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62863A -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863A
KR20150062863A KR1020130147952A KR20130147952A KR20150062863A KR 20150062863 A KR20150062863 A KR 20150062863A KR 1020130147952 A KR1020130147952 A KR 1020130147952A KR 20130147952 A KR20130147952 A KR 20130147952A KR 20150062863 A KR20150062863 A KR 20150062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optical sheet
adhesive layer
reflective polarizing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강경구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863A/ko
Priority to US14/518,738 priority patent/US20150153494A1/en
Publication of KR2015006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9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as a transfl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광학시트; 제2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2 광학시트; 상기 제1 광학시트와 상기 제2 광학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패턴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 개의 폴리머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광학시트, 상기 제2 광학시트 또는 상기 제1 접착층과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에 관한 것으로, 반사형 편광필름을 도입하여 휘도가 우수하며, 1매형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휨량이 낮아 치수안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COMPLEX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중 하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TFT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된 구조를 갖는다.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에 존재하는 전극에 전기장을 인가하고, 그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하게 되고, 이를 이용해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하지 않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의 광원, 도광판,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요구되는 특성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고휘도화, 광시야각화, 에너지절약화, 박형 경량화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고휘도화에 관한 요구가 높다.
이러한 고휘도화는 광원자체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빛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광원자체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지만, 빛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은 에너지 소비의 증가없이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에너지 소비의 증가없이 고휘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POP(Prsim on prism) 구조와 같이 집광시트를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MOP(Micro lens on prism) 구조와 같이 확산시트와 집광시트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슬림화에 따라, 광학시트의 두께 역시 최소화되는 추세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광원의 이용과 휘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휘도가 우수한 복합광학시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치수안전성이 우수한 복합광학시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신뢰성이 우수한 복합광학시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제1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광학시트; 제2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2 광학시트; 상기 제1 광학시트와 상기 제2 광학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패턴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 개의 폴리머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광학시트, 상기 제2 광학시트 또는 상기 제1 접착층과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복합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광학시트는 반사형 편광필름을 도입하여 휘도가 우수하며, 1매형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휨량이 낮아 치수안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 (b)는 도 1 (a)의 a-a’를 따라 절단한 복합광학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반사형 편광필름이 구비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복합광학시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를 설명한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 (b)는 도 1 (a)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100)는 제1 광학시트(110); 제2 광학시트(120); 제1 접착층(130); 및 반사형 편광필름(140)을 포함한다.
제1 광학시트(110)는 제1 베이스필름(111) 및 제1 베이스필름(111) 상부에 형성된 제1 광학패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패턴(112)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 패턴, 엠보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프리즘 패턴, 피라미드 패턴, 매트 패턴 및 이들의 혼합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패턴일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엠보 패턴은 불규칙한 양각 또는 음각 요철이 형성된 엠보 패턴으로서 1㎛ 내지 200㎛ 직경의 비드로 롤의 표면을 타격하여 요철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매트 패턴은 불균일하게 미세 요철이 형성된 패턴으로서 매트 코팅(matt-coating)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양자 모두 빛을 산란시켜 휘도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는 제1 베이스필름(111) 상부에 제1 광학패턴(112)으로서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 패턴이 형성된 복합광학시트(200)를 예시한다.
제2 광학시트는 제2 베이스필름(121) 및 제2 광학패턴(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제2 베이스필름(121) 상부에 제2 광학패턴(122)으로 프리즘 패턴(122)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제2 광학패턴(12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 렌즈 패턴,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 패턴, 엠보 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피라미드 패턴 및 이들의 혼합 패턴 등일 수 있다.
프리즘 패턴(122)은 제2 베이스필름(121)상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광학패턴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프리즘 패턴(122)을 예시한 것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형의 단면, 예를 들어 다른 유형의 삼각형 프리즘, 절두 프리즘, 둥근 프리즘, 사인꼴, 또는 포물선과 같은 곡선형 단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일 수 있다.
프리즘 패턴(122)은 제2 베이스필름(121)을 통과한 빛을 굴절시켜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광학 부재이다. 프리즘 패턴(122)은 동일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프리즘의 전체 형상은 삼각기둥인 프리즘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높이가 10 내지 50㎛이고, 피치가 2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의 꼭지점은 30도 내지 15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과가 극대화되어 휘도가 우수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0)은 제1광학시트(110) 및 제2 광학시트(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시트(110)와 제2 광학시트(120)는 제1 접착층(130)에 의하여 상호 일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광학시트(120)의 프리즘 패턴(122)이 제1 접착층(130)에 접하거나 또는 제1 접착층(130)을 침투함으로써 제1 광학시트(110)와 제2 광학시트(120)가 상호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침투"란 프리즘 패턴을 구성하는 프리즘의 정점이 제1 접착층을 뚫고 제1 접착층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일체화”(integration)란 접착 물질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제1 접착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필름(111)과 제1 접착층(130)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베이스필름(111)과 반사형 편광필름(140) 사이에 제2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착층을 매개로 제1 베이스필름(111)과 반사형 편광필름(140)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2 접착층은 반사형 편광필름을 베이스필름 또는 광학패턴과 일체화시키는 접착층을 의미한다.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미도시)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광학 구조의 형상 유지에 적합한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루이스산계나 폴리에틸올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스티렌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이중에서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가 있으며, 다관능 또는 단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미도시)의 두께는 1 내지 30㎛가 될 수 있고, 예로서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두께에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휘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광원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원을 재활용(recycle)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 굴절률이 상이한 2 종의 폴리머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된 다층(multi-layer) 필름이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편광 분리 기능을 통해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킴으로써 하나의 투과축에 평행한 진동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필름이다. 일 예로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X축의 굴절률은 같고 Y축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 개의 폴리머층을 교대로 적층한 구조로서, 굴절률이 같은 X축은 투과축으로서 빛을 투과시키고, 굴절률이 다른 Y축은 반사축으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빛의 성분 중 P파는 투과시키고, S파는 연속적으로 반사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의 예로는 이중 휘도 개선 필름(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3M社)을 들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두께가 15 내지 25㎛이고 굴절률이 1.45 내지 1.49인 제1 폴리머층과 두께가 15 내지 25㎛이고 굴절률이 1.51 내지 1.58인 제2 폴리머층이 교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140)의 총 두께는 120 내지 150㎛일 수 있다.
제1 베이스필름(111) 및 제2 베이스필름(121)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지만, 50 내지 300㎛가 될 수 있다.
제1 베이스필름(111)과 제2 베이스필름(121)은 동일 재료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베이스필름(111)과 제2 베이스필름(1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계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Triacetyl Cellulose)계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필름,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계 필름 등 투광성이 우수한 수지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P파를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광원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형 편광필름(140) 바로 위에 형성되는 제1 베이스필름(111) 또는 제2 베이스필름(121)은 반사형 편광필름(140)이 빛을 투과시키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빛을 투과될 수 있는 무연신 또는 일축연신 필름인 것이 휘도 상승에 유리하다. 제1 베이스필름(111) 또는 제2 베이스필름(121)이 TD 방향 및 MD 방향으로 연신된 이축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반사형 편광필름(140)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다시 외부로 배광되어 휘도 및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광학패턴(112) 및 제2 광학패턴(122)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 에테르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시산 및 그 무수물과 아크릴산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폴리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올리고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타)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불소 함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알콕시실란 등 불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2-(퍼플루오로데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옥틸-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9-메틸데실)-1,2-에폭시프로판, (메타)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메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등이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증감제, 광감감제, 중합금지제, 레벨링제, 습윤성 개량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무기충전제, 소포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복합광학시트 내에 반사형 편광필름이 형성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복합광학시트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3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1 광학시트(11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필름(111)과 제1 광학패턴(112) 사이의 P2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구체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광학시트(120)상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필름(121)과 제2 광학패턴(112) 사이의 P3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3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4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2 구체예 및 제3 구체예의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제1 베이스필름(111) 또는 제2 베이스필름(121)상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제1 베이스필름(111) 또는 제2 베이스필름(121) 위에 제2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접착층 위에 반사형 편광필름(140)을 형성한 것이다. 이후, 제1 광학패턴(112) 또는 제2 광학패턴(122)의 역상이 각인된 몰드 인각롤과 반사형 편광필름(140)의 일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상기 인각롤과 반사형 편광필름(140) 사이에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되어 반사형 편광필름(140)에 접착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코팅층을 인각롤로부터 분리하여 제1 광학패턴(112) 또는 제2 광학패턴(12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반사형 편광필름(140)에 제1 광학패턴(112) 또는 제2 광학패턴(122)을 형성하기 전, 반사형 편광필름(140) 상부에 접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술한 방법으로 제1 광학패턴(112) 또는 제2 광학패턴(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구체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제1 광학시트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광학패턴(112) 상부인 P4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4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5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반사형 편광필름(140)과 제1 광학패턴(112) 사이에는 제2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광학패턴(112)의 정부가 상기 제2 접착층에 접하거나, 침투하여 반사형 편광필름(140)과 제1 광학패턴(112)의 일체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구체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광학시트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광학시트의 제2 베이스필름(121) 하부인 P5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5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6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반사형 편광필름(140)은 제2 베이스필름(121)과 반사형 편광필름(140) 사이에 제2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이를 매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1000)은 광원(810), 광원(81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820), 도광판(8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반사시트(830), 도광판(8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합광학시트(700), 복합광학시트(7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호시트(8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00)의 광원(810) 외부에는 광원 커버(810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 유닛(1000) 상에는 액정표시패널과 반사방지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광원(810)은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광원 램프 또는 면광원 램프, CCFL 또는 LED 등 다양한 광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820)은 광원(810)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에 수직인 출사면을 가지며, 광원(8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복합광학시트(700)로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직하형 광원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반사시트(830)는 광원(810)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복합광학시트(700)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합광학시트(700)는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도광판(820)의 출사면 위에 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확산시트 또는 집광시트의 추가없이 우수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고,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상부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베이스필름 하부에 두께 3㎛인 제2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매개로 두께 26㎛인 반사형 편광필름(3M社 APF-V3)을 일체화하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 하부에 다시 두께 3㎛인 제1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형성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 상부에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형성하였다.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제2 베이스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정부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하게 하여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도 1과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제2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1과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제1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1과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제1 베이스필름 및 제2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1과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AK社 PET) 상부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제1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광학시트의 하부에 두께 3㎛인 제1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형성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 상부에 두께 3㎛인 제2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형성하고 반사형 편광필름(3M社 APF-V3)과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정부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하게 하여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도 5와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6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AK社 이축연신 PET) 상부에 두께 3㎛인 제2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매개로 반사형 편광필름(3M社 APF-V3)을 일체화하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 위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베이스필름 하부에 두께 3㎛인 제1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형성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AK社 이축연신 PET) 상부에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형성하였다.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제2 베이스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정부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하게 하여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도 4와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7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AK社 이축연신 PET) 상부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제1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광학시트의 하부에 두께 3㎛인 제1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형성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AK社 이축연신 PET) 상부에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형성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베이스필름 하부에 두께 3㎛인 제2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매개로 반사형 편광필름(3M社 APF-V3)을 일체화하였다.
이후, 상기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정부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하게 하여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도 7과 같은 구조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 상부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의 상부에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제2 베이스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2매형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제1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1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 상부에 높이 16㎛, 피치 40㎛인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48)를 정배열하여 광학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베이스필름 하부에 두께 3㎛인 제2 접착층(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TESK社 A-2579)을 매개로 두께 26㎛인 반사형 편광필름(3M社 APF-V3)를 일체화하였다.
제2 광학시트는 두께 125㎛인 제2 베이스필름(Toyobo社 무연신 PC) 상부에 프리즘 패턴(아크릴계 수지, 굴절률 1.55)을 형성하였다. 상기 프리즘 패턴은 높이가 35㎛, 피치가 70㎛인 프리즘을 제2 베이스필름 상에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제1 광학시트 상부에 상기 제2 광학시트를 적층하여 제조된 2매형 복합광학시트의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제2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2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비교예 4
제1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2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비교예 5
제1 베이스필름 및 제2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TAK社 이축연신 PET)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2매형 복합광학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그 결과값을 기재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휘도 : 32 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광학시트를 고정하고, 휘도계 (모델명 : SR3,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13 지점 및 5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LED 램프를 사용하였다. 휘도는 비교예 1의 복합광학시트를 기준값으로 하여 %로 나타내었다.
(2) 휨(Waving)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광학시트를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한 후 항온 챔버(조건: 85℃, 상대습도 85%)에서 96Hr 방치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복합광학시트의 휨(Waving) 정도를 평가하였다. 1 부터 10으로 갈수록 휨의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3) 욺(Wrinkle)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광학시트를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한 후 항온 챔버(조건: 85℃, 상대습도 85%)에서 96Hr 방치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복합광학시트의 욺(Wrinkle) 정도를 평가하였다. 1 부터 10으로 갈수록 욺의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제1 광학패턴(1-2) MLA MLA MLA MLA MLA MLA MLA
제1 베이스필름(1-1) PC PC PET PET PET PET PET
반사형편광필름 위치 1-1하부 1-1하부 1-1하부 1-1하부 2-1상부 1-1상부 2-1하부
제2 광학패턴(2-2) prism prism prism prism prism prism prism
제2 베이스필름(2-1) PC PET PC PET PC PET PET
휘도(%) 121 123 65 67 65 66 64
Waving(1~10) 1 1 2 2 2 2 2
Wrinkle(1~10) 1 1 2 2 2 2 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제1 광학패턴(1-2) MLA MLA MLA MLA MLA
제1 베이스필름(1-1) PC PC PC PET PET
반사형편광필름 위치 없음 1-1하부 1-1하부 1-1하부 1-1하부
제2 광학패턴(2-2) prism prism prism prism prism
제2 베이스필름(2-1) PC PC PET PC PET
휘도(%) 100 128 132 74 76
Waving(1~10) 4 3 3 5 5
Wrinkle(1~10) 4 3 5 3 5
상기 표 1 및 2의 결과값에서 보듯이,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제1 접착층을 매개로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시킨 실시예 1-7의 1매형 복합광학시트는 제1 광학시트와 제2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지 않은 비교예 1-5의 2매형 복합광학시트에 비하여 휨 또는 욺 정도가 낮아 치수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4의 복합광학시트는 제1 접착층을 매개로 일체화되었음에도 반사형 편광필름을 일체화시켜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보다 휘도가 증가된 한편, 치수안정성 및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6)

  1. 제1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광학시트;
    제2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2 광학시트;
    상기 제1 광학시트와 상기 제2 광학시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패턴은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 개의 폴리머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광학시트, 상기 제2 광학시트 또는 상기 제1 접착층과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1 베이스필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필름은 무연신 또는 일축연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인 복합광학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상기 제1 광학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기 제2 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 광학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베이스필름과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기 제2 베이스필름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베이스필름과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필름은 무연신 또는 일축연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인 복합광학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기 제1 광학패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광학패턴과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광학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은 제1 폴리머층과 제2 폴리머층이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1 폴리머층은 두께가 15 내지 25㎛이고 굴절률이 1.45 내지 1.49이며,
    상기 제2 폴리머층은 두께가 15 내지 25㎛이고 굴절률이 1.51 내지 1.58인 복합광학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패턴 제2 광학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 헥사고날 마이크로 렌즈 패턴, 엠보 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프리즘 패턴, 피라미드 패턴 및 이들의 혼합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패턴인 복합광학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패턴은 복수 개의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의 정부는 상기 제1 접착층에 접하거나 상기 제1 접착층을 침투하여 있는 복합광학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높이가 10 내지 50㎛이고, 피치가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광학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패턴 및 상기 제2 광학패턴은 프리즘 패턴인 복합광학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패턴은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고,
    상기 제2 광학패턴은 프리즘 패턴인 복합광학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300㎛이고,
    상기 제2 광학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300㎛이고,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는 1 내지 30㎛이며,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두께는 12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광학시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30147952A 2013-11-29 2013-11-29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eased KR20150062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52A KR20150062863A (ko) 2013-11-29 2013-11-29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4/518,738 US20150153494A1 (en) 2013-11-29 2014-10-20 Composite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52A KR20150062863A (ko) 2013-11-29 2013-11-29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63A true KR20150062863A (ko) 2015-06-08

Family

ID=5326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952A Ceased KR20150062863A (ko) 2013-11-29 2013-11-29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53494A1 (ko)
KR (1) KR201500628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35B1 (ko) * 2015-11-30 2017-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70034652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104B1 (ko) 2015-10-21 2017-08-16 주식회사 상보 가변피치를 갖는 복합 광학 시트
US10613258B2 (en) * 2016-09-13 2020-04-07 Ubright Optronics Corporation Optical assembly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CN107728382A (zh) * 2017-11-29 2018-02-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8131610B (zh) * 2018-01-31 2024-03-12 深圳市南极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增光装置
CN114280705B (zh) * 2021-12-31 2023-08-15 凯鑫森(上海)功能性薄膜产业股份有限公司 抗干涉耐污贴合膜的制备方法、贴合膜及屏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672B2 (ja) * 2006-12-06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JP2009128904A (ja) * 2007-11-26 2009-06-11 Lg Electronics Inc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CN102066994B (zh) * 2008-03-31 2017-03-22 3M创新有限公司 光学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652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1720435B1 (ko) * 2015-11-30 2017-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3494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6237B2 (en) Optical film for improving contrast ratio,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14047573B (zh) 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液晶显示器
US102680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ith lenticular lens pattern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50062863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822706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1601876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8279370B2 (en) Optical laminate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20110096402A1 (en) Optical film composite
TWI649602B (zh) 液晶顯示模組和包括液晶顯示模組的液晶顯示器
WO2015182685A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82270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253555B1 (ko)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및 복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81375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9014121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044270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542197A (zh) 光学元件包装件、背光和液晶显示设备
JP6933005B2 (ja) 光学シート、映像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6877525B1 (ja)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102543034B1 (ko) 액정 표시 소자,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
JP2010044269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62864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80257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44856B1 (ko) 편광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6783A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09251144A (ja) 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