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0655A -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655A
KR20150080655A KR1020130147833A KR20130147833A KR20150080655A KR 20150080655 A KR20150080655 A KR 20150080655A KR 1020130147833 A KR1020130147833 A KR 1020130147833A KR 20130147833 A KR20130147833 A KR 20130147833A KR 20150080655 A KR20150080655 A KR 20150080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condary battery
eva
resin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철
한희식
두승균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655A/en
Publication of KR2015008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65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for sealing an external material and the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sealing film of the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which includes an intermediate layer, an internal laye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 an external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layer. At least the internal layer among the internal layer and the external layer includes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s and polystyrene.

Description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명세서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lead tab)과 외장재 간의 밀봉(sealing)을 위한 실링 필름(sealing film)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하여 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ealing film for sealing between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nd a casing,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aling film.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들 중에서도 특히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has also increased. Among these secondary batteries, the demand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particularly high energy density and a discharge voltage is rapid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이차 전지, 각형 이차 전지 및 파우치(pouch)형 이차 전지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Gener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a lithium polymer battery depending on the type of an electrolytic solution. Depending on the external shape, the batte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이 중에서,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두께가 얇은 각형 이차 전지와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원통형이나 각형 이차 전지에 비하여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하여 전지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Among thes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thin rectangular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in accordance with the miniaturization trend of mobile devices,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hich is easy to deform in shape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is getting more attention . In addition,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s advantageous in weight and miniaturization compared with a cylindrical or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a battery automobile or a hybrid electric automobile.

대부분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전극군으로부터 인출된 리드 탭(lead tab)을 가지며, 이러한 리드 탭과 외장재(파우치)는 실링 필름(sealing film)을 통해 밀봉된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ost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have lead tabs drawn from the electrode group, and the lead tabs and the casing (pouch) are sealed through a sealing film.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일반적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도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lead tab)용 실링 필름(sealing film)을 보인 것으로서, 실링 필름이 리드 탭에 열 접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S. 1 and 2 show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related art, in which a sealing film is thermally bonded to a lead tab.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양극(anode), 세퍼레이터(separator) 및 음극(cathode)이 교호(交互)로 적층된 전극군(1)과, 상기 전극군(1)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 단자와 접속되는 리드 탭(lead tab)(2)(2')과, 상기 전극군(1)을 포장하는 외장재(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군(1)은 전해액에 함침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상기 리드 탭(2)(2')과 외장재(3) 간의 밀봉(sealing)을 위한 실링 필름(4)(4')을 갖는다. 1 and 2,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generall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 in which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re alternately stacked, Lead tabs 2 and 2 'drawn out from the lead tabs 2 and connected to external terminals, and a casing member 3 for packaging the electrode group 1. Then, the electrode group 1 is impregnated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1 and 2, most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have sealing films 4 and 4 'for sealing between the lead tabs 2 and 2' and the casing 3, ).

이때, 상기 전극군(1)에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1a)(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전극 단자(1a)(1a')에는 상기 리드 탭(2)(2')이 용접이나 리벳(revet) 등을 통해 결합되어 외부로 인출된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group 1 and the electrode tabs 1a 'and 1a'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formed in the electrode group 1, and the lead tabs 2 and 2 ' Welded or revetted,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외장재(3)는 파우치(pouch)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내측 실란트층, 가스 배리어층 및 외측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플렉시블(flexible)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때, 내측 실란트층은 열 봉합되어 전해액이나 가스 등의 유출을 방지하며, 이는 주로 열융착이 가능한 저융점의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의 수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습기나 공기 등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다.  The outer sheath 3 is a pouch, which generally consists of a flexible film of a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n inner sealant layer, a gas barrier layer and an outer resin layer. At this time, the inner sealant layer is heat-sealed to prevent electrolyte or gas from leaking out, and it is composed of a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having a low melting point which is mainly heat- The gas barrier layer is for blocking moisture, air, and the like, and it is composed of a metal thin film such as aluminum (Al).

상기 리드 탭(2)(2')은 주로 판상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이는 전도성을 위해 금속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리드 탭(2)(2')은 전도성에서 유리한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및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된 전도성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리드 탭(2)(2')과 외장재(3)의 결합부위에는 실링 필름(4)(4')이 개재되며, 상기 실링 필름(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 탭(2)(2')과 외장재(3) 간을 밀봉시킨다. 또한, 실링 필름(4)(4')은 리드 탭(2)(2')과 외장재(3)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도모한다.  The lead tabs 2 and 2 'mainly have a plate or rod shape, and are made of metal for conductivity. Generally, the lead tabs 2 and 2 'a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aluminum (Al), nickel (Ni), copper (Cu) and alloys thereof, etc., advantageous in terms of conductivity. The sealing films 4 and 4 'are interposed between the lead tabs 2 and 2' and the joint member 3 and the sealing films 4 and 4 ' (2) and (2 ') and the outer covering material (3). In addition, the sealing films 4 and 4 'provide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lead tabs 2 and 2' and the case 3.

상기 실링 필름(4)(4')은 열과 압력을 통한 열 접착방법으로 리드 탭(2)(2') 및 외장재(3)의 각 접촉면과 열 접착(열 융착)된다. 이때, 실링 필름(4)(4')은 외장재(3)의 내측 실란트층과의 열 접착성을 위해 주로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구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6278호에는 이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The sealing films 4 and 4 'are thermally adhered (thermally fused) to the respective contact surfaces of the lead tabs 2 and 2' and the casing member 3 by a heat bonding method using heat and pressure. At this time, the sealing films 4 and 4 'are mainly made of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film for thermal adhesion with the inner sealant layer of the casing 3.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76278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this.

또한, 상기 실링 필름(4)(4')은 2층 또는 3층의 다층 구조를 갖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498639호 및 일본 특허 제4508477호에는 2층 구조로서, 저유동성의 폴리프로필렌(PP)층과 고유동성의 폴리프로필렌(PP)층으로 구성된 실링 필름(4)(4')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제4993054호에는 3층 구조로서, 저유동성 폴리프로필렌(PP)층, 고유동성 폴리프로필렌(PP)층 및 저유동성의 폴리프로필렌(PP)층으로 구성된 실링 필름(4)(4')이 제시되어 있다. Further, the sealing films 4 and 4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three layer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4498639 and Japanese Patent No. 4508477 disclose a sealing film 4 (4 ') composed of a low-flow polypropylene (PP) layer and a high-flow polypropylene (PP) ). Japanese Patent No. 4993054 discloses a sealing film 4 (4 ') composed of a low-flow polypropylene (PP) layer, a high-flow polypropylene (PP) layer and a low-flow polypropylene .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2)(2')용 실링 필름(4)(4')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ealing films 4 and 4 'for the lead tabs 2 and 2'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실링 필름(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과 압력을 통해 리드 탭(2)(2') 및 외장재(3)와 열 접착된다.The sealing films 4 and 4 'are thermally bonded to the lead tabs 2 and 2' and the casing 3 through heat and pressure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실링 필름(4)(4')은 리드 탭(2)(2') 및 외장재(3)와의 열 접착력(열 접착강도)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 탭(2)(2')은 전도성을 위해 금속으로 구성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실링 필름(4)(4')은 특히 이러한 금속 재질의 리드 탭(2)(2')과의 열 접착력(열 접착강도)이 약하여 밀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sealing films 4 and 4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a problem in that the thermal bonding strength (thermal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lead tabs 2 and 2' hav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ad tabs 2 and 2 'are made of metal for conductivity, and the sealing films 4 and 4'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especially made of the lead tabs 2 and 2 ' (Hea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s low, resulting in poor sealing performance.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7627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76278 일본 특허 제4498639호Japanese Patent No. 4498639 일본 특허 제4508477호Japanese Patent No. 4508477 일본 특허 제4993054호Japanese Patent No. 4993054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리드 탭과의 우수한 접착력(열 접착강도)을 가짐과 동시에 향상된 내화학성과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aling film for a lead taps of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as well as having excellent adhesion strength (heat bonding strength) with lead taps,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과 외장재 간을 밀봉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일면에 형성된 내층; 및 상기 중간층의 타면에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또는 상기 내층 및 외층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층인 이차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수지로 구성되는 내층이 이차 전지의 리드 탭과열 접착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ling film for a lead taps of a secondary battery which seals between a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 casing, the sealing film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An inne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 an oute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wherein the inner layer or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are resin layers comprising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and polystyrene. Here, the inner layer composed of the mixed resin is overheated with the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예시적인 일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스티렌의 함량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ent of polystyrene is preferably 10-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예시적인 일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는 전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량을 기준으로 비닐아세테이트(VA)를 23-32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융지수(Melt Flow Index)가 10-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preferably comprises 23-32 wt% of vinyl acetate (V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ethylene vinyl acetate, and has a Melt Flow Index of 10 -30 g / 10 min.

예시적인 일구현예에서, 상기 수지 층은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resin layer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organic peroxide based cross-linking agent.

예시적인 일구현예에서, 상기 수지 층은 또한 가교 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layer further includes a crosslinking auxiliary.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상기 이차전지의 리드 탭용 실림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leadfil release film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일측면에서, 리드 탭과 접착하는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의 내층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및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을 포함함으로써, 리드 탭과 우수한 열 접착력(열 접착강도)으로 접착되어 밀봉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향상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진다. 더불어, 리튬염 등에 잘 침식되지 않는 내화학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전기 절연성을 향상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include an inner layer of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that adheres to a lead tab includes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polystyrene (PS) (Thermal bonding strength)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y, and has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In addition, it has chemical resistance that is not eroded well in lithium salts and the like, and thus the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또한, 일측면에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에 폴리스티렌을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녹는점보다 필름의 녹는점을 낮게 조절하고, 용융지수(Melt Flow Index(MFI))를 높게 하여 리드 탭 금속과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in one aspect, by adding polystyrene to ethylene vinyl acetate, the melting point of the film is controlled to b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a film containing a conventional polypropylene resin, and the melt flow index (MFI) The adhesion to the lead tab metal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링 필름이 리드 탭에 열 접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의 단면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gener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related art, wherein the sealing film is thermally bonded to the lead tab.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의 단면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이하, “실링 필름”으로 약칭)은 중간층(10), 상기 중간층(10)의 일면에 형성된 내층(20), 및 상기 중간층(10)의 타면에 형성된 외층(30)을 포함하여 적어도 3층(3-layer)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A sealing film for a lead taps (hereinafter abbreviated as "sealing film")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mediate layer 10, an inner layer 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0, (3-layer) or more (see FIG. 3), including the outer layer 3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이차 전지의 리드 탭과 외장재(파우치) 간을 밀봉하는 경우, 상기 내층은 리드 탭과 접촉되어 열 접착(열 융착)된다. 또한, 상기 외층은 외장재(파우치)와 접촉되어 열 접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sealing between the lead tab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casing (pouch), the inner lay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ad tab and thermally adhered (thermally fused). In addition, the outer layer may be thermally adhered to the outer material (pouch).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실링 필름의 적어도 내층(20)은 기존 리드 탭용 실링 필름이 가질 수 없는 금속과의 우수한 열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이하, EVA로 약칭함) 수지에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이하, PS로 약칭함)을 포함하는 혼합 수지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내층(20) 뿐만 아니라 외층(30)도 경우에 따라서는 EVA와 PS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least the inner layer 20 of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thylene vinyl acetate (hereinafter, abbreviated as EVA) capable of maintaining a good thermal adhesion strength with a metal that is not possessed by a sealing film for existing lead taps ) Resin is composed of a mixed resin layer containing polystyren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S) excellent in electric insulation and the like. Further, not only the inner layer 20 but also the outer layer 30 may be composed of a mixed resin layer including EVA and PS, as the case may be.

상기 EVA 수지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의 공중합체로서, 이는 종래에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에 비하여 금속 재질의 리드 탭과 우수한 열 접착력(열 접착 강도)으로 열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실링 포장 시, 리드 탭과 실링 필름 간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전해액이나 가스 등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우수한 열 접착력(열 접착강도)을 가지면서 향상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등을 가질 수 있다. The EVA resin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VA), which is superior to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used as a sealing film for lead taps of a secondary battery in the related art, (Thermal bonding strength). Accordingly,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sealed and packed,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lead tab and the sealing film is improved, effectivel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gas,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n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while having excellent thermal bonding strength (thermal bonding strength).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EVA 수지는 EVA 수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비닐아세테이트(VA)를 15-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VA)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연성 및 접착력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블로킹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EVA 수지는 수지 전체 중량 기준으로 비닐아세테이트(VA)를 23-3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VA resin may comprise 15-40 wt% of vinyl acetate (V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VA resin. If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VA) is less than 15% by weight, flexibility and adhesion may not be good. If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exceeds 40% by weight, blocking resistance may be deteriorated. In another aspect, the EVA resin may comprise 23-32 wt% of vinyl acetate (V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또한, EVA 수지는 일측면에서 예를 들어 190℃에서 2.16kg의 하중으로 측정 시의 용융지수(MFI; Melt Flow Index)가 5-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MFI)가 5g/10분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내층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MFI)가 50g/10분을 초과하여 높으면, 공압출 등의 성형과정에서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EVA 수지는 10-30g/10분(190℃에서 2.16kg의 하중으로 측정 시)의 용융지수(MFI)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aspect, the EVA resin preferably has a melt flow index (MFI) of 5-50 g / 10 min as measured at 190 ° C under a load of 2.16 kg. If the melt index (MFI) is too low as less than 5 g / 10 m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nner layer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if the melt index (MFI) is higher than 50 g / 10 min, the moldability in the molding process such as co-extrusion may be deteriorated.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VA resin has a melt index (MFI) of 10-30 g / 10 min (measured at a load of 2.16 kg at 190 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혼합 수지층에는 폴리스티렌이 포함된다.Polystyrene is included in the mixed resin lay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폴리스티렌은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로서, 예컨대 메타로센 촉매중합법을 이용하여 중합되는 고분자이며 270℃의 녹는점을 가진다. 무색투명하며 유리와 유사한 정도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탄성률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높은 편이지만 충격강도는 낮은 편이다. 전기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다. 내광성은 떨어져 직사광 하에서 점차 황색으로 변화하고 열화할 수 있지만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를 배합한 내광성 그레이드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광성을 가질 수 있다. For reference, polystyrene is one of thermoplastic resins, for example, a polymer which is polymerized using a metallocene catalyst polymerization method and has a melting point of 270 캜. It is colorless and transparent, has a tensile strength similar to that of glass, and has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but a low impact strength. The electr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The light resistance is lowered and gradually changes to yellow under direct sunlight and deteriorates. However, a light resistance grade compounded with an ultraviolet absorber and an antioxidant may have sufficient light resistance for use.

폴리스티렌은 방향족 또는 염소화 탄화수소, 케톤, 에스테르 등에 용해하지만 내수성, 내산성, 내알카리성의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또 열분해 온도가 높고 용해시의 열안정성, 유동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성형가공성이 뛰어나며 특히 사출성형이 용이하다. Polystyrene is soluble in aromatic or chlorinated hydrocarbons, ketones, esters, etc., but it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such as water resistance, acid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is high and the thermal stability and the fluidity at the time of dissolution are excellent, the molding processability is excellent and injection molding is particularly easy.

폴리스티렌은 예컨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High Impact Polystyrene)과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 General Purpose Polystryene) 등이 있으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스티렌은 일반용 폴리스티렌(General Purpose Polystryene)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상기 일반용 폴리스티렌으로는 스티롤루션(Styrolution)사의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styrene include High Impact Polystyrene (HIPS) and General Purpose Polystyrene (GPP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styrene may be a general purpose polystyrene. In a non-limiting example, the above-mentioned general-purpose polystyrene may be a product of Styrolution.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트이트(EVA) 및 폴리스티렌(PS)의 혼합 수지 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4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을 상기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리드 탭 금속과 실링 필름 간의 전기 절연성 및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가 갖는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xed resin layer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polystyrene (PS) is 2 to 4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 And most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polystyrene is included in the above amount, the electrical insulation and adhesion between the lead tapped metal and the sealing film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polystyrene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may be deteriorated.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상기 혼합 수지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실링 필름의 접착력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EVA 수지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여 EVA 수지의 가교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지 내의 잔류 라디칼을 제거하여 내층의 접착력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중합 수지 내 에틸렌의 균일한 분포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내층의 두께 균일도가 향상되며, 이는 결국 리드 탭과의 면 접착력을 증가시켜 접착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In preferred embodiments, the mixed resin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n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Such an organic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 can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ealing film. Specifically,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accelerates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EVA resin to increase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EVA resin, while removing the residual radicals in the resin,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inner layer. In addition,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induces a uniform distribution of ethylene in the polymerization resin. This improves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inner layer, which in turn increases the surface adhesion with the lead taps and effectively improves the adhesive strength.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퍼옥사이드기(-O-O-)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일측면에서 퍼옥시케탈, 퍼옥시카보네이트 및 디알킬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n organ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peroxide group (-O-O-) in the molecule.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peroxyketals, peroxycarbonates, and dialkyl peroxides in one aspect.

상기 퍼옥시케탈로는 t-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1,1-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스클로헥산 및 1,1-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옥시카보네이트로는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닐퍼옥시)헥산,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t-부틸이소프로필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및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알킬퍼옥사이드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t-아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1,3-비스(2-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헥산,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The peroxyketals include t-butyl 2-ethylhexyl monoperoxycarbonate, 1,1-di (t-amylperoxy) cyclohexane, 1,1-di (t-butylperoxy) , 5-trimethylsyclohexane, 1,1-di (t-butylperoxy) cyclohexane, and the like. As the peroxycarbonate, 2,5-dimethyl-2,5-di- (2-ethylhexanonylperoxy) hexane, t-amylperoxy-2-ethylhexanoate, t- (2-ethylhexyl) monoperoxycarbonate, t-butylisopropyl monoperoxycarbonate, 2,5-dimethyl-2,5-di (benzoylperoxy) hexane, t -Butyl-3,5,5-trimethylhexanoate, t-butyl peroxybenzo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dialkyl peroxide include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 (t-butylperoxy) hexane, di-t-amyl peroxide, di- , 3-bis (2-t-butylperoxyisopropyl) hexane, t-butylcumylperoxide and di-t-butylperoxid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가교 반응 온도가 90-150℃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 반응 온도가 135-150℃ 사이에 있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가 상기의 높은 온도 범위의 가교 반응 온도를 갖는 경우, 리드 탭과의 접착력 개선에 매우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selected such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temperature is between 90 and 150 캜. More preferably, the crosslinking reaction temperature is between 135 and 150 占 폚. When the organic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 has a crosslinking reaction temperature in the high temperature range, it is very preferable for improving the adhesion with the lead tab.

또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2시간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2시간의 반감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임의의 시간과 온도가 되면 가교 반응을 일으키며, 이는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서 반감기란 EVA 수지와 혼합 후,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가 가교 반응을 최초로 일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반응 개시 시간)을 의미한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organic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 preferably has a half life of not more than 2 hours, more specifically, 30 minutes to 2 hours.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causes a crosslinking reaction at a certain time and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kind of crosslinking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half-life" refers to the time (initial reaction time) required for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to take place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EVA resin.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금속 재질의 리드 탭과 높은 접착력을 도모하기 위해, 1시간의 반감기 및 온도(가교 반응 온도)가 135-150℃의 사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로는 디알킬퍼옥사이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큐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t-아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1,3-비스(2-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헥산,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may have a half-life of 1 hour and a temperature (crosslinking reaction temperature) of 135-150 ° C in order to achieve high adhesion with the metal lead tab. Examples of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include dialkyl peroxides, and mor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 (t-butylperoxy) -Amyl peroxide, di-t-butyl peroxide, 1,3-bis (2-t-butylperoxyisopropyl) hexane, t-butyl cumyl peroxide and di- One or more selected.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수지 층은 상기의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EV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의 함량이 7 중량부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이의 함유에 따라 가교도가 낮아 접착력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일 구현예에 있어서 EV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20-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EVA 수지는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의 함량 조절에 의해, 예를 들어 80% 이상의 가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가교도란 EVA 수지 전체 중량 중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EVA 수지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xed resin layer may contain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in an amount of 7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VA resin.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7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insufficient due to its low crosslinking degree depending on its content, and if it exceeds 60 parts by weight, .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20-28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VA resin in one embodiment. In addition, the EVA resin may have a degree of crosslinking of, for example, 80% or more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Here, the degree of crosslinking refers to the weight ratio of the EVA resin crosslinked by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in the total weight of the EVA resin.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수지층은 가교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조제는 EVA 수지의 가교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교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알릴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로일옥시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교조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알릴 화합물; 및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폴리(메타)아크릴로일옥시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조제는 일 구현예에 있어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푸마레이트 및 디알릴말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알릴 화합물;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타)아크릴로일옥시 화합물; 또는 다이닐벤젠 등일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xed resin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crosslinking auxiliary. The crosslinking ai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mote crosslinking of the EVA resin. In one embodiment, the crosslinking aid may preferabl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allyl compound and a (meth) acryloyloxy compound. In one embodiment, the crosslinking aid is more preferably a polyallyl compound having two or more allyl groups in the molecule; And poly (meth) acryloyloxy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crosslinking aids may include,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olyallyl compound selected from triallyl isocyanurate, triallyl cyanurate, diallyl phthalate, diallyl fumarate, and diallyl maleate; At least one poly (meth) acryloyloxy compound selected from ethylene glyc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 propane and trimethacrylate; Or < / RTI >

또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혼합 수지 층에서 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교조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이의 첨가에 따른 가교 촉진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첨가로 인하여 상승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rosslinking assistant is included in the mixed resin layer in an amount of 0.1-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VA resin. If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accelerating crosslinking may be insignificant. If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 synergistic effect may not be so large.

한편, 중간층(10)은 지지력을 갖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내층과 외층보다 용융지수(MFI)가 낮은 것을 선택하여, 열 접착 시 실링 필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간층은 내열도가 높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구현예에서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일 수 있으며, 다른 일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기계적 강도는 물론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유용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layer 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upporting force. The middle layer preferably has a lower melt index (MFI) than that of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ealing film upon thermal bonding.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a film having a high heat resistance and may be a polypropylene (PP) film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hthalate (PBT),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and stretched polypropylene (OPP) film. Such a film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s well as heat resistance and i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외층(30)은 이차 전지의 외장재(파우치)와 열 접착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외층은 구체적으로 이차 전지의 외장재(파우치)를 구성하는 실란트층과 양호한 열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EVA와 PS의 혼합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베이스 수지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융점 수지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outer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thermal adhesive force with the casing (pouch)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outer layer preferably has a good thermal adhesion strength with the sealant layer constituting the casing (pouch) of the secondary battery. This outer layer 30 can be composed of a mixed resin layer of EVA and PS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layer is made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Or more can be used as the base resin.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layer may be selected from low melting point resin films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cast polypropylene (CPP) and ethylene-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필름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층, 중간층 및 내층은 공압출을 통해 각 층의 형성과 동시에 합지되거나, 각 층(10, 20, 30)이 별도로 압출 성형된 후 접착제나 열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등의 수지 접착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outer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inner layer may be laminated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each layer through co-extrusion, or each layer 10, 20, 30 may be separately extruded and then laminated via an adhesive or thermal lamination . The adhesive may be selected from resin adhesives such as acrylic, urethane, epoxy, and the like.

아울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실링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3층 구조를 가지되, 상기 층들 이외에 별도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0)과 내층(20)의 사이, 및/또는 중간층(10)과 외층(30)의 사이에 정전기 방지층 등의 별도의 기능성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층은 정전기 방지제로서 예를 들어 전도성 고분자, 탄소 소재 및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및 폴리피롤(Polypyrrol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a three-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layer in addition to the layers. For example, a separate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static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intermediate layer 10 and the inner layer 20, and / or between the intermediate layer 10 and the outer layer 30. [ The antistatic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nductive polymer, a carbon material, and a surfactant as the antistatic agent. Examples of the conductive polymer includ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thiophene, polyaniline, and polypyrrole.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실링 필름은 충전제, 슬립제(Slip agent), 안티-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표면 평활제 및 색상 안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별도의 층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외층(30), 중간층(10) 및 내층(2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적절한 양으로 첨가되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aling agent selected from a filler, a slip agent, an anti-blocking agent, a UV stabilizer, an antioxidant, a surface smoothing agent, And may further optionally include additives. These additives may be contained as separate layers or may be added in an appropriate amount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outer layer 30, the intermediate layer 10 and the inner layer 2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Example 1]

공압출기를 이용하여 내층(EVA+PS)/중간층(PP)/외층(PP)의 3층 구조를 갖게 하되, 각 층을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하여 실링 필름을 제조하였다. 내층은 EVA (듀폰 사(DuPont)), 폴리스티렌(스티롤루션(Styrolution) 사의 GPPS), 퍼옥시케탈(가교제, 듀폰 사) 및 폴리알릴 화합물(가교조제, 듀폰 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A sealing film was prepared using a co-extruder so as to have a three-layer structure of an inner layer (EVA + PS) / an intermediate layer (PP) / an outer layer (PP). An inner layer was prepared by using the EVA (DuPont (DuPont)), polystyrene (polystyrene-Pollution (Styrolution)'s GPPS), peroxy ketal (cross-linking agent, DuPont) and poly allyl compounds (crosslinking auxiliary, DuPont).

상기 내층에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PS)을 15 중량부로 사용하였다. In the inner layer, 15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 (PS) was use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또한, 상기 내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25 중량부를 혼합한 EVA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이때, EVA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VA)의 함량이 25 중량%이고, 용융지수(MFI)가 28g/10분(190℃, 2.16kg의 하중으로 측정 시)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교제는 퍼옥시케탈로서, 1시간 반감기의 온도가 110 ~ 120℃의 사이에 있는 1,1-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1,1-di(tert-amylperoxi)cyclohexane)을 사용하였다. The inner layer used was an EV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with 100 parts by weight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The EVA resin used had a vinyl acetate (VA) content of 25% by weight and a melt index (MFI) of 28 g / 10 min (measured at 190 캜 under a load of 2.16 kg). The crosslinking agent is peroxyketal, and 1,1-di (tert-amylperoxi) cyclohexane having a half-life of 1 hour is in the range of 110 to 120 ° C. Respectively.

상기 외층과 중간층은, 용융지수(MFI)가 25g/10분(190℃, 2.16kg의 하중으로 측정 시)인 저융점 폴리프로필렌(PP)(듀폰 사)을 사용하였다.  The outer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were made of a low melting point polypropylene (PP) (DuPont) having a melt index (MFI) of 25 g / 10 min (measured at 190 캜 under a load of 2.16 kg).

상기 폴리알릴 화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The polyallyl compound was used in an amount of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현재 리드 탭용 실링 필름으로 사용되고 있는 3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내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퍼옥시케탈 25 중량부(가교제, 듀폰 사), 및 폴리알릴 화합물 3 중량부(가교조제, 듀폰 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A three-layer structure film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sealing film for lead taps is manufactured. The inner layer was prepared by using 25 parts by weight of peroxyketal (crosslinking agent, manufactured by DuPont) and 3 parts by weight of polyallyl compound (crosslinking assistant, manufactured by DuPo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and polypropylen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내층을 EVA(듀폰 사), EV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알킬퍼옥사이드(가교제, 듀폰 사) 25 중량부, 및 폴리알릴 화합물 3 중량부 (가교조제, 듀폰 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The inner layer was prepared by using 25 parts by weight of a dialkyl peroxide (crosslinking agent, DuPont) and 3 parts by weight of a polyallyl compound (crosslinking assistant, manufactured by DuPont) based on EVA (DuPont) and 100 parts by weight of EVA.

가교제는 디알킬퍼옥사이드로서, 1시간 반감기의 온도(가교 반응 온도)가 135 ~ 150℃의 사이에 있는 디-t-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를 사용하였다.As the crosslinking agent, di-tert-butyl peroxide having a dialkyl peroxide having a half-life temperature (crosslinking reaction temperature) of 135 to 150 ° C was used.

[실험예 1] 인장강도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tensile strength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링 필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열 접착 후 인장강도를 평가하였다.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ealing films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evaluated as follows after heat bonding.

먼저, 리튬 이차 전지의 리드 탭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Al) 극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링 필름을 폭 5mm, 길이 5cm로 절단한 다음, 165℃의 열과 30kgf의 압력을 3초 동안 가하여 1차 접착하였다. 이후, Al 극판에만 230℃의 열을 가하면서 3초 동안 30kgf의 압력으로 필름을 압착하여 열 접착하였다.  First, an aluminum (Al) electrode plate most widely used as a lead tab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Then,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width of 5 mm and a length of 5 cm, followed by heat bonding at 165 ° C. and a pressure of 30 kgf for 3 seconds. Thereafter, the film was pressed at a pressure of 30 kgf for 3 seconds while applying heat to the Al plate only at a temperature of 230 占 폚 and thermally adhered.

상기 열 접착된 각 시편에 대하여, 인장강도 측정기(일본, SHIMADZU 사의 AGS-1kNX 모델)를 사용하여 200mm/min의 속력으로 상승하는 하중을 가하여, Al 극판과 실링 필름 간의 열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Each of the thermally adhered specimens was subjected to a rising load at a speed of 200 mm / min using a tensile strength meter (AGS-1kNX model of SHIMADZU, Japan) to measure the thermal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Al plate and the sealing fil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접착력Adhesion 실시예 1
(EVA + 폴리스티렌)
Example 1
(EVA + polystyrene)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계)
Comparative Example 1
(Polypropylene type)
비교예 2
(EVA)
Comparative Example 2
(EVA)
인장강도(kgf/15mm)Tensile strength (kgf / 15mm) 2.02.0 1.11.1 1.81.8

[실험예 2] 내화학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chemical resistance

한편, 내화학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같이, 먼저 리튬 이차 전지의 리드 탭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Al) 극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링 필름을 폭 5mm, 길이 5cm로 절단한 다음, 165℃의 열과 30kgf의 압력을 3초 동안 가하여 1차 접착하였다. 접착 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링 필름이 접착된 Al 극판을 리튬염 용액에 담가두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resistance was evaluated as follows.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 aluminum (Al) electrode plate, which is most often used as a lead tab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Then,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width of 5 mm and a length of 5 cm, followed by heat bonding at 165 ° C. and a pressure of 30 kgf for 3 seconds. After the bonding, the Al electrode plates to which the sealing films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dhered were immersed in a lithium salt solution.

참고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Al 금속과 필름 사이로 리튬염 용액이 스며들게 되며, 둘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리튬염 용액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어느 정도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지를 통하여 내화학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리튬염 용액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Al 금속과 실링 필름 간의 접착력이 좋다는 것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이러한 리튬염 용액에서의 내화학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실링 필름과 금속 간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For reference, as time goes by, the lithium salt solution is impregnated between the Al metal and the film,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two metals is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degree of chemical resistance through the degree of tensile strength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lithium salt solution. That is, good adhesion between the Al metal and the sealing film after a lapse of a certain time in the lithium salt solution mean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th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in the lithium salt solution means that the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sealing film and the metal is excellent .

리튬염 용액에 담근 후, 240시간 경과 후 인장강도 측정기로 필름과 금속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fter immersing in a lithium salt solutio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 and the metal was measured with a tensile strength meter after 240 hour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내화학성 접착력 (240시간 경과)Chemical Resistance Adhesion (240 hours elapsed) 실시예 1
(EVA + 폴리스티렌)
Example 1
(EVA + polystyrene)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계)
Comparative Example 1
(Polypropylene type)
비교예 2
(EVA)
Comparative Example 2
(EVA)
인장강도(kgf/15mm)Tensile strength (kgf / 15mm) 1.01.0 0.40.4 0.40.4

상기 표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층으로서 EVA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필름이 폴리프로필렌계(비교예 1), 또는 EVA(비교예 2)를 포함하는 비교예들보다 리드 탭(Al 극판)과의 우수한 열 접착력(열 접착강도)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우수한 내화학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s 1 and 2, when the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EVA and polystyrene as the inner layer was a polypropylene-based (Comparative Example 1) or EVA (Comparative Example 2) (Thermal bonding strength) with the lead tab (Al electrode plate), and thus it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1 : 전극군 1a, 1a' : 전극 단자
2, 2' : 리드 탭 3 : 외장재
4, 4’: 실링 필름 10 : 중간층
20 : 내층 30 : 외층
1: electrode group 1a, 1a ': electrode terminal
2, 2 ': Lead tab 3: Outer material
4, 4 ': sealing film 10: middle layer
20: inner layer 30: outer layer

Claims (10)

이차 전지의 리드 탭과 외장재 간을 밀봉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일면에 형성된 내층; 및
상기 중간층의 타면에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또는 내층 및 외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혼합 수지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A sealing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which seals between a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 casing,
Intermediate layer;
An inne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
And an oute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Wherein the inner layer or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are a mixed resin 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and polystyr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지 층의 폴리스티렌의 함량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tent of polystyrene in the mixed resin layer is 10-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비닐아세테이트(VA)를 23-3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comprises 23-32 wt% of vinyl acetate (V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는 용융지수(Melt Flow Index)가 10-30g/10분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has a melt flow index of 10-30 g / 10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지층은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xed resin layer further comprises an organic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의 함량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2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of the organic peroxide crosslinking agent is 20-2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퍼옥시케탈, 퍼옥시카보네이트 및 디알킬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oxyketals, peroxycarbonates, and dialkyl peroxi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지 층은 가교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ixed resin layer further comprises a crosslinking auxiliary ag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0.1-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폴리알릴 화합물 및 폴리(메타)아크릴로일옥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용 실링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rosslinking assis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allyl compound and a poly (meth) acryloyloxy compound.
KR1020130147833A 2013-11-29 2013-11-29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eased KR201500806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33A KR20150080655A (en) 2013-11-29 2013-11-29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33A KR20150080655A (en) 2013-11-29 2013-11-29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655A true KR20150080655A (en) 2015-07-10

Family

ID=5379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833A Ceased KR20150080655A (en) 2013-11-29 2013-11-29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65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22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
KR20180092819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s and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KR20180092821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
CN109957181A (en) * 2017-12-22 2019-07-02 韩国基础科学支持研究院 Composite cross-linked film for sealing lead tap of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22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
KR20180092819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s and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KR20180092821A (en)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네패스 Lead sealant film
CN109957181A (en) * 2017-12-22 2019-07-02 韩国基础科学支持研究院 Composite cross-linked film for sealing lead tap of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868B1 (en)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JP5211461B2 (en) Battery packaging materials
JP5402547B2 (en) Lead member, power storage device with lead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ad member
KR102660400B1 (en) Pouch film and secondary battery
JP4889828B2 (en) Solar cell sealing material, solar cell prot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20160060526A (en) Sealing member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JP2016184546A (en) Adhesive film for metal terminal
KR20150080655A (en)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661622B1 (en)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4241556A (en) Flexible package aluminum-plastic film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KR101394487B1 (en) Sealing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KR20160062870A (en) Sealing member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sealing using the member
KR102132844B1 (en) Secondary battery
KR20200003559A (en) Lead tab film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80092814A (en) Lead sealant films and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JP5301914B2 (en) Gasket and sealed secondary battery
JP6038600B2 (en) Sealant film for battery wrapp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10002958A (en) Film for electrode terminal of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same
KR101417995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lead taps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KR101412660B1 (en) Packing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P2005347721A (en) Filling material layer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KR20200132517A (en) Lead tab film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17123434A (en) Back side sealing material,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57484B1 (en) Cross-linked film for Lead tap sea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48252B1 (en) Lead sealant films and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