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10A - Structure of trailing-arm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trailing-a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6110A KR20150066110A KR1020130151245A KR20130151245A KR20150066110A KR 20150066110 A KR20150066110 A KR 20150066110A KR 1020130151245 A KR1020130151245 A KR 1020130151245A KR 20130151245 A KR20130151245 A KR 20130151245A KR 20150066110 A KR20150066110 A KR 20150066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wheel
- carrier
- carrier par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측은 차체로 연결되고 후방측은 제동장치와 결합되는 휠로 연결되어 상기 휠의 거동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에 있어서, 전방 끝단에서 차체에 연결되기 위해 부시가 장착된 암파트와 상기 암파트의 후방으로 확장되어 외측면에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파트를 갖는 메인플레이트; 및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캐리어파트에 장착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암파트와 캐리어파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캐리어와 트레일링암이 일체로 구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수가 축소되어 조립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railing arm that is connected to a vehicle body at a front side and to a wheel coupled to a braking device at a rear side so as to support the behavior of the wheel, A main plate having a carrier part extending rearwardly of the arm part and having a wheel mounted on its outer surface; And a reinforcing member mounted on the carrier part for rigid reinforcement, wherein the main plate has an arm part and a carrier part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and the trailing arm can be integrally formed to reduce the cost,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at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레일링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가 일체로 구성되어 생산원가 절감 및 부품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며 중량을 절감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레일링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railing a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ling vehicl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simplifying the number of parts by integrally forming the carrier, And the structure of ring rock.
자동차 분야에서는 부품의 모듈화를 통해 원가절감 및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하고자 부품들의 통합 및 단순화를 적용시키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In the field of automobile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integrate and simplify components in order to reduce costs and lighten the vehicle through modularization of components.
가령, 프론트 엔드모듈이나 크래쉬패드 모듈, 서스펜션 모듈, 롤링샤시모듈 등의 통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부품별로도 통합되고 단순화하는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 구조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For example, front end modules, crash pad modules, suspension modules, and rolling chassis modules are being integrated. More specifically, parts are being integrated and simplified. Such a flow is also applied to a rear-wheel suspension structure of a vehicle.
승용차량에 있어서 후륜 서스펜션은 통상적으로 토션빔 액슬 타입과 멀티링크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a passenger vehicle, a rear suspension is generally of a torsion beam axle type and a multi-link type.
이 중, 멀티링크 타입은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범프와 리바운드 시 얼라이먼트 변화에 적응이 뛰어나며 휠을 노면에 수평으로 유지시켜 노면 접지능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어 중형차종 이상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Among these, the multi-link type has excellent adaptability to changes of alignment during bump and rebound of shock absorbers and springs, and has excellent ability to ground the road surface by keeping the wheel horizontally on the road surface.
도 1a 내지 도 1c 를 참조하여 종래의 멀티링크 타입의 후륜 서스펜션 구조를 설명하면, 제동장치(디스크브레이크)(3)와 결합된 휠은 캐리어(2)에 장착되되 상기 캐리어(2)는 어퍼암(4), 로어암(5), 어시스트암(6)을 통해 크로스멤버(7)와 연결되고, 트레일링암(1)을 통해 차체 하부의 사이드멤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 wheel coupled with a braking device (disc brake) 3 is mounted on a
상기 트레일링암(1)은 캐리어(2)의 전방쪽으로 연결되어 캐리어(2)의 전후방향 거동을 지지하되 전단에는 탄성체로 제조된 부시(1a)가 결합되어 내외측거동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퍼암(4)과 로어암(5) 및 어시스트암(6)은 캐리어(2)에 작용하는 횡력을 지지하고, 캐리어(2)의 상하방향 거동은 스프링과 쇽업소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어퍼암(4)과 로어암(5) 및 어시스트암(6)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멤버(7)와 캐리어(2)를 연결하며, 상기 로어암(5)에는 스프링 및 쇽업소버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캐리어(2)는 휠과 제동장치(3)가 장착되되, 상기 휠은 캐리어(2)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액슬(axle)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성된다.The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캐리어(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암들(로어암, 어퍼암, 어시스트암) 뿐만 아니라, 톤휠(tone wheel)을 포함한 ABS(anti-lock brake system) 장치는 물론 베어링류 및 브레이크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2)는 일정 기준 이상의 강성이 요구되어 스틸프레스 공법 보다는 주물 가공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상기 트레일링암(1)은 타이어가 상하로 거동 시 횡변위를 흡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일반강판을 소재로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주물가공품인 캐리어(2)와 강판으로 제조된 트레일링암(1)은 볼트로 체결된 상태로 차체에 장착된다. (Not shown), the
따라서, 원가절감 및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하고자 부품들의 통합 및 단순화를 적용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상기 캐리어와 트레일링암을 일체로 구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필요가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the weight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carrier and the trailing arm are integrally formed as a means of applying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of parts.
그러므로, 본 발명은 캐리어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나의 공정(가령, 프레스 공법)으로 제조되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품수가 단순화되어 차체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경량화에 따라 연비개선 및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single step (e.g., press method) so that the carrier is integrally form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simplifying the assembly of the vehicle 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structure of a trailing arm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trailing ar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측은 차체로 연결되고 후방측은 제동장치와 결합되는 휠로 연결되어 상기 휠의 거동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에 있어서, 전방 끝단에서 차체에 연결되기 위해 부시가 장착된 암파트와 상기 암파트의 후방으로 확장되어 외측면에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파트를 갖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캐리어파트에 강성보강을 위해 장착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암파트와 캐리어파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of a trailing arm which is connected to a vehicle body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 wheel coupled to a braking device at a rear side thereof to support a behavior of the wheel, A main plate having an arm part mounted with a bush and a carrier part extending rearwardly of the arm part and having a wheel mounted on its outer side; And a reinforcing member mounted on the carrier part for reinforcement of rigidity, wherein the main pl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rm part and the carrier part.
상기 캐리어파트는 보강부가 안착되는 평평한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꺽여진 꺽임면을 갖되, 상기 보강부가 평탄면에 안착되는 측의 반대쪽면과 상기 평탄면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다.Wherein the carrier part has a flat flat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art is seated and a bent surface curved inward in an end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wherei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reinforcing part is seated on the flat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re parallel .
본 발명에서 상기 휠로 액슬이 연결되도록 평탄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에는 관통홀과 개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파트의 외측면에는 스핀들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제동장치 및 휠이 장착되되, 상기 스핀들플레이트에는 볼팅체결을 위한 볼트홀;과 상기 관통홀 및 제2관통홀과 개통되는 제3관통홀;이 타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flat surface so that the axle is connected to the wheel,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tiffener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and a spindle plat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part, A bolt hole for bolting the bolt and a third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spindle plate.
그리고, 상기 캐리어파트의 상단에는 어퍼암이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꺽임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암이 체결가능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파트는 평탄면 아래가 개구된 모양으로 형성되되, 로어암 또는 어시스트암이 양측의 꺽임면들과 보강재 사이로 진입하여 체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강재의 하단은 상단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part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n upper arm is formed by bending a bending face so that the upper arm can be inserted and joined. The carrier part is formed in a shape with an open bottom under a flat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in a constricted shape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upper end so that the assisting arm enters between the bent surfaces of both sides and the reinforcing member to form a fastening space.
아울러, 상기 암파트 또는 캐리어파트에는 스테빌라이저바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part or the carrier part may be mounted with a bracket so that the stabilizer bar can be selectively fasten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캐리어와 트레일링암이 일체로 구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수가 축소되어 조립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and the trailing arm can be integrally formed to reduce the cost,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at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서는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재는 일정한 크기로 캐리어파트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되어 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ener includes a stiffener, and the stiffener is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arrier part, so that the rigidity can be efficiently reinfor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어퍼암과 로어암 및 어시스트암의 장착이 (별도의 브라켓을 통하지 않고) 꺽임면에서 성형된 공간 및 꺽임면과 보강재 사이의 공간에서 이뤄지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고 더욱 경량화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of the upper arm, the lower arm, and the assist arm is perform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ent surfaces (without passing through separate brackets) and a space between the bent surfaces and the reinforcing member, .
도 1a 는 종래 방식의 멀티링크 타입 후륜 서스펜션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1b 는 도 1a 에서 캐리어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c 는 도 1a 에서 캐리어와 트레일링암이 결합된 부분만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암을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캐리어파트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암을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1A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FIG. 1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n which a carrier is mounted in FIG. 1A,
FIG. 1C is a view showing only a portion where a carrier and a trailing arm are combined in FIG. 1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ling ar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arrier part of a trailing ar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a trailing ar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트레일링암에 관한 것으로써 전방측은 차체로 연결되고 후방측은 제동장치와 결합되는 휠로 연결되되 캐리어가 일체로 구성된 트레일링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ling arm, in which a front side is connected to a vehicle body, and a rear side is connected to a wheel coupled to a braking device, wherein the carrier is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트레일링암의 구조는 주물로 제조되던 캐리어와 강판으로 제조되던 트레일링암이 (프레스 공정으로만 제조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구조보다 원가/중량 측면에서 유리하며, 스프링하중량(unsprung mass) 절감으로 연비향상과 더불어 승차감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 weigh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because the trailing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rrier which is made of cast iron and the trailing rock made of steel (can be manufactured only by press process) unsprung mass), it is possible to improve fuel economy and ride comfo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과 캐리어의 일체 구조는 메인플레이트(10)에 보강재(20)가 장착되어 구성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전방 끝단에서 차체에 연결되기 위해 부시(14)가 장착된 암파트(10a)와 상기 암파트(10a)의 후방으로 확장되어 외측면에 휠과 제동장치가 장착되는 캐리어파트(10b)를 포함하며, 상기 암파트(10a)와 캐리어파트는(10b)는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된다.2 and 3,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and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캐리어파트(10b)는 강성보강을 위해 보강재(20)가 장착되되, 상기 보강재(20)가 안착되는 평평한 평탄면(11)과 상기 평탄면(11)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꺽여진 꺽임면(13)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캐리어파트가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20)가 평탄면(11)에 안착되는 측의 반대쪽면(22)과 상기 평탄면(11)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평행하게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posite surface 22 of the side on which the reinforcing
상기 캐리어파트(10b)에는 휠로 액슬이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평탄면(11)에는 관통홀(12)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20)에는 관통홀(12)과 개통되는 제2관통홀(21)이 형성된다. A through
그리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파트(10b)에 제동장치 및 휠이 장착될 수 있도록 캐리어파트(10b)의 외측면에는 스핀들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 상기 스핀들플레이트(30)에는 (제동장치 및 휠과) 볼팅체결을 위한 볼트홀(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2) 및 제2관통홀(21)과 개통되는 제3관통홀(31)이 타공된다.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리어파트(10b) 어퍼암이 진입하여 볼팅체결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단에는 꺽임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암이 체결되는 공간(A)'이 형성된다. 또한, 로어암 및 어시스트암이(또는 어시스트암을 대신하여 로어암 두 개가) 캐리어파트(10b) 하부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파트는 아래가 개구된 모양으로 형성되되, 로어암 또는 어시스트암이 양측의 꺽임면들(13)과 보강재(20) 사이로 진입하여 '체결가능한 공간들(B, C)'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강재(20)의 하단은 상단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아울러, 상기 암파트(10a) 또는 캐리어파트(10b)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곡된 모양으로써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저바(stabilizer bar)(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40)이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A stabilizer bar (not shown) mounted on the arm part 10a or the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메인플레이트(10)의 캐리어파트(10b)가 차량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되 액슬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암들(로어암, 어퍼암, 어시스트암)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하며, 보강재(20)의 평평한면(22)이 캐리어파트(10b)의 평탄면(11)에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캐리어와 트레일링암이 각각 별도로 제조된 후 조립되던 종래의 구조와 대비하여 한가지 제조공법에서만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 및 부품수의 단순화 가능하며, 중량절감에 따른 연비개선 및 승차감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only one manufacturing metho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carrier and the trailing arm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simplify the number of parts, Fuel efficiency improvement and ride comfort improvement can be expected.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메인플레이트(10a : 암파트, 10b : 캐리어파트)
11 : 평탄면
12 : 관통홀
13 : 꺽임면
20 : 보강재
30 : 스핀들플레이트
40 : 브라켓10: main plate 10a (arm part, 10b: carrier part)
11: Flat surface
12: Through hole
13:
20: Stiffener
30: Spindle plate
40: Bracket
Claims (5)
전방 끝단에서 차체에 연결되기 위해 부시가 장착된 암파트와 상기 암파트의 후방으로 확장되어 외측면에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파트를 갖는 메인플레이트; 및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캐리어파트에 장착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암파트와 캐리어파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
A structure of a trailing arm, which is connected to a vehicle body at a front side thereof and to a wheel coupled to a braking device at a rear side thereof to support the behavior of the wheel,
A main plate having an arm part mounted with a bush to be connected to a vehicle body at a front end thereof and a carrier part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arm part and having a whee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nd a stiffener mounted on the carrier part for rigid reinforcement,
Wherein the main plate has an arm part and a carri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상기 보강부가 평탄면에 안착되는 측의 반대쪽면과 상기 평탄면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rrier part has a planar flat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art is seated and a tortuous surface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at an end of the flat surface,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parallel to the flat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reinforcing portion is seated on the flat surface.
상기 캐리어파트의 외측면에는 스핀들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제동장치 및 휠이 장착되되, 상기 스핀들플레이트에는 볼팅체결을 위한 볼트홀;과 상기 관통홀 및 제2관통홀과 개통되는 제3관통홀;이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flat surface of the wheel so that the axle is connected to the wheel,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member,
Wherein a spindle plate i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part to mount a braking device and a wheel, wherein the spindle plate has a bolt hole for bolting, a third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trailing arm.
상기 캐리어파트는 평탄면 아래가 개구된 모양으로 형성되되, 로어암 또는 어시스트암이 양측의 꺽임면들과 보강재 사이로 진입하여 체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강재의 하단은 상단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암의 구조.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part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upper arm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rm is bent so that the upper arm can be inserted and engage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f a constricted portion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upper en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member is shorter than the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arm. And the trailing arm is formed into a shape of a trailing ar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245A KR20150066110A (en) | 2013-12-06 | 2013-12-06 | Structure of trailing-a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245A KR20150066110A (en) | 2013-12-06 | 2013-12-06 | Structure of trailing-ar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6110A true KR20150066110A (en) | 2015-06-16 |
Family
ID=5351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1245A Ceased KR20150066110A (en) | 2013-12-06 | 2013-12-06 | Structure of trailing-a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6110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26718A1 (en) * | 2016-01-20 | 2017-07-27 | 주식회사화신 | Front lower arm apparatus |
KR20190122359A (en) | 2018-04-20 | 2019-10-30 | 서한산업(주) | Wheel suppor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20043402A (en) * | 2020-09-29 | 2022-04-05 | 주식회사화신 | Packing device |
DE202024106508U1 (en) | 2024-02-16 | 2024-12-13 | Hyundai Mobis Co., Ltd. | suspension device |
-
2013
- 2013-12-06 KR KR1020130151245A patent/KR2015006611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26718A1 (en) * | 2016-01-20 | 2017-07-27 | 주식회사화신 | Front lower arm apparatus |
KR20190122359A (en) | 2018-04-20 | 2019-10-30 | 서한산업(주) | Wheel suppor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20043402A (en) * | 2020-09-29 | 2022-04-05 | 주식회사화신 | Packing device |
DE202024106508U1 (en) | 2024-02-16 | 2024-12-13 | Hyundai Mobis Co., Ltd. | suspens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7245B2 (en) | Twist-beam rear axle comprising an additional Watt linkage | |
US7270341B2 (en) | Vehicle suspension with improved radius arm to axle attachment | |
JP3809583B2 (en) | Front wheel suspension using steering gear frame | |
KR101826566B1 (en) | Carrier 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s | |
CN104070949A (en) |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the non-driven wheels of a vehicle | |
KR20150066110A (en) | Structure of trailing-arm | |
CN108382152A (en) | Draft hitch | |
US8616568B2 (en) | Structure of vehicle subframe | |
KR100980877B1 (en) | Trailing Arm Assembly for Suspension | |
CN102729756A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rear-drive off-road vehicle | |
CN208198032U (en) | Rear suspension for vehicle and vehicle with same | |
KR20200107578A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 |
US7549659B2 (en) | Multiple trailing arm suspension | |
CN202200797U (en) | Frame for adjusting height of automobile body of small-sized electric automobile | |
KR101361246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vehicle | |
JP6204159B2 (en) | Car body rear structure | |
KR20080018542A (en) | Car rear wheel trailing arms | |
KR100901578B1 (en) |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 |
KR102755945B1 (en) | Suspension for vehicle with leaf spring | |
CN104118293A (en) | Corbel assembly,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with vehicle suspension system | |
CN211390844U (en) | Automobile rear axle assembly | |
JP2000177346A (en) | Leaf suspension | |
KR20110063122A (en) | Subframe for the front suspension of the vehicle | |
KR102238055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 |
KR100423307B1 (en) | a structure of a rear axcel and suspention for 4WD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