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919A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7919A KR20150087919A KR1020140008119A KR20140008119A KR20150087919A KR 20150087919 A KR20150087919 A KR 20150087919A KR 1020140008119 A KR1020140008119 A KR 1020140008119A KR 20140008119 A KR20140008119 A KR 20140008119A KR 20150087919 A KR20150087919 A KR 20150087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coffee
- control module
- water
- co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식 방법으로 커피를 내려 주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내컵과 외컵을 각각 보관하고, 요청시 외컵 위로 안착되어 있는 내컵이 내리눌러 지면서 하부에 있는 외컵을 자전하여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상태로 서비스되도록 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다수의 사람들에게 드립식 커피를 서비스하는 한편, 관리자들이 자주 외컵과 내컵를 채워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립식 방법으로 커피를 내려 먹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영역에 드립퍼에 해당하는 내컵과 일회용 컵에 해당하는 외컵을 적층보관하고, 요청시 각각의 적층보관되어 있는 내컵과 외컵을 1개씩 분리 조합하여 결합된 상태로 서비스하는 한편, 서비스된 내컵 위로 요청시마다 원두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커피분말과 드립을 위한 1차로 분무되어지는 물을 내려주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드립과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드립식 커피를 서비스하고, 더불어 관리자들이 자주 일회용 컵과 드립퍼를 채워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내려먹는 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원두를 마시기 직전에 분쇄하여 분쇄된 커피를 여과지에 담고 드립용 주전자로 뜨거운 물로 부어 내려 먹는 드립식 방법이고, 두 번째는 고온ㆍ고압 하에서 곱게 간 커피 가루에 물을 가하여 추출해 먹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게 되는데, 먼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한 방법은 에스프레소 머신에 원두의 가루를 넣고, 고온 고압의 물을 가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여 서비스하는 것으로,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커피를 내릴 수 있어 일반 대형 커피 전문점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일회용 자동판매기를 만들 때에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상기 일회용 컵에 추출된 원액과 시럽/크림 혹은 물 등을 주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일회용 자동판매기를 구현할 수 있으나, 커피 원액을 추출하면서 남겨진 찌거기가 자동판매기 내에 남겨져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겨진 찌꺼기를 별도로 처리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이렇게 남겨진 찌꺼기들은 습하기 때문에 세균들이 번식하기 용이하고 설치된 자동판매기 역시 실외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반면에, 드립식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드립용 주전자의 거위 목을 따라 최대한 공기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드립퍼 위로 천천히 내려 주게 되면, 물이 드립퍼 안쪽의 커피가루와 여과지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럽게 걸려진(씻겨진) 음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내려주는 물의 온도나 속도 혹은 몇 번째 걸려진 음료냐에 따라 맛이 달라지기게 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드립식 방법은 맛있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들이 물을 내려주는 속도나 온도 등을 컨트롤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는 방법이고, 이러한 것을 자동판매기를 구현할 때에는 서비스되는 일회용 컵에 드립퍼를 결합시켜 일체된 상태로 서비스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분리되어 있는 외컵과 내컵을 결합시켜 주기 위한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자동판매기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과 드립퍼를 안쪽에 보관하고, 이를 서비스하도록 할 때에는, 자동판매기의 내공간 안쪽에 상기 드립퍼와 일회용 컵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량을 적재할 수 없어 고가로 소량으로만 공급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특히 관리자들은 자주 일회용 컵과 드립퍼를 자동 판매기 안쪽에 채워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을 내려 줄 때에는 자연스럽게 그 직전에 원두가 분쇄된 상태에서 커피가루와 여과지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시간이 요구되게 되어 서비스할 때 많은 시간이 걸려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기 안쪽의 내적공간에 각각의 영역으로 나눈 상태에서 드립퍼에 해당하는 내컵과 일회용 컵에 해당하는 외컵을 적층하고, 요청시 각각의 영역에 적층되어 있는 내컵과 외컵을 조합하여 결합된 상태로 서비스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된 내컵은 내입부 안쪽으로 그 직전에 원두를 갈아 분쇄되어진 커피 분말과 내려진 물이 적재된 상태로 서비스되도록 하여, 일회용 컵이 서비스된 후에 별도로 물이 여과지를 통과하여 걸려지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연결된 각각의 장치를 구동시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배출로를 따라 외컵을 하나씩 배출토록 하는 한편, 다수개의 외컵을 일렬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는 외컵 디스펜서와, 상기 외컵 디스펜서를 통해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는 외컵이 배출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혹은 외컵이 배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외컵 위에 내컵을 배출하는 한편 상기 내컵을 일렬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내컵 디스펜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되어 조립된 상태로 서비스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서비스된 내컵 안쪽의 수용부로 보관하고 있던 설정된 양 만큼의 원두를 갈아줘서 분쇄된 커피 분말을 투입하는 원료박스와,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내컵 안쪽의 수용부로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1,2차에 걸쳐서 주입하는 물탱크와, 상기 내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또는 알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의하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외컵을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외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대에 놓여진 외컵에, 커피 머신 내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내컵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는 내컵을 하강시켜 분쇄된 원두 커피 분말과 가열된 물을 주입하여 서비스 되도록 지시하는 제어모듈;
상기 외컵 디스펜서에서 인출한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거나, 또는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탑재대에 놓여진 외컵 상에 내컵을 커피 머신 내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내컵 디스펜서로부터 배출하는 한편 상기 내컵을 일렬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내컵 디스펜서;
상기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각각 보관하고 있던 설정된 양만큼의 원두를 보관하고 직전에 분쇄하여 투입하는 원료박스;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주입하는 물탱크; 및
상기 내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또는 알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먼저,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고,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외컵을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제어모듈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은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음료버튼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를 구동시켜 서비스되고 있는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된 외컵에, 커피 머신의 내컵 디스펜서를 구동시켜 이미 탑재대에 탑재되어 있 외컵 상에 낙하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센서를 통해 배출된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혹은 내컵 배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원료박스와 물탱크를 구동시켜 지정된 양만큼의 원두 커피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분말과 물을 내컵 위로 주입토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탱크와 원료박스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양만큼의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은 물이 주입된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ED 또는 알람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요청한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는 온수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내컵을 통과하면서 드립되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의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의하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이중컵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대에 놓여진 이중컵에 분쇄된 원두 커피 분말과 가열된 물을 주입하여 서비스 되도록 지시하는 제어모듈;
상기 이중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각각 보관하고 있던 설정된 양만큼의 원두를 보관하고 직전에 분쇄하여 투입하는 원료박스;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주입하는 물탱크; 및
상기 이중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또는 알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의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먼저,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고,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이중컵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제어모듈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은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음료버튼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를 구동시켜 서비스되고 있는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센서를 통해 탑재대에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혹은 이중컵이 탑재된 후 대기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원료박스와 물탱크를 구동시켜 지정된 양만큼의 원두 커피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분말과 물을 내컵 위로 주입토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탱크와 원료박스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양만큼의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은 물이 주입된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ED 또는 알람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요청한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온수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내컵을 통과하면서 드립되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내컵과 외컵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가, 구매자가 요청할 때 상기 외컵과 내컵을 결합시켜 제공함으로써, 많은 량을 보관하고 있다가 구매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고, 특히 관리자들이 자주 일회용 컵과 드립퍼를 채워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드립퍼외 일회용 컵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어 구매자에게 서비스되고, 특히 컵이 서비스된 후에 별도로 물이 여과지를 통과하여 걸려지는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손님들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두를 직전에 갈아 투입함으로서 장시간 보관시에도 맛을 유지함음 물론 보관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립식 커피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의 구동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통해 노출된 드립식 커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통해 노출된 드립식 커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내컵 디스펜서만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제3 실시예의 구성도.
도 13은 내컵과 외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외부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할 때의 실시예 4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립식 커피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의 구동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통해 노출된 드립식 커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통해 노출된 드립식 커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내컵 디스펜서만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제3 실시예의 구성도.
도 13은 내컵과 외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외부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할 때의 실시예 4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판기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드립식 자동 커피판매기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각각 따로 따로 배출된 외컵과 내컵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직전에 원두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커피 분말과 커피분말에 가열된 물을 1차로 분무형태로 주입한후 2차로 주입하여 서비스 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배출로를 따라 외컵을 하나씩 배출토록 하는 한편, 다수개의 외컵을 일렬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는 외컵 디스펜서와,
평상시 내컵을 일렬로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외컵 디스펜서를 통해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는 외컵이 배출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혹은 센서를 통해 상기 외컵이 배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외컵 위로 내컵을 배출하여 안착토록 하는 내컵 디스펜서와,
구동부에 의해 내컵과 외컵이 결합된 상태로 배출구 밖으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내컵 안쪽의 수용부로 각각 서로 따로 따로 보관하고 있다가 설정된 양 만큼의 원두를 투입하여 분쇄하여 커피 분말와한 것을 투입하는 원료박스와,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직전에 분쇄된 커피 분말이 투입된 내컵 안쪽의 수용부로 1,2차에 걸쳐서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주입하는 물탱크와,
상기 내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및 알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배출된 외컵과 내컵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외컵은 상부가 외측으로 말려져 외곽태를 형성하고 있고, 내컵은 상기 외컵 위로는 안착되게 되는데, 이때 내컵은 하부에 위치해 있는 여과지를 중심으로 상부는 오픈되어 있고, 안쪽으로는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수용부와, 외컵 안쪽으로 내입되며 상기 수용부와 층을 이루는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컵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내컵의 내입부가 외컵 안쪽으로 내입되게 될 때, 외컵의 상단과 테두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결합부 안쪽으로는 수용부 또는 내입부가 외측으로 획장되면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 안쪽으로 외컵이 끼워지게 될 때 외곽테가 고정편에 의해 눌려져 텐션을 먹으면서 들어가 안쪽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편은 실시예에 따라 내입부와 수용부가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진 층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층을 이루는 턱직 부분에 의해 외컵의 테두리가 눌려지면서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내컵 디스펜서와 외컵 디스펜서는 각각 서로 다른 배출로를 통해 내컵과 외컵이 각각 배출되어 상기 외컵 위로 내컵을 안착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일측은 각각 내컵 디스펜서와 외컵 디스펜서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컵홀더 위로 내려진 Y자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배출구멍을 통해 컵홀더 위로 외컵과 내컵을 순차적으로 내려 안착시켜 줄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내컵 디스펜서와 외컵 디스펜서는 다수개 형성되어 많은 수의 외컵과 내컵을 적재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원료 박스는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수용하고 있는 커피 원두를 직전에 분쇄하여 내컵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칸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된 칸중 어느 한 칸에 로스팅된 원두를 수용한 상태에서 음료버튼 동작시 상기 원두가 분쇄기에 의해 갈려지면서 커피 분말을 내컵 위로 공급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나 분쇄된 커피분말을 직접투입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드립용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원료박스는 커피 분말로 사용할 경우에는 습기를 먹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제안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혹은 설정된 양 만큼 원두를 분쇄하여 구획된 칸에 수용하고 이때 분쇄된 커피 분말의 일부를 지정된 양만큼 배출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배출되는 커피 분말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호스를 따라 내컵 위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주입호스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와 원료박스 사이에는, 커피 분말 배출시 주입호스를 진동토록 하여 내부에 뭉쳐져 있는 커피 분말을 털어 배출토록 하는 진동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함으로서 장시간에 걸쳐서도 커피의 투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진동부는 회전축에 원판이 편심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원판이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회전반경 안쪽에 있는 주입호스의 일측을 건드려 진동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부의 회전축은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을 감싸는 함체에 상판과 하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공간에 노출된 회전축에 편심체가 끼워져 회전하면서 고정구에 끼워져 있는 주입호스를 진동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과 하판은 실시예에 따라 일측 벽면에서부터 연장되어 회전축이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의 고정구는 상판 또는 하판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내입 홈으로, 테두리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커피분말 및 원료와 주입된 물을 주입하는 호스를 각각의 홈에 끼워 고정되어 있도록 하여 편심체가 홈에 끼워져 있는 다수개의 호스를 동시에 진동토록 하여 털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된 상태로 서비스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외컵을 잡아주는 컵홀더와, 상기 내컵과 외컵을 서로 밀착시켜 주는 누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컵홀더는 실시예에 따라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원판은 회전축에 끼워져 일체로 움직이며, 외곽 테두리에 안쪽으로 내입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어, 배출로를 따라 이송되어져 온 외컵이 상기 수용부 안쪽에 수용되어 물려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컵 홀더의 수용부 안쪽으로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가 일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 안쪽에 있는 외컵이 상기 회전롤러들에 의해 물려져 있어, 자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고 있는 함체에는, 메인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수용부의 회전롤러는 상기 메인롤러와 맞닿아 있거나 혹은 밸트로 연결되어 있어, 함체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이 회전하게 될 때 수용부 안쪽에 있는 회전롤러 역시 회전하면서 수용부 안쪽에 있는 외컵을 자전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컵홀더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컵홀더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외컵을 자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누름판은 일측이 절개되어 있거나 혹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별도의 또 다른 회전축에 끼워져 회전하면서 외컵 위에 안착되어 있는 내컵을 눌러줘, 상기 외컵과 내컵이 결합될 때 외컵과 내컵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누름판의 날개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높이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측 벽면에 고정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누름판이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외컵이 지정된 위치에 왔을 때 내컵 상부를 내리눌러 주도록 하여 외컵과 내컵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구동부는, 내컵과 외컵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컵을 눌러 주면서 내컵와 외컵을 서로 회전결합되도록 하여 분리되어 있는 외컵과 내컵을 용이하게 결합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부는 실시예에 따라 원판의 컵홀더 아래로 외컵을 수용하면서 받쳐줄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 바닥면에는 절개된 구멍을 중심으로 안쪽에 내측롤러와 외측롤러가 축 결합되어 회전롤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회전축의 일부를 밖으로 노출시킨 함체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로러와,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롤러의 외측롤러가 서로 맞닿아 있도록 하거나 혹은 밸트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함체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이 회전할 때 컵홀더가 공전하면서 수용부 안쪽에 있는 외컵은 자전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외컵과 내컵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절개된 구멍을 통해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 밖으로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내컵 위로 원료박스가 보관하고 있는 커피 분말과 원료, 그리고 물을 순차적으로 주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구로 직접 내컵과 외컵이 순차적으로 내려와 홀딩된 상태에서 적층되도록 할 수 있고, 적층된 상기 내컵 위로 커피 분말과 원료, 그리고 물을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서비스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상부의 상부는 오픈되어 있고, 팬이 동작할 때 오픈된 구멍을 통해 통기구를 따라 외부로 뜨거운 김을 배출토록 한다. 이때의 통기구는 히팅된 물을 내컵 위로 주입하면서 뜨거운 김이 내컵 상부에 위치해 있는 주입 호스 안쪽으로 들어가 내벽에 물기가 생기면서 커피 분말이나 원료가 습기를 머금고 뭉쳐지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통기구를 따라 뜨거운 김을 외부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커피 분말과 원료들이 완전히 내컵 위로 내려지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제어모듈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외컵 디스펜스를 구동시켜 배출토록 한다. 그리고 이때 배출된 외컵이 컵홀더에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혹은 배출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되면, 내컵 디스펜서를 구동시켜 적층되어 있는 내컵을 외컵 위로 배출하여 안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모듈은 센서를 통해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지정된 대기시간이 경과 하게 되면,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컵과 내컵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지시하면서 배출구 밖으로 결합된 외컵과 내컵을 노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배출구 밖으로 노출된 상기 내컵 위로 직전에 원두가 분쇄된 커피분말과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컵과 외컵이 각각 보관하고 있다가 구매자가 요청할 때 상기 적층하여 놓은 외컵과 내컵을 내려 결합된 상태로 서비스할 수 있음에 따라, 많은 량을 구매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고, 특히 이로 인해 관리자들이 자주 일회용 컵과 드립퍼를 채워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드립퍼외 일회용 컵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시켜 구매자에게 서비스되고, 특히 커피 분말을 완전히 내려 서비스할 수 있는 한편, 서비스된 후에 별도로 물이 여과지를 통과하여 걸려지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여, 다수의 커피 잔을 내릴 때 걸리는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판매기는 동전감지부를 통해 설정된 양 이상의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었다는 사실을 제어모듈로 보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음료버튼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를 구동시켜 서비스되고 있는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외컵 디스펜서를 구동시켜 적층되어 있는 외컵을 배출토록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외컵 디스펜스가 하나의 외컵을 컵홀더로 배출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센서를 통해 배출된 외컵이 컵홀더에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설정된 대기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내컵 디스펜서를 구동시켜 상기 외컵 위로 내컵을 배출토록 지시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내컵 디스펜서가 적층되어 있는 다수개의 내컵 중 하나의 내컵을 외컵 위로 배출토록 한다.
이때, 제어모듈은 실시예에 따라 센서를 통해 배출된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거나 혹은 지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구동부를 구동시켜 외컵과 내컵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결합 되도록 컨트롤한다..
*그리고, 상기 외컵과 내컵이 배구출 밖으로 배출되어 있다면, 싱기 제어모듈은 노출된 외컵과 내컵을 확인하고, 혹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원료박스와 물탱크를 구동시켜 지정된 양만큼의 직전에 원두가 분쇄된 커피 분말과 물을 주입토록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혹은 원료박스가 지정된 양만큼의 원료와 물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진동부를 구동시켜 커피 분말 및 물탱크의 주입호스를 진동시켜 잔존하는 물과 커피 분말 혹은 원료를 내컵 위로 털어내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진동부가 동작한 후 설정된 시간이 되면 LED 또는 알람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요청한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되었음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커피분말 및 물을 주입할 때, 내컵 위로 분무의 형태로 1차로 소량의 물을 주입하여 여과지를 적시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내컵 위로 커피 분말과 원료 주입토록 컨트롤한다.
그리고 다시 지정된 량 만큼의 물을 내컵 위로 주입토록 함으로서 드립시 씩겨내림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입되는 물은 부무의 형태로 한번에 미량으로 주입될 수도 있으나 설정된 시간과 설정된 양 만큼의 물이 시간의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주입되는 것이 완전한 드립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때 주입되어진 커피 분말은, 원료박스 안쪽에 로스팅된 원두를 수용하고 있다가 분쇄기에 의해 갈려져 지면서 내컵 위로 배출된 것이다.
즉 커피원두를 보관하는 원료박스와 그 밑에 그라인더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토출버튼을 누르면 먼저 외컵-내컵 순으로 토출이 되고 이 후에 원료박스에서 하단으로 공급된 커피원두를 그 하단에 위치한 그라인더에서 커피 원두를 분쇄하고, 분쇄된 분말상태의 원두커피가 주입호스를 통과해 내컵에 떨어지게 되고, 그후 온수가 공급된 후 토출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컵과 외컵이 각각 보관하고 있다가 구매자가 요청할 때 상기 외컵과 내컵을 결합시켜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에 많은 양을 구매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이로 인해 관리자들이 번거롭게 자주 외컵과 내컵을 채워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진동부를 통해 주입호스 안쪽에 뭉쳐 있는 커피 분말을 완전히 내려 줄 수 있게 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실시예 3]
그러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달리, 도 11에서와 같이, 내컵만이 커피 머신의 디스펜서로부터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외컵은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디스펜서에서 인출하는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즉, 음용자는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외컵 디스펜서에서 외컵을 손으로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면, 센서가 외컵의 탑재 상태를 인식하여, 다음 수순 즉 내컵 디스펜서로부터 필터컵인 내컵을 배출시키도록 하여, 외컵 상에 수납되도록 하고, 이어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내컵에 적재되고, 이어서 커피 머신으로부터 온수가 배출되어 드립이 행해지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실시예 4]
그러나, 실시예 1 및 실시예 2과는 달리, 도 13에서와 같이, 내컵 및 외컵, 또는 내컵이 각각의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이 아닌 구성도 가능하다. 즉,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내컵과 외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디스펜서에 적층해 두고, 음용자는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이중컵 디스펜서에서 이중컵을 손으로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면, 센서가 이중컵의 탑재 상태를 인식하여, 그라인딩된 원두가 내컵에 적재되도록 하고, 이어서 커피 머신으로부터 온수가 배출되어 드립이 행해지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을 수 있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컵의 분리사시도이다.
[실시예 5]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있어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내컵에 배출된 후에 커피 머신으로부터 온수가 배출되어 드립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온수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드립되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외컵 1a:외곽테
2:내컵 2a:여과지
2b:수용부 2c:내입부
2d:결합부 10:동전감지부
20:제어모듈 30:음료버튼
40:외컵 디스펜서 50:내컵 디스펜서
60,160:구동부 61,161:회전축
61a,161a:함체 61b,161b:메인롤러
62,162:컵홀더 62a,162a:수용부
62b,162b:회전롤러 63,163:누름판
64:배출구 64a:절개된 구멍
64b:도어 70:원료박스
71:주입호스
80:물탱크 90:알람
100:LED 110:진동부
111:고정구 112:편심체(원판)
113:회전축 114:상판
115:하판 116:내입홈
120:통기로 121:팬
2:내컵 2a:여과지
2b:수용부 2c:내입부
2d:결합부 10:동전감지부
20:제어모듈 30:음료버튼
40:외컵 디스펜서 50:내컵 디스펜서
60,160:구동부 61,161:회전축
61a,161a:함체 61b,161b:메인롤러
62,162:컵홀더 62a,162a:수용부
62b,162b:회전롤러 63,163:누름판
64:배출구 64a:절개된 구멍
64b:도어 70:원료박스
71:주입호스
80:물탱크 90:알람
100:LED 110:진동부
111:고정구 112:편심체(원판)
113:회전축 114:상판
115:하판 116:내입홈
120:통기로 121:팬
Claims (6)
-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외컵을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외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대에 놓여진 외컵에, 커피 머신 내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내컵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는 내컵을 하강시켜 분쇄된 원두 커피 분말과 가열된 물을 주입하여 서비스 되도록 지시하는 제어모듈;
상기 외컵 디스펜서에서 인출한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거나, 또는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탑재대에 놓여진 외컵 상에 내컵을 커피 머신 내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내컵 디스펜서로부터 배출하는 한편 상기 내컵을 일렬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내컵 디스펜서;
상기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각각 보관하고 있던 설정된 양만큼의 원두를 보관하고 직전에 분쇄하여 투입하는 원료박스;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주입하는 물탱크; 및
상기 내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또는 알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 먼저,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고,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디스펜서로부터 외컵을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외컵이 탑재대에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제어모듈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은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음료버튼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를 구동시켜 서비스되고 있는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된 외컵에, 커피 머신의 내컵 디스펜서를 구동시켜 이미 탑재대에 탑재되어 있 외컵 상에 낙하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센서를 통해 배출된 외컵 위로 내컵이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혹은 내컵 배출 후 설정된 대기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원료박스와 물탱크를 구동시켜 지정된 양만큼의 원두 커피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분말과 물을 내컵 위로 주입토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탱크와 원료박스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양만큼의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은 물이 주입된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ED 또는 알람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요청한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온수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내컵을 통과하면서 드립되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동전감지부;
상기 동전감지부를 통해 보고된 사실을 바탕으로 특정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료버튼이 눌려져 특정 음료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이중컵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미 탑재대에 놓여진 이중컵에 분쇄된 원두 커피 분말과 가열된 물을 주입하여 서비스 되도록 지시하는 제어모듈;
상기 이중컵이 탑재대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각각 보관하고 있던 설정된 양만큼의 원두를 보관하고 직전에 분쇄하여 투입하는 원료박스;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평상시 보관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양 만큼의 가열된 물을 주입하는 물탱크; 및
상기 이중컵 위로 가열된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발광하기 시작하면서 혹은 알람음이 출력되면서 사용자에게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LED 또는 알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 먼저,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고,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이중컵을 커피 머신의 외부 소정 개소에 장착된 이중컵 디스펜서로부터 인출하여 탑재대에 탑재하고, 자동판매기의 동전감지부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고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제어모듈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은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음료버튼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를 구동시켜 서비스되고 있는 음료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센서를 통해 탑재대에 이중컵이 탑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혹은 이중컵이 탑재된 후 대기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원료박스와 물탱크를 구동시켜 지정된 양만큼의 원두 커피를 분쇄하여 투입되는 분말과 물을 내컵 위로 주입토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탱크와 원료박스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양만큼의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은 물이 주입된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ED 또는 알람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요청한 드립식 커피가 서비스됨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온수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내컵을 통과하면서 드립되도록 하여 원두 커피를 얻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119A KR20150087919A (ko) | 2014-01-23 | 2014-01-23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119A KR20150087919A (ko) | 2014-01-23 | 2014-01-23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7919A true KR20150087919A (ko) | 2015-07-31 |
Family
ID=5387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8119A Withdrawn KR20150087919A (ko) | 2014-01-23 | 2014-01-23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7919A (ko) |
-
2014
- 2014-01-23 KR KR1020140008119A patent/KR20150087919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7323398B2 (en) |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handling | |
AU2016203881B2 (en) | Improved Coffee Grinder Apparatus | |
JP5944946B2 (ja) |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CA2819054C (en) |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 |
CN103402407B (zh) | 饮品烹制装置和方法 | |
CN103813740B (zh) | 饮料制备机器 | |
CA2818875C (en) |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 |
NL2006222C2 (en) | A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uch a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ground coffee from said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 |
US11529013B2 (en) | Coffee grinder apparatus | |
CN205392657U (zh) | 冲泡材料磨碎机 | |
CN111655093A (zh) | 具有胶囊识别的饮料制备机器 | |
US20100223946A1 (en) | Device for the dosage of ice cubes | |
KR101407738B1 (ko)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
KR20150087919A (ko) |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 |
JP3900056B2 (ja) |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 |
KR20170074057A (ko) | 휴대용 커피 메이커 | |
TR201810672T4 (tr) | Kahve hazırlamak için otomatik makine. | |
US11406218B2 (en) |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 |
US10893769B2 (en) | Beverage machine material holder | |
WO2015193489A1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 |
JP3931779B2 (ja) | 茶系飲料調理装置 | |
KR20100006426A (ko) | 캡 장착이 가능한 자동판매기 | |
KR20020057913A (ko) | 개별 낱개 포장된 원두커피용 무인 자동판매기 | |
KR20180076600A (ko) | 자동판매기용 원두 콩 캐니스터의 탈부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