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200A - 식품 제조를 위한 브루잉 유닛 - Google Patents
식품 제조를 위한 브루잉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3200A KR20150073200A KR1020157013143A KR20157013143A KR20150073200A KR 20150073200 A KR20150073200 A KR 20150073200A KR 1020157013143 A KR1020157013143 A KR 1020157013143A KR 20157013143 A KR20157013143 A KR 20157013143A KR 20150073200 A KR20150073200 A KR 20150073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wing unit
- cavity
- cavity portion
- enclosing
- fo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claims 4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0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7 dimini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8 in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7 product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브루잉 유닛 (3) 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루잉 유닛은 연결 수단 (6, 7, 8) 을 통하여 가압 유체 소스 (2) 에 해제가능하고 누밀하게 연결가능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은 유체 주입 수단 (19), 및 상기 브루잉 유닛 (3) 이 상기 식품 제조 성분과 혼합하기 위해 가압 하에 상기 식품 제조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상기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도록 조립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캐비티 부분들 (10, 11)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은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이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캐비티 부분들 (10, 11) 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 (22, 23, 24)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휴대용 브루잉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 기계, 바람직하게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식품 제조 시스템들은 식품 과학과 소비재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소비자가 가정에서 특정 타입의 식품, 예를 들어 커피 기반 음료, 예컨대 에스프레소 또는 브루형 (brew-like) 커피 컵과 같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들로 그것의 특정 적용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파티클 (허브, 크루톤 등) 을 포함한 수프, 젤리, 유제품 (예컨대 요구르트, 크림 디저트 등), 또는 임의의 종류의 유사 비액체 유동성 식용 제품과 같은 비음료 상품 제조를 위한 시스템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오늘날, 가정에서 식품 및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대부분의 제조 시스템들은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1회용으로 개별 포장된 (portioned) 성분을 수용할 수 있는 소위 "브루잉 챔버" 또는 "브루잉 유닛" 을 가지는 기계를 포함한다. 소위 "브루잉 유닛" 은, 식품 또는 음료 성분을 놓을 수 있는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기 위해서 조립되도록 설계된 여러 부분들을 포함한다. 브루잉 유닛은, 후에 브루잉 유닛에서 소비자에게 분배되는 대응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성분을 통하여 전형적으로 물인 유체와 같은 제조 매체를 가압 하에 주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조 유체는, 브루잉 유닛이 연결되는 기계의 유체 안내 시스템으로부터 얻는다. 전형적으로 1 ~ 20 bar 이고, 바람직하게 2 ~ 15 bar (상대 압력) 인 대기압 초과 압력으로 브루잉 유닛 내에서 제조가 수행된다. 제조 유체를 산개한 형태의 성분으로 또는 캡슐 또는 포드 (pod) 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제조가 수행될 수 있다. 이 이유로, 캐비티 내부 압력 (전형적으로 유체 압력, 예컨대 수압) 이 증가할 때 개방하지 않으면서 캐비티 내부 압력과 주위 압력 (대기압과 일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등가임) 사이 압력 차이를 견딜 수 있는 것이 브루잉 유닛의 필수적 특징이다.
성분 포션들은 그것을 브루잉 유닛의 캐비티로 넣기 전 사전 도우징될 수 있고, 연성 포드들 또는 패드들, 또는 봉지들 (sachets) 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점점 더 많은 시스템들이 강성 포드들 또는 캡슐들과 같은 반강성 또는 강성 포션들을 이용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음료 기계는, 강성 또는 반강성 캡슐과 작업하거나, 기계의 브루잉 유닛에 직접 놓여질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 알갱이들과 같은 산개한 형태의 성분과 작업하는 음료 제조 기계인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전술한 대로, 기계의 소위 "브루잉 유닛" 은 예를 들어 캡슐에 들어 있는 상기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또는 캐비티, 및 예를 들어 성분을 담고 있는 캡슐의 벽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성분을 통하여 가압 하에 유체, 바람직하게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체 주입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성분을 통하여 가압 하에 주입되는 물은 바람직하게 뜨겁고, 다시 말해서 70 ℃ 를 초과하는 온도로 있다. 하지만, 어떤 특정한 경우에, 그것은 또한 주위 온도로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심지어 냉각될 수도 있다. 성분의 추출 및/또는 용해 중 브루잉 유닛 내부의 압력은 전형적으로 제품 용해를 위해 약 1 ~ 약 8 bar 이고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의 추출을 위해 약 2 ~ 약 12 bar 이다.
정의상, 브루잉 유닛은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안내하는 수단 (예컨대, 예를 들어 니들과 같은 유체 주입 수단), 및 "폐쇄된 캐비티", 다시 말해서 상기 브루잉 유닛 내에 성분을 홀딩하는 캐비티를 포함하여서, 전체 식품 또는 음료 제조 사이클 중, 그리고 상기 브루잉 유닛의 분배 개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될 최종 식품 또는 음료로서 상기 성분이 추출 또는 용해될 때까지 상기 성분은 그것을 통과하는 유체의 영향 하에 상기 캐비티 밖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또한, 브루잉 유닛의 소위 "폐쇄된" 캐비티는, 물론 소비자에게 전달될 최종 식품 또는 음료를 제외하고, 캐비티 안에 주입된 유체가 상기 브루잉 유닛을 이탈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브루잉 유닛" 은, 제조 프로세스 중 그리고 최종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 - 산개되어 있거나 캡슐 또는 포드에 들어 있는 - 성분을 홀딩하고 제조 유체를 상기 성분으로 향하게 하고 제조 유체를 상기 성분과 혼합하는데 필요한 모든 작동 요소들을 포함한다. 모든 단계들에서, 브루잉 유닛은 그것의 캐비티 내부와 외부 사이 압력 차이에 저항하여서,
- 유체는 단지 캐비티로 진입 지점으로부터 성분을 통하여 캐비티의 음료 분배 개구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고,
- 성분이 캡슐 또는 포드에 들어 있는 경우, 내부의 유체 압력 증가가 상기 캡슐 또는 포드의 벽들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브루잉 유닛은 상기 캡슐 또는 포드를 봉입한다.
오늘날 공지된 식품 및 음료 제조 시스템들에서, 브루잉 유닛은 기계로 내장된다. 어떤 경우에, 예를 들어 캡슐들과 작동하는 일부 음료 제조 시스템들에서, 전체 브루잉 유닛의 일부는 분리 가능하고, 이것은 종종 "캡슐 홀더" 로 지칭된다. 하지만, 이러한 캡슐 홀더들은 성분을 완전히 담고 있지는 않다. 메인 기계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의 이러한 요소들은 소비자에게 편리한데 왜냐하면 그것은 상기 브루잉 유닛으로 성분을 쉽게 놓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몇 가지 공지된 음료 제조 시스템들에서, 브루잉 유닛의 일부는 예를 들어 성분이 내부에 봉입된 폐쇄된 캡슐 내에서 가압 하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가압 하에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 주입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1 688 072 Bl 에서 설명되고, 이 특허는 엄밀히 말하면 전체 브루잉 유닛으로서 고려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캡슐에 담긴) 성분을 봉입하고, 또한 상기 성분을 통하여 제조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수단을 포함할지라도, 그것은 상기 캡슐이 압력 증가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하게 성분 캡슐을 봉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캡슐을 완전히 봉입하도록, EP 1688 072 Bl 에 개시된 시스템은, 기계의 일부이고 가압 하에 유체가 성분을 통하여 주입될 때 캡슐을 완전히 봉입하도록 분리 가능한 캡슐 홀더와 협동작용하는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분리 가능한 캡슐 홀더는, 그것이 메인 기계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성분 내에서 (즉 성분을 담고 있는 캡슐 내에서) 잔류 압력이 두 부분을 밀어서 개방 구성으로 되게 할 수 있고 잔존 유체는 역류하여 캡슐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불리하다. 역류 및 유출을 유발하는, 내부 압력의 영향 하에 브루잉 유닛의 원치 않는 개방은 안전상 이유 (특히 유체가 온수일 때) 및 명백한 청결상 이유 때문에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PCT 출원 WO 97/43937 은 가포장된 커피 도우즈를 위한 어댑터를 개시한다. 어댑터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2 개의 부품들, 즉 커피 도우즈 홀더, 및 도우즈 홀더를 폐쇄하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 선회할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한다. 어댑터는 어댑터를 커피 기계로 배치하는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어댑터가 커피 기계에 고정되고 나면, 뚜껑과 도우즈 홀더는 분리될 수 없고 서로에 대해 로킹되는데, 왜냐하면 어댑터를 커피 기계로 부착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상기 어댑터의 하부에 존재하여서, 어댑터가 커피 기계에 부착될 때, 뚜껑은 상기 도우즈 홀더와 상기 기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US 특허 출원 US 2011/0162533 은 핸드 로딩 전기 커피 기계의 커피 홀딩 아암을 개시한다. 그것은 레버, 캡슐을 홀딩하기 위한 컨테이너, 컨테이너로 폐쇄될 때 커피 제조를 허용하기 위해서 캡슐을 관통하도록 컨테이너에 피벗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는 캡슐 천공 기기를 포함한다. 커피 홀딩 아암을 커피 기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이 컨테이너에 놓여서, 상기 커피 홀딩 아암이 기계에 기능적으로 고정될 때, 천공 기기는 기계와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하고 결과적으로 컨테이너와 천공 기기는 분해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시스템들의 단점들을 제거할 수 있고 연결될 유체 소스와 완전히 분리하여 세정될 수 있는 완전히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시에 안전하고 다양한 사용 구성들을 제공하는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제시된 주요 목적은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으로 충족되고, 상기 브루잉 유닛은 연결 수단을 통하여 가압 유체 소스에 해제가능하고 누밀하게 연결가능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은 유체 주입 수단, 및 상기 브루잉 유닛이 상기 성분과 혼합하기 위해 가압 하에 상기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상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도록 조립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은 상기 가압 유체 소스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상기 캐비티 부분들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이 상기 유체 소스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내부 압력에 대해 상기 캐비티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주위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캐비티 안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개의 경우에, "주위 압력" 은 대기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캐비티 부분들 중 단 하나의 부분이어서, 상기 브루잉 유닛의 다른 캐비티 부분이 상기 유체 소스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때, 다른 캐비티 부분은 상기 유체 소스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후자의 캐비티 부분은 유체 소스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고, 예를 들어 상기 캐비티 부분은 브루잉 유닛의 다른 캐비티 부분들에 대해 개방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 부분은 여전히 유체 소스에 기능적으로 링크된 다른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 가능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체 소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예를 들어 온수를 분배하는 것과 같은 비표준 작동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유닛의 캐비티 부분은 유체 소스에 연결된 상태로 있고, (예컨대 연결부 아래에 배치된) 다른 캐비티 부분은 제거되어서, 유체 소스는 분배될 유체를 연결된 캐비티 부분 바로 아래로 전달할 수 있고 브루잉 유닛의 폐쇄된 캐비티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표준 모드는 예를 들어 브루잉 유닛의 유체 주입 수단 (예컨대 니들) 의 유지보수 또는 디스켈링 사이클과 같은 특정한 사용에서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성분은 폐쇄된 캡슐, 개방 캡슐, 또는 포드에 들어 있다.
유리하게도, 캐비티 부분들은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 선회함으로써 조립/분해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분해된" 이라고 하면, 브루잉 유닛의 캐비티가 개방되도록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그것은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이 완전히 서로 분리되어 있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가압 유체 소스는 유리하게도 유체 리저버, 및 유체 안내 파이프들을 통하여 상기 유체를 인출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기계 베이스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기에 적합한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상기 로킹 수단은, 다른 캐비티 부분의 대응하는 베이어닛 핀들과 협동작용하는 하나의 캐비티 부분에 후크들 및/또는 요홈들을 구비한 베이어닛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상기 베이어닛 기구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캐비티 부분을 다른 캐비티 부분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로킹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상기 로킹 수단은 제 1 캐비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구비하고 다른 캐비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금속 요소를 구비한 자기 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로킹 수단은 액슬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로드를 구비한 니 (knee) 레버 폐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액슬은 편심되어 있다.
제 4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로킹 수단은, 링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슬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분들이 상기 브루잉 유닛의 폐쇄된 구성으로 조립될 때 메이팅하는 캐비티 부분들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링은,
i. 상기 브루잉 유닛을 폐쇄된 구성으로 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링이 양 돌출부들을 모으는 제 1 위치, 및
ⅱ. 상기 브루잉 유닛을 로킹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링이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를 풀어주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는 다른 돌출부보다 짧다.
임의의 경우에,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과 분리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브루잉 유닛은, 상기 캐비티 부분들이 함께 조립되어 로킹될 때 상기 브루잉 유닛의 외부로 유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브루잉 유닛의 캐비티 부분들 사이 계면에 위치한 O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브루잉 유닛의 원추형 보어, 및 상기 유체 소스의 가요성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의 팁이 누설 방지되게 상기 보어로 끼워져 눌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 호스의 외경은 원추형 보어의 보다 큰 내경과 보다 작은 내경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브루잉 유닛은 물 및 세제 내성이고, 15 ℃ ~ 85 ℃, 바람직하게 18 ℃ ~ 70 ℃ 의 온도로 식기세척기에서 세척가능하고,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PS), 폴리카보네이트 (PC), 금속, 합금,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그것의 조합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부가적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제시되는 본원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고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는 분리된 브루잉 유닛 및 기계 베이스의 연결부의 개략적 사시 부분 절단도이다.
도 3 은 도 2 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브루잉 유닛이 기계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는 내부에 성분 캡슐을 삽입할 때, 개방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 는 상기 브루잉 유닛을 폐쇄할 때, 도 4 와 유사한 도면으로, 캡슐은 브루잉 유닛 캐비티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6 은 하부 캐비티 부분에 대한 상부 캐비티 부분의 회전 적용에 의해 브루잉 유닛을 로킹할 때 도 5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 은 폐쇄 및 로킹된 구성에서 동일한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나타낸 도 6 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 는 분리된 브루잉 유닛 및 기계 베이스의 연결부의 개략적 사시 부분 절단도이다.
도 3 은 도 2 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브루잉 유닛이 기계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는 내부에 성분 캡슐을 삽입할 때, 개방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 는 상기 브루잉 유닛을 폐쇄할 때, 도 4 와 유사한 도면으로, 캡슐은 브루잉 유닛 캐비티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6 은 하부 캐비티 부분에 대한 상부 캐비티 부분의 회전 적용에 의해 브루잉 유닛을 로킹할 때 도 5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 은 폐쇄 및 로킹된 구성에서 동일한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나타낸 도 6 과 유사한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고, 브루잉 유닛은 음료 제조 기계 베이스인 유체 소스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유닛과 상기 베이스의 연결이 기능적 음료 제조 기계를 구성한다.
도 1 에 도시된 대로, 음료 제조 기계 (1) 는 메인 기계 베이스 (2),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 (3), 및 성분 캡슐 (도 1 에 미도시됨) 을 포함한다. 캡슐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금속, 종이, 또는 그것의 조합물로 만들어진 폐쇄된 캡슐이다.
가압 하에 폐쇄된 캡슐의 내용물을 추출 및/또는 용해하는 일반 원리는 공지되어 있고, 전형적으로 기계의 브루잉 캐비티에 캡슐을 삽입하고, 물질을 추출시키거나 물질을 용해하기 위해서 캡슐 내부에 가압 환경을 조성한 후 캡슐을 통하여 추출된 물질 또는 용해된 물질을 방출하도록, 일반적으로 기계의 브루잉 유닛과 연관된 유체 주입 니들과 같은 관통 주입 요소로 캡슐의 면을 관통한 후, 일정량의 (a quantity of) 가압수를 캡슐로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유체가 캡슐 격실에 주입될 때, 압력이 축적되고, 이것은 캡슐 안에 들어 있는 성분들을 추출 및/또는 용해하기 위한 추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예를 들어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의 베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와 조합하여, 성분들은 예를 들어 음료 프리믹스들 (premixes) 과 같은 가용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원리 적용을 허용하는 캡슐들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 EP 1472156 Bl 호, 및 제 EP 1784344 Bl 호에서 설명된다. "가압된" 물이라고 하면, 즉 - 일반적으로 대기압과 등가인 - 주위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기계의 리저버로부터 펌핑되는 물 (또는 등가의 추출 유체) 을 의미한다.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의 추출, 가용성 성분들 (커피, 차, 초콜릿 등) 의 용해, 또는 차 잎과 같은 불용해성 재료의 우려내기와 같은 음료 제조를 위해, 작동 압력은 일반적으로 1 ~ 20 bar (대기압에 대한 상대 압력), 바람직하게 2 ~ 15 bar 이다.
기계 베이스 (2) 는, 캡슐에 들어 있는 성분(들)을 가압 하에 용해 및/또는 우려내기 및/또는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유체 - 대부분의 경우에 이 유체는 물임 - 를 저장하기 위한 유체 리저버 (4) 를 포함한다. 기계는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작동 온도 (관례적으로 80 ~ 90 ℃ 까지의 온도) 로 데울 수 있는 보일러 또는 열교환기와 같은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끝으로, 기계는 탱크로부터 캡슐로, 선택적으로 가열 요소를 통하여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요소를 포함한다. 물이 기계 내에서 순환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2162653 Bl 에서 설명된 타입의 연동 밸브와 같은 선택 밸브 수단을 통하여 예컨대 선택된다.
기계 베이스 (2) 는 리저버로부터 브루잉 유닛 및 내부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 안내 파이프들을 포함한다. 유체 안내 파이프들은, 브루잉 유닛 (3) 의 대응하는 연결 수단을 통하여, 브루잉 유닛을 상기 베이스 (2) 에 해제가능하게 조립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베이스 (2) 와 브루잉 유닛 (3) 의 연결은 누설 방지 유체 연결이다. 그것은 또한 데이터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2) 와 브루잉 유닛 (3) 사이 데이터 연결은 둘 사이 접촉에 의해 (예컨대 전기 접촉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그것은 비접촉식일 수 있다 (예컨대 WIFI, RFID, GSM, 블루투스, 또는 등가의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준). 기계 베이스 (2) 와 브루잉 유닛 (3) 사이 비접촉식 연결의 장점은, 둘 사이 데이터 전달이 시스템의 물리적 요소들의 청결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고: 음료 시스템의 여러 요소들 중 하나가 더러운 경우 (예컨대 기계 베이스 또는 브루잉 유닛의 일부 부품들로 액체, 물, 성분, 또는 제품의 유출), 둘 사이 데이터 전송 품질이 감소하지 않고, 또는 중단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2) 와 분리 가능한 브루잉 유닛 (3) 사이 연결 수단이, 바람직하게 기계의 전방측에서, 소비자에게 쉽게 접근가능하도록 기계 베이스 (2) 는 구성된다. 기계는 컵 홀더 (5) 를 추가로 포함하고, 컵 홀더는 다른 컵 크기들에 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이동가능하다. 컵 홀더 (5) 는 브루잉 유닛 (3) 아래에 배치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브루잉 유닛은 상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도록 조립가능한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브루잉 유닛은 상기 성분과 혼합하기 위해 가압 하에 상기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브루잉 유닛 (3) 은 상부 캐비티 부분과 하부 캐비티 부분을 포함한다. 양 캐비티 부분들은 피벗 힌지를 통하여 서로 힌지결합된다. 하부 캐비티 부분은, 특히 기계 베이스로 삽입 및 기계 베이스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브루잉 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브루잉 유닛의 연결 수단은 기계 베이스의 대응하는 연결 리세스로 끼워맞춤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상부 캐비티 부분의 일부이고, 보다 특히, 돌출부는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다. 브루잉 유닛이 기능적으로 베이스에 연결될 때, 하부 캐비티 부분은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부 캐비티 부분을 로킹해제한 후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을 분해함으로써 분해될 수 있고 - 즉 캐비티를 개방하도록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상기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 반면에 상부 캐비티 부분은 여전히 기능적으로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기계의 유지보수 또는 디스켈링 사이클 수행과 같은 어떤 특정한 경우에 요구될 수 있다. 그런 특정한 경우에, 힌지를 중심으로 가장 넓은 개방 구성으로 브루잉 유닛을 완전히 개방한 후, 선택적으로 브루잉 유닛의 나머지로부터 하부 캐비티 부분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 하부 캐비티 부분을 떼어냄으로써 하부 캐비티 부분은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브루잉 유닛의 나머지에 대한 하부 캐비티 부분의 완전한 분리는, 상기 힌지의 피벗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경로를, 피벗 힌지가 피벗 선회하는 요홈에 제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임의의 경우에,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의 분해를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한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의 로킹해제는 브루잉 유닛에 사용되는 로킹 수단의 타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수단이 베이어닛 타입이라면, 다른 캐비티 부분에 의해 지탱되는 대응하는 베이어닛 요홈으로부터 하나의 캐비티 부분에 의해 지탱되는 베이어닛 핀들을 맞물림해제하기 위해서, 상부 캐비티 부분에 대해 하부 캐비티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킹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어닛 운동은 캐비티 부분의 로킹 링을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링은 2 개의 캐비티 부분들을 함께 각각 로킹 또는 로킹해제시킬 수 있도록 다른 캐비티 부분의 베이어닛 요홈으로부터 각각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되는 베이어닛 핀들을 포함한다.
도 2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브루잉 유닛 (3) 의 연결 수단은 브루잉 유닛의 상단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6) 를 포함하고, 이것은 상기 돌출부 (6) 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위 가장자리 (7) 를 갖는다. 돌출부는 원위 가장자리 (7) 의 상부면으로부터 브루잉 유닛 (3) 의 캐비티로 연장되는 중심 채널 (8) 을 포함하고, 따라서 브루잉 유닛이 기능적으로 베이스 (2) 에 연결될 때 기계 베이스 (2) 로부터 브루잉 유닛의 내부를 향하여 음료 제조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체 안내 채널 (8) 의 형상은, 도 2 에 도시된 대로, 그것의 가장 큰 직경이 바깥쪽으로 돌려진 원추 형상이다. 브루잉 유닛의 그 원추형 보어는 기계 베이스의 가요성 호스와 메이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스는 리저버 (4) 에 들어 있는 유체를 베이스 (2) 를 통하여 브루잉 유닛을 향하여 안내하는 유체 안내 채널 시스템의 일부이다. 가요성 호스의 외경은 원추형 보어의 보다 큰 내경과 보다 작은 내경 사이로 이루어져서, 브루잉 유닛이 기능적으로 기계 베이스에 연결될 때, 상기 호스의 팁은 누설 방지되게 상기 보어에 끼워 맞추어져 눌러진다 (도면에 미도시됨). 또,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기계 베이스 (2) 의 연결 수단은 기계 베이스 (2) 의 전방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내부에서 안쪽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T 형 요홈 (9) 을 포함한다. T 형 요홈 (9) 의 형상 및 치수는, 브루잉 유닛의 가장자리 (7) 가 내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대로, 브루잉 유닛은 상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기 위해서 조립할 수 있는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브루잉 유닛은 상기 성분과 혼합하기 위해 가압 하에 상기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도 2 또는 도 3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브루잉 유닛 (3) 은 상부 캐비티 부분 (10) 과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을 포함한다. 양 캐비티 부분들 (10, 11) 은 피벗 힌지 (12) 를 통하여 서로 힌지결합된다.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은, 특히 기계 베이스 (2) 로 삽입 및 기계 베이스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브루잉 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13) 를 포함한다. 브루잉 유닛의 연결 수단 - 즉 돌출부 (6) 및 원위 단부 (7) - 은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의 일부이고, 보다 특히, 돌출부 (6) 는 상기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분리식 로킹가능한 브루잉 유닛 (3) 은, 원위 단부 (7) 를 베이스의 T 형 요홈 (9) 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기계 베이스 (2) 로 기능적으로 삽입된다. 그 구성에서,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은 기계 베이스 (2) 와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지만,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은 상기 베이스 (2) 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브루잉 유닛이 베이스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그 구성에서,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은 상부 캐비티 부분 (10) 에 대해, 그리고 베이스 (2)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 가능성은,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이 베이스에 여전히 기능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동안,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브루잉 유닛이 탈착될 수 있을 때 흥미로워진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기계의 유지보수 또는 디스켈링 사이클 수행과 같은 어떤 특정한 경우에 요구될 수 있다. 그런 특정한 경우에, 힌지 (12) 를 중심으로 가장 넓은 개방 구성으로 브루잉 유닛을 완전히 개방하고, 브루잉 유닛의 나머지로부터 하부 캐비티 부분을 떼어냄으로써 하부 캐비티 부분은 상부 캐비티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힌지의 피벗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경로를, 피벗 힌지가 피벗 선회하는 요홈에 제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4 에 도시된 대로, 브루잉 유닛 (3) 은 캡슐을 위한 리셉터클 또는 캐비티, 및 원위 구역에 하나 이상의 액체 주입 오리피스들을 포함하는 중공 니들의 형태로 만들어진 천공 및 주입 요소를 포함한다. 니들은, 한편으로는 캡슐의 상단부를 개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슐로 물 유입 채널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이중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도 4 는, 개방 구성으로, 즉 하부 캐비티 부분 (11) 과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이 피벗 힌지 (12) 를 중심으로 피벗 선회함으로써 서로 분해될 때, 브루잉 유닛을 나타낸다. "분해된" 이라고 하면, 하부 캐비티 부분과 상부 캐비티 부분이 도 4 에 도시된 대로 서로 부분적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브루잉 유닛 (3) 의 이 개방 구성에서,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성분 또는 성분 캡슐 (14) 은 브루잉 유닛 캐비티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사용 후 브루잉 유닛 캐비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캡슐은 하부 브루잉부 (11) 의 상보적 중공 컵형 캐비티 (15) 에 삽입되어서, 캡슐 (14) 의 상부 가장자리 (16) 는 캐비티 (15) 를 둘러싸는 플랜지 (17) 에 놓여진다.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은 고무 재료의 디스크 (18) 로 만들어진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전술한 유체 안내 채널 (8) 에 의해 관통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디스크의 하부면에서,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도록 폐쇄된 캡슐의 상단 막 (20) 과 같은 얇은 필름 재료를 관통할 수 있는 중실형 니들 (19) 로 채널이 만들어진다. 브루잉 유닛 (3) 이 폐쇄될 때, 캡슐의 가장자리 (16) 는 플랜지 (17) 와 고무 디스크 (18) 사이에 끼워져서, 이 영역에서 실링이 수행되고 니들 (19) 로부터 캡슐을 향하여 순환하는 물은 캡슐의 상단 막 (20) 과 브루잉 유닛의 외부 사이 공간으로부터 이탈할 수 없고, 즉, 물은 니들 (19) 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캡슐 (14) 의 내부를 통하여, 그 후 캡슐의 분배측을 향하여, 그리고 브루잉 유닛의 분배 개구 (21) 전체에 걸쳐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비티 및/또는 상기 성분 내부에서 유체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할 때 브루잉 유닛은 캐비티 부분들의 예상치 못한 분해 및 캐비티의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로킹 수단의 예시적 실시형태가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로킹 수단은, 다른 캐비티 부분의 대응하는 베이어닛 핀 (24) 과 협동작용하는, 후크 (22) 와 요홈 (23) 이 하나의 캐비티 부분에 위치한 베이어닛 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어닛 기구는 다른 캐비티 부분에 대해 하나의 캐비티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서 로킹가능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후크 (22) 와 요홈 (23) 은, 힌지 (12) 에 링크되고 연결 수단 (즉 돌출부 (6) 및 원위 가장자리 (7)) 및 유체 안내 채널 (8) 을 포함하는 상기 상부 캐비티 부분의 주요부에 대해 부착되지만 회전 이동가능한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의 일부의 부분이다. 베이어닛 핀 (24) 은 하부 캐비티 부분 (11) 의 부분이다.
도 5 에 도시된 브루잉 유닛의 로킹해제 위치에서, 베이어닛 핀 (24) 은 후크 및 요홈으로부터 이탈하여서, 상부 캐비티 부분과 하부 캐비티 부분은 힌지 (12) 를 중심으로 피벗 선회함으로써 분해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대로, 하부 캐비티 부분 (11) 에 대해 상부 캐비티 부분 (10) 을 회전시킴으로써 브루잉 유닛 (3) 은 폐쇄된 위치에 로킹되어서, 베이어닛 핀 (24) 은 후크 (22) 및 요홈 (23) 으로 맞물린다. 회전 운동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그 로킹된 위치에서, 브루잉 유닛은 양 캐비티들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유닛을 개방하도록 된 내부 압력에 저항할 수 있고, 이 압력은 상기 유닛의 외부 압력보다 높다. 이러한 압력은 식품 또는 음료 제조를 위해서 보통 1 ~ 20 bar 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압력은 어떤 특정 성분의 제조를 위해서 20 bar 보다 높을 수 있다. 도 7 은, 기계 베이스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준비가 된, 폐쇄 및 로킹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유닛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분명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부수적인 장점들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Claims (15)
-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으로서,
상기 브루잉 유닛은 연결 수단 (6, 7, 8) 을 통하여 가압 유체 소스 (2) 에 해제가능하고 누밀하게 연결가능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은 유체 주입 수단 (19), 및 상기 브루잉 유닛 (3) 이 상기 식품 제조 성분과 혼합하기 위해 가압 하에 상기 식품 제조 성분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상기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 위한 폐쇄된 캐비티를 만들도록 조립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캐비티 부분들 (10, 1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은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상기 캐비티 부분들 (10, 11) 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 (22, 23, 24) 을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닛 (3) 이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내부 압력에 대해 상기 캐비티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주위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캐비티 안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6, 7, 8) 은 단지 하나의 캐비티 부분 (10) 의 부분이어서, 상기 브루잉 유닛 (3) 의 다른 캐비티 부분 (11) 이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때, 다른 캐비티 부분 (11) 은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분리 가능한,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소스 (2) 는 유체 리저버 (4), 및 유체 안내 파이프들을 통하여 상기 유체를 인출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기계 베이스이고, 상기 식품 제조 기계 베이스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기에 적합한 요소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폐쇄된 캡슐 (14), 개방 캡슐, 또는 포드 (pod) 에 들어 있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분들 (10, 11) 은 힌지 (12) 를 중심으로 피벗 선회함으로써 조립/분해되도록 서로 힌지로 연결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다른 캐비티 부분 (11) 의 대응하는 베이어닛 핀들 (24) 과 협동작용하는, 하나의 캐비티 부분 (10) 에 후크들 (22) 및/또는 요홈들 (23) 을 구비한 베이어닛 기구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 기구는 다른 캐비티 부분에 대해 하나의 캐비티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킹가능한,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제 1 캐비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구비하고 다른 캐비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금속 요소를 구비한 자기 로크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액슬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로드를 구비한 니 (knee) 레버 폐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액슬은 편심되어 있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링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슬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분들이 상기 브루잉 유닛의 폐쇄된 구성으로 조립될 때 메이팅하는 상기 캐비티 부분들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i. 상기 브루잉 유닛을 폐쇄된 구성으로 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링이 양 돌출부들을 모으는 제 1 위치, 및
ⅱ. 상기 브루잉 유닛을 로킹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링이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를 풀어주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는 다른 돌출부보다 짧은,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유닛 (3) 은, 상기 캐비티 부분들이 함께 조립되어 로킹될 때 상기 브루잉 유닛의 외부로 유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수단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브루잉 유닛의 상기 캐비티 부분들 (10, 11) 사이 계면에 위치한 O 링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가압 유체 소스의 가요성 호스를 수용하도록 된 원추형 보어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유닛은 물 및 세제 내성이고, 15 ℃ ~ 85 ℃, 바람직하게 18 ℃ ~ 70 ℃ 의 온도로 식기세척기에서 세척가능하고,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PS), 폴리카보네이트 (PC), 금속, 합금,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그것의 조합물로 만들어지는, 식품 제조 성분을 봉입하기에 적합한 브루잉 유닛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2189878.7 | 2012-10-25 | ||
EP12189878 | 2012-10-25 | ||
PCT/EP2013/071754 WO2014063992A1 (en) | 2012-10-25 | 2013-10-17 | A brewing unit for food prepa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3200A true KR20150073200A (ko) | 2015-06-30 |
Family
ID=4711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3143A Withdrawn KR20150073200A (ko) | 2012-10-25 | 2013-10-17 | 식품 제조를 위한 브루잉 유닛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50351A1 (ko) |
EP (1) | EP2911557A1 (ko) |
JP (1) | JP2015536706A (ko) |
KR (1) | KR20150073200A (ko) |
CN (1) | CN104754993A (ko) |
AR (1) | AR093165A1 (ko) |
AU (1) | AU2013336828A1 (ko) |
BR (1) | BR112015008457A2 (ko) |
CA (1) | CA2885897A1 (ko) |
CL (1) | CL2015000935A1 (ko) |
IN (1) | IN2015DN02495A (ko) |
MX (1) | MX2015004704A (ko) |
PH (1) | PH12015500762A1 (ko) |
RU (1) | RU2015119486A (ko) |
SG (1) | SG11201502090RA (ko) |
UA (1) | UA115568C2 (ko) |
WO (1) | WO2014063992A1 (ko) |
ZA (1) | ZA20150364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86108B1 (en) * | 2013-09-27 | 2016-11-08 | Shaun Douglas | Apparatus for descaling a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machine with apple vinegar wetting cotton in a beverage filter cartridge |
CN105979829A (zh) * | 2014-03-06 | 2016-09-28 |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 用于食品制备机器的冲煮单元 |
JP1536683S (ko) * | 2014-10-15 | 2018-10-22 | ||
CN109689530B (zh) * | 2016-09-20 | 2021-09-14 | 雀巢产品有限公司 | 容器端帽组件 |
EP4188166A1 (en) * | 2020-07-29 | 2023-06-07 |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machine housing and detachable liquid tank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15Y2 (ko) * | 1987-01-14 | 1993-01-21 | ||
US4951363A (en) * | 1988-08-09 | 1990-08-28 | Kato Hatsujo Kaisha, Ltd. | Hose clamp |
IT1283050B1 (it) * | 1996-05-22 | 1998-04-07 | Illycaffe Spa | Adattatore per dose di caffe' preconfezionata |
ATE321708T1 (de) * | 2002-01-16 | 2006-04-15 | Nestle Sa | Geschlossene kapsel mit öffnungsmittel |
PL2062831T3 (pl) | 2004-08-23 | 2011-07-29 | Nestec Sa | Kapsułka do przygotowywania i dostarczania napoju poprzez wtryskiwanie płynu pod ciśnieniem do kapsułki |
DK1654966T3 (da) * | 2004-10-25 | 2007-02-19 | Nestec Sa | Kapsel med forseglingsmidler |
PL1688072T3 (pl) * | 2005-02-07 | 2008-09-30 | Nestec Sa | Urządzenie do przygotowywania napoju z kapsułki przez wtryskiwanie do kapsułki płynu pod ciśnieniem |
JP4652450B2 (ja) * | 2005-08-11 | 2011-03-16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抽出装置の閉鎖機構 |
ATE556261T1 (de) * | 2007-05-16 | 2012-05-15 | Nestec Sa |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getränken |
US7802514B2 (en) * | 2007-06-05 | 2010-09-28 | Uni-Splendor Corp. | Locking structure of hot beverage machine with steam sealing device |
US8431175B2 (en) * | 2007-06-05 | 2013-04-30 | Nestec S.A. |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liqui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
PL2071987T3 (pl) * | 2007-12-18 | 2010-09-30 | Nestec Sa | Urządzenie do przyrządzania napojów zawierające regulowany mechanizm zamykający |
US9021938B2 (en) * | 2008-07-25 | 2015-05-05 | Gideon Duvall |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beverages |
ITBS20080164A1 (it) | 2008-09-02 | 2010-03-03 | Girmi Spa | Braccetto porta-caffè per una macchina per il caffè e macchina per il caffè a caricamento manuale |
DE102009011411B4 (de) * | 2009-03-03 | 2014-09-18 | Neoperl Gmbh | Sanitäre Schlauchkupplung |
US8895095B2 (en) * | 2010-03-11 | 2014-11-25 | Hamilton Beach Brands, Inc. | Beverage brewing apparatus with a filter carrier receiver |
EP2670284B1 (en) * | 2011-01-31 | 2017-03-01 | Nestec S.A. | Beverage production machine comprising features to facilitate capsule loading and unloading |
-
2013
- 2013-10-17 JP JP2015538382A patent/JP2015536706A/ja not_active Ceased
- 2013-10-17 WO PCT/EP2013/071754 patent/WO201406399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0-17 EP EP13777093.9A patent/EP2911557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10-17 MX MX2015004704A patent/MX2015004704A/es unknown
- 2013-10-17 US US14/438,707 patent/US2015025035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0-17 CA CA2885897A patent/CA288589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0-17 SG SG11201502090RA patent/SG11201502090RA/en unknown
- 2013-10-17 BR BR112015008457A patent/BR112015008457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0-17 CN CN201380055932.XA patent/CN104754993A/zh active Pending
- 2013-10-17 KR KR1020157013143A patent/KR20150073200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10-17 AU AU2013336828A patent/AU20133368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0-17 IN IN2495DEN2015 patent/IN2015DN02495A/en unknown
- 2013-10-17 UA UAA201505134A patent/UA115568C2/uk unknown
- 2013-10-17 RU RU2015119486A patent/RU2015119486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0-25 AR ARP130103918A patent/AR093165A1/es unknown
-
2015
- 2015-04-06 PH PH12015500762A patent/PH12015500762A1/en unknown
- 2015-04-14 CL CL2015000935A patent/CL2015000935A1/es unknown
- 2015-05-22 ZA ZA2015/03647A patent/ZA201503647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50351A1 (en) | 2015-09-10 |
IN2015DN02495A (ko) | 2015-09-11 |
BR112015008457A2 (pt) | 2017-07-04 |
CA2885897A1 (en) | 2014-05-01 |
EP2911557A1 (en) | 2015-09-02 |
AU2013336828A1 (en) | 2015-04-02 |
MX2015004704A (es) | 2015-07-23 |
JP2015536706A (ja) | 2015-12-24 |
UA115568C2 (uk) | 2017-11-27 |
PH12015500762A1 (en) | 2015-06-08 |
CL2015000935A1 (es) | 2015-07-10 |
WO2014063992A1 (en) | 2014-05-01 |
ZA201503647B (en) | 2017-11-29 |
CN104754993A (zh) | 2015-07-01 |
AR093165A1 (es) | 2015-05-20 |
SG11201502090RA (en) | 2015-05-28 |
RU2015119486A (ru) | 2016-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5831B1 (en) | A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etachable brewing unit | |
JP6126686B2 (ja) | 飲料調製用原材料カプセル | |
EP2840944B1 (en) | A capsule holder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US10470603B2 (en) | Brewing unit for a food preparation machine | |
EP2892399B1 (en) | A food preparation machine with safety feature | |
KR20150073200A (ko) | 식품 제조를 위한 브루잉 유닛 | |
US10285533B2 (en) | Food preparation system | |
EP3310220A1 (en) |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