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93233A -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233A
KR20150093233A KR1020157018478A KR20157018478A KR20150093233A KR 20150093233 A KR20150093233 A KR 20150093233A KR 1020157018478 A KR1020157018478 A KR 1020157018478A KR 20157018478 A KR20157018478 A KR 20157018478A KR 20150093233 A KR20150093233 A KR 2015009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thickener
amount
silic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페이
프라카사라오 만다디
수만 쵸프라
마이클 프렌시피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9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23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를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증점제는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15 wt%보다 많은 양을 구성하는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이 본원에 기재된다.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실리카와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과 함께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ORAL CARE COMPOSITIONS FOR TOOTH WHITENING}
단일 상 과산화물-함유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행해지는 포뮬러 변형은 제조 과정중에 펌핑하기 어려운 조성물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과산화물의 향장품 안정성(cosmetic stability)을 보이고, 그에 따라 장기 저장 동안 안정하고 일상적인 소비자 사용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포장중에 그들을 펌핑하기 용이하게 해주는 리올로지 특성도 보유하는 개선된 단일 상 과산화물-함유 조성물, 예를 들어 치마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미백 복합체, 및 (ii) 실리카를 포함하는 제1 증점제와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제2 증점제를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중량의 15 wt%보다 많은 양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 기재 조성물 중 어느 것을 미백을 요하는 대상체의 구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리카를 포함한다.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로 이루어진다.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증점 시스템중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중량의 약 40 내지 약 80 wt%를 구성한다.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wt% 내지 약 6 wt%, 추가로 임의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5 wt%, 추가로 임의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 wt% 내지 5 wt%, 및 추가로 임의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임의로는,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실리카 제1 증점제와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이다.
추가로 임의로는,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실리카 제1 증점제와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이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5000 Da보다 큰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5000 Da 미만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들어있지 않다.
추가로 임의로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에틸렌 옥사이드)x-(프로필렌 옥사이드)y (여기에서, x는 80 내지 150의 정수이고, y는 30 내지 80의 정수이다)를 포함한다.
임의로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는,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wt% 내지 17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로 임의로는,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5 wt% 내지 16.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는, 과산화수소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wt% 내지 5 wt%이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평균 분자량 400 내지 800 Da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로 임의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수분을 3 wt% 미만 함유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피로인산칼슘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이다. 추가로 임의로는, 피로인산칼슘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로 임의로는, 피로인산칼슘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프로필렌 글리콜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하기 성분(중량 기준)을 포함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5%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2.5-5%
글리세린 30-35%
프로필렌 글리콜 12-18%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피로인산칼슘 10-20%.
추가로 임의로는, 조성물은 하기 성분(중량 기준)을 포함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4.5%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1.5-3%
글리세린 30-35%
프로필렌 글리콜 12-18%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피로인산칼슘 10-20%
여기에서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이다.
또한 추가로 임의로는,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장기 저장중에 안정하고 치아의 청결과 미백에 유효하게 잔류하며, 또한 구강 케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와 사용중 양호한 향장품 안정성과 더불어, 상업적 제조중에 마주치는 전형적인 가공 조건하에서 그들을 쉽사리 펌핑가능하게 해주는 리올로지 특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유동물 치아의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원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범위는 그 범위 안에 있는 각각의 모든 값을 기재하기 위한 속기로서 사용된다. 범위 안의 어떤 값은 그 범위의 종점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미백 복합체, 및 (ii) 제1 증점제로서 실리카와 제2 증점제로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고, 실리카는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중량의 15 wt%보다 많은 양을 구성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실리카는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중량의 35 wt%보다 많은 양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연마제, 예를 들어 칼슘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연마제-비함유 겔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리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의 혼합물의 중량의 40 내지 8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 wt% 내지 6 wt%, 예를 들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13% 미만의 질소 함량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8 미만의 pH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약 6의 pH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입자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입자의 적어도 95%의 입자크기는 75 마이크론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한없이, 카보머 (또한 "카복시비닐 중합체"로도 알려져 있음), 카라기난 (또한 "아이리시 모스(Irish moss)"로도 알려져 있음) 및 보다 구체적으로 - 카라기난 (아이오타(iota)-카라기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카보왁스(CARBOWAX)®, 다우 케미컬 컴퍼니(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 셀룰로스 중합체, 예컨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CMC)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CMC 나트륨, 천연 고무, 예컨대 인도고무, 잔탄, 아라비아 고무 및 트라가칸트 고무, 및 콜로이드성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및 그들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부가적인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증점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는, 그러한 부가적인 증점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wt% 내지 약 50 wt%, 예를 들어 약 0.1 wt% 내지 약 35 wt% 또는 약 1 wt% 내지 약 15 wt%의 총량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i) 폴리에틸렌 글리콜, (ii) 적어도 5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블록 공중합체 및 (iii)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5000 Da보다 큰, 예를 들어 8000 내지 13000 Da, 예를 들어 약 9800 Da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화학식 (에틸렌 옥사이드)x-(프로필렌 옥사이드)y (여기에서, x는 80 내지 150, 예를 들어 100 내지 130, 예를 들어 약 118의 정수이고, y는 30 내지 80, 예를 들어 약 60 내지 70, 예를 들어 약 66의 정수이다)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5000 Da보다 큰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5000 Da 미만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들어있지 않다. 임의로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플루라케어(PLURACARE)® L1220 (바스프(BASF, 미국 미시건주 와이앤도트)로부터 입수가능)을 포함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가 유용하지만, 보다 높은 분자량, 예를 들어 > 5000 Da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평균 분자량 400 내지 800 Da, 예를 들어 약 600 Da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추가로 포함한다. 저- 또는 중-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 400, PEG 600, PEG 800, PEG 1000 및 그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의 조성물에 유용하다.
추가로 임의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5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안정화량의 부가적인 선형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wt% 내지 17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wt% 내지 12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5 wt% 내지 약 8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산화수소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wt% 내지 5 wt%, 예를 들어 0.1 내지 3 wt%, 예를 들어 약 0.1, 1 또는 2 wt%이다.
전형적으로, 미백 복합체는 과산화수소 약 15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약 17 내지 22 중량%, 및 총 질소 약 7 내지 12 중량%를 함유하며; 예를 들어, 인터내셔널 스페셜티 프로덕츠(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 미국 뉴저지주 웨인)로부터 입수가능한, 예를 들어 폴리플라스돈(Polyplasdone)® XL-10, 예를 들어 폴리플라스돈® XL-10F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역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는 연마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 실시양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35 wt% 연마제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추가 실시양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20 wt% 연마제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연마제가 존재할 경우, 평균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약 30 마이크론,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20 또는 약 5 내지 약 15 마이크론이다.
연마제는 칼슘 연마제, 예컨대 인산칼슘 염, 예를 들어 피로인산칼슘, 오르토인산이칼슘 2수화물, 인산삼칼슘, 및/또는 폴리메타인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 칼슘 연마제는 피로인산칼슘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칼슘 연마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피로인산칼슘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이다. 추가로 임의로는, 피로인산칼슘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피로인산칼슘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2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리올로지와 감촉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치마제 성분, 예컨대 보습제, 표면활성제 또는 겔화제 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활성성분에 대한 비히클을 포함한다. 비히클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60 wt% 보습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프로필렌 글리콜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조성물은 임의의 유리수 및 임의 성분에 함유된 모든 수분을 포함한 수분의 총농도가 약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 수분임을 의미하는 "낮은 수분" 함량을 갖는다.
임의로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wt% 미만의 수분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2 wt% 미만의 수분, 예를 들어 1 wt% 미만의 수분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무수이다.
비히클 성분은 특히, 약 10,000 CPS 내지 약 700,000 CPS, 바람직하게는 약 30,000 CPS 내지 약 300,000 CPS의 점도를 갖는 치마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인식되듯이,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다른 물질, 예컨대 예를 들어 충치예방제, 탈감작제, 점도 조절제, 희석제, 표면활성제, 예컨대 계면활성제, 유화제, 및 발포 조절제, pH 조절제, 연마제, 상기 수록된 것들 이외에, 보습제, 구강 촉감제(mouth feel agent),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보존제 및 그들의 조합을 임의로 포함한다. 물질의 상기 카테고리 각각의 일반 속성은 상이할 수 있지만, 다소의 공통 속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임의의 주어진 물질은 물질의 그러한 카테고리 중 2종 이상 안에서 다중 목적을 담당할 수 있다고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의 화합성을 위해 선택된다.
향미제, 감미제, 착색제, 발포 조절제, 구강 촉감제 및 다른 첨가제가 필요하다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면활성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제한없이 C8-20 알킬 술페이트의 수용성 염, C8-20 지방산의 술폰화 모노글리세리드, 사코시네이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소듐 코코일 모노글리세리드 술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사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이소에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레스 카복실레이트와 소듐 도데실 벤젠술포네이트,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SLS)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의 경조직 또는 연조직의 병태 또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생리학적 장애 또는 병태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또는 미용상 이익(cosmetic benefit)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추가 활성 물질(들)을 임의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구강 조성물은 치석방지 (치석억제)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치석억제제는 일부 미백제와 불화합성인 것으로 분류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치석억제제와 미백제를 단일 상 미백 조성물에 혼입한다.
적합한 치석방지제는 제한없이 인산염 및 폴리인산염 (예를 들어, 피로인산염), 폴리아미노프로판술폰산 (AMPS), 헥사메타인산염, 징크 시트레이트 3수화물, 폴리펩티드, 폴리올레핀 술포네이트, 폴리올레핀 포스페이트, 디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치석방지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wt% 내지 약 30 wt%로 존재한다.
구강 조성물은 상이한 치석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피로인산사나트륨 (TSPP) 및 트리폴리인산나트륨 (STPP)으로부터 선택된 치석억제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피로인산사나트륨 (TSPP) 및 트리폴리인산나트륨 (STPP)이 사용된다. 치석방지제는 각각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TSPP를 약 1 내지 2%로 및 STPP를 약 7% 내지 약 10%로 포함한다.
구강 케어 조성물은 불화물 이온의 적어도 1종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공급원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거나 또는 개발될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불화물 이온의 적합한 공급원은 불화물, 모노플루오로인산염 및 플루오로규산염을 포함한다. 1종 이상의 불화물 이온-방출 화합물은 임의로는 불화물 이온을 총 약 100 내지 약 20,000 ppm, 약 200 내지 약 5,000 ppm, 또는 약 500 내지 약 2,500 ppm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조성물은 주석 이온 또는 주석 이온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주석 이온 공급원은 제한없이 불화주석, 다른 주석 할라이드, 예컨대 염화주석 2수화물, 피로인산주석, 유기 주석 카복실레이트 염, 예컨대 주석 포메이트, 아세테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및 시트레이트, 주석 에틸렌 글리옥사이드 등을 포함한다. 1종 이상의 주석 이온 공급원은 임의로는 및 예시적으로는 약 0.01%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7% 또는 약 1% 내지 약 5%의 총량으로 존재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미생물 (예를 들어, 항균)제, 예를 들어, 트리클로산(triclosan)을 임의로 포함한다. 유용한 항균제의 추가 예시적인 목록은 예컨대 가파르(Gaffar) 등의 미국 특허 5,776,435에 수록된 것들에 제공되어 있다. 1종 이상의 항미생물제는 임의로는 항미생물 유효 총량, 전형적으로 약 0.05%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3%로 존재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임의로 포함한다.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HA),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E,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아스코르브산, 허브성 산화방지제, 클로로필, 멜라토닌 및 그들의 혼합물을 비롯하여 임의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액분비제 또는 타액-자극제, 항치태제, 소염제, 및/또는 탈감작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성분은 종종 본원에서 카테고리, 예를 들어 보습제, 산화방지제, 증점제 등에 의하여 판정되지만, 이러한 판정은 편의성과 명확성을 기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조성물중의 성분 모두는 그들의 1차적인 기능 이외의 기능을 보유할 수 있고, 조성물의 안정성, 효능, 점조도(consistency), 구감(mouthfeel), 맛, 냄새 등을 포함한 조성물의 전체적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하기 성분(중량 기준)을 포함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5%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2.5-5%
글리세린 30-35%
프로필렌 글리콜 12-18%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15-25% H2O2 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피로인산칼슘 10-20%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하기 성분(중량 기준)을 포함하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4.5%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1.5-3%
글리세린 30-35%
프로필렌 글리콜 12-18%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피로인산칼슘 10-20%
여기에서,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이다.
조성물은 하기 성분 부류 및/또는 특정 성분 (중량 기준)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보습제 35-60%, 예를 들어
글리세린 30-40%, 예를 들어 약 30-35%
프로필렌 글리콜 10-20%, 예를 들어 약 12-18%
증점제, 예를 들어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6%, 예를 들어 약 2.5-4.5%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1-5%, 예를 들어 약 1.5-3%
중합체 10-25%, 예를 들어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예를 들어 약 3-8%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예를 들어 약 10%
미백제 3-10%, 예를 들어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10%, 예를 들어 약 5.5%
연마제 5-25%, 예를 들어
피로인산칼슘 10-20%, 예를 들어 약 15%
불화물 0-1%, 예를 들어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5-1%, 예를 들어 약 0.76%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SLS 0-3%
치석억제제, 예를 들어 TSPP 0.5-5%, 예를 들어 약 2%
산화방지제 0.01-5%, 예를 들어
BHT 0.03%
향미제 0.1-5%
수분 <3%
안정한 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구강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또는 동물 대상체에서 구강 표면을 미백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물 대상체"는 고차 비-인간 포유동물, 예컨대 개, 고양이 및 말을 포함한다. 구강 케어 조성물은 포유동물 대상체의 구강 표면과 접촉되어 미백제, 과산화물-불화합성 연마제 및 기타 성분간의 어떠한 부정적인 상호작용도 없이 고도로 유효한 방식으로 치아를 미백시킨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구강 케어 조성물은 적용되어 구강 표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된 치마제는 바람직하게는 구강 표면에 정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매일, 여러 날 동안 1일 적어도 1회, 그러나 번갈아 격일로 또는 3일마다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조성물은 구강 표면에 1일 1 내지 3회, 적어도 2주 내지 8주까지, 4개월 내지 3년, 또는 보다 길게는 일생까지 동안 적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는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증명해 보여준다. 실시예는 오로지 예시를 위해 주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수의 변화가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원에 나타내고 기재된 것들 외에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함이 틀림없으며 첨부 청구범위 안에 들어오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내지 4
다수의 치마제를 비교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표 1에 명시한 바와 같은 하기 성분을 가졌으며, 거기에서 양은 wt%로 나타내었다:
성분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4
PEG118/PPG66 공중합체 (플루라케어 L1220F) 7.5 7.5 7.5 7.5
글리세린 33.36 33.36 33.36 33.36
프로필렌 글리콜 15 15 16 15
PEG 600 10 10 10 10
발연 실리카 0 6 5 1.5
가교결합된 PVP 6 0 0 4.5
가교결합된 PVP/H2O2 5.5 5.5 5.5 5.5
피로인산칼슘 15 15 15 15
TSPP 2 2 2 2
수크랄로스 0.05 0.05 0.05 0.05
사카린나트륨 0.6 0.6 0.6 0.6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76 0.76 0.76 0.76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2 2 2 2
BHT 0.03 0.03 0.03 0.03
85 wt% 시럽성 인산 0.2 0.2 0.2 0.2
박하향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는 6 wt%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지만 발연 실리카는 포함하지 않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한다.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는 미백 활성제로서 가교결합된 PVP/H2O2를 PEG118/PPG66 공중합체 (플루라케어 L1220F),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PEG 600을 피로인산칼슘 및 TSPP와 함께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무수의 비히클과 함께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미백 치마제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지만 발연 실리카는 사용하지 않는 조성물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측정하여 점도/전단 응력 리올로지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리올로지 프로파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내경이 100 mm인 87 미터 길이 파이프를 통해 1100 cm3/초의 유량으로 펌핑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계산을 수행하여 치마제의 상업적 제조 동안의 생산조건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4
압력 (bar) 20.4 27.3 11.7 25.8
표 2는 비교 실시예 1에 대한 계산된 펌핑 압력이 20.4 bar임을 보여준다. 이를 시뮬레이션한 생산조건에서 18 bar 미만,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 bar의 소망하는 최대 펌핑 압력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서,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는 불량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펌핑하기가 어려우리라고 결론내려야 하였다.
비교 실시예 2 및 3의 치마제는 6 wt% 또는 5 wt%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지만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지 않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였다. 비교 실시예 3의 조성물은 감소한 증점 시스템을 순응하기(accommodate) 위하여 1 wt% 증가한 프로필렌 글리콜을 갖는다. 비교 실시예 2 및 3의 치마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무수의 비히클중에 미백 활성성분으로서 가교결합된 PVP/H2O2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미백 치마제에 수화 실리카를 증점제로서 사용하지만, 폴리비닐 피롤리돈은 사용하지 않는 조성물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2 및 3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비교 실시예 1에 대해서 한 것처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7.3 bar의 시뮬레이션한 펌핑 압력에 의하여 보여지듯이, 비교 실시예 2의 치마제는 전단 응력이 높을 때 다소 높은 점도를 가졌다. 따라서, 비교 실시예 2의 치마제는 불량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펌핑하기가 어려우리라고 결론내려야 하였다.
비교 실시예 3의 치마제는 허용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11.7 bar에서의 시뮬레이션한 펌핑 압력을 가졌다. 그러나, 조성물은 불량한 향장품 안정성을 보였으며, 펌핑 작업중에 복수개의 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실시예 3의 치마제는 잠재적인 상 분리에 기인한 불량한 향장품 안정성 때문에 불량한 리올로지를 갖는다고 결론내려야 하였다.
비교 실시예 4의 치마제는 1.5 wt% 발연 실리카 및 4.5 wt%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였다.
비교 실시예 4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비교 실시예 1에 대해서 한 것처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4의 치마제는 25.8 bar의 시뮬레이션한 펌핑 압력에 의하여 보이듯이, 전단 응력이 높을 때 다소 높은 점도를 가졌다. 따라서, 비교 실시예 4의 치마제는 불량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펌핑하기가 어려우리라고 결론내려야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다수의 겔 치마제를 본 발명 조성물의 예인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표 3에 명시한 바와 같은 하기 성분을 가졌고, 거기에서 양은 wt%로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PEG118/PPG66 공중합체 (플루라케어 L1220F) 7.5 7.5 7.5
글리세린 33.36 33.36 33.36
프로필렌 글리콜 15 15 16
PEG 600 10 10 10
발연 실리카 4.5 3 2.5
가교결합된 PVP 1.5 3 2.5
가교결합된 PVP/H2O2 5.5 5.5 5.5
피로인산칼슘 15 15 15
TSPP 2 2 2
수크랄로스 0.05 0.05 0.05
사카린나트륨 0.6 0.6 0.6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76 0.76 0.76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2 2 2
BHT 0.03 0.03 0.03
인산 0.2 0.2 0.2
박하향 2 2 2
합계 100 100 100
실시예 1의 치마제는 4.5 wt% 발연 실리카 및 1.5 wt%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였다. 나머지 성분 및 그들의 양은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1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비교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측정하여 점도/전단 응력 리올로지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리올로지 프로파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내경이 100 mm인 87 미터 길이 파이프를 통해 1100 cm3/초의 유량으로 펌핑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계산을 수행하여 치마제의 상업적 제조 동안의 생산조건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압력 (bar) 13.1 17.5 13.7
표 4는 실시예 1에 대한 계산된 펌핑 압력이 13.1 bar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시뮬레이션한 생산조건에서의 보다 소망하는 최대 펌핑 압력 18 bar보다 적은 것이다. 따라서, 비교 실시예 1의 치마제는 양호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손쉽게 펌핑될 수 있다.
실시예 2의 치마제는 3 wt% 발연 실리카 및 3 wt%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였다. 나머지 성분 및 그들의 양은 실시예 1의 치마제에 대한 것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실시예 1에 대하여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측정하여 점도/전단 응력 리올로지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리올로지 프로파일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시 이용하여 실시예 1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펌핑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을 계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2에 대한 계산된 펌핑 압력이 17.5 bar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시뮬레이션한 생산조건에서의 소망하는 최대 펌핑 압력 18 bar보다 적은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치마제는 양호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손쉽게 펌핑될 수 있다.
실시예 3의 치마제는 2.5 wt% 발연 실리카 및 2.5 wt%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였다. 증점 시스템이 실시예 1 및 2에 대한 것처럼 조성물의 6 wt%보다는 조성물의 5 wt%를 구성하였으므로 프로필렌 글리콜의 양을 15 wt%에서 16 wt%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성분 및 그들의 양은 실시예 1의 치마제에 대한 것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3의 치마제의 리올로지 특성을 실시예 1에 대하여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측정하여 점도/전단 응력 리올로지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리올로지 프로파일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펌핑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을 계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3에 대한 계산된 펌핑 압력이 13.7 bar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치마제는 양호한 리올로지를 가지며 제조중에 손쉽게 펌핑될 수 있다.
실시예에 기재된 데이터는 본 발명 미백 조성물의 향장품 안정성을 보유하면서 리올로지, 특히 제조중 펌핑되는 능력에 있어서 예기치 않은 향상을 입증해준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가 예시되고 기재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첨부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이 자명해질 것이다.

Claims (26)

  1. (i)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미백 복합체, 및 (ii) 실리카를 포함하는 제1 증점제와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제2 증점제를 포함하는 증점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증점제는 증점 시스템중 제1 및 제2 증점제 혼합물 중량의 15 wt%보다 많은 양을 구성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증점 시스템중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 혼합물 중량의 40 내지 80 wt%를 구성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wt% 내지 6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증점제는 실리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2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하며,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0 Da보다 큰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5000 Da 미만 평균 분자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들어있지 않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에틸렌 옥사이드)x-(프로필렌 옥사이드)y (여기에서, x는 80 내지 150의 정수이고, y는 30 내지 80의 정수이다)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wt% 내지 17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wt% 내지 5 wt%인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 400 내지 800 Da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15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wt% 미만의 수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로인산칼슘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인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피로인산칼슘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35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내지 40 wt%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포함하고,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
    (a)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5%
    (b)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2.5-5%
    (c) 글리세린 30-35%
    (d) 프로필렌 글리콜 12-18%
    (e)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f)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g)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h) 피로인산칼슘 10-20%
  23. 제22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포함하고, 각각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
    (a) 발연 및/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2.5-4.5%
    (b)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1.5-3%
    (c) 글리세린 30-35%
    (d) 프로필렌 글리콜 12-18%
    (e)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avg. MW >5kDa 5-10%
    (f)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15%
    (g) 15-25% H2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3-8%
    (h) 피로인산칼슘 10-20%
    (여기에서,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wt% 내지 6.5 wt%이다).
  24. 제23항에 있어서, 성분 (a)와 (b)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내지 6 wt%인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연 실리카: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비는 약 3:1 내지 1:1인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유동물 치아의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방법.
KR1020157018478A 2012-12-14 2012-12-14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 Withdrawn KR20150093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69849 WO2014092732A1 (en) 2012-12-14 2012-12-14 Oral care compositions for tooth white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33A true KR20150093233A (ko) 2015-08-17

Family

ID=4755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478A Withdrawn KR20150093233A (ko) 2012-12-14 2012-12-14 치아 미백용 구강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9724280B2 (ko)
EP (1) EP2931221B1 (ko)
JP (1) JP2016503017A (ko)
KR (1) KR20150093233A (ko)
CN (2) CN104837473B (ko)
AR (1) AR094011A1 (ko)
AU (1) AU2012396800B2 (ko)
BR (1) BR112015013820B1 (ko)
CA (1) CA2889395C (ko)
IL (1) IL238484A0 (ko)
MX (1) MX350704B (ko)
PH (1) PH12015501185A1 (ko)
RU (1) RU2621142C2 (ko)
TW (2) TW201622697A (ko)
WO (1) WO2014092732A1 (ko)
ZA (1) ZA2015038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2012501306A1 (en) * 2009-12-23 2019-07-10 Colgate Palmolive Co Oral care compositions
SG190879A1 (en) * 2010-12-22 2013-07-31 Colgate Palmolive Co Oral care compositions
JP2016503017A (ja) 2012-12-14 2016-02-01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Colgate−Palmolive Company 歯のホワイトニング用オーラルケア組成物
CA2889159A1 (en) 2012-12-14 2014-06-19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10729626B2 (en) * 2015-12-23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Storage-stable solid peroxymonosulfate composition
CN114869786A (zh) 2016-08-11 2022-08-09 高露洁-棕榄公司 针对顽渍的过一硫酸盐牙粉组合物
MX2023009479A (es) 2021-02-19 2023-08-22 Colgate Palmolive Co Tiras blanqueadoras de peroximonosulfato.
EP4199888A1 (en) 2021-04-08 2023-06-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N114288208A (zh) * 2022-02-22 2022-04-08 克劳丽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组合物、口腔护理清洁用品及其制备方法
WO2024137453A1 (en) * 2022-12-19 2024-06-2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480A (en) 1987-01-30 1994-02-22 Colgate-Palmolive Co. Antiplaque antibacterial oral composition
US6682722B2 (en) * 2001-09-19 2004-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providing enhanced overall cleaning
US20050008584A1 (en) * 2003-05-16 2005-01-13 Britesmile Development, Inc. Therapeutic dental composition
US20050038181A1 (en) * 2003-08-15 2005-02-17 Colgate-Palmolive Company Silicone polymer based liqu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US20050036956A1 (en) 2003-08-15 2005-02-17 Lin Fei Non-aqueous liqu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US20060062744A1 (en) * 2004-09-17 2006-03-23 Jeffrey Lokken Composition for whitening teet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008874A (ja) * 2005-06-30 2007-01-18 Gc Corp ペースト状の歯科用漂白材
US20070071695A1 (en) * 2005-09-27 2007-03-29 Colgate-Palmolive Company Single phase whitening dentifrice
US9067082B2 (en) * 2006-07-26 2015-06-30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having long-term rheological stability and devices, kits and methods that utilize such compositions
EP2349490B1 (en) * 2008-11-25 2014-07-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hitening composition with fused silica
PH12012501306A1 (en) 2009-12-23 2019-07-10 Colgate Palmolive Co Oral care compositions
US8414868B2 (en) * 2010-02-04 2013-04-09 Ultradent Products, Inc. In situ foamable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and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bleaching teeth using such compositions
CN101829026B (zh) * 2010-05-11 2012-07-04 李少君 清除牙齿色斑的组合物
SG190879A1 (en) 2010-12-22 2013-07-31 Colgate Palmolive Co Oral care compositions
US9155688B2 (en) * 2011-12-20 2015-10-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whitening compositions
JP2016503017A (ja) 2012-12-14 2016-02-01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Colgate−Palmolive Company 歯のホワイトニング用オーラルケ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94011A1 (es) 2015-07-01
MX2015007392A (es) 2015-09-16
US20170296447A1 (en) 2017-10-19
RU2015122435A (ru) 2017-01-20
JP2016503017A (ja) 2016-02-01
CN104837473B (zh) 2018-02-13
US9724280B2 (en) 2017-08-08
MX350704B (es) 2017-09-14
TW201622697A (zh) 2016-07-01
CN107260580A (zh) 2017-10-20
CA2889395C (en) 2019-10-08
AU2012396800B2 (en) 2015-11-19
CN107260580B (zh) 2021-04-27
PH12015501185A1 (en) 2015-08-17
TWI552767B (zh) 2016-10-11
AU2012396800A1 (en) 2015-05-14
BR112015013820A2 (pt) 2017-07-11
US10149804B2 (en) 2018-12-11
CA2889395A1 (en) 2014-06-19
EP2931221A1 (en) 2015-10-21
CN104837473A (zh) 2015-08-12
BR112015013820B1 (pt) 2019-01-15
RU2621142C2 (ru) 2017-05-31
EP2931221B1 (en) 2017-08-02
WO2014092732A1 (en) 2014-06-19
IL238484A0 (en) 2015-06-30
US20150320669A1 (en) 2015-11-12
ZA201503803B (en) 2017-08-30
TW201436816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7171B2 (en) Peroxide-stable oral care compositions
EP2931221B1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tooth whitening
US9370472B2 (en) Flowable peroxide containing oral care compositions
KR20150095807A (ko) 치아 미백방법
EP2925283B1 (en) Oral care whiten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