4 (en) * | 2005-09-23 | 2008-06-05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ssembling a test an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esting a test object |
JP5100419B2 (en) * | 2008-01-30 | 2012-12-1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Inspection system |
CN101446699B (en) * | 2008-12-30 | 2010-06-02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ame |
CN101718714B (en) * | 2009-11-25 | 2012-07-11 | 东旭集团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urface defects of flat glass |
CN103064206B (en) * | 2013-01-08 | 2015-04-22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Glass substrate defect detection method |
-
2014
- 2014-02-12 KR KR1020140016106A patent/KR20150095053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4-08-14 CN CN201410400690.XA patent/CN10483465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93909A (en) * | 2018-06-28 | 2018-12-14 |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 Sorting device and metho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glass |
CN114279716A (en) * | 2021-11-16 | 2022-04-05 |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 Door plate defect verific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34656B (en) | 2018-05-29 |
CN104834656A (en) | 2015-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38340B2 (en) |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TWI778078B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efect classification and related non-transitory computer program product | |
JP6144841B2 (en) | Substrate inspection method and substrate insp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21480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fect inspection of wafer | |
EP3102018B1 (en) | Qualit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ality management device | |
KR20150095053A (en) | Validity verification apparatus of product inspec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2001356B1 (en) | Generating a wafer inspection process using bit failures and virtual inspection | |
US1120349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moving objects | |
KR100598381B1 (en) | In-line type automatic wafer defect sor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10216872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Normal and Abnormal by using Vision Inspection | |
WO2018087932A1 (en) | Stored image reclassification system and re-classification method | |
US6556291B2 (en) |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apparatus | |
KR102557965B1 (en) | Inspection System of Glass Hole | |
CN112884743B (en) | Detection method and device, dete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04237246A (en) | Defect distinguishing method of optical thin film | |
KR102091014B1 (en) | Machine vision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machine vision | |
KR100805228B1 (en) | How to detect bad position in test handler and test handler | |
CN110930350A (en) | Machine learning method and automatic optical detection equipment applying same | |
US20080205746A1 (en) | Method of inspecting an identification mark, method of inspecting a wafer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CN101153854A (en) | Optical detection system | |
US8379196B2 (en) | Method for judging whether semiconductor wafer is non-defective wafer by using laser scattering method | |
JP2008186879A (en) | Substrate inspection method | |
KR20190020589A (en) | Product inspection system with multiple inspection methods | |
JP6508768B2 (en) | Parts inspection device | |
KR102049563B1 (en) | PCB overlap detection system and method in PCB manufacturing pro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