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7190A -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190A
KR20150087190A KR1020157009758A KR20157009758A KR20150087190A KR 20150087190 A KR20150087190 A KR 20150087190A KR 1020157009758 A KR1020157009758 A KR 1020157009758A KR 20157009758 A KR20157009758 A KR 20157009758A KR 20150087190 A KR20150087190 A KR 2015008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seat cushion
piece
seat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마바시
요시유키 시모무라
시게야 후지노
마코토 미야바타
도시키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타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타치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타치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8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19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서, 게다가 헤드 레스트의 설치가 용이한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바닥 측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에 마련한 계지편이 차량 바닥 측에 계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쿠션(SC)과, 상기 차량 바닥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정상부에 헤드 레스트(HR)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트 백(SB)을 가지는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로서, 상기 헤드 레스트(HR)의 저면에는, 상기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삽입 가능한 헤드 레스트 부착부(6)를 마련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DOUBLE-FOLDING AUTOMOBILE SEAT WITH HEADREST}
본 발명은, 차량 바닥측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차량 바닥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백을 가지는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로서, 시트 백의 정상부에 헤드 레스트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로서는, 그 일예로서, 일본국 특개2010-269622호 공보(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것이 있고, 이러한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는, 차량 바닥측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차량 바닥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백을 가지고, 이 시트 백의 정상부에는 착탈 가능한 헤드 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시트는, 사용 상태(승원이 착좌 상태)에서는, 시트 백은 차량 바닥에 대해 기립되고, 시트 쿠션은 차량 바닥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며, 한편, 폴드상태에서는, 시트 쿠션은 전단부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반전되고, 시트 백은, 그 정상부로부터 헤드 레스트를 떼어내어, 앞쪽으로 젖혀서 차량 바닥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고, 시트 백 위를 하실(荷室) 공간으로서 이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트에서는, 폴드 상태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백의 정상부에 장착한 상태로 앞쪽으로 젖히면, 헤드 레스트와 시트 쿠션이 접촉하여 시트 백이 원활하게 젖히기 어렵기때문에, 헤드 레스트를 떼어 내어 시트 백을 앞쪽으로 젖혀서 헤드 레스트는 시트 백 위에 재치했었다.
일본국 특개2010-269622호 공보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트 백으로부터 헤드 레스트를 떼어내고, 이 헤드 레스트는 시트 백 위에 재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만큼 시트 백 위의 하물(荷物) 공간이 제한되고, 또 시트로서 사용할 때에 하물 공간에서 헤드 레스트를 찾아낼 필요가 있어 폴드 상태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알기 쉬운 개소에 설치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고, 게다가 헤드 레스트의 설치가 용이한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바닥 측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에 마련한 계지편(係止片)이 차량 바닥측에 계탈(係脫)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의 수평 위치에서 기립 위치로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시트 쿠션과, 상기 차량 바닥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의 기립 상태에서 수평 위치로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시트 백과, 이 시트 백의 정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 레스트를 가지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로서,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底面)에는,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삽입 가능한 헤드 레스트 부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이다.
이러한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삽입 가능한 부착부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시트 백의 정상부로부터 헤드 레스트를 떼어내고, 폴드 상태로 하였을 때, 시트 쿠션의 계지편에 헤드 레스트를 부착할 수 있어, 헤드 레스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삽입 가능한 부착부를 마련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설치를 할 수 있으며, 폴드 상태로 하물 공간에 헤드 레스트를 재치하는 일도 없으므로, 하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삽입 가능한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헤드 레스트의 구멍부를 시트 쿠션의 계지편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헤드 레스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에 형성된 구멍부에는,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계합 가능한 후크편을 마련한다. 구멍부에 후크편을 마련함으로써,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헤드 레스트의 후크편에 걸려 헤드 레스트의 부착이 확실하게 된다.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마련되는 동시에, 그 저면으로부터 신장되는 한 쌍의 스테이 사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시트 쿠션이나 시트 백에 헤드 레스트의 스테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특별하게 마련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조로 헤드 레스트, 스테이를 시트 쿠션의 계지편에 부착하여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마련되는 동시에, 그 저면으로부터 신장되는 한 쌍의 스테이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헤드 레스트의 부착부에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을 삽입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기립 위치에 회동한 상기 시트 쿠션에 부착하였을 때, 상기 헤드 레스트의 스테이가 시트 쿠션으로부터 이반되어, 수평 위치에 회동한 상기 시트 백 측에 위치하므로, 헤드 레스트의 스테이가 시트 백의 배면 측에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 백의 배면을 하물실로서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슬릿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구멍입구로부터 삽입되면, 구멍입구는 패드재의 탄성에 의해 폐구하기 때문에 시트 쿠션의 계지편으로의 부착이 강고하게 된다.
상기 후크편은,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에 형성된 구멍부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원활하게, 구멍부의 내면을 따라 삽입되는 동시에, 상부의 후크부에 계지편이 계지되고,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헤드 레스트의 후크부에 계지되어 헤드 레스트의 부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상기 후크편의 후크부는,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계탈 가능한 만곡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크부가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에 계지하기 쉽게 된다.
상기 후크편의 후크부는, 그 선단에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괘지(掛止) 가능한 괘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을 보다 확실하게 괘지시킬 수 있다.
계지편은, 한 쌍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의 부착부에 계지편을 삽입하면, 계지편의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헤드 레스트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며, 게다가 헤드 레스트의 부착 설치가 용이한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의 사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의 폴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헤드 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시트 쿠션의 후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헤드 레스트의 VI-VI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쿠션에 헤드 레스트를 부착하였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 시트의 사용 상태, 폴드 상태를 나타내고, 시트 쿠션(SC)은, 그 전단부에 마련한 링크(1)의 하단(1a)이 차량 바닥 측(FL)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SC-1)에 마련한 계지편(8)이 차량 바닥 측에 부착된다. 시트 쿠션(SC)을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F)의 폭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계지편(8)이 고정되어 있고, 시트 백(SB)에는, 시트 쿠션(S)을 앞쪽에 반전시킬 때,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시트 백(SB)의 하부에 접촉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전할 수 있도록 계지편(8)의 이동 범위에 오목부(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백(SB)은 차량 바닥 측(FL)의 디바이스(2)에 하단부(SB-3)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정상부(SB-1)에는 헤드 레스트(HR)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헤드 레스트(HR)는, 그 저면(HR-3)에 한 쌍의 스테이(3, 3)가 연설되고, 시트 백(SB)의 정상부(SB-1)의 스테이용 부착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감입되고, 시트 백(SB)의 정상부(SB-1)에 헤드 레스트(HR)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SC)은 차량 바닥(FL)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고, 시트 백(SB)은 차량 바닥(FL)에 대해 기립하고 있다. 폴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SC)은 링크(1)의 하단(1a)을 중심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F)으로 반전되고, 그때, 시트 백(SB)에는,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시트 백(SB)의 하부에 접촉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전할 수 있도록, 계지편(8)의 이동 범위에 오목부(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쿠션(SC)이 시트 백(SB)의 하부에 걸리는 일 없이, 시트 쿠션(SC)을 앞쪽(F)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시트 백(SB)은, 그 정상부(SB-1)로부터 헤드 레스트(HR)를 떼어내어(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F)으로 젖혀서 차량 바닥(FL) 위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시트 백(SB)의 배면(SB-2)이 하물 공간으로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폴드 상태에 있어서는, 헤드 레스트(HR)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SC)의 후단부(SC-1)의 계지편(8)에 부착된다.
따라서, 시트 쿠션(SC)을 앞쪽(F)으로 튀어 오르게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위치로 세트하면, 기립 상태의 시트 쿠션(SC)상에 있어서, 계지편(8)이 위치하므로 금방 사용자의 시각에 들어온다. 그 때문에, 계지편(8)이 용이하게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헤드 레스트(HR)를 시트 쿠션(SC)에 부착하는 위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HR)는, 폴드 전의 사용시 시트 백(SB)에 장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착좌자 두부(頭部)를 받는 앞면부를 이루는 제1의 면(HR-1)과, 그 반대측의 배면부를 이루는 제2의 면(HR-2)을 갖는다. HR-3는 헤드 레스트(HR)의 저면을 나타낸다. 헤드 레스트(HR)의 저면(HR-3)에는, 한 쌍의 스테이(3, 3)와, 부착부(6)가 마련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6)는, 한 쌍의 스테이(3, 3)의 사이에 헤드 레스트(HR)의 제2의 면(HR-2) 부근에 배설된다.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SC)의 후단부(SC-1)인 후면으로부터 후방측(R)의 시트 백(SB) 측에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8a, 8b)와, 이 돌출부(8a, 8a)의 선단면을 연결하는 연결부(8b)로 이루어지고, 헤드 레스트(HR)의 부착부(6)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 레스트(HR)의 부착부(6)는, 헤드 레스트(HR)의 저면(HR-3)에 형성된 구멍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부착부(6)의 구멍입구(6a)에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삽입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HR)는 시트 쿠션(SC)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편(8)은, 시트 쿠션 후부(SC-1)에 있어서, 시트 백 저면(SB-3) 측 부근에 배설되어 있다. 그로써, 폴드시에, 위에서 설명한 헤드 레스트(HR)의 부착부(6)를, 계지편(8)에 삽입 계합시켰을 때, 도 2와 같이 헤드 레스트(HR)의 스테이(3, 3)가, 기립 상태의 시트 쿠션 후부(SC-1)로부터, 후방측(R)의 수평 상태의 시트 백(SB)으로 이반되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HR)의 저면(HR-3)이 확실하게 시트 쿠션 후부(SC-1)에 접하고, 헤드 레스트(HR) 자체가 안정되게 기립 상태의 시트 쿠션(SC)에 부착할 수 있다.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은, 시트 쿠션(SC)의 후부(SC-1)로부터 시트 백(SB) 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8a, 8a)와, 이 돌출부(8a, 8a)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8b)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HR)의 부착부(6)의 구멍입구(6a)로부터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을 삽입하면, 계지편(8)의 한 쌍의 돌출부(8a, 8a) 전체가 부착부(6) 내에 밀접 배치됨으로써, 헤드 레스트(HR)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이 없다.
헤드 레스트(HR)의 부착부(6)의 구멍입구(6a)와 부착부(6) 내부의 전체 형상은,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의 거의 전체가 삽입 가능한 형상이면 좋고, 슬릿 형상이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입구(6a)가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구멍 입구(6a)로부터 삽입되면, 구멍 입구(6a)는 패드재(5)의 탄성에 의해 폐구하기 때문에,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으로의 부착이 강고하게 된다.
이 헤드 레스트(HR)는, 주머니 형상의 표피(4) 내에, 스테이(3, 3)를 배치하여, ㄷ자 형상의 프레임체(도시하지 않음)의 한 쪽 편부(片部)를 부착부(6)에 삽입하고, 다른 쪽의 편부를 부착부(6)의 뒤쪽(HR4)에 삽입하여(도 3 참조), 표피 내부에 패드재(5)가 될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써 일체 발포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발포 후에 ㄷ자 형상의 프레임체를 떼어내면 헤드 레스트(HR)의 저면(HR-3)에는 구멍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부(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체 한쪽 편부를 부착부(6)에 삽입하고, 다른 쪽 편부를 부착부(6)의 뒤쪽에 삽입하여 표피 내부에 패드재(5)가 될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써 헤드 레스트(HR)를 제작할 수 있어, 간단하게 헤드 레스트(HR)의 저면(HR-3)에 구멍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부(6)가 형성된다.
헤드 레스트(HR)는,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6)를 구멍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부착부(6)에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삽입됨으로써, 헤드 레스트(HR)는 시트 쿠션(SC)에 부착할 수 있는데, 부착부(6)의 구멍부 내에 후크편(7)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후크편(7)은, 부착부(6)의 구멍부 내의 내면(6b)에 봉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크편(7)은 부착부(6)의 구멍부 내로부터 낙하하는 일없이, 또한 잡아당겨도 외부로 어긋나 떨어지는 일도 없다. 즉, 후크편(7)은 부착부(6)의 구멍부 내에 고착되어 있다. 후크편(7)은, 예를 들어 수지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편(7)을 마련함으로써,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후크편(7)에 걸려서, 헤드 레스트(HR)의 부착이 확실해진다.
이 후크편(7)을 마련할 때에는, 부착부(6)의 구멍부에 후크편(7)을 찔러 넣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체 한쪽 편부를 구멍부에 삽입하여 표피 내부에 발포액을 주입 발포시킴으로써, 부착부(6)의 구멍부 내에 후크편(7)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편(7)을 부착부(6)의 구멍부 내에 마련할 때, 부착부(6)의 구멍부에 후크편(7)을 찔러 넣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체 한쪽 편부를 구멍부에 삽입하여 표피 내부에 발포액을 주입 발포시킴으로써, 부착부(6)의 구멍부 내에 후크편(7)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후크편(7)을 구멍부 내로 수납할 수 있다. 이 후크편(7)은, 구멍 입구(6a)가 패드재(5)의 탄성에 의해 폐구하기 때문에, 그 탄성력에 의해 부착부(6) 내에 유지되어 있다.
후크편(7)은,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레스트에 형성된 구멍부(6)의 내면(6b)을 따라 마련되고, 상부에 후크부(7a)가 형성되므로,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원활하게, 구멍부(6)의 내면(6b)을 따라 삽입되는 동시에, 상부의 후크부(7a)에 계지편(8)의 연결부(8b)가 계지되어, 헤드 레스트의 부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후크편(7)의 후크부(7a)는,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이 계탈 가능한 만곡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크부(7a)가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에 계지되기 쉬워진다.
후크편(7)의 후크부(7a)는, 그 선단에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의 연결부(8b)가 괘지 가능한 괘지부(7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쿠션(SC)의 계지편(8)을 보다 확실하게 괘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폴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헤드 레스트(HR)를 위쪽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계지편(8)의 연결부(8b)와 후크편(7)과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헤드 레스트(HR)를 떼어낼 수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로, 시트 백(SB)을 기립 상태로 하고, 시트 쿠션(SC)을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로 수평하게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드 상태로 하였을 때는, 시트 백(SB) 정상부의 스테이용 부착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헤드 레스트(HR)의 스테이(3, 3)를 감입한다. 그렇게 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백(SB)의 정상부(SB-1)에 헤드 레스트(HR)가 부착되어 사용 상태로 된다.
SB: 시트 백
SC: 시트 쿠션
HR: 헤드 레스트
6: 헤드 레스트의 부착부
7: 후크편
8: 시트 쿠션의 계지편

Claims (10)

  1. 차량 바닥 측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에 마련한 계지편이 차량 바닥 측에 계탈(係脫) 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의 수평 위치로부터 기립 위치로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시트 쿠션과, 상기 차량 바닥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의 기립 상태로부터 수평 위치로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시트 백과, 이 시트 백의 정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 레스트를 가지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로서,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는,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係止片)이 삽입 가능한 헤드 레스트 부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삽입 가능한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에 형성된 구멍부에는,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계합 가능한 후크편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마련되는 동시에, 이 저면으로부터 신장되는 한 쌍의 스테이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저면에 마련되는 동시에, 이 저면으로부터 신장되는 한 쌍의 스테이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헤드 레스트의 부착부에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을 삽입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기립 위치에 회동한 상기 시트 쿠션에 부착하였을 때, 상기 헤드 레스트의 스테이가 상기 시트 쿠션으로부터 이반되어 수평 위치에 회동한 상기 시트 백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편은, 상기 헤드 레스트 부착부에 형성한 구멍부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부에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편의 후크부는,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계탈 가능한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편의 후크부는,그 선단에 상기 시트 쿠션의 계지편이 괘지(掛止) 가능한 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편은, 시트 쿠션의 후면으로부터 시트 백 측에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KR1020157009758A 2012-10-25 2013-10-22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Ceased KR20150087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5298 2012-10-25
JP2012235298 2012-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90A true KR20150087190A (ko) 2015-07-29

Family

ID=5054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58A Ceased KR20150087190A (ko) 2012-10-25 2013-10-22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1021B2 (ko)
EP (1) EP2913223B1 (ko)
JP (1) JP6199304B2 (ko)
KR (1) KR20150087190A (ko)
CN (1) CN104884302B (ko)
CA (1) CA2889309C (ko)
WO (1) WO20140652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1893B (sv) * 1980-02-15 1982-02-08 Volvo Ab Nackskydd for bakseten i kombibilar anordnat pa ett framat fellbart ryggstod
JPH0433147Y2 (ko) * 1987-10-30 1992-08-10
US5551750A (en) * 1994-05-13 1996-09-0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adrest booster seat
JP2977472B2 (ja) * 1995-10-06 1999-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収納機構
JP3521108B2 (ja) * 1997-03-27 2004-04-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折畳み式シート
JP3674809B2 (ja) * 1997-10-13 2005-07-27 スズ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格納構造
FR2777838B1 (fr) * 1998-04-22 2000-06-23 Cesa Agencement d'une assis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sur un support
JP3978572B2 (ja) * 2000-12-26 2007-09-19 スズ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収納構造
JP3964670B2 (ja) * 2001-12-26 2007-08-2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装置
US6679536B1 (en) * 2002-09-23 2004-01-20 Lear Corporation Foldable and tumblable seat system
KR100568980B1 (ko) * 2004-04-26 2006-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FR2920712B1 (fr) * 2007-09-07 2010-05-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arriere escamotable, ainsi que son procede et son dispositif d'escamotage
JP5412949B2 (ja) 2009-05-19 2014-02-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ダブルフォールド式乗物用シート
JP2013006500A (ja) * 2011-06-24 2013-01-10 Suzuki Motor Corp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3223A1 (en) 2015-09-02
US20150258922A1 (en) 2015-09-17
US9371021B2 (en) 2016-06-21
CN104884302B (zh) 2016-12-28
JPWO2014065272A1 (ja) 2016-09-08
WO2014065272A1 (ja) 2014-05-01
CA2889309A1 (en) 2014-05-01
CA2889309C (en) 2017-08-15
JP6199304B2 (ja) 2017-09-20
EP2913223A4 (en) 2016-06-08
CN104884302A (zh) 2015-09-02
EP2913223B1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676B1 (en) Vehicle seating arrangement
US10202055B2 (en) Seat device
US20150130231A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changing station
JP2012236541A (ja) シート構造
CN102923019A (zh) 车辆座位延长器
JP3177316U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
KR20150087190A (ko) 헤드 레스트 부착 더블 폴드식 자동차용 시트
JP5777086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JP2008290649A (ja) 車両用シート
JP636697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396866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588030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3095272A (ja) 跳ね上げシートロック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JP6490948B2 (ja) 車両用シート
JP646894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バックル収納部構造
JP62935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33891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35201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187335U (ja) 収納具
JP2013103630A (ja) シートカバー
EP4477466A1 (en) Child safety seat and seat thereof
JP5671710B2 (ja) 車両用シート
JP5581049B2 (ja) シート構造
KR200333330Y1 (ko) 차량용 시트카바
CN115195843A (zh) 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7101001927

Request date: 201704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1

Effective date: 2018090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0421

Decision date: 20180903

Appeal identifier: 201710100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