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8114A -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114A
KR20150088114A KR1020140008524A KR20140008524A KR20150088114A KR 20150088114 A KR20150088114 A KR 20150088114A KR 1020140008524 A KR1020140008524 A KR 1020140008524A KR 20140008524 A KR20140008524 A KR 20140008524A KR 20150088114 A KR20150088114 A KR 2015008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requency
loop
input signal
digital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6649B1 (en
Inventor
변상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649B1/en
Publication of KR2015008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7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several loops, e.g. for redundant clock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t least two phase detectors or a frequency and phase detecto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는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복원부; 및 상기 클럭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원 가능한 최대 클럭 주파수보다 작은 어떠한 전송 속도를 갖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and an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c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M tim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using a frequency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rate; And a data recovery unit for dividing the recovered clock received from the clock recovery unit by 1 / M to recover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digital input signal having a transmission rate lower than the maximum recoverable clock frequency is received, the clock and data can be recovered therefrom.

Figure P1020140008524
Figure P1020140008524

Description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및 장치{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0001]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0002]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는,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을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는 장치이다.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랜(LAN), 유무선 통신, 광통신, 디스크 드라이브 데이터 전송,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 및 칩 간 데이터 전송 등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The clock and data restoration circuit restores the clock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restores the digital data using the restored clock. Clock and data restoration circuits are widely used for LA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optical communication, disk drive data transmission, display data transmission, and chip-to-chip data transmission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종래의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되는 클럭의 주파수는,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같거나 작다. 예를 들어, full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같다. 그리고, half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의 반과 같다. In the conventional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For example, when using a full rate phase detector, the recovered clock frequency is equal to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When a half rate phase detector is used,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equal to half o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예를 들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1Gbps일 때, full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1G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되고, half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500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된다. 따라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할 수 있는 클럭의 주파수 범위가 1GHz에서 4GHz까지 한정된다고 가정할 때, full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원이 가능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는 1Gbps에서 4Gbps까지로 제한되며, half rate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원이 가능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는 2Gbps에서 8Gbps까지로 제한된다.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is 1 Gbps, a clock with a frequency of 1 GHz is restored when a full rate phase detector is used, and a clock with a frequency of 500 MHz is used when a half rate phase detector is used Restored. Therefore, assuming that the frequency range of the clock that can be recovered by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is limited from 1 GHz to 4 GHz, the transfer rate of the recoverable digital input signal when using the full rate phase detector is from 1 Gbps to 4 Gbps When using a half rate phase detector, the recoverable digital input signal is limited to a transmission rate of 2 Gbps to 8 Gbps.

즉,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는, 복원 가능한 클럭의 주파수 범위에 의하여 결정되고, 복원 가능한 클럭의 주파수 범위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가 광 대역 특성을 갖기 힘들다.
That is, since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digital input signal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range of the recoverable clock and the frequency range of the recoverable clock is limited, it is difficult for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to have the wide band characteristic.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광 대역 특성을 갖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안을 제공한다.
Th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lock and data recovery scheme with wideband characteristic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는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복원부; 및 상기 클럭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n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equency divider for dividing a frequency of M A cloc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double; And a data recovery unit for dividing the recovered clock received from the clock recovery unit by 1 / M to recover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은,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 method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viding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by M times Recovering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 RTI ID = 0.0 > And restoring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by dividing the recovered clock by 1 / 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 대역 특성을 갖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원 가능한 최대 클럭 주파수보다 작은 어떠한 전송 속도를 갖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having wide band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digital input signal having a transmission rate lower than the maximum recoverable clock frequency is received, the clock and data can be recovered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기에서의 입/출력 신호들과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와의 관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원된 클럭 및 디지털 데이터의 측정 파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ase detect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input / output signals and recovered digital data in a phas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easured waveform of recovered clock and digit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ock and data resto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 가능한 클럭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 가능한 클럭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그에 맞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fer rate is limi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of the recoverable clock in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a clock and a data restoration circuit must be applied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speed or a data transmission speed according to a frequency range of a recoverable clock in a clock and data restoration circu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광 대역 특성을 갖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제공한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having broadband characteristic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클럭을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분주(1/M)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지?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클럭이 복원된다. To this en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is restored by using the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restored clock is divided (1 / M) to restore the data. In other word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is restored so as to have a frequency M times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input signal.

따라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복원 가능한 최대 클럭 주파수보다 작은 어떠한 범위를 갖더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해당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 복원 시에는, M배 복원된 클럭을 분주(1/M)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ver the clock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even i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has any range smaller than the recoverable maximum clock frequency. At the time of digital data restoration, the original data can be restored by dividing (1 / M) the M-times recovered clock.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제 1 루프(100), 제 2 루프(200) 및 루프 선택부(300)를 포함하는 클럭 복원부와, 데이터 복원부(400)를 포함한다.
1, a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ck recovery unit including a first loop 100, a second loop 200, and a loop selector 300, And a restoration unit (400).

클럭 복원부는, 기준 클럭과 디지털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클럭 복원부는, 디지털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클럭 복원부는, 주파수 고정을 위한 제 1 루프(100), 클럭 복원을 위한 제 2 루프(200) 및 주파수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하는 루프 선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ock recovery unit may recover the clock based on the reference clock and the digital input sig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recovery unit may recover a clock having a frequency M times as high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using a frequency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digital input signal. The clock recovery unit includes a first loop 100 for frequency fixing, a second loop 200 for clock recovery, and a loop selection unit 200 for selecting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according to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or not. (300). ≪ / RTI >

제 1 루프(100)는, 기준 클럭 및 피드백 클럭 중 적어도 하나가 분주 비율 M에 따라 분주된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loop 100 can fix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clocks divided by the division ratio M of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clock and the feedback clock.

예를 들어, 제 1 루프(100)는, M 분주된 기준 클럭 및 분주되지 않은 피드백 클럭을 입력으로 받고, 이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루프(100)는, 분주되지 않은 기준 클럭 및 1/M 분주된 피드백 클럭을 입력으로 받고, 이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loop 100 may receive an M divided reference clock and an unfocused feedback clock, and may fix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their frequency difference. Alternatively, the first loop 100 may receive an unbuffered reference clock and a 1 / M divided feedback clock, and may fix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their frequency difference.

제 2 루프(200)는, 제 1 루프(100)와 피드백 라인을 공유하며, 디지털 입력 신호와 피드백 클럭을 입력으로 받고, 이들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The second loop 200 shares a feedback loop with the first loop 100 and receives a digital input signal and a feedback clock as inputs and generates a frequency M times as high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Lt; / RTI >

루프 선택부(300)는, 주파수 고정 여부에 따라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선택부(300)는, 주파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 1 루프(100)를 선택하여 주파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 제 2 루프(200)를 선택하여 상기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loop selector 300 can select either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according to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or not.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is not fixed, the loop selector 300 may select the first loop 100 to perform frequency locking. When the frequency is fixed, the second loop 200 may be selected to restore the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어떠한 전송 속도를 갖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ock and data re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even if a digital input signal having a certain transmission rate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recover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M tim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이하에서는, 제 1 루프(100), 제 2 루프(200) 및 루프 선택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loop 100, the second loop 200, and the loop selecto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 1 루프(100)는, 제 1 분주기(112), 제 2 분주기(114), 주파수-위상 검출기(120), 제 1 전하 펌프(130), 다중화기(140), 루프 필터(150),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op 100 includes a first divider 112, a second divider 114, a frequency-phase detector 120, a first charge pump 130, An oscillator 140, a loop filter 150, and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160.

제 1 분주기(112) 및 제 2 분주기(114)는,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에 따라 입력되는 클럭을 분주하는 데 이용된다. 제 1 분주기(112)는, 기준 클럭을 M 분주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제 2 분주기(114)는, 피드백 클럭을 1/M 분주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 1 분주기(112) 및 제 2 분주기(11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divider 112 and the second divider 114 are used to divide the input clock according to the variable division ratio M. [ The first divider 112 may be used to M divide the reference clock and the second divider 114 may be used to divide the feedback clock by 1 / M. At least one of the first divider 112 and the second divider 114 may be omitted.

주파수-위상 검출기(120)는, 입력되는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여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제어 신호를 제 1 전하 펌프(130)로 출력할 수 있다. 주파수-위상 검출기(120)로 입력되는 클럭들은, 분주되지 않은 기준 클럭 및 제 2 분주기(114)에서 1/M 분주된 클럭일 수 있다. 또는, 주파수-위상 검출기(120)로 입력되는 클럭들은, 제 1 분주기(112)에서 M 분주된 기준 클럭 및 제 2 루프(200)에서 복원된 클럭(제 2 분주기(114)에서 분주되지 않은 복원 클럭)일 수 있다. The frequency-phase detector 120 may detect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input clocks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and outpu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harge pump 130. The clocks input to the frequency-to-phase detector 120 may be a non-divided reference clock and a 1 / M frequency-divided clock in the second divider 114. [ Alternatively, the clocks input to the frequency-to-phase detector 120 may be divided into M reference clocks divided in the first divider 112 and clocks restored in the second loop 200 (divided in the second divider 114) Lt; / RTI > recovery clock).

제 1 전하 펌프(130)는, 주파수-위상 검출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charge pump 130 may generate a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phase detector 120.

다중화기(140)는,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를 루프 필터(150)에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중화기(140)는, 주파수 락 검출기(340)로부터 수신되는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하는데, 상기 수신되는 루프 선택 신호가 제 1 루프(100)를 선택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다중화기(140)는,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를 루프 필터(15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multiplexer 140 may or may not deliver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the loop filter 150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The multiplexer 140 selects either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100), the multiplexer 140 can deliver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the loop filter 150. [0035]

루프 필터(150)는,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에 따라 충/방전되며,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로 전달한다. The loop filter 150 is charged / discharged according to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and generates a first control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and transfers the first control voltage to the voltage adjustment oscillator 160.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는, 루프 필터(150)로부터 수신된 제 1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주파수 고정된 피드백 클럭을 생성한다.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160 generates a frequency-locked feedback clock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voltage received from the loop filter 150.

전술한 제 1 루프(100)는,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를 제 2 분주기(114)의 분주 비율로 나눈 주파수와, 기준 클럭의 주파수를 제 1 분주기(112)의 분주 비율로 나눈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 1 루프(100)는,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를 기준 클럭의 주파수, 제 1 분주기(112)의 분주 비율 및 제 2 분주기(114)의 분주 비율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로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loop 100 has a frequency obtained by dividing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by the division ratio of the second divider 114 and a frequency obtained by dividing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clock by the division ratio of the first divider 112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first loop 100 initializes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to a desir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clock, the frequency division ratio of the first frequency divider 112, and the frequency division ratio of the second frequency divider 114 It plays a ro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 2 루프(200)는, 위상 검출기(220), 제 2 전하 펌프(230), 다중화기(140), 루프 필터(150) 및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루프(200)는, 제 1 루프(100)와 피드백 라인을 공유하며, 상기 공유되는 피드백 라인에 다중화기(140), 루프 필터(150) 및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가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oop 2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phase detector 220, a second charge pump 230, a multiplexer 140, a loop filter 150 and a voltage regulating oscillator 160 One can be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oop 200 shares a feedback loop with the first loop 100 and includes a multiplexer 140, a loop filter 150, and a voltage regulation oscillator 160 in the shared feedback line. Can be located.

위상 검출기(220)는, 디지털 입력 신호 및 제 1 루프(100)에서 M배 복원된 클럭을 입력으로 받고, 이들의 위상 차이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제어 신호를 제 2 전하 펌프(2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phase detector 220 receives as input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clock recovered by M times in the first loop 100, and detects the phase difference therebetween. T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phase difference, and the generated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the second charge pump 230.

제 2 전하 펌프(230)는, 위상 검출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cond charge pump 230 may generate a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hase detector 220.

다중화기(140)는,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를 루프 필터(150)에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화기(140)는, 주파수 락 검출기(340)로부터 수신되는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하는데, 상기 수신되는 루프 선택 신호가 제 2 루프(200)를 선택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다중화기(140)는,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를 루프 필터(15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multiplexer 140 may or may not deliver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the loop filter 150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xer 140 selects either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The multiplexer 140 may deliver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the loop filter 150. The second charge /

루프 필터(150)는,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에 따라 충/방전되며,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로 전달한다. The loop filter 150 is charged /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and transfers the second control voltage to the voltage adjustment oscillator 160.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는, 루프 필터(150)로부터 수신된 제 2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M 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한다.
The voltage adjustment oscillator 160 restores the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voltage received from the loop filter 150.

제 2 루프(200)에서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위상 검출기(22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검출기(220)가 full rate 위상 검출기인 경우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같고, 위상 검출기(220)가 half rate 위상 검출기인 경우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의 반과 같다.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n the second loop 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hase detector 220. [ For example, if the phase detector 220 is a full rate phase detector,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equal to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if the phase detector 220 is a half rate phase detector, Equal to hal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input signal.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가,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의 배수일 경우, 제 2 루프(200)에 포함된 위상 검출기(220)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 차이는 검출하지 못하고, 디지털 입력 신호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만을 검출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a multiple o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the phase detector 220 included in the second loop 200 detects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detects only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recovered clock.

따라서, 제 2 루프(200)에서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사용된 위상 검출기(220)에 의하여 하나의 값으로만 결정되지 않고, 그 배수가 될 수도 있다. Thus, the frequency of the clock recovered in the second loop 200 may not be determined solely by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phase detector 220 used, but may be a multiple thereof.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제 1 분주기(112)의 분주 비율을 M배 키우거나, 제 2 분주기(114)의 분주 비율을 1/M배로 낮춤으로써,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가,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가 되도록 하는, 일종의 하모닉 락 현상을 이용한다.
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frequency division ratio of the first frequency divider 112 by M times or decreasing the frequency division ratio of the second frequency divider 114 by 1 / M times, , A frequency of M tim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is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루프 선택부(300)는, 주파수 고정 여부를 검출하고 주파수 고정 여부를 기반으로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하기 위한 루프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락 검출기(340) 및 상기 주파수 락 검출기(340)로부터 수신되는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하는 다중화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 selector 300 detects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and generates a loop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based on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or not And a multiplexer 140 for selecting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and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

주파수 락 검출기(340)는, 복원된 클럭과 기준 클럭의 주파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 1 루프(100) 또는 제 2 루프(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락 검출기(340)로 입력되는 클럭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되는 분주 비율에 따라 분주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락 검출기(340)는, 제 1 분주기(112)에 의하여 M 분주된 기준 클럭 및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로부터 수신되는 복원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주파수 락 검출기(340)는, 기준 클럭(제 1 분주기(112)에 의하여 분주되지 않은 신호) 및 제 2 분주기(114)에 의하여 1/M 분주된 복원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may compare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and the reference clock, and may select the first loop 100 or the second loop 20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clocks input to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may be divided according to a variable division ratio. For example,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may detect a frequency lock by inputting a reference clock divided by M by the first divider 112 and a restored clock received from the voltage adjustment oscillator 160 . Alternatively, the frequency lock detector 340 receives the reference clock (the signal not divided by the first divider 112) and the restored clock divided by 1 / M by the second divider 114, Or no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복원부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한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 복원 시에, 상기 M배 복원된 클럭을 1/M 분주할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ock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ores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M tim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Therefore, at the time of digital data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clock recovered by M times by 1 / M.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원부(400)는, 클럭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고, 1/M 분주된 클럭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복원부(400)는, 클럭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는 제 3 분주기(410) 및 상기 1/M 분주된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 회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복원 회로(420)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복원 회로(420)는, 디플립플롭(D flip-flop)으로 구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ata recovery unit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estored clock received from the clock recovery unit 1 / M and restores the digital data using the 1 / M frequency-divided clock. The data restoring unit 400 includes a third divider 410 for dividing the restored clock received from the clock recovery unit 1 / M and a data restoring circuit 410 for restoring data using the 1 / (420). The data restoration circuit 42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the data restoration circuit 420 may be implemented as a D flip-flop.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주 비율 M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분주 비율 M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분주 비율 M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분주기(112, 114, 410)를 제어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감소할수록 분주 비율 M을 증가시키고,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증가할수록 분주 비율 M을 감소시킬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division ratio M based on a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That is, if a digital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may measur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determine the division ratio M based on the measured transmission rate. Then, the first to third frequency dividers 112, 114, and 410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vision ratio M so that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M times the digital input signal can be restor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division ratio M a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decreases, and decreases the division ratio M a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increases.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 대역 특성을 갖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having a wide band characteristic.

예를 들어,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160)의 특성상, 복원할 수 있는 클럭의 주파수 범위가 1GHz~4GHz라 가정하자. 그리고, 위상 검출기(220)가 full rat 위상 검출기라 가정하면, 분주 비율 M=1 일 때,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할 수 있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 범위는 1Gbps~4Gbps이다. For examp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160, it is assumed that the frequency range of the recoverable clock is 1 GHz to 4 GHz. Assuming that the phase detector 220 is a full rat phase detector, the transmission speed rang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vered by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when the division ratio M = 1 is 1 Gbps to 4 Gbps.

만약, 제 1 분주기(112)의 분주 비율을 4로하고(또는 제 2 분주기(114)의 분주 비율을 1/4로 하고), 제 3 분주기(410)의 분주 비율을 1/4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 가능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 범위는 250Mbps~1Gbps가 된다. If the division ratio of the first divider 112 is set to 4 (or the division ratio of the second divider 114 is set to 1/4) and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der 410 is set to 1/4 .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peed range of the recoverable digital input signal in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50 Mbps to 1 Gbps.

만약, 제 1 분주기(112)의 분주 비율을 16으로하고(또는 제 2 분주기(114)의 분주 비율을 1/16으로 하고), 제 3 분주기(410)의 분주 비율을 1/16으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복원 가능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 범위는 62.5Mbps~250Mbps가 된다. If the division ratio of the first divider 112 is 16 (or the dividing ratio of the second divider 114 is 1/16) and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der 410 is 1/16 .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peed range of the recoverable digital input signal in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62.5 Mbps to 250 Mbps.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는, 분주 비율 M을 조절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광범위하게 커버할 수 있다.
That is,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ver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widely by adjusting the division ratio M.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기(220)에서의 입/출력 신호들을 기준으로 데이터 복원 결과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data restoration result based on input / output signals in the phase detecto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기(220)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위상 검출기(220)에서의 입/출력 신호들과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와의 관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ase detecto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input / output signals in the phase detector 220 and recovered digital data. to be.

도 2에는, 일 실시 예로서, full rate 위상 검출기를 도시하였다. 위상 검출기(220)는, 인버터(222), 제 1 디플립플롭(224a), 제 2 디플립플롭(224b), 제 1 XOR 회로(226a) 및 제 2 XOR 회로(226b)를 포함할 수 있다. In Figure 2, as an example, a full rate phase detector is shown. The phase detector 220 may include an inverter 222, a first D flip flop 224a, a second D flip flop 224b, a first XOR circuit 226a and a second XOR circuit 226b .

이러한 구성에서, 분주 비율 M이 1로 설정된 경우의 다이어그램을 도 3의 (a)에 도시하였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와,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가 같고,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가 제대로 복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a diagram when the division ratio M is set to 1 is shown in Fig. 3 (a). Referring to FIG. 3A,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are the same, and the digital data is correctly restored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한편, 분주 비율 M이 2로 설정된 경우, 즉 제 3 분주기의 분주 비율이 1/2인 경우의 다이어그램을 도 3의 (b)에 도시하였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비하여 2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되지만, 디지털 데이터가 제대로 복원된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3 (b) shows a diagram when the division ratio M is set to 2, that is, when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sion is 1/2. Referring to FIG. 3 (b), the clock having a frequency twice as high as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is restored, but the digital data is restored properly.

다만, 제 2 업 신호 및 제 2 다운 신호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위상 검출기(220)의 이득이 1/2로 줄어들기 때문에, 이득을 보상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득 보상을 위한 종래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 전하 펌프(230)의 이득을 2배 증가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제어부는 분주 비율 결정 시에 그에 비례하도록 제 2 전하 펌프(230)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second up signal and the second down signal, since the gain of the phase detector 220 is reduced to 1/2,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the gain. To this end,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for gain compensation can be applied. As an example, a method of doubling the gain of the second charge pump 230 may be appli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gain of the second charge pump 230 in proportion to the division ratio.

한편, 분주 비율 M이 4로 설정된 경우, 즉 제 3 분주기의 분주 비율이 1/4인 경우의 다이어그램을 도 3의 (c)에 도시하였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비하여 4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되지만, 디지털 데이터가 제대로 복원된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3 (c) shows a diagram when the division ratio M is set to 4, that is, when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sion is 1/4. Referring to (c) of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clock having a frequency four times that of the received digital input signal is restored but the digital data is restored properly.

다만,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2 업 신호 및 제 2 다운 신호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위상 검출기(220)의 이득이 1/4로 줄어들기 때문에, 이득을 보상해줄 필요가 있다.
However, as is apparent from the second up signal and the second down signal, since the gain of the phase detector 220 is reduced to 1/4,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the ga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원된 클럭 및 디지털 데이터의 측정 파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measured waveforms of recovered clock and digit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분주 비율 M이 1로 설정된 경우, 즉 제 3 분주기의 분주 비율이 1인 경우에 측정된 파형을 도시하였다. 사용된 위상 검출기는 full rate 위상 검출기라 가정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1GHz이고,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Gbps로서, 복원이 제대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a) shows the measured waveform when the division ratio M is set to 1, that is, when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der is 1. The used phase detector is assumed to be a full rate phase detector. Referring to FIG. 4A,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1 GHz, and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restored digital data is 1 Gbps, indicating that the restoration has been properly performed.

도 4의 (b)는, 분주 비율 M이 2로 설정된 경우, 즉 제 3 분주기(410)의 분주 비율이 1/2인 경우에 측정된 파형을 도시하였다. 사용된 위상 검출기는 full rate 위상 검출기라 가정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는 1GHz이고,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500Mbps로서, 복원이 제대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b) shows the measured waveform when the division ratio M is set to 2, that is, when the division ratio of the third divider 410 is 1/2. The used phase detector is assumed to be a full rate phase detector. Referring to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of the recovered clock is 1 GHz, and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recovered digital data is 500 Mbp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ock and data resto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501)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503)로 진행한다. In step 501,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proceeds to step 503 when a digital input signal is received.

단계(503)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분주 비율 M을 결정한 후, 단계(505)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주 비율 M은,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이 복원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주 비율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In step 503,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determines the division ratio M based on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n proceeds to step 505. [ As described above, the division ratio M can be determined so that a clock having a frequency M times as large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is restored. In one embodiment, the division ratio M may be a natural number.

단계(505)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기준 클럭 및 피드백 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정된 분주 비율 M에 따라 분주한다. In step 505,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divides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clock and the feedback cloc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vision ratio M.

단계(507)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기준 클럭 및 피드백 클럭 중 적어도 하나가 분주된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기준 클럭을 M 분주하거나, 피드백 클럭을 1/M 분주하고, 이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할 수 있다. In step 507,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fixes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clock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clock and the feedback clock is divided. For example,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can divide the reference clock by M, or divide the feedback clock by 1 / M, and fix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the frequency difference therebetween.

단계(509)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와 피드백 클럭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의 제 2 루프(200)는, 주파수 차이는 검출하지 않고, 위상 차이만을 검출하다. 즉,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일종의 하모닉 락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할 수 있다. In step 509,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restores a clock having a frequency M times as high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feedback clock.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oop 200 of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detects only the phase difference without detecting the frequency difference. That is,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can recover the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by using a kind of harmonic lock phenomenon.

단계(511)에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는,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한다. In step 511, the clock and data recovery apparatus divides the restored clock by 1 / M to restore the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상기 단계(501) 내지 단계(511)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steps (501) to (511) may be omitted, and two or more step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at different times.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ny of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using various operating systems or platforms. Additionally, such software may be written using any of a number of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s, and may also be compiled into machine code or intermediate code executable in a framework or virtual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Also, whe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on one or more processors, one or more programs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ussed above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e.g., memory, A floppy disk, a hard disk, a compact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ic tape, or the like).

Claims (18)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복원부; 및
상기 클럭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An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A cloc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clock having a frequency of M tim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using a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peed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A data restoring unit for dividing the restored clock received from the clock recovery unit by 1 / M and restoring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복원부는,
기준 클럭 및 피드백 클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주 비율에 따라 분주된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제 1 루프; 및
상기 제 1 루프와 피드백 라인을 공유하며,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와 상기 피드백 클럭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제 2 루프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recovery un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ference clock and a feedback clock fixing a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a frequency difference of clocks divided according to the division ratio; And
A second loop sharing a feedback loop with the first loop and restoring a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based on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feedback clock;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고정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루프를 선택하는 루프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oop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first or second loop based on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or not,
Wherein the clock and data recovery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선택부는,
상기 주파수 고정 여부를 검출하고 주파수 고정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루프를 선택하기 위한 루프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락 검출기; 및
상기 루프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루프를 선택하는 다중화기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A frequency lock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and generating a loop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or second loop based on whether the frequency is fixed;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ng the first or second loop according to the loop selection signal,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선택부는,
상기 주파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루프를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2 루프를 선택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Selects the first loop when the frequency fixing is not performed, and selects the second loop when the frequency fixing is performed
Clock and data recovery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루프는,
상기 기준 클럭을 M 분주하는 제 1 분주기 및 상기 피드백 클럭을 1/M 분주하는 제 2 분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oop comprises:
A first divider that divides the reference clock by M and a second divider that divides the feedback clock by 1 / M
Clock and data recovery equip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복원된 클럭을 1/M 분주하는 제 3 분주기; 및
상기 1/M 분주된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 회로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A third frequency divider for dividing the recovered clock by 1 / M; And
A data restoring circuit for restoring data using the 1 / M divided clock;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 회로는,
디플립플롭(D flip-flop)으로 구현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8. The data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claim 7,
It is implemented as a D flip-flop.
Clock and data recovery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루프는,
입력되는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여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위상 검출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전하 펌프;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를 전달하는 다중화기;
상기 제 1 충/방전 전류 신호에 따라 충/방전되며 제 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 1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고정된 피드백 클럭을 생성하는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oop comprises:
A frequency-phase detector for detecting a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input clocks and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 first charge pump generating a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A multiplexer for transferr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based on a loop selection signal;
A loop filter charged / discharged according to the first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 first control voltage; And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the frequency-locked feedback clock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voltage;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루프는,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및 상기 M배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여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출기;
상기 제 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전하 펌프;
상기 루프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를 전달하는 다중화기;
상기 제 2 충/방전 전류 신호에 따라 충/방전되며 제 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 2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M 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전압 조정 오실레이터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loop comprises:
A phase detector for detec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M times recovered clock and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 second charge pump for generating a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A multiplexer for transferring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based on the loop selection signal;
A loop filter charged /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 second control voltage; And
A voltage regulating oscillator for recovering a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voltage;
And a clock and data recovery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펌프의 이득은,
상기 M에 비례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gain of the second charge pump
M is proportional to M
Clock and data recovery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주 비율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division ratio based on a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Wherein the clock and data recovery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감소할수록 상기 M이 증가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decreases, the M increases
Clock and data recovery equipment.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분주 비율 M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클럭을 1/M 분주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CLAIMS 1. A method for recovering a clock and data from a digital input signal,
Restoring a clock having a frequency M times as high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input signal using a division ratio M that varie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peed of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Dividing the recovered clock by 1 / M and restoring data from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a clock sig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는,
기준 클럭 및 피드백 클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주 비율에 따라 분주된 클럭들의 주파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와 상기 피드백 클럭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M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restoring the clock comprises:
Fixing a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based on a frequency difference of at least one of a reference clock and a feedback clock divided by the frequency division ratio; And
And restoring a clock having the M times frequency based on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nput signal and the feedback clock
And a clock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클럭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클럭을 M 분주하거나 상기 피드백 클럭을 1/M 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fixing the frequency of the feedback clock comprises:
Dividing the reference clock by M or dividing the feedback clock by 1 / M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주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Determining the division ratio based on a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가 감소할수록 상기 M이 증가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igital input signal decreases, the M increases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s.
KR1020140008524A 2014-01-23 2014-01-23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ctive KR101576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24A KR101576649B1 (en) 2014-01-23 2014-01-23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24A KR101576649B1 (en) 2014-01-23 2014-01-23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114A true KR20150088114A (en) 2015-07-31
KR101576649B1 KR101576649B1 (en) 2015-12-10

Family

ID=5387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524A Active KR101576649B1 (en) 2014-01-23 2014-01-23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649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31B1 (en) 2003-06-18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Clock and data recovery device capable of responding to variable data 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649B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0265B (en) Delay-locked loop system and related method
US7679454B2 (en) Hybrid phase-locked loop
US6919744B2 (en) Spectrum profile control for a PLL and the like
US8090064B2 (en) Single loop frequency and phase detection
US8638147B2 (en) Clock generato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4153637A (en) Clock generator
CN106341127B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that video clock restores
US7417477B2 (en) PLL circuit
JP2008028628A (en) Electric circuit, and testing device
JP2002290218A (en) Semiconductor device
JP5732163B2 (en) Phase-locked loop device with controlled transition to random noise mode of operation
US8035451B2 (en) On-the-fly frequency switching while maintaining phase and frequency lock
WO2012088625A1 (en) Phase-frequency detection method
US10218367B2 (en) Frequency synthesizing device and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thereof
JP2008263508A (e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US6526374B1 (en) Fractional PLL employing a phase-selection feedback counter
US20110310942A1 (en) Highly flexible fractional n frequency synthesizer
CN105990898B (en) A kind of parallel uninterrupted power source system, phase-lock technique and device
JP5433432B2 (en) Phase frequency comparator and serial transmission device
JP4971861B2 (e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KR101576649B1 (en)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9461811B1 (e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nd clock and data recovery method
JP2009014363A (en)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KR101430796B1 (en) Phase-frequency decector proving frequency multiplying, phase locked loop comprising the phase-frequency decector, and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comprising the phase-frequency decector
KR101697309B1 (en) Delay lock loop circuit for wide band anti-harmonic lock and pdelay lock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