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74345A -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45A
KR20150074345A KR1020130162018A KR20130162018A KR20150074345A KR 20150074345 A KR20150074345 A KR 20150074345A KR 1020130162018 A KR1020130162018 A KR 1020130162018A KR 20130162018 A KR20130162018 A KR 20130162018A KR 20150074345 A KR20150074345 A KR 2015007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local
application
screen
exec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345A/ko
Priority to DE102014220381.3A priority patent/DE102014220381A1/de
Priority to US14/510,486 priority patent/US10455000B2/en
Priority to CN201410573685.9A priority patent/CN104731640A/zh
Publication of KR2015007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4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73Mobile devices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77Mirror link with mobi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89Wireless data transf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앱과 리모트 앱 간의 전환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과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 간의 전환 및 실행을 로컬 기기의 화면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소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에서 리모트 기기가 로컬 기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의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로컬 기기가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의 정보와 함께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서 로컬 기기의 자체 UI(User Interface)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앱을 실행하면, 리모트 기기에서 리모트 앱이 실행됨과 동시에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이 로컬 기기로 전송되어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Method for executing remote application in local apparatus}
본 발명은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과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 간의 전환 및 실행을 로컬 기기의 화면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소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comfortable car), 편리한 자동차(convenience car)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서 운전자는 운전 중 더 많은 기기를 조작하게 되었고, 더불어 자동차 내/외부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정보의 종류도 음성이나 문자, 그래픽, 영상 등으로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는데, 그 예로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Audio/Video System), 지도 정보나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등의 편의장치들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일체로 통합된 차량 단말기 형태로서 AVN(Audio Video & Navigation) 시스템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으며, 이러한 AVN 시스템은 차량에서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AVN 시스템의 헤드유닛과 같은 차량 단말기는 스마트 폰 등의 스마트 기기와 같이 차량 출고시 설치된 앱(Application Software)이나 통신으로 다운받아 설치한 앱을 실행시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로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출력이 모두 가능한 표시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차량에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여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기 간의 미러링 기술, 즉 스마트 기기를 USB나 블루투스 방식으로 차량에 연결한 뒤 스마트 기기의 표시 화면이 차량의 표시장치를 통해 그대로 표시되도록 하는 미러링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즉,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를 차량에 연결한 후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의 화면(로컬 화면)에서 미러링 앱(Mirroring App.)을 실행시키면 스마트 기기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리모트 화면)이 차량의 표시장치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이때, 차량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미러링 화면)에서 스마트 기기의 앱(리모트 앱)을 실행시키면 앱의 실행 화면이 표시장치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표시장치는 차량 단말기의 앱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도 표시하게 된다.
다만, 종래에는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위해 차량 단말기에서 미러링 앱을 실행시킨 뒤 미러링 화면으로 전환되고 나면 리모트 환경의 앱, 즉 스마트 기기의 앱을 실행시킬 수 있었으며, 차량 단말기의 앱과 스마트 기기의 앱 간을 전환하기 위하여 차량의 표시장치 또는 입력장치를 통한 별도의 조작(미러링 및 그 해제를 위한 조작 등)이 필요하였다.
도 1은 차량의 표시장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는 차량의 표시장치에서 스마트 기기의 앱을 실행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로컬 화면(도 1의 (a) 화면), 즉 차량 단말기가 제공하고 있는 UI 화면에서 미러링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 기기의 표시 정보가 차량 표시장치에 동일한 화면(미러링 화면)으로 표시된다(도 1의 (b) 참조).
이어 차량 표시장치의 미러링 화면에서 지도 앱을 실행시키면,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지도 앱 화면이 그대로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지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도 1의 (c) 참조).
좀더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단말기가 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그대로 이용한다.
또한, 차량 단말기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고 나면, 미러링 앱의 실행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표시 화면이 그대로 차량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데, 이때 표시장치는 스마트 기기의 표시 화면과 동일한 화면, 즉 스마트 기기의 OS가 제공하는 UI 화면을 그대로 제공받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단말기의 앱을 이용하다가 스마트 기기의 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단말기의 UI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별도 조작(미러링 앱 실행 등)을 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미러링을 통해 차량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용 UI 화면을 이용하여 로컬 앱을 실행시킨 후 이용하다가, 다시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의 리모트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 차량 표시장치의 표시 화면을 스마트 기기의 표시 화면으로 전환시킨 후 앱을 실행시켜야 한다.
따라서, 앱 간의 전환을 위해 기기 간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 앱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자체 OS(예를 들면, iOS나 안드로이드 폰용 OS)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앱을 실행하고 전환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있으며, 홈 화면에서 바로 앱을 실행하거나, 메뉴 키를 눌러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는 앱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로컬 앱(기기 자체에 설치된 앱)에 대해서만 고려가 되어 있는 것일 뿐, 스마트 기기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기기의 앱 실행 및 전환에 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현재 리모트 앱 및 미러링 기술의 대부분은 리모트 기기의 리모트 화면(연결된 다른 리모트 기기의 표시 화면,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의 표시 화면)이 로컬 표시장치(예로, 차량의 표시장치)의 미러링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 후, 로컬 표시장치에 표시된 리모트 기기의 앱(리모트 앱)을 실행하거나 실행 중인 앱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기술만 알려져 있을 뿐, 최소의 조작으로 로컬 기기와 리모트 기기 간의 앱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차량 단말기에서 자체 UI를 통해 로컬 앱을 실행시킨 후 다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 미러링을 통해 차량 표시장치에 스마트 기기의 UI(리모트 화면)가 표시되도록 한 뒤, 미러링 하면에서 리모트 앱(스마트 기기에 설치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앱)을 실행시켜야 한다.
이와 반대로, 다시 차량 단말기의 로컬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별도 조작을 통해 미러링을 해제한 후 차량의 표시되는 차량 단말기용 UI를 통해 로컬 앱을 실행시킨다.
결국,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와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 간의 앱 전환을 위해 각각의 자체 UI 화면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조작이 필요하므로, 로컬 앱과 리모트 앱 간의 전환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과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 간의 전환 및 실행을 로컬 기기의 화면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소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서 리모트 기기가 로컬 기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의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로컬 기기가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의 정보와 함께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서 로컬 기기의 자체 UI(User Interface)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앱을 실행하면, 리모트 기기에서 리모트 앱이 실행됨과 동시에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이 로컬 기기로 전송되어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기기는, 현재 멀티태스킹 상태로 실행 중에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축소된 실행 화면, 또는 현재 실행 중에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정보를 상기 UI(User Interface) 화면 내에 별도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으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에 표시된 현재 실행 중에 있는 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앱의 실행 화면이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앱의 정보와 로컬 앱의 정보는 해당 앱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임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을 가공하여 로컬 앱과 구분되게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로컬 앱과 구분되게 모양 또는 색상을 변경하거나 테두리를 형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임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을 로컬 기기의 UI 화면 내 정해진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컬 기기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이고, 상기 리모트 기기는 차량 내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가 연결될 경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의 아이콘이 자동으로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현재 실행 중인 스마트 기기의 리모트 앱과 차량 단말기의 로컬 앱을 별도의 멀티태스킹 전환 UI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리모트 앱의 실행 과정, 리모트 앱과 로컬 앱 간의 전환 과정 등이 보다 편리하고 간소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리모트 앱의 정보가 표시되므로 리모트 앱에 대해서도 로컬 앱처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하나의 화면에서 하나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표시장치에서 스마트 기기의 앱을 실행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로컬 기기인 차량 단말기와 리모트 기기인 스마트 기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 연결 전후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리모트 앱 실행 후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과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 간의 전환 및 실행을 로컬 기기의 화면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소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로컬 화면에서 로컬 앱 및 리모트 앱을 바로 실행 및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본 발명에서 리모트 기기가 로컬 기기에 연결되면, 로컬 기기가 리모트 앱의 아이콘들을 표시함과 더불어 멀티태스킹 상태로 현재 실행 중에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선택 및 전환을 위한 멀티태스킹 전환 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로컬 기기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차량 단말기가 될 수 있고, 리모트 기기는 로컬 기기(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통해 화면이 표시되도록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로컬 화면은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가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을 의미하며, 이는 스마트 기기의 표시장치가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 즉 리모트 화면과는 구분하여 이해해야 한다.
또한, 로컬 앱은 로컬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앱(Application Software)을 의미하며, 리모트 앱은 리모트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앱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로컬 기기인 차량 단말기(10)와 리모트 기기인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등)(20)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 단말기(10)의 표시장치(11)에서 표시되고 있는 로컬 화면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먼저, 차량에 스마트 기기(20)가 USB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면,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20)는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10)에서의 조작으로 실행될 수 있으면서 미러링을 통해 그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리모트 앱에 대한 정보를 차량 단말기(10)에 전달한다.
또한, 역으로 차량 단말기(10)에서도 앱 전환에 사용되는 정보를 스마트 기기(20)에 전달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앱에 대한 정보는 앱 실행 아이콘과 앱 이름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 차량 단말기(10)는 스마트 기기(20)에서 전송된 리모트 앱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장치(11)를 통해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입력받은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차량 단말기 자체에 설치된 로컬 앱의 실행 아이콘과 구별될 수 있도록 모양, 색상, 테두리 등을 변경한 후 표시장치의 화면(로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의 가공 없이 로컬 앱의 실행 아이콘들과 구분될 수 있게 표시장치의 표시 화면에서 별도 정해진 영역에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들을 로컬 앱 실행 아이콘과 구분될 수 있도록 모양, 색상, 테두리 등을 변경하거나 다른 영역에 표시하여 기존의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이 같은 사용성을 갖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 연결 전후의 화면(로컬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차량에 스마트 기기(리모트 기기)가 연결되기 전의 홈 화면이고, (b)는 차량에 스마트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들이 표시된 홈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리모트 앱 실행 후 차량 단말기(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로컬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리모트 앱 실행 후 표시되는 화면(지도 앱 실행 화면)을, (b)는 리모트 앱 실행 중 홈 화면으로 전환된 나타낸다.
도 3과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면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에는 차량 단말기에서 조작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앱, 즉 리모트 앱의 가공된 정보인 실행 아이콘이 로컬 앱과 구분되도록 표시되고 있다(테두리를 굵은 선으로 변경하여 구분함).
또한, 차량 단말기는, 리모트 앱의 가공된 정보(실행 아이콘)와 함께 표시되는 표시정보로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축소된 실행 화면 또는 실행 중인 앱의 정보인 아이콘을 표시하는 멀티태스킹 전환 UI를 제공한다.
상기 멀티태스킹 전환 UI의 화면은 실행 가능한 앱(스마트 기기 연결 전에는 로컬 앱, 스마트 기기 연결 후에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임)의 실행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홈 화면 일측에 표시된다(도 3 및 도 4의 (b) 참조).
도 3과 도 4의 (b)를 참조하면, 실행 가능한 앱의 실행 아이콘들이 홈 화면의 좌측에, 그리고 멀티 태스킹 전환 UI는 우측에 배치되고 있으며, 멀티 태스킹 전환 UI에는 현재 실행 중인 앱의 실행 화면들이 축소된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태스킹 전환 UI 내에, 상기한 축소 화면 대신, 현재 실행 중인 앱(백그라운드 실행 앱)의 정보,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앱의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사용자가 차량 단말기에서 가공되어 표시장치에 표시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도 3의 (b) 홈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눌러 선택하면, 선택된 리모트 앱이 바로 실행되고, 실행 후 표시장치의 화면(로컬 화면)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의 화면(리모트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로컬 화면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리모트 앱 실행 후 스마트 기기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화면으로서, 차량 단말기는 리모트 앱 실행 후 스마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앱 실행 화면을 전송받아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차량 단말기가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리모트 앱 실행 화면을 스마트 기기의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화면으로 가공 없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미러링 화면을 적절히 가공하여 차량 표시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UI 형태로 변경한 후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로컬 화면에서 리모트 앱 실행 화면을 터치하거나 별도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 다시 도 4의 (b)에 나타낸 홈 화면으로 전환되며, 이때 멀티태스킹 전환 UI의 화면에 실행 중인 리모트 앱이 추가되어 함께 표시된다.
상기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에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 중인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실행 중인 리모트 앱의 아이콘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에서도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이 함께 표시되므로, 리모트 앱과 로컬 앱이 구분될 수 있게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 또는 실행 아이콘이 적절히 가공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는데, 도 4의 (b)에서와 같이 화면의 테두리를 변경하여 로컬 앱과 구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에서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으로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현재 스트림 또는 이전 스트림의 화면을 저장한 뒤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리모트 앱뿐만 아니라 로컬 앱의 실행 화면들이 표시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원하는 앱(로컬 앱 및 리모트 앱 모두에 해당함)을 선택하면 선택된 앱의 실행 화면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지도 앱 실행시를 예시하고 있는바, 리모트 앱 실행 아이콘인 도 3의 (b)의 지도 아이콘을 클릭하면, 스마트 기기의 지도 앱이 실행되고, 지도 앱의 실행 화면이 차량 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장치를 통해 도 4의 (a)와 같이 표시된다.
이어 실행 화면을 터치하면 다시 도 4의 (b)에 나타낸 홈 화면으로 복귀되는데, 이때 홈 화면의 멀티태스킹 전환 UI에는 실행 중인 지도 앱 실행 화면이 추가되어 표시되며, 이후 멀티태스킹 전환 UI에서 다른 앱을 선택하면 그 앱의 실제 실행 화면이 크게 확대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홈 화면에서 다른 실행 아이콘을 눌러 새로운 앱을 실행하면 동일한 방식으로 새로이 실행된 앱의 실행 화면이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단말기
11 : 표시장치
20 : 스마트 기기

Claims (7)

  1. 차량에서 리모트 기기가 로컬 기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기기에 설치된 리모트 앱의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로컬 기기가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로컬 기기에 설치된 로컬 앱의 정보와 함께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서 로컬 기기의 자체 UI(User Interface)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리모트 앱의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앱을 실행하면, 리모트 기기에서 리모트 앱이 실행됨과 동시에 리모트 기기로부터 리모트 앱의 실행 화면이 로컬 기기로 전송되어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컬 기기는,
    현재 멀티태스킹 상태로 실행 중에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축소된 실행 화면, 또는 현재 실행 중에 있는 로컬 앱과 리모트 앱의 정보를 상기 UI(User Interface) 화면 내에 별도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으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멀티태스킹 전환 UI 화면에 표시된 현재 실행 중에 있는 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앱의 실행 화면이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앱의 정보와 로컬 앱의 정보는 해당 앱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임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을 가공하여 로컬 앱과 구분되게 로컬 기기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모양 또는 색상을 변경하거나 테두리를 형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로컬 기기는 리모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임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리모트 앱의 실행 아이콘을 로컬 기기의 UI 화면 내 정해진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컬 기기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이고, 상기 리모트 기기는 차량 내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KR1020130162018A 2013-12-24 2013-12-24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Ceased KR20150074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18A KR20150074345A (ko) 2013-12-24 2013-12-24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DE102014220381.3A DE102014220381A1 (de) 2013-12-24 2014-10-08 Verfahren zum Ausführen einer Fernanwendung in einer lokalen Vorrichtung
US14/510,486 US10455000B2 (en) 2013-12-24 2014-10-09 Method for executing remote application in local device
CN201410573685.9A CN104731640A (zh) 2013-12-24 2014-10-23 用于在本地设备中执行远程应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18A KR20150074345A (ko) 2013-12-24 2013-12-24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45A true KR20150074345A (ko) 2015-07-02

Family

ID=5327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18A Ceased KR20150074345A (ko) 2013-12-24 2013-12-24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55000B2 (ko)
KR (1) KR20150074345A (ko)
CN (1) CN104731640A (ko)
DE (1) DE1020142203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280A (ko) * 2015-11-06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99897B2 (en) 2020-03-05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6757B1 (en) * 2015-01-27 2019-11-12 Nutanix, Inc. Architecture for implementing centralized management for a computing environment
US20170337900A1 (en) * 2016-05-17 2017-11-23 Google Inc. Wireless user interface projection for vehicles
CN107273125B (zh) * 2017-06-13 2021-03-30 深圳市创维群欣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切换屏幕模式的方法及系统
US11030827B2 (en) * 2018-01-12 2021-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tributed services redistribution
WO2025010215A1 (en) * 2023-07-06 2025-01-09 Magna Exteriors, Inc. Vehicular interactive display at exterior side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8136T2 (de) * 1989-08-03 1998-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rmonk, N.Y. Arbeitsplatz und entsprechendes betriebsverfahren
KR101690786B1 (ko) 2010-02-12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017866B1 (ko)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KR101281448B1 (ko) 2010-11-29 2013-07-03 팅크웨어(주) 아이콘 조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단말 장치
JP2012149998A (ja) 2011-01-19 2012-08-0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機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載機器及び携帯端末
WO2012133981A1 (ko) * 2011-03-25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30826B1 (ko) 2011-04-11 2013-11-15 주식회사 내비퀘스트 스마트폰과 상호 연동하는 스마트 에이브이엔 시스템
JP5743082B2 (ja) 2011-05-26 2015-07-0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ホスト装置及び携帯装置
JP5658366B2 (ja) * 2011-07-22 2015-01-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機による遠隔操作システム
US8781810B2 (en) * 2011-07-25 2014-07-1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ve generation of compound words in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JP5944689B2 (ja) 2012-02-22 2016-07-0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機、および、車載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
JP5927719B2 (ja) 2012-05-09 2016-06-01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東日本 画面変換システム
US20130307871A1 (en) * 2012-05-17 2013-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ing Remote Content with Local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280A (ko) * 2015-11-06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99897B2 (en) 2020-03-05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1640A (zh) 2015-06-24
DE102014220381A1 (de) 2015-06-25
US20150180952A1 (en) 2015-06-25
US10455000B2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345A (ko)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EP2860615B1 (en) Display device
CN104704461B (zh) 便携终端装置、车载装置、以及车载系统
US9244696B2 (en) In-car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EP2857265B1 (en) On-board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10623549B2 (en) Method of outputting screens from server and client devices in performing mirrorlink
US20110106365A1 (en) In-vehicle device for storing gadget
US20140281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uidance of gesture input on a touch pad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90983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40181749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program for the same
US20150160826A1 (en) Electronic Device
KR101736170B1 (ko)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화면 전환 방법
TWI742421B (zh) 使用者介面整合方法和車載裝置
KR20130028230A (ko) Avm시스템 정보와 avn시스템 정보의 표시 방법
KR20170064152A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40242973A1 (en)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47495B1 (ko)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4765893B2 (ja) タッチパネル搭載装置、外部装置、及び外部装置の操作方法
GB2502595A (en)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compatibility notification when a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an In-Vehicle device
KR20120086578A (ko) 차량용 avn 장치 및 그 지도와 동영상 표시 방법
US20140208221A1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Support Program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18054B1 (ko)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CN107077293B (zh) 图像描绘装置
JP6325231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