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951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2951A KR20150072951A KR1020130160684A KR20130160684A KR20150072951A KR 20150072951 A KR20150072951 A KR 20150072951A KR 1020130160684 A KR1020130160684 A KR 1020130160684A KR 20130160684 A KR20130160684 A KR 20130160684A KR 20150072951 A KR20150072951 A KR 20150072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chamber
- cool air
- plate
- storage
- discharge pa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6—Convertible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실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각사이클에서 발생된 냉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대략 섭씨 영상 3도 정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영하20도 정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로 구분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keeping food fresh by using cold air generated in a cooling cycle. The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refrigerator room for storing food at about 3 degrees Celsius and a freezer room for storing food at about -20 degrees Celsius.
냉장실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냉동실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양에 비해 많으므로 냉장실은 냉동실 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냉장실은 출납이 잦으므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냉장고의 하부에 마련되고 냉동실은 냉장실의 상부에 마련되기도 한다.Since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It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이러한 냉장고들은 냉장실과 냉동실의 저장용량이 고정되어 있어, 저장용량 이상의 식품을 저장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냉동실의 사용이 적고 냉장실의 사용이 많은 경우 냉장실의 가용공간이 제한적이 되어 사용상 불편을 겪게 된다.These refrigerator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is fixed,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store food above the storage capacity. In addition, when the freezer is used in a small amount and the refrigerator is used in a large amount, the available space of the refrigerator becomes limited, and inconvenience is experienced.
이에 저장공간의 일부를 구획하여 냉기의 공급을 조절하여 저장공간 일부를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실이 구비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has been developed a refrigerator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 part of the storage space is divided to control the supply of cool air to selectively perform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동실과 냉장실이 분리되어 있는 냉장고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동실을 냉동실 또는 냉장실로 변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freezer compartment can be converted into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본 발명은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제1 저장실과 제2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저장실을 전방의 저장 공간과 후방의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냉기 생성실로 분할하고, 내부에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토출 유로를 가지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1 토출 유로, 상기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2 토출 유로 및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토출 유로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 유로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therein, a cold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evaporator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 duct unit having a storage space at the front and a chilling generation chamber in which the evaporator at the rear is disposed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hilled air therein, wherein the duct unit is arranged to guide the chilled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n opening / closing lever provid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so as to open / clos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Guides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opened or closed.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로 안내하는 냉기 배출홀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이동되는 연결홀을 가지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상기 덕트 유닛 내부로 이동되는 냉기 유입홀을 가지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uct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storage spac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at a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s a cold discharge hole for guiding the cold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cool air inflow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into the duct unit.
상기 덕트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외면에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 레버와 링크되어 제공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duct unit further includes an open / close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linked to the open / close lever, wherein the open / close lever adjusts the open / And the like.
상기 제1 저장실은 상기 제2 저장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hamber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storage cha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제1 저장실과 제2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저장실을 전방의 저장 공간과 후방의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냉기 생성실로 분할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로 각각 안내하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로 안내하는 냉기 배출홀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이동되는 연결홀을 가지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상기 덕트 유닛 내부로 이동되는 냉기 유입홀을 가지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저장실로 이동되는 냉기를 조절하는 개폐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1 토출 유로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2 토출 유로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 레버는 상기 제1 토출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therein; a cold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evaporator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 duct unit for dividing the cooling air into a cold storage room and a cold storage room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a duct unit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room and the second storage room, respectively,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t a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And a cold air inlet hole which is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at the rear of the second plate and in which the cool air is moved into the duct unit A first discharge channel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second discharge channel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second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Or block.
상기 덕트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외면에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 레버와 링크되어 제공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duct unit further includes an open / close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linked to the open / close lever, wherein the open / close lever adjusts the open / And the like.
상기 제1 저장실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하면 냉동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차단하면 냉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hamber is maintained in a frozen state whe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opened, and the refrigerated state can be maintained whe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blo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냉동실과 냉장실이 분리되어 있는 냉장고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동실을 냉동실 또는 냉장실로 변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separated, the freezing compartment can be converted into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ccording to a user's n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덕트 유닛을 분리한 제1 저장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개락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덕트 유닛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덕트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덕트 유닛의 제1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차단된 상태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storage room in which a duct unit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3 is a sid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duct unit of the refrigerator of FIG. 3.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ct unit of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late of the duct unit of Fig. 5 when viewed from the rear.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s are opened in the duct unit of FIG. 4;
FIG. 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cool air in the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s are opened in the duct unit of FIG. 5;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s are cut off in the duct unit of FIG. 4.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cool air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s are cut off in the duct unit of FIG.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덕트 유닛을 분리한 제1 저장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개락적인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storage room in which a duct unit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 저장실(21,23), 기계실(39), 냉기 생성 유닛(30), 그리고 덕트 유닛(40)을 포함한다. 냉장고(1)는 냉기 생성 유닛(30)에서 발생된 냉기를 덕트 유닛(40)을 통하여 본체(10) 내부의 저장실(21,23)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하여, 냉장고(1)는 본체(10) 내부의 저장실(21,23)을 특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1,23)의 종류에 따라 약 3℃의 냉장 온도 또는 약 -20℃의 냉동 온도로 유지된다.1 to 3, a
본체(10)는 내상(11). 외상(12), 그리고 단열벽(13)을 포함한다. The
내상(11)은 본체(10) 내부에서 저장실(21,23)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상(12)은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한다. 단열벽(13)은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제공된다. 단열벽(13)은 저장실(21,23)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열벽(13)은 단열재를 포함한다. 단열재로는 우레탄 폼 등이 제공될 수 있다.The
저장실(21,23)은 본체(10) 내부에 위치한다. 저장실(21,23)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실(21,23)은 개방된 전면이 도어(22,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2,24)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실(21,23)은 하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22,24)는 저장실(21,23)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torage rooms (21, 23) ar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storage rooms (21, 23) may have a shape with an opened front face. The open front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실(21,23)은 제1 저장실(21) 및 제2 저장실(23)을 포함한다. 제1 저장실(21)은 본체(10)의 내부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저장실(23)은 제1 저장실(21)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각각 본체(10)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저장실(21)은 제1 도어(22)에 의해 개폐되고, 제2 저장실(23)은 제2 도어(24)에 의해 개폐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서로 상이한 부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저장실(23)은 제1 저장실(21)보다 부피가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같은 부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중간벽(16)에 의해 분할된다. 중간벽(16)은 단열재를 포함한다. 중간벽(16)은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 사이의 열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hamber (21)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23) are divided by the intermediate wall (16). The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내부에 선반(25)이 장착될 수 있다. 선반(25)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반(25)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실(21) 및 제2 저장실(23)은 내부에 제1 저장실(21) 및 제2 저장실(23)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제공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저장실(21) 또는 제2 저장실(23)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절환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저장실(21)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절환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1)은 덕트 유닛(40)에서 제1 저장실(21)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절환될 수 있다. 제2 저장실(23)은 냉장실로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저장실(21)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2 저장실(23)보다 단열벽(13)이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1)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절환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기계실(39)은 본체(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39)은 외상(12)의 하측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39)은 냉기 생성 유닛(30)의 일부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냉기 생성 유닛(30)은 증발기(31), 압축기(32), 응축기(미도시), 팽창 밸브(미도시), 냉매관(미도시), 그리고 송풍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 생성 유닛(30)은 제1 저장실(21) 및 제2 저장실(23)에 제공되는 냉기를 생성한다.The cold generating unit 30 may include an
압축기(32)는 기계실(39)에 설치된다. 압축기(32)는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 모터 등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다. The compressor (32)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39). The compressor (32)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by using a rotational force of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응축기(미도시)는 기계실(39)에 설치된다. 응축기(미도시)는 압축기(32)와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응축기(미도시)는 압축기(32)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킨다. 응축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된다.A condense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증발기(31)는 제1 저장실(2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저장실(21)에서 후술할 덕트 유닛(40)을 분리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1)는 제1 저장실(21)의 후방 내상(11)의 안착부(28)에 설치될 수 있다. 안착부(28)는 제1 저장실(21)의 후방 내상(11)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증발기(31)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31)는 액체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의 공기를 차갑게 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완전히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32)로 공급되어 냉각 사이클이 순환한다. 또한, 증발기(31)에는 제상용 히터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송풍팬(35)은 증발기(3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35)은 증발기(31)에서 발생된 냉기가 덕트 유닛(40) 내부로 이동되도록 덕트 유닛(40)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팬(35)은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blowing
한편, 압축기(32)는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미도시)로 밀어 내면서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각 사이클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압축기(32)가 가동되면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덕트 유닛(40)은 제1 저장실(21)을 전방의 저장 공간(37)과 후방의 냉기 생성실(38)로 분할한다. 또한, 덕트 유닛(40)은 내부에 냉기를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로 공급하는 토출 유로(51, 52)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덕트 유닛(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The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덕트 유닛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덕트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uct unit of the refrigerator of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ct unit of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late of FIG. 5 viewed from the rear.
덕트 유닛(40)은 제1 플레이트(41), 제2 플레이트(42), 제3 플레이트(43), 커버 플레이트(49), 제1 토출 유로(51), 제2 토출 유로(52), 개폐 레버(46), 개폐 스위치(47), 그리고 개폐 하우징(48)을 포함한다.The
제1 플레이트(41)는 덕트 유닛(40)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 플레이트(41)는 제1 저장실(21) 전방의 저장 공간(37)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1)는 제1 저장실(21)의 내부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1)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기 배출홀(61)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플레이트(41)는 4개의 냉기 배출홀(61)을 가질 수 있다. 냉기 배출홀(61)은 제1 플레이트(41)의 상부 및 중앙부의 동일한 높이에 각각 2개씩 제공될 수 있다. 냉기 배출홀(61)은 제1 저장실(21)의 부피에 따라 4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덕트 유닛(40) 내부의 냉기는 제1 플레이트(41)의 냉기 배출홀(61)을 통해 제1 저장실(21)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41) is located in front of the duct unit (40). The
제2 플레이트(42)는 제1 플레이트(41)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플레이트(42)는 제1 플레이트(41)와 결합되어 내부에 제1 토출 유로(51)를 형성한다. The second plate (42) is located behind the first plate (41). The second plate (42) is coupled with the first plate (41) to form a first discharge passage (51) therein.
제2 플레이트(42)는 제2 플레이트(42)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홀(62)을 포함한다. 연결홀(62)은 제2 플레이트(42)의 후방의 제2 토출 유로(52)로부터 제2 플레이트(42)의 전방의 제1 토출 유로(51)로 냉기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일 예에 의하면, 연결홀(62)은 제2 플레이트(42)의 상부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42) includes a connection hole (62)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plate (42). The connection hole 6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from the
제1 토출 유로(51)는 제1 플레이트(41)와 제2 플레이트(42) 사이에 제공된다. 제1 토출 유로(51)는 연결홀(62)과 냉기 배출홀(61)을 연결한다. 제1 토출 유로(51)는 연결홀(62)을 통하여 제2 플레이트(42) 후방으로부터 이동되는 냉기를 제1 저장실(21)로 안내한다. A first discharge passage (5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41) and the second plate (42). The
일 예에 의하면, 개폐 레버(46)는 제1 토출 유로(51)에 제공될 수 있다. 개폐 레버(46)는 일측이 제1 플레이트(41)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개폐 레버(46)는 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토출 유로(51)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opening / closing
일 예에 의하면, 개폐 레버(46)는 개폐 스위치(47)과 연결되어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개폐 스위치(47)는 일측이 제1 플레이트(41)의 외측면에 제공된다. 개폐 스위치(47)는 제1 플레이트(41)의 외측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개폐 스위치(47)를 올리면 이에 연결된 개폐 레버(4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토출 유로(51)가 개방된다. 또한, 사용자가 개폐 스위치(47)를 내리면 이에 연결된 개폐 레버(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토출 유로(51)가 폐쇄된다. 사용자는 개폐 스위치(47)를 조절하여 제1 저장실(21)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저장실(21)을 냉동실 또는 냉장실로 절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opening / closing
일 예에 의하면, 개폐 레버(46)는 개폐 하우징(48)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개폐 하우징(48)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폐 하우징(48)은 일면이 제1 플레이트(41)와 접촉되어 설치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면이 제2 플레이트(42)와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개폐 하우징(48)은 제2 플레이트(42)와 접촉된 면의 상단이 연결홀(62)의 하면과 접촉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개폐 하우징(48)은 제1 토출 유로(51)를 통과하는 모든 냉기가 개폐 하우징(48)을 통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개폐 하우징(48)은 내부에 제공되는 개폐 레버(46)에 의해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개폐 하우징(48)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제3 플레이트(43)는 제2 플레이트(42)의 후면과 결합된다. 제3 플레이트(43)는 제2 플레이트(42)와 결합되면서, 그 내부 공간에 제2 토출 유로(52)를 형성한다. The
제3 플레이트(43)는 냉기 유입홀(63)을 포함한다. 냉기 유입홀(63)은 증발기(31)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덕트 유닛(40) 내부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냉기 유입홀(63)은 송풍팬(35)과 동일한 높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기 유입홀(63)은 제1 저장실(21)의 후방에서 바라볼 때 송풍팬(35)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35)에 의하여 덕트 유닛(40)의 내부로 이동된다.The third plate (43) includes a cold air inflow hole (63). The cold
제2 토출 유로(52)는 제2 플레이트(42)와 제3 플레이트(43) 사이에 제공된다. 제2 토출 유로(52)는 냉기 유입홀(63), 연결홀(62), 그리고 제2 저장실(23)과 연결된다. 따라서,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유입홀(63)을 통하여 제2 토출 유로(52)로 유입된다. 이후 제2 토출 유로(52)로 유입된 냉기는 그 중 일부가 연결홀(62)을 통하여 제1 토출 유로(51)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토출 유로(52)를 통하여 제2 저장실(23)로 이동된다.The
커버 플레이트(49)는 제1 플레이트(41)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49)는 제1 저장실(21) 내부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제1 플레이트(41)가 훼손되지 않도록 제1 플레이트(4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으로, 커버 플레이트(49)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이하에서는, 제1 저장실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도 4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 / close lever is opened in the duct unit of FIG. 4,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flow of cool air in the open state of the duct unit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저장실(21)을 냉동실로 절환하기 위해 제1 토출 유로(51)를 개방한다. 제1 토출 유로(51)는 개폐 레버(4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폐 레버(46)가 연결된 개폐 스위치(47)를 올려 개폐 레버(4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개폐 스위치(47)는 제1 저장실(21) 내부 후면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개폐 스위치(47)를 올리면, 개폐 스위치(47)와 링크된 개폐 레버(46)가 제1 플레이트(41)에 고정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 레버(4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토출 유로(51)를 개방시킨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user opens the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유입홀(63)을 통하여 제2 토출 유로(52)로 제공된다. 제2 토출 유로(52)로 이동된 냉기는 그 일부가 연결홀(62)을 통하여 제1 토출 유로(51)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토출 유로(52)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2 저장실(23)로 이동된다. 연결홀(62)을 통해 제1 토출 유로(51)로 이동된 냉기는 냉기 배출홀(61)을 통해 제1 저장실(21)로 이동된다. 이를 통하여 제1 저장실(21)은 냉동실로 전환되고, 제2 저장실(23)은 냉장 온도 상태가 유지된다. 제2 저장실(23)은 온도 조절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냉기를 조절하여 냉장 상태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도 9는 도 4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5의 덕트 유닛에서 개폐 레버가 차단된 상태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pening / closing lever is cut off in the duct unit of FIG. 4,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flow of cold air in the duct unit of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저장실(21)을 냉장실로 절환하기 위해 제1 토출 유로(51)를 차단한다. 제1 토출 유로(51)는 개폐 레버(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단된다. 사용자는 개폐 레버(46)가 연결된 개폐 스위치(47)를 내려 개폐 레버(4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개폐 스위치(47)를 내리면, 개폐 스위치(47)와 링크된 개폐 레버(46)가 제1 플레이트(41)에 고정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 레버(4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토출 유로(51)를 차단한다.9 and 10, the user cuts off the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유입홀(63)을 통하여 제2 토출 유로(52)로 제공된다. 제2 토출 유로(52)로 이동된 냉기는 그 일부가 연결홀(62)을 통하여 제1 토출 유로(51)로 방향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토출 유로(52)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2 저장실(23)로 이동된다. 그러나, 연결홀(62)을 통해 제1 토출 유로(51) 방향으로 이동된 냉기는 개폐 레버(46)에 의해 차단된 제1 토출 유로(51)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 저장실은 덕트 유닛(40)을 통하여 제공되는 냉기가 차단되므로, 그 내부 온도가 냉장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1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전환된다.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토출 유로(51)의 개폐 여부와 관계 없이, 제2 저장실(23)은 제2 토출 유로(52)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제1 저장실(21)과 제2 저장실(23)은 각각 별도의 유로를 통하여 냉기가 제공되므로, 제1 저장실(21)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의 전환 여부와 관계 없이 제2 저장실(23)이 안정적으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whether th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 냉장고
10: 본체
11: 내상
12: 외상
20: 저장실
21: 제1 저장실
22: 제1 도어 23: 제2 저장실
24: 제2 도어 30: 냉기 생성 유닛
31: 증발기
32: 압축기
35: 송풍팬
39: 기계실
40: 덕트 유닛 41: 제1 플레이트
42: 제2 플레이트
43: 제3 플레이트
46: 개폐 레버 47: 개폐 스위치
48: 개폐 하우징 51: 제1 토출 유로
52: 제2 토출 유로 61: 냉기 배출홀
62: 연결홀 63: 냉기 유입홀1: Refrigerator 10: Body
11: Injury 12: Trauma
20: Storage room 21: First storage room
22: first door 23: second storage room
24: second door 30: cold air generating unit
31: Evaporator 32: Compressor
35: blower fan 39: machine room
40: duct unit 41: first plate
42: second plate 43: third plate
46: opening / closing lever 47: opening / closing switch
48: opening / closing housing 51:
52: second discharge duct 61: cold air discharge hole
62: connection hole 63: cold air inflow hole
Claims (7)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저장실을 전방의 저장 공간과 후방의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냉기 생성실로 분할하고, 내부에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토출 유로를 가지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1 토출 유로;
상기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2 토출 유로; 및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토출 유로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 유로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냉장고.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therein;
A cool air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evaporator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room and the second storage room; And
And a duct unit which divides the first storage chamber into a storage space in front and a cold generating chamber in which a rear evaporator is disposed and has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ld air therein,
The duct unit
A fir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nd an opening / closing lever provid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so as to open / clos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guides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opened or closed.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로 안내하는 냉기 배출홀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이동되는 연결홀을 가지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상기 덕트 유닛 내부로 이동되는 냉기 유입홀을 가지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A first plate positioned to face the storage space and having a cold discharge hol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t a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And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cool air inflow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into the duct unit.
상기 덕트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외면에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 레버와 링크되어 제공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The duct unit
And an open / close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linked to the open / close lever,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lever is provided to adjust the opening / closing switch so as to open or clos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상기 제1 저장실은 상기 제2 저장실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저장실을 전방의 저장 공간과 후방의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냉기 생성실로 분할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로 각각 안내하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로 안내하는 냉기 배출홀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이동되는 연결홀을 가지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냉기가 상기 덕트 유닛 내부로 이동되는 냉기 유입홀을 가지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저장실로 이동되는 냉기를 조절하는 개폐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1 토출 유로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2 저장실로 상기 냉기를 안내하는 제2 토출 유로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 레버는 상기 제1 토출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냉장고.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therein;
A cool air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evaporator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room and the second storage room; And
And a duct unit which divides the first storage chamber into a storage space in front and a cold generating chamber in which the evaporator at the rear is disposed and guides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The duct unit
A first plate positioned to face the storage space and having a cold discharge hol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t a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cool air inflow hole through which the cool air is moved into the duct unit; And
And an opening / closing lever for adjusting cool air to be transferred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fir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second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cool air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lever is provided in the first discharge flow passage and opens or blocks the first discharge flow passage.
상기 덕트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외면에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 레버와 링크되어 제공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6. The method of claim 5,
The duct unit
And an open / close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linked to the open / close lever,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lever is provided to adjust the opening / closing switch so as to open or clos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상기 제1 저장실은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개방하면 냉동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로를 차단하면 냉장 상태가 유지되는 냉장고.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torage chamber is maintained in a frozen state whe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opened and the refrigerated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block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684A KR102176725B1 (en) | 2013-12-20 | 2013-12-20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684A KR102176725B1 (en) | 2013-12-20 | 2013-12-20 |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951A true KR20150072951A (en) | 2015-06-30 |
KR102176725B1 KR102176725B1 (en) | 2020-11-10 |
Family
ID=5351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684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6725B1 (en) | 2013-12-20 | 2013-12-20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672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877A (en) * | 2014-09-02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WO2021256739A1 (en) * | 2020-06-17 | 2021-12-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WO2022124555A1 (en) * | 2020-12-07 | 2022-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7186A (en) * | 2020-11-17 | 2022-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2305906B2 (en) * | 2022-12-14 | 2025-05-20 | Electrolux Consumer Products, Inc. | Air cooling assembly for a cool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6297Y1 (en) * | 1988-10-08 | 1992-09-17 | 대우전자 주식회사 | All-purpose utility switch in the freezer compartment |
US20100162747A1 (en) * | 2008-12-31 | 2010-07-01 | Timothy Allen Hamel |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
KR20100113936A (en) * | 2009-04-14 | 2010-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KR20130019307A (en) * | 2011-08-16 | 2013-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684A patent/KR1021767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6297Y1 (en) * | 1988-10-08 | 1992-09-17 | 대우전자 주식회사 | All-purpose utility switch in the freezer compartment |
US20100162747A1 (en) * | 2008-12-31 | 2010-07-01 | Timothy Allen Hamel |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
KR20100113936A (en) * | 2009-04-14 | 2010-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KR20130019307A (en) * | 2011-08-16 | 2013-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877A (en) * | 2014-09-02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WO2021256739A1 (en) * | 2020-06-17 | 2021-12-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US11946685B2 (en) | 2020-06-17 | 2024-04-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WO2022124555A1 (en) * | 2020-12-07 | 2022-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6725B1 (en) | 2020-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971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8266948B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KR101715806B1 (en) |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 |
KR102326481B1 (en) | Refrigerator | |
CN104879984B (en) | Refrigerator | |
KR102261114B1 (en) | Refrigerator | |
CN108518909B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KR101869165B1 (en) | Refrigerator | |
US20160138849A1 (en) | Refrigerator | |
KR20170123513A (en) |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KR20130081136A (en) | Refrigerator | |
US10465967B2 (en)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onvertible freezer compartment | |
KR102176725B1 (en) | refrigerator | |
KR100584271B1 (en) | De-icing cold air flow path structure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 |
KR20170105235A (en) | Refrigerator | |
US20210239382A1 (en) | Refrigerator | |
KR101715804B1 (en) |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 |
KR20220016930A (en) | Refrigerator | |
JP2018096662A (en) | Refrigerator | |
JP2013127345A (en) | Refrigerator | |
KR20180046576A (en) | Refrigerator | |
KR20180069678A (en) | Refrigerator | |
KR20160005987A (en) | Refrigerator | |
KR101687235B1 (en) |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 |
KR101705666B1 (en) |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