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759A -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 Google Patents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2759A KR20150072759A KR1020130160270A KR20130160270A KR20150072759A KR 20150072759 A KR20150072759 A KR 20150072759A KR 1020130160270 A KR1020130160270 A KR 1020130160270A KR 20130160270 A KR20130160270 A KR 20130160270A KR 20150072759 A KR20150072759 A KR 20150072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martphone
- emergency
- unit
- c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상황시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로 긴급상황임으로 알릴 수 있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배터리가 내장된 평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긴급버튼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스피커와;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 상호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급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긴급버튼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긴급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긴급버튼과 제2긴급버튼 모두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함께 눌리면 상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조치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that can notify an outside emergency via a smart phone in an emergency.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at plate-shaped main body connected to a smartphone wirelessly and having a built-in battery; A emergency button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speaker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wherein the emergency button unit comprises: a first emergency butt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emergency butt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first emergency button and the second emergency button are both pressed togeth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And notifies the emergency agent in adva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smartph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상황시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로 긴급상황임으로 알릴 수 있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that can notify an outside emergency via a smart phone in an emergency.
최근 들어 경기침체 등의 이유로 여성이나 유아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유괴나 납치와 같은 대인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Recently, cyber crimes such as kidnapping or kidnapping for the socially weak people such as women and infants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because of the recession.
범죄의 피해자들은 유괴나 납치 등의 상황에서 통신수단의 접근을 철저하게 차단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경찰이나 부모 등 위급상황 조치자에게 자신의 위험상황을 알리지 못하고 스스로 대체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It is common that victims of crime are thoroughly blocked from accessing communication means in situations such as kidnapping or kidnapp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can not inform their own risk situation to the emergency situation counterparts such as police and parents and can not substitute for themselves.
이에 따라 범죄 피해자들은 범죄자가 범행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생명에 대한 위협을 느껴야 하며, 설령 경찰의 위치추적 등에 의해 안전하게 구조가 되더라도 당사자와 그 가족이 겪는 정신적 고통은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Thus, victims of crime should feel the threat of life until the offender achieves the purpose of the crime, and even if it is rescued safely by the location of the police, the mental suffering of the person and the family can not be counted.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9565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387호 등에는, 휴대폰 또는 별도의 무선단말기에 긴급상황알림 버튼을 마련하여 긴급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버튼을 눌러 긴급상황을 중앙관제센터 등에 알리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95653 and No. 10-2005-0014387 disclose an emergency notification button in a mobile phone or a separate wireless terminal. When an emergency occurs, To announce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긴급상황을 알리는 버튼이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눌려, 의도하지 않게 긴급상황을 타인에게 알리는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고, 또한 휴대폰과 연결된 무선단말기에 별다른 기능이 없어 소지 및 사용 가능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been problematic in that the button for informing the emergency is press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unintentionally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another person, and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has no fun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unlikely to be u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버튼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쉽게 눌리지 않고, 또한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보장치를 통해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hon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a smart phone through an alarm device connected to a smart phon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ecurity alarm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배터리가 내장된 평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긴급버튼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스피커와;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 상호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급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긴급버튼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긴급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긴급버튼과 제2긴급버튼 모두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함께 눌리면 상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조치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lat-type main body connected to a smartphone wirelessly and having a built-in battery; A emergency button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speaker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wherein the emergency button unit comprises: a first emergency butt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emergency butt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first emergency button and the second emergency button are both pressed togeth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And notifies the emergency agent in adva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smartphone.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단자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작동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삽입단자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삽입단자부가 상기 접속단자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A necklac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hooked to a user's neck; An insertion terminal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button uni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wherein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erminal unit,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The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is executed and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is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insertion terminal unit is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된 카드홀더부와; 상기 카드홀더부에 삽입되는 카드를 감지하는 카드감지부와; 상기 카드감지부를 온-오프시키는 감지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버튼부에 의해 상기 카드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감지부가 상기 카드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A card holder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 card sensing unit for sensing a card inserted into the card holder;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button unit for on / off the card sensing unit. When the card sensing unit is operated by the sensing button unit, if the card sensing unit does not sense the card, .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급버튼부가 눌리면, 상기 제어부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주변상황의 소리를 상기 본체 또는 스마트폰에 저장한다.And a microphone mounted on the main body.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the controller stores the sound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e main body or the smartphone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을 작동시키되, 상기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에 의해 성범죄자가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램프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sex offender electronic location tracking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when the main body and the smart phone ar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x offender electronic location tracking program that the sex offend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 unit informs a user through a lamp or sound mounted on the main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 따르면,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긴급버튼부가 제1긴급버튼과 제2긴급버튼으로 이루어져 함께 동시에 눌리는 경우에만 긴급상황을 알리게 되는바 사용자의 부주의로 긴급버튼부가 쉽게 작동되어 잘못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mergency button for notifying of the emergency is composed of the first emergency button and the second emergency butt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mergency button section from being operated with carelessness,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erroneous emergency situation.
또한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의 도난 방지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various functions of a smart phone can be connected to a smart phone wirelessly, the user can carry it easily with ease, and also can prevent a card from being stol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의 일방향 및 타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의 관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서 카드의 분실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alarm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card is lost in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의 일방향 및 타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의 관계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에서 카드의 분실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of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card is lost in a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100)는, 본체(110)와, 목걸이부(120)와, 삽입단자부(130)와, 긴급버튼부(140)와, 작동버튼부(150)와, 스피커(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3, a
상기 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사각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본체(110)는 스마트폰(210)과 블루투스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The
상기 배터리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이루어진다.The battery may be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상기 목걸이부(120)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경보장치(100)를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삽입단자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접속단자가 삽입된다.The
상기 긴급버튼부(14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상기 긴급버튼부(140)는 긴급상황에서 사용자가 누리는 것으로써, 상기 긴급버튼부(140)가 눌리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스피커(160) 및/또는 스마트폰(210)을 작동시켜 타인 등에게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When the
이러한 상기 긴급버튼부(140)가 자주 잘못 눌려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긴급버튼부(140)는 제1긴급버튼(141)과 제2긴급버튼(142)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제1긴급버튼(141)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긴급버튼(142)은 상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긴급버튼(141)과 제2긴급버튼(142)이 함께 모두 눌린 경우에만 긴급상황으로 판단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제1긴급버튼(141) 또는 제2긴급버튼(142)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70)가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상기 제1긴급버튼(141) 및 제2긴급버튼(142) 모두가 눌린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170)가 긴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어, 버튼이 잘못 눌려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accidentally depresses either the
또한, 상기 제1긴급버튼(141)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긴급버튼(142)은 상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긴급상황에서 상기 본체(110)를 한손으로 쥐고 있는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상기 제1긴급버튼(141)과 제2긴급버튼(142)이 손가락과 손바닥에 의해 함께 용이하게 눌릴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작동버튼부(150)는 상기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음악관련 버튼, 통화관련 버튼, 볼륨조절 버튼, 기타 다양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music related button, a call related button, a volume control button, and various other buttons.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폰(210)과 상기 경보장치(100)는 미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상호 동작될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 함을 당연하다.For this purpose, it is natural that the
상기 스피커(16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미리 설정된 소리를 외부로 발산한다.The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10)와 스마트폰(210) 상호간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상기 제어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급버튼부(140)가 눌리면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긴급버튼(141)과 제2긴급버튼(142) 모두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으로 함께 눌리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16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폰(210)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조치자에게 알리도록 한다.2, when the
이때, 상기 스마트폰(210)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문자메세지 전송, 음성통화, 화상통화, GPS를 통한 위치 알림 등의 다양한 방법을 위급상화조치자에게 알리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삽입단자부(130)에 이어폰의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본체(110)와 스마트폰(210)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버튼부(15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단자부(130)가 상기 접속단자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한다.The
이를 통해 상기 이어폰의 접속단자가 상기 삽입단자부(130)에서 분리되었을 경우,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earphone is disconnected from the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에 상기 스마트폰(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gram must be stored in the
한편, 본 발명의 경보장치(100)는 카드홀더부(180)와, 카드감지부(181)와, 감지버튼부(1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상기 카드홀더부(180)는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신용카드 등의 카드(220)를 수용한다.The
상기 카드홀더부(180)는 신축성 있는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드(220)가 상기 카드홀더부(18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상기 카드감지부(18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카드홀더부(180)에 삽입되는 카드(220)를 감지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카드감지부(181)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버튼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따라서, 상기 카드(220)가 상기 카드홀더부(180)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감지부(181)가 상기 카드(220)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감지버튼부(182)는 상기 카드(220)를 감지하는 상기 카드감지부(18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따라서, 상기 카드감지부(181)의 작동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버튼부(182)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감지부(181)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of the
상기 감지버튼부(182)에 의해 상기 카드감지부(181)가 온(ON)되어 작동되는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200)가 상기 카드홀더부(180)의 외부로 유출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드감지부(181)가 상기 카드(22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피커(160) 또는 램프(195)를 통해 경고음 또는 경고빛을 발생시킨다.3 (b), when the
이를 통해 상기 카드홀더부(180)에 삽입되는 카드(220)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외부로 유출되어 도난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는 마이크(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러한 상기 마이크(190)는 상기 긴급버튼부(140)가 눌리면,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주변상황의 소리를 녹음하여 상기 본체(110) 또는 상기 스마트폰(210)에 저장한다.When the
따라서, 상기 긴급버튼부(140)가 눌렸을 경우, 상기 마이크(190)를 통해 긴급상황을 녹음할 수 있어, 향후에 긴급상황을 다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a sex offender electronic wrist position tracking program stored in the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폰(210)에는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For this purpose, a progra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sex offender's electronic footsteps should be stored in the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본체(110)와 스마트폰(210)을 무선으로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210)에 저장된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The
상기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에 의해 성범죄자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램프(195)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If the sex offender determines that the sex offend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he
상기 램프(195)는 본체(110)에 장착되고, 상기 소리는 상기 스피커(160) 또는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210)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100)에 의해, 평상시에는 스마트폰(210)을 무선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 긴급상황에서는 경보장치(100) 자체 또는 스마트폰(210)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긴급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ontrol the
본 발명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ecurity alarm device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경보장치, 110 : 본체, 120 : 목걸이부, 130 : 삽입단자부, 140 : 긴급버튼부, 141 : 제1긴급버튼, 142 : 제2긴급버튼, 150 : 작동버튼부, 160 : 스피커, 170 : 제어부, 180 : 카드홀더부, 181 : 카드감지부, 182 : 감지버튼부, 190 : 마이크, 195 : 램프,
210 : 스마트폰, 220 : 카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apparatus and an alarm apparatus which are provided with an alarm apparatus and an alarm apparatus in which an alarm unit is provided. A
210: smartphone, 220: card.
Claims (5)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긴급버튼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스피커와;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 상호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급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긴급버튼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긴급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긴급버튼과 제2긴급버튼 모두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함께 눌리면 상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조치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A flat-plate-shaped main bod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wirelessly and having a built-in battery;
A emergency button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speaker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The emergency button unit includes: a first emergency butt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emergency button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emergency button and the second emergency button are pressed togeth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generates an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and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i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smartphone And notifies the emergency countermeasures preset in advance.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단자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작동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삽입단자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삽입단자부가 상기 접속단자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ecklac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hooked to a user's neck;
An insertion terminal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button uni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Wherein,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erminal portion,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are connected and the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portion,
And automatically stops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stored in the smartphone when the insertion terminal unit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된 카드홀더부와;
상기 카드홀더부에 삽입되는 카드를 감지하는 카드감지부와;
상기 카드감지부를 온-오프시키는 감지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버튼부에 의해 상기 카드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감지부가 상기 카드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rd holder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 card sensing unit for sensing a card inserted into the card holder;
And a sensing button unit for on / off the card sen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card sensing unit does not sense the card in a state in which the card sensing unit is operated by the sensing button unit.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급버튼부가 눌리면,
상기 제어부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주변상황의 소리를 상기 본체 또는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icrophone mounted on the main body,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sound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main body or the smart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을 작동시키되,
상기 성범죄자전자발찌위치추적프로그램에 의해 성범죄자가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램프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호신 경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sex offender electronic foot position tracking program stored in the smart phone when the main body and the smart phone are wirelessly conn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informs the user through a lamp or a sound mounted on the main body if the sex offender is foun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sex offender electronic tracking position tracking program,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270A KR20150072759A (en) | 2013-12-20 | 2013-12-20 |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270A KR20150072759A (en) | 2013-12-20 | 2013-12-20 |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759A true KR20150072759A (en) | 2015-06-30 |
Family
ID=5351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270A Abandoned KR20150072759A (en) | 2013-12-20 | 2013-12-20 |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72759A (en)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270A patent/KR20150072759A/en not_active Abandon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319048A1 (en) | Emergency alert device with silent gps and mobile communications capabilities | |
US11080985B2 (en) |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 |
CN103164925A (en) | Bluetooth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warning method | |
EP370471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person | |
US2012028287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 |
CN203706327U (en) | Anti-loss system with alarm function | |
KR101612507B1 (en) | Dangerou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by self-protection ring | |
KR20140070356A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crime | |
JP2015026353A (en) | Multifunction mobile cell-phone, inversion and fall detection by application software, and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notification | |
RU2010145136A (en) | METHOD OF NOTIFICATION OF EMERGENCY SITUATION BY MEANS OF MOBILE TRANSFER OF DATA TO THE DATA BANK | |
KR101403705B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alarming emergency using earphone jack in the mobile terminal | |
KR20150072759A (en) | warning device for self-defense operated with smartphone | |
JP5388335B2 (en) | Nurse call system | |
CN210377780U (en) | emergency care device | |
KR101679561B1 (en) | Mobile device with an emergency alert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 |
KR20120135504A (en) | Safety protector system of using the accessory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GB2526116A (en) | An emergency alarm system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 |
CN207097211U (en) | A mobile terminal anti-lost system | |
KR20180066614A (en) | Smart phone using risk notification system | |
CN207403697U (en) | For the telecommunication warning device of electric power carrier loader | |
KR20160007111A (en) | system for informing emergency situation and method for informing emergency using the same | |
KR20140110122A (en) | A position-tracking system | |
KR101380844B1 (en) | Safty earphone cap | |
KR20060105312A (en) | Infant safety alarm device and voice alarm control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 |
CN203710010U (en) | Wrist watch warning device and combina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