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56A - 교체가능한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구비한 절삭 공구, 절삭 공구용 공구홀더 및 절삭 인서트 - Google Patents
교체가능한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구비한 절삭 공구, 절삭 공구용 공구홀더 및 절삭 인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9556A KR20150069556A KR1020140179698A KR20140179698A KR20150069556A KR 20150069556 A KR20150069556 A KR 20150069556A KR 1020140179698 A KR1020140179698 A KR 1020140179698A KR 20140179698 A KR20140179698 A KR 20140179698A KR 20150069556 A KR20150069556 A KR 201500695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
- abutment
- cutting
- tool holder
- recess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UONOETXJSWQNOL-UHFFFAOYSA-N tungsten carbide Chemical compound [W+]#[C-] UONOETXJSWQN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39—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 B23C5/224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47—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8—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features related to index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1—Fixation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3—Index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5—Fixation bo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2274—Apertured too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공구홀더 (25; 25') 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27'), 상기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27') 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 (29; 29') 로서, 상기 돌출부 (29; 29') 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 (29; 29') 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중심 축선을 가지는, 상기 돌출부, 및 클램핑 스크류 (33; 33') 로서,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의 암나사들과 메이팅하기 위한 수나사들 (35) 및 인서트 클램핑면 (41; 41') 과 접촉하기 위해 원뿔대 형상으로 된 바닥 클램핑면 (39; 39') 을 가지는 헤드 (37, 37')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스크류 (33; 33') 가 상기 공구홀더 (25; 25') 및 인서트 (23; 23') 에 대해 조여질 때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 (D1; D1') 으로 상기 인서트 (23; 23') 를 가압하는, 상기 클램핑 스크류 (33; 33') 를 포함한다. 상기 공구홀더 (25; 25') 는 상기 돌출부 (29; 29') 의 측벽 (45; 45') 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를 또한 포함하고, 각각의 어버트먼트 부재는 어버트먼트 지점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의 적어도 어버트먼트 지점은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의 상기 중심 축선 (C1; C1') 보다 상기 돌출부 (29; 29') 의 상기 중심 축선 (C3; C3') 에 더 가깝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삭 공구들, 공구홀더들, 및 절삭 인서트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이러한 공구들, 공구홀더들, 및 인서트들을 위한 인서트 장착 배열들에 관한 것이다.
절삭 공구에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장착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은 공구홀더에 바닥 어버트먼트 (abutment) 면과 2 개의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을 가지는 포켓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 후, 바닥 지지면이 포켓의 바닥 어버트먼트 면과 접촉하고 측면 지지면들이 포켓의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과 접촉하도록 바닥 지지면 및 복수의 측면 지지면들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가 포켓에 클램핑된다. 이런 식으로, 3 개의 접촉 지점들이 인서트와 포켓 사이에 제공되어서, 인서트의 필요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인서트들 및 공구홀더들은, 전형적으로, 인서트와 공구홀더 사이에 3 개 초과의 접촉 지점들을 갖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이것은 3 개 초과의 접촉 지점들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밀도 레벨이 획득하기에 꽤 어렵기 때문이고 의도된 접촉 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양호한 접촉 관계로 되어 있지 않은 간혹 "과다결정 (overdetermination)" 으로 지칭되는 상황을 전형적으로 유발하고 인서트가 부적절하게 로케이팅되도록 하거나 인서트의 원치 않는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공구홀더의 포켓에 대해 인서트를 클램핑하기 위한 한 가지 기술은, 인서트 내 관통홀에 관통홀의 상단 단부에서 역 원뿔대형 형상을 제공하고, 스크류에 헤드의 바닥측에서 일반적으로 정합하는 원뿔형 형상을 가지는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크류가 바닥 어버트먼트 면에서 나사형 홀 (threaded hole) 로 나사고정됨에 따라 헤드의 원뿔형 형상과 관통홀의 원뿔형 형상은 접촉하여서 인서트는 포켓에 대해 클램핑된다. 종종, 스크류가 공구홀더 및 인서트에 대해 조여질 때 원뿔형 클램핑면들이 접촉하게 됨에 따라, 인서트의 측면 지지면들은 포켓의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을 향해 가압되도록 나사형 홀의 로케이션이 로케이팅된다.
이 배열의 단점은, 인서트들이 크기에서 약간의 변화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인서트의 소결 중 프레스된 인서트의 형상에서 발생하는 변경의 결과로서 초경 카바이드 인서트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공구홀더에 대한 인서트의 절삭 날의 위치는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들과 접촉하는 인서트 지지면들 상의 지점들과 절삭 날 사이 거리에 의존한다. 하나의 인서트에서 다른 인서트로 크기 변화는 가공물의 손상 또는 불량한 품질 마감 (finishes) 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점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돌출부가 포켓의 바닥 어버트먼트 면에 제공되고 인서트의 관통홀에 수용되는 "바닥 로킹" 배열들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돌출부와 관통홀의 내부 면 사이 접촉은 포켓의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과 인서트의 측면 지지면들 사이 접촉을 대체할 수 있다. 돌출부와 관통홀의 내부 면이 접촉하는 지점(들)과 작업 절삭 날 사이 거리는,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이 측면 지지면들과 접촉하는 지점들과 절삭 날 사이 거리 미만이기 때문에, 인서트 크기에서 변화의 영향은 덜 두드러진다.
이러한 바닥 로킹 배열들이 갖는 단점들은, 돌출부가 전형적으로 인서트의 바닥 면 가까이에 있어서, 절삭 작동 중 인서트에 대한 불량한 지지부가 되는 경향이 있음을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들은 전형적으로 경사면들을 포함하고 절삭력이 인서트에 가해질 때 인서트는 경사부들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경향이 있을 수도 있다.
바닥 로킹 배열들 및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과 측면 지지면들이 접촉하는 배열들 양자의 단점들은, 바닥 로킹 배열에서 돌출부 또는 포켓의 임의의 어버트먼트 면이 손상된다면, 면에 대해 인서트를 적절하게 착좌 (seat) 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공구홀더의 보수는, 가능하다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인서트들의 정확한 장착을 제공하는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구홀더에서 손상된 어버트먼트 면들의 간단한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공구홀더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상기 바닥 어버트먼트 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중심 축선을 가지는, 상기 돌출부, 및 클램핑 스크류로서,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의 암나사들과 메이팅하기 위한 수나사들 및 인서트 클램핑면과 접촉하기 위해 원뿔대 형상으로 된 바닥 클램핑면을 가지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스크류가 상기 공구홀더 및 인서트에 대해 조여질 때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하는, 상기 클램핑 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공구홀더는 상기 돌출부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각각의 어버트먼트 부재는 어버트먼트 지점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의 적어도 어버트먼트 지점은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의 상기 중심 축선보다 상기 돌출부의 상기 중심 축선에 더 가깝다.
설명한 바와 같은 공구홀더는, 인서트의 절삭 날들 및 인서트의 지지면들과 접촉하는 어버트먼트 면들 사이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서트들의 정확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어버트먼트 부재들은 손상된 경우에 용이하게 교체되는 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이다. 이것은 공구홀더에서 돌출부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각각은 원형의 실린더형 핀을 포함한다. 이 구조는 어버트먼트 부재들의 간단한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원형의 실린더형 홀들 또는 리세스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간단하게 돌출부에 대해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간단한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공구홀더, 및 공구홀더에 부착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인서트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에 대해 상기 인서트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지지면, 상단 면, 및 상기 바닥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상단 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내부 실린더형 벽 부분, 및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과 상기 상단 면 사이의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에 리세스 지지면들을 가지는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여서 클램핑 스크류가 상기 공구홀더 및 상기 인서트에 대해 조여지고 제 1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이동시킬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의 각각의 어버트먼트 부재의 어버트먼트 지점은 상기 리세스 지지면들 중 대응하는 지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삭 공구는 인서트의 절삭 날들과 인서트의 지지면들과 접촉하는 어버트먼트 면들 사이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서트들의 정확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인서트의 절삭 날과 리세스 지지면들이 접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면 사이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절삭 공구는 공구홀더에서 절삭 날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리세스 지지면들은 클램핑면에 의해 인서트에서 상당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고 대응하는 높은 어버트먼트 면들에 접하여, 인서트의 장착에서 더 큰 안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용 인서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2 개의 리세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가 리세스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수용되도록 하여 인서트는 적어도 2 개의 위치들로 위치조정가능 (indexable)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리세스 지지면(들)은 반경 (radiused) 면(들)이다. 이러한 간단한 형상들은 텅스텐 카바이드의 프레싱 및 소결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인서트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는 복수의 절삭 날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삭 날은 각각의 리세스에 대응한다. 복수의 절삭 날들을 제공함으로써, 인서트는 공구홀더에서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로 위치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공구홀더는 상기 바닥 어버트먼트 면에 대해 영이 아닌 (non-zero) 각도를 규정하는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스크류가 상기 공구홀더 및 상기 인서트에 대해 조여지고 상기 인서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면들 중 하나는 측면 어버트먼트 면을 향해 이동된다. 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공구홀더에서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의 개수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공구홀더와 절삭 공구의 설계에서 유연성 (flexibility) 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공구홀더는 상기 돌출부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 부재들은 각각 암나사가 있는 개구의 중심 축선보다 상기 돌출부의 중심 축선에 더 가까이 있다. 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공구홀더에서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의 개수가 최소화되거나 전부 제거될 수 있으므로 공구홀더와 절삭 공구의 설계에서 유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는, 바닥 면, 상단 면, 및 상기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상단 면으로 연장되는 관통홀로서, 상기 관통홀은 내부 실린더형 벽 부분, 및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과 상기 상단 면 사이에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을 구비하는, 상기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에 리세스 지지면들을 가지는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인서트의 절삭 날과 리세스 지지면들이 접하는 어버트먼트 면 사이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인서트는 공구홀더에 정확히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리세스 지지면들은 클램핑면에 의해 인서트에서 상당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고 대응하는 높은 어버트먼트 면들에 접하여, 인서트의 장착에서 더 큰 안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실린더형 벽 부분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이다. 이러한 형상은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의 프레싱 및 소결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인서트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리세스 지지면들은 반경 면들이다. 이러한 형상들은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의 프레싱 및 소결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인서트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는 복수의 절삭 날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삭 날은 각 쌍의 리세스들에 대응한다. 이 구조에 의하여, 위치조정가능한 인서트는, 공구홀더의 설계에 대해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수단에 의해 공구홀더에 대해 잘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상단 면과 바닥 면은 동일하고, 관통홀은 실린더형 벽 부분과 바닥 면 사이에 역 원뿔대형 제 2 인서트 클램핑면을 포함하고, 인서트는 가역적 (reversible) 이다. 이 구조에 의해, 인서트를 뒤집어 인서트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인서트의 수명은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모서리는 복수의 별개의 세장형 (elongated) 부분들 및 복수의 별개의 천이 부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천이 부분은 각 쌍의 세장형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세장형 부분은, 상기 세장형 부분을 향하고 상기 관통홀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세장형 부분을 이등분하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이 구조는,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 필요 없이, 인서트에 견고한 지지를 제공할 로케이션들에서 인서트의 리세스들에 어버트먼트 부재들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리세스들 사이 공간들을 규정하는 실린더형 벽 부분의 재료는 원호를 규정하고, 리세스들은 약 20 도인 실린더형 벽 부분의 원호에 걸쳐 연장되고, 각 리세스 간 원호들은 각각의 리세스들을 가로지른 원호들과 동일하거나 이 원호들 보다 더 크다. 이러한 형상들은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의 프레싱 및 소결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인서트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리세스들은 클램핑면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들과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잘 이해되고 첨부도면들에서 같은 도면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삭 공구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절삭 공구의 부분 단면 상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공구홀더의 일부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6 은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완전히 클램핑하기 전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한 후 도 6 의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부분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한 후 도 8 의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삭 공구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절삭 공구의 부분 단면 상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공구홀더의 일부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6 은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완전히 클램핑하기 전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한 후 도 6 의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부분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클램핑 스크류로 공구홀더에 대해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한 후 도 8 의 절삭 공구의 상면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 (21) 를 나타낸다. 절삭 공구 (21) 는 공구홀더 (25) 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 (23)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구홀더 (25) 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및 바닥 어버트먼트 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 (29) 를 포함한다. 돌출부 (29) 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예컨대, 도 1 및 도 4) 를 포함한다.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는, 도 6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 1 방향 (D1; C3 에서 C1 로) 으로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중심 축선 (C1) 을 갖는다.
공구홀더 (25) 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의 암나사들과 메이팅하기 위한 수나사들 (35) 및 원뿔대의 형상으로 된 바닥 클램핑면 (39) 을 가지는 헤드 (37) 를 갖는 클램핑 스크류 (33) 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 및 도 3).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보면, 헤드 (37) 의 바닥 클램핑면 (39) 이 절삭 인서트 (23) 에서 대응하게 형상화된 인서트 클램핑면 (41) 과 접촉할 때, 클램핑 스크류 (33) 가 공구홀더 (25) 및 인서트 (23) 에 대해 조여지면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제 1 방향 (D1) 으로 가압된다. 클램핑 스크류가 조여질 때 인서트 (23) 가 제 1 방향 (D1) 으로 정상적으로 이동되는 동안, 예로 인서트가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처럼 어버트먼트 면과 접촉하고 인서트 운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1 방향에 비스듬히 이동한다면, 인서트는 제 1 방향과 정확히 동일한 방향으로 반드시 이동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스크류가 암나사가 있는 개구에 나사고정될 때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의 중심 축선 (C1) 은 스크류 (33) 의 중심 축선과 동일하다.
공구홀더 (25) 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부 (29) 의 측벽 (45) 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추가로 포함한다. 축선들 (C1, C3) 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될 때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에서 적어도 어버트먼트 지점들은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의 중심 축선 (C1) 보다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에 더 가까이 있다. 전형적으로, 전체 어버트먼트 부재 (43) 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의 중심 축선 (C1) 보다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에 더 가까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원형의 실린더형 핀들의 형태인 경우가, 예를 들어, 도 1, 도 6, 및 도 7 에 나타나 있다.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에서 어버트먼트 지점들은 제 1 방향 (D1) 을 향하는 어버트먼트 부재들에서 최전방 (forwardmost) 지점들로서 규정된다. 어버트먼트 부재들에서 어버트먼트 지점들은 리세스 지지면들 (61; 도 5 내지 도 7) 의 대응하는 지지 지점들에 접촉한다.
돌출부 (29) 는 전형적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일 필요는 없고, 인서트 (23) 의 내부 실린더형 벽 (47) 도 또한 전형적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일 필요는 없다. 인서트 (23) 의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은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들 (49) 을 포함한다. 돌출부와 내부 실린더형 벽의 형상들이 원형이 아니더라도 인서트가 위치조정될 수도 있지만, 돌출부 (29) 및 인서트 (23) 의 내부 실린더형 벽 (47) 에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 형상을 제공하는 것은 공구홀더 (25) 에 대한 인서트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또는 리세스들 (49) 이 면들 둘레에 이격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일 수도 있고 그것들이 완벽하게 원형의 실린더형이 되는 것을 막는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7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예로 돌출부 (29) 와 함께 기계가공되거나 경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해 돌출부에 고정됨으로써,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다양한 적합한 형태들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원형의 실린더형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의 실린더형 핀들로서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제공하는 것은,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형성된 홀들 (51; 도 1, 도 3, 및 도 4) 및 돌출부에 형성된 리세스들 (53) 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손상된 경우에, 홀들 및 리세스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의 원형의 실린더형 형상은 제작하기에 또한 보통 비교적 간단하다.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의 사용은, 공구홀더를 형성하는 재료의 블록들로 기계가공된 포켓들의 벽들의 면들을 형성하는 종래의 어버트먼트 면들로 가능하지 않은 손상의 경우에 어버트먼트 부재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교체가능한 핀들의 형태인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위한 돌출부 (29) 에서 리세스들 (53) 은 전형적이기는 하지만, 돌출부의 중심 축선 (C3) 에 평행하고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수직으로 반드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절삭 인서트 (23) 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대하여 인서트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지지면 (55), 상단 면 (57), 및 돌출부 (29) 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 (59) 을 포함한다. 관통홀 (59) 은 바닥 지지면 (55) 으로부터 상단 면 (57) 으로 연장된다. 관통홀 (59) 은 내부 실린더형 벽 부분 (47), 및 실린더형 벽과 상단 면 (57) 사이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 (41)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 도 3, 및 도 5 내지 도 7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클램핑 스크류 (33) 가 공구홀더 (25) 및 인서트 (23) 에 대해 조여지고 도 7 에 도시된 이동 거리를 통하여 제 1 방향 (D1) 으로 인서트를 이동시킬 때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리세스 지지면들 (61) 에 대해 접하도록 관통홀 (59) 은 어버트먼트 부재들 (29) 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실린더형 벽 (47) 에 리세스 지지면들 (61; 도 5 내지 도 7) 을 가지는 복수의 리세스들 (49) 을 포함한다. 리세스들 (49) 은 인서트 클램핑면 (41) 으로 연장될 수 있고 클램핑 스크류 (33) 의 헤드 (37) 의 바닥 클램핑면 (39) 은 바람직하게 모든 리세스들을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져서 가공물로부터 임의의 칩들이 리세스들로 떨어질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모서리 (63) 는 인서트 (23) 의 상단 면 (57) 과 측벽 (65) 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인서트 (23) 가 공구홀더 (25) 에 대해 위치조정될 때 모서리 (63) 의 전부 또는 일부는 복수의 상이한 절삭 날들을 형성한다. 인서트 (23) 는 도 1 (최대 9 개의 분리된 절삭 날들의 부분들을 형성할 수 있는 9 개의 별개의 직선 에지 모서리 부분들을 도시함)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복수의 절삭 날들을 가질 수 있거나 인서트의 관통홀 (59) 의 중심 축선 (C2) 을 따라 보았을 때,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지는 인서트의 부분들로서 절삭 날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절삭 날의 2 개 이상의 상이한 부분들을 노출하기 위해서 인서트가 공구홀더 (25) 에서 적어도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위치들로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인서트 (23) 는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리세스들 (49), 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3 개의 리세스들 (49) 을 포함한다. 각각의 절삭 날은, 특정 절삭 날이 공구홀더 (25) 에 대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수용되는 각 쌍의 리세스들 (49) 에 대응한다. 도 5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모서리 (63) 의 9 개의 세장형 (직선) 부분들 및 각 쌍의 세장형 부분들 사이에 배치된 9 개의 천이 부분들이 있다. 세장형 부분들 각각은, 모서리의 세장형 부분을 향하고, 관통홀 (59) 의 중심 축선 (C2) 으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전형적으로 중심에 위치하고 모서리의 세장형 부분을 이등분하는 대응하는 리세스 (49) 를 갖는다.
예컨대, 도 1 및 도 5 에 나타낸 예시적인 인서트 (23) 에서 볼 수 있듯이, 인서트는 관통홀 (59) 의 중심 축선 (C2) 둘레에서 40 도의 각도 (AR) 로 이격된 9 개의 리세스들 (49) 을 가질 수도 있고 돌출부 (29) 에서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에 대해 최대 9 개의 상이한 위치들로 위치조정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원형 핀들로 형성될 때처럼, 적어도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반경 외부 면들을 가질 때, 리세스들 (49) 은 전형적으로 반경 면들로서 형성되고, 전체 리세스 (49) 가 반경 면으로서 형성되지 않을지라도, 적어도 리세스 지지면들 (61) 은 전형적으로 반경 면들로서 형성된다. 리세스들 (49) 및/또는 리세스 지지면들 (61) 의 반경들은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의 반경들과 적어도 동일하고 전형적으로 약간 더 커서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리세스들에 수용되도록 허용한다. 도 5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볼 수 있는 리세스들 (49) 은 약 180 도의 일반적인 원호들 형태이다. 호들은 180 도보다 작을 수도 있고, 하지만, 전형적으로 약 90 도 이상이다.
리세스들 (49) 및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의 리세스가공되지 않은 부분들은 함께 바람직하게 실린더를 규정한다. 리세스들 (49) 의 종방향 축선들 및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의 종방향 축선, 즉, 인서트 관통홀 (59) 의 축선 (C2) 은 바닥 면 (57) 의 평면, 전형적으로, 인서트 (23) 의 상단 면 (55) 의 평면에 바람직하게 수직이다.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이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일 때, 내부 실린더형 벽의 반경은 리세스들 (49) 및/또는 리세스 지지면들 (61) 의 반경의 전형적으로 약 3 배 ~ 10 배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배 ~ 7 배 크다.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이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일 때, 리세스들 (49) 사이에 공간들을 규정하는 내부 실린더형 벽의 재료는 전형적으로 원호를 규정한다. 원호의 크기는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의 크기에 대한 리세스들 (49) 의 크기 및 개수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의 직경 크기의 대략 1/6 인 9 개의 리세스들 (49) 을 가지는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인서트 (23) 에서, 리세스들 사이 내부 실린더형 벽의 재료는 약 20 도인 원호를 규정한다. 9 개의 리세스들 (49) 은, 마찬가지로, 약 20 도인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 내부 실린더형 벽 (47) 의 원호들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인서트 (23) 의 모든 실시형태들에 대해 반드시 합당한 것은 아니지만, 각 리세스 간 원호는 각각의 리세스들 (49) 을 가로지른 원호와 대략 같거나 이 원호 보다 크다.
예컨대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예시적인 공구홀더 (25) 에서 볼 수 있듯이,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수용될 인서트 (23) 의 2 개의 리세스들 (49) 사이 각도보다 약간 작은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둘레에서 각도 (AA) 로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전형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개구 축선 (C2) 둘레에서 40 도로 이격된 9 개의 리세스들 (49) 을 가지는 인서트 (23) 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도 1 의 절삭 공구 (21) 에 나타낸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의 경우에, 어버트먼트 부재들은 인서트 개구 축선 둘레에서 80 도로 이격된 인서트 내 리세스들 (49) 에 수용되도록 의도됨에 따라 어버트먼트 부재들은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둘레에서 79 도의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클램핑 스크류 (33) 가 공구홀더 (25) 및 인서트에 대해 조여질 때, 인서트 (23) 가 제 1 방향 (D1) 으로 이동되면, 즉, 도 6 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7 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되면,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수용될 리세스들 (49) 이 인서트 개구 축선 (C2) 에 대해 규정하는 각도보다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돌출부의 중심 축선 (C3) 에 대해 약간 더 작은 각도를 규정하도록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배열함으로써,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의 반경 면들은 도 7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로 가장 가까운 리세스들의 부분들에서 리세스들 (49) 과 접촉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절삭 작동 중 공구홀더에 대해 움직이려는 인서트의 임의의 경향성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리세스들 (49) 중 연속 리세스들에 수용될 수도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어버트먼트 부재들이 리세스들 (49) 중 비연속 리세스들에 수용되도록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배열하는 것은 공구홀더 (25) 상의 인서트 (23) 에 양호하고 균등하게 이격된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공구홀더 (25) 가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가지는 경우에, 공구홀더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영이 아닌 각도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 측면들 (67, 69) 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측면들 (67 및/또는 69) 은 보통 전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공구홀더 (25) 에 실질적으로 더 큰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측면들 (67 및/또는 69) 이 제공된다면, 클램핑 스크류 (33) 가 공구홀더 (25) 및 인서트 (23) 에 대해 조여지고 인서트를 제 1 방향 (D1) 으로 이동시킬 때 측면들 (67, 69) 을 향해 이동하지만 접촉하지 않는 하나 (특히 원형 인서트의 경우) 또는 복수의 측면 인서트 면들을 인서트 (23) 의 측벽 (65) 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할 수도 있다. 과다결정을 회피하기 위해서, 측면 인서트 면들은 정상적으로 측면들 (67, 69) 과 전혀 접촉하지 않지만, 절삭력이 인서트 (23) 를 제 1 방향 (D1) 으로 가압할 때 일부 설계에서는 약간의 접촉이 있을 수도 있다. 측면들 (67, 69) 및 측면 인서트 면들이 접촉하기 전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리세스들 (49) 에서 리세스 지지면들 (61) 과 접촉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절삭 작동 중 인서트 (23) 에서 힘을 가하는 예봉 (brunt) 은 측면들 (67, 69) 보다는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에 의해 지탱될 것이고, 이것은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그것들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형태로 되어있다면 유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듯이, 절삭 공구 (21) 에서, 인서트 (23) 의 부분은 포켓에서 측면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들 (67, 69) 과 접촉하지 않는다.
더욱이,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전통적인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을 위한 교체부들로서 기능하고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과 비교했을 때 작업 절삭 날들에 비교적 가까이 로케이팅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인서트에서 크기 변화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인서트에서, 공구홀더에 대한 절삭 날의 위치는, 측면 인서트 지지면들이 측면 어버트먼트 면들과 접촉하는 지점들로부터 절삭 날까지 거리에 의존하지만, 반면에 본원에 설명한 바와 같은 인서트에서, 공구홀더에 대한 절삭 날의 위치는,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이 리세스 지지면들 (61) 과 접촉하는 지점들로부터 절삭 날까지 훨씬 더 짧은 거리에 의존한다. 인서트 크기의 변화는 종래의 절삭 공구에서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에서 절삭 날의 로케이션에 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에서 이해할 수 있듯이,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클램핑 스크류 (33) 의 클램핑면들 (39, 41) 과 인서트 (23) 사이 접촉 지점 가까이에서, 인서트의 상단 면 (57) 에 가까운 리세스 지지면들 (61) 과 접촉할 수 있다. 이 특징은, 특히 공구홀더의 바닥 어버트먼트 면 위로 최소 거리만 연장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다른 "바닥 지지" 스타일 인서트들과 비교했을 때 공구홀더 (25) 및 돌출부 (29) 에 대한 인서트 (23) 의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특징은, 돌출부의 측면들이 경사지거나 최소 높이를 가질 때 인서트에 가해지는 절삭력의 결과로 발생할 수도 있는 바닥 지지 스타일 돌출부에 오르려는 인서트의 임의의 경향성을 회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인서트 (23) 의 상단 면 (57) 과 바닥 면 (55) 은 동일할 수도 있고, 관통홀 (59) 은 실린더형 벽 (47) 과 바닥 면 (55) 사이에 제 2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 (73; 도 3)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역적으로 함으로써, 즉, 바닥 면 (55) 과 인서트 측벽 (65) 의 교차점에 의해 규정된 모서리 (75) 에서 절삭 날들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플립 오버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치조정가능한 인서트 (23) 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 (21') 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나 있고 단일 어버트먼트 부재 (43') 를 구비한 공구홀더 (25') 및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대해 영이 아닌 각도를 규정하는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 (67') 을 포함한다. 인서트 (23') 는 적어도 하나, 보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측면 지지면들 (71') 을 포함한다. 클램핑 스크류 (33') 가 공구홀더 (25') 및 인서트 (23') 에 대해 조여지고 인서트를 제 1 방향 (D1) 으로 이동시킬 때 측면 지지면들 (71') 중 하나는 측면 어버트먼트 면 (67') 을 향해 이동된다. 이런 식으로, 3 개의 접촉 지점들은 1 - 인서트 (23') 와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사이; 2 - 인서트 (23') 와 어버트먼트 부재 (43') 사이; 및 3 - 인서트 (23') 와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 (67') 사이에서 획득된다. 인서트 (23') 에 3 개의 접촉 지점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공구홀더가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 (67') 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공구홀더 (25') 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과 도 7 에 나타낸 공구홀더 (25) 의 특징들 전부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방향 (D1') 은 일반적으로 인서트 (23') 와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 (67') 사이 접촉 지점 및 인서트 (23') 와 어버트먼트 부재 (43) 사이 접촉 지점에 의해 규정된 라인의 방향이도록 돌출부 (29') 에서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의 축선 (C1) 이 전형적으로 로케이팅된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공구홀더 (25') 를 위한 인서트 (23') 는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인서트 (23) 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공구홀더를 위한 인서트는 단지 하나의 리세스 (61') 만 포함할 필요가 있고, 위치조정가능하도록, 단지 2 개의 리세스들만 필요로 하고, 반면에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인서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세스들 (61) 을 요구하고,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적어도 3 개의 리세스들을 요구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구비한다" 와 같은 용어들의 사용은 개방적인 것으로서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들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다른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유사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일 수도 있다" 와 같은 용어들의 사용이 개방적인 것으로서,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이지만, 이러한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이 필수적임을 나타내려는 것은 아니다.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은 현재 필수적으로 고려되는 한, 그러한 것으로 인정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항에서 제시한 대로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화 및 변경될 수도 있음이 인식된다.
Claims (18)
- 공구홀더 (25; 25') 로서,
바닥 어버트먼트 (abutment) 면 (27; 27');
상기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27') 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 (29; 29') 로서, 상기 돌출부 (29; 29') 는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는 제 1 방향 (D1; D1') 으로 상기 돌출부 (29; 29') 의 중심 축선 (C3; C3') 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중심 축선 (C1; C1') 을 가지는, 상기 돌출부 (29; 29'); 및
클램핑 스크류 (33; 33') 로서,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의 암나사들과 메이팅하기 위한 수나사들 (35; 35') 및 인서트 클램핑면 (41; 41') 과 접촉하기 위해 원뿔대 형상으로 된 바닥 클램핑면 (39; 39') 을 가지는 헤드 (37)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스크류 (33; 33') 가 상기 공구홀더 (25; 25') 및 인서트 (23; 23') 에 대해 조여질 때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 (D1; D1') 으로 상기 인서트 (23; 23') 를 가압하는, 상기 클램핑 스크류 (33; 33') 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홀더 (25; 25') 는 상기 돌출부 (29; 29') 의 측벽 (45; 45') 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를 포함하고, 각각의 어버트먼트 부재는 어버트먼트 지점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의 적어도 어버트먼트 지점은 상기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31') 의 상기 중심 축선 (C1; C1') 보다 상기 돌출부 (29; 29') 의 상기 중심 축선 (C3; C3') 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5; 25').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29; 29') 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1; 21').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43') 각각은 원형의 실린더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1; 21'). -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핀은 상기 돌출부 (29; 29') 의 상기 중심 축선 (C3; C3')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돌출부 (29; 29') 에서 각각의 리세스 (53) 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1; 21'). - 절삭 공구 (21; 21') 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구홀더 (25; 25'), 및 상기 공구홀더 (25; 25') 에 부착가능한 절삭 인서트 (23; 23') 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는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27') 에 대해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지지면 (55, 55'), 상단 면 (57; 57'), 및 상기 바닥 지지면 (55; 55') 으로부터 상기 상단 면 (57; 57') 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29; 29') 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 (59)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59) 은 내부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및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과 상기 상단 면 (57; 57') 사이의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 (41; 41')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59) 은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에 리세스 지지면들 (61; 61') 을 가지는 복수의 리세스들 (49; 49') 을 포함하여서 클램핑 스크류 (33; 33') 가 상기 공구홀더 (25; 25') 및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에 대해 조여지고 제 1 방향 (D1; D1') 으로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를 이동시킬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의 각각의 어버트먼트 부재 (43; 43') 의 어버트먼트 지점은 상기 리세스 지지면들 (61; 61') 중 대응하는 지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21').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는 적어도 2 개의 리세스들 (4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21').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리세스 지지면(들) (61; 61') 은 반경 (radiused) 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21').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는 복수의 절삭 날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삭 날은 각각의 리세스 (61; 61') 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21').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는 상기 바닥 어버트먼트 면 (27') 에 대해 영이 아닌 (non-zero) 각도를 규정하는 인서트 어버트먼트 면 (67') 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3') 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면들 (71') 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스크류 (33') 가 상기 공구홀더 (25') 및 상기 절삭 인서트 (23') 에 대해 조여지고 상기 절삭 인서트 (23') 를 상기 제 1 방향 (D1') 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면들 (71') 중 하나는 상기 측면 어버트먼트 면 (67') 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25) 는 상기 돌출부의 측벽 (45) 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을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 부재들 (43) 은 각각 암나사가 있는 개구 (31) 의 중심 축선 (C1) 보다 상기 돌출부 (29) 의 중심 축선 (C3) 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 절삭 인서트 (23; 23') 로서,
바닥 면 (55; 55'),
상단 면 (57; 57'), 및
상기 바닥 면 (55; 55') 으로부터 상기 상단 면 (57; 57') 으로 연장되는 관통홀 (59) 로서, 상기 관통홀 (59) 은 내부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및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과 상기 상단 면 (57; 57') 사이에 역 원뿔대형 인서트 클램핑면 (41; 41') 을 구비하는, 상기 관통홀 (59)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59) 은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에 리세스 지지면들 (61; 61') 을 가지는 복수의 리세스들 (49; 4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실린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리세스 지지면들 (61; 61') 은 반경 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는 복수의 절삭 날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삭 날은 각 쌍의 리세스들 (49; 49') 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면 (55; 55') 및 상기 바닥 면 (57; 57') 은 동일하고, 상기 관통홀 (59) 은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과 상기 바닥 면 (55; 55') 사이에 역 원뿔대형 제 2 인서트 클램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3; 23') 는 가역적인 (reversi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서리 (63; 63') 는 복수의 별개의 세장형 (elongated) 부분들 및 복수의 별개의 천이 부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천이 부분은 각 쌍의 세장형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세장형 부분은, 상기 세장형 부분을 향하고 상기 관통홀 (59; 59') 의 중심 축선 (C2; C2') 으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세장형 부분을 이등분하는 대응하는 리세스 (49; 49')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들 (49; 49') 사이에 공간들을 규정하는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의 재료는 원호를 규정하고, 상기 리세스들 (49; 49') 은 약 20 도인 상기 실린더형 벽 부분 (47; 47') 의 원호들에 걸쳐 연장되고, 각각의 리세스 (49; 49') 간 원호들은 상기 리세스들 (49; 49') 각각을 가로지르는 원호들과 같거나 이 원호들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들 (49; 49') 은 상기 클램핑면 (41; 41') 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3; 2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3197109.5 | 2013-12-13 | ||
EP13197109.5A EP2883640B1 (en) | 2013-12-13 | 2013-12-13 | Cutting tool with abutment members and toolholder and cutting insert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9556A true KR20150069556A (ko) | 2015-06-23 |
Family
ID=498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698A Withdrawn KR20150069556A (ko) | 2013-12-13 | 2014-12-12 | 교체가능한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구비한 절삭 공구, 절삭 공구용 공구홀더 및 절삭 인서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73275B2 (ko) |
EP (1) | EP2883640B1 (ko) |
JP (1) | JP6544918B2 (ko) |
KR (1) | KR20150069556A (ko) |
CN (1) | CN1047080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824B1 (ko) * | 2012-11-09 | 2020-10-27 | 더 글리슨 웍스 | 스틱 블레이드의 반경방향의 조정기능을 가진 기어 커터 |
US9999934B2 (en) * | 2012-12-14 | 2018-06-19 | The Gleason Works | Gear cutter with radial adjustability of square or rectangular stick blades |
US9266174B2 (en) * | 2013-06-10 | 2016-02-23 | sp3 Cutting Tools, Inc. | Cutting tool |
US9211589B2 (en) * | 2013-10-08 | 2015-12-15 | Kennametal Inc. | Double-sided, nonagon cutting insert |
US9475138B2 (en) | 2014-01-22 | 2016-10-25 | Kennametal Inc. | Cutting tool having insert pocket with cantilevered member |
EP3260226B1 (en) * | 2015-02-19 | 2020-04-01 | Tungaloy Corporation | Cutting tool |
EP3184237B1 (en) * | 2015-12-22 | 2020-05-27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 Sensor module and tool holder for a cutting tool |
JP2017221982A (ja) * | 2016-06-13 | 2017-12-21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刃先交換式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CN108788265B (zh) * | 2017-05-05 | 2020-08-18 | 张新添 | 舍弃式倒角刀具 |
CN107570735B (zh) * | 2017-09-30 | 2020-04-10 |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 一种孔内具有圆弧形凹槽的多边形切削刀片及切削刀具 |
US10569346B2 (en) * | 2017-11-02 | 2020-02-25 | Iscar, Ltd. | Cutting head and rotary cutting tool having same releasably clamped to a shank via a locating pin |
DE102019200692A1 (de) | 2019-01-21 | 2020-07-23 | Gühring KG | Maschinenwerkzeug |
TWI670127B (zh) * | 2019-01-30 | 2019-09-01 | 張新添 | 捨棄式刀片鎖固結構 |
WO2021014840A1 (ja) * | 2019-07-19 | 2021-01-28 |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 切削工具 |
CN110861153A (zh) * | 2019-11-28 | 2020-03-06 |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虎克式刀盘的装刀器 |
US11786982B2 (en) * | 2021-04-26 | 2023-10-17 | Kennametal Inc. | Cutting tool comprising toolholder and round cutting insert and method for repositioning the round cutting insert in a pocket of the toolholder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60030A (en) * | 1922-12-21 | 1923-06-26 | Mattson Julius | Milling-machine cutter |
US2289344A (en) * | 1941-04-28 | 1942-07-14 | Forest City Bit & Tool Co | Tool |
US4315706A (en) * | 1980-04-07 | 1982-02-16 | General Electric Company | Holder assembly for an indexable insert for use in a cutting tool |
DE3321184C2 (de) * | 1983-06-11 | 1985-11-07 |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7400 Tübingen | Drehwerkzeug mit einem Halter für einen auswechselbaren Schneideinsatz |
BR8800380A (pt) | 1987-07-24 | 1989-02-08 | Gte Valenite Corp | Ferramenta de cortar |
AT397626B (de) * | 1992-11-20 | 1994-05-25 | Plansee Tizit Gmbh | Schneidwerkzeug mit integrierter kühlmittelzufuhr |
JPH09290306A (ja) * | 1996-04-25 | 1997-11-11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異形状チップ装着用のカッタ |
IL150783A0 (en) * | 2001-10-16 | 2003-02-12 | Iscar Ltd |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
SE526174C2 (sv) * | 2002-07-01 | 2005-07-19 | Seco Tools Ab Publ | Koppling vid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där kopplingsdelarna endast kan monteras i ett läge |
SE526586C2 (sv) * | 2003-11-25 | 2005-10-11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innefattande en han/hon-koppling mellan skärdel och hållardel |
SE530808C2 (sv) * | 2007-01-31 | 2008-09-16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skär och grundkropp härför |
US8573903B2 (en) * | 2009-11-03 | 2013-11-05 | Kennametal Inc. | Round cutting insert with anti-rotation feature |
SE534648C2 (sv) * | 2010-03-26 | 2011-11-08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Roterbart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löstopp och grundkropp härför |
BR112013007686A2 (pt) * | 2010-09-30 | 2016-08-09 | Tungaloy Corp | ferramenta de corte do tipo de troca de aresta de corte |
RU2570682C1 (ru) * | 2011-10-07 | 2015-12-10 | Тунгалой Корпорейшн |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заменяемой режущей кромкой |
US8790049B2 (en) * | 2012-02-07 | 2014-07-29 | Iscar, Ltd. | Indexable double-negative cutting insert having protruding side abutment surfaces and cutting tool |
-
2013
- 2013-12-13 EP EP13197109.5A patent/EP288364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4
- 2014-12-09 US US14/564,319 patent/US10173275B2/en active Active
- 2014-12-11 JP JP2014250837A patent/JP65449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2 CN CN201410771910.XA patent/CN1047080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2 KR KR1020140179698A patent/KR20150069556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08037B (zh) | 2019-02-15 |
JP6544918B2 (ja) | 2019-07-17 |
CN104708037A (zh) | 2015-06-17 |
EP2883640A1 (en) | 2015-06-17 |
EP2883640B1 (en) | 2017-05-17 |
US20150165527A1 (en) | 2015-06-18 |
US10173275B2 (en) | 2019-01-08 |
JP2015112714A (ja) | 2015-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69556A (ko) | 교체가능한 어버트먼트 부재들을 구비한 절삭 공구, 절삭 공구용 공구홀더 및 절삭 인서트 | |
JP6374884B2 (ja) | 片面で割出し可能な角形の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 |
KR101323558B1 (ko) | 장착 구멍을 갖는 인서트 및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는공구홀더 | |
US5004379A (en) | Threading insert | |
CA2810298C (en) |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 |
KR101728566B1 (ko) | 칩 제거 기계 가공용 공구 및 이를 위한 솔리드 날 교환 가능한 절삭 인서트와 솔리드 기본 본체 | |
US10201855B2 (en) | Cutting insert, tool body and cutting tool | |
US6527485B1 (en) | Threading apparatus | |
US10052693B2 (en) | Plate member of cutting tool, tool block, clamp member, and cutting tool | |
KR20110004866A (ko) | 공작물의 턴-턴 브로칭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 |
KR101657730B1 (ko) | 조절 기구를 갖는 절삭 공구 | |
JP2009529430A (ja) | 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およびフライス工具 | |
WO2008062825A1 (fr) | Outil de découpe du type à insert détachable et insert | |
US7264425B1 (en) | Tool | |
CA2034662C (en) | Threading insert | |
JP2019511373A (ja) | ワークピース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工具ホルダ、および工具 | |
US11717895B2 (en) |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ssembly including same | |
JP5971577B2 (ja) | 刃先調整機構 | |
JP2001191208A (ja) | スローアウェイ式正面フライス | |
JP2018065195A (ja) | 刃先交換式切削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