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622A -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3622A KR20150053622A KR1020130135826A KR20130135826A KR20150053622A KR 20150053622 A KR20150053622 A KR 20150053622A KR 1020130135826 A KR1020130135826 A KR 1020130135826A KR 20130135826 A KR20130135826 A KR 20130135826A KR 20150053622 A KR20150053622 A KR 201500536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service function
- resource
- request
- function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6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응용 서버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포함하는 요청 처리 결과를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한다.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서비스 응용 서버와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 추상화 기술은 'Telecom-Enabled'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지원하며, 하부 전달망 특성과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통합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이 기술은 프로토콜 기반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반, 그리고 스크립트 언어 기반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지만 필요한 개발자 인원수는 증가하고 있다.
보다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많은 개발자 확보를 위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기반 웹 서비스가 공개되었다. SOAP 기반의 웹서비스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응용 프로토콜로서 메시지가 SOAP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있고, 메시지 송수신시 헤더와 바디의 인코딩/디코딩 과정이 필수이다. 따라서 기본 HTTP로 메시지를 전달하던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는 원하는 기능에 비해 SOAP 프로토콜 처리시 오버헤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SOAP와는 달리,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기반의 웹서비스인 RESTful 웹서비스는 HTTP의 기본 기능만으로 원격 정보에 접근하는 웹 응용 기술로, 통신망 프로토콜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이 없는 IT 응용 개발자가 통신망 자원을 간단하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SOAP 기반 웹서비스의 요구가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응용 서비스 간 상호 운용을 위해 시작된 데 비해, RESTful 웹서비스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응용 개발자들에게 손쉬운 데이터 제공을 목적으로 출발했다. 따라서 SOAP 기반 웹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하는 프로그램(또는 장치들)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엄격한 문법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개발자들에게는 다양한 웹서비스 기본 스펙을 모두 알아야 하는 비교적 고난이도의 프로그래밍 능력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SOAP 기반 웹서비스 개발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다양한 개발 환경들이 지원되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RESTful 웹서비스는 기계보다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인터넷 기본(HTTP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외 별도의 개발/실행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RESTful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매쉬업(Mash Up) 환경을 함께 제공하고 있어 개발자 폭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RESTful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로직이 요청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관리를 처리함에 있어서, 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응용 서버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에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포함하는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와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통신망의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상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을 포함하는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개방형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이며,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1 리소스, 개별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인 제2 리소스, 컨택(Contact)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3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모든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2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4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고, 삭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4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고, 삭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은, 상기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 컨택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응용 서버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와 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 통신망에 위치한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요청의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indicator)을 제공받아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공 기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URL을 포함하는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개방형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이며,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1 리소스, 개별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인 제2 리소스, 컨택(Contact)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3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 기능 관리부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관리 서버 모듈;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요청을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객체 의하여 동작되며, 상기 요청을 상기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제공하는, 관리 구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생성을 요청하는 제2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갱신을 요청하는 제3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제4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의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갱신을 요청하는 제3 메소드,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제4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의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3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상기 응용 서버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로직이 서비스 제공 기능 관리를 통신망 사업자가 개방하는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게이트 장치로 동작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관리 받을 수 있다.
또한 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기능에 대한 조회, 갱신, 삭제, 생성 등의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IT 분야 종사자들도 RESTful 웹서비스에 대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망 제어를 할 수 있는 IT 기반의 신규 서비스 로직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라고 명명함)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2) 상에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4)에 위치한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와 연계하여 서비스 기능을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6)은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통신망(4)에 위치하여 네트워크(2) 상의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기능한다.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통신망(4)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프레임워크(41)를 토대로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이를 토대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컨택(Contact)의 서비스 기능 검색을 요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2)는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관리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웹 사이트이며, 도 2에서와 같이, 웹 사이트에 사용자가 가입하고 로그인(log-in)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31),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관리 리소스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 처리부(32)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서버 처리부(33)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처리부(32)는 서비스 기능 관리 리소스를 호출하는 RESTful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모듈로 기능하며, 서버 처리부(33)는 서비스 기능 관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RESTful 웹서비스 서버 프로그램 모듈로 기능한다.
한편,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기능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서비스 기능을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제공한다.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검색된 서비스 기능을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에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 기능 정보 등록 및 제거, 그리고 등록된 서비스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서비스 처리부(11) 및 제공 기능 관리부(12)를 포함한다.
서비스 처리부(11)는 서비스 제공 기능 관리 RESTful 웹서비스 처리부로 기능하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제공 기능 관리부(12)로 전달하고, 요청에 따른 결과를 제공 기능 관리부(12)로부터 제공받아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한다. 서비스 처리부(11)는 요청 메시지 즉, REST 메시지 처리를 담당하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 (201)로부터의 요청을 적절한 RMI(remote method invocation)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공 기능 관리부(12)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스로 동작하며, 관리 서버 모듈(121), 관리 구현 모듈(122),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123)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 모듈(121)은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요청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 모듈(121)은 서비스 처리부(11)로부터 RMI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위한 객체로 RMI 서버를 생성하여 RMI 레지스트리(registry)에 등록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 모듈(121)은 메인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항상 존재하는 메인 쓰레드(thread)로서 기능한다.
관리 구현 모듈(122)은 한번의 요청을 받아 한번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환하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와 연동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123)을 호출한다. 이러한 관리 구현 모듈(122)은 관리 서버 모듈(121)에 의하여 생성된 RMI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동작될 수 있으며, 한번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환한 다음에 종료될 수 있다. RMI 서버는 RMI 요청에 부합하는 인스턴스(instance)를 찾으며, 이를 위하여 관리 구현 모듈(122)을 생성시킬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123)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관리를 위해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와 연동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들에 대한 개방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즉, 서비스 기능 관리 리소스는 다음과 같다.
Resource | Base URL: http://{server root}/{api version}/capabilitymgmt)/ | HTTP verbs | |||
GET | PUT | POST | DELETE | ||
Capabilities(R1) | /capabilities | This operation returns capabilities | no | This operation creates a capability | no |
Individual capability (R2) |
/capabilities/{capabilityId} | This operation returns a capability | This operation updates a capability | No | This operation removes a capability |
Capabilities for a contact (R3) |
/capabilities/{contactId} | This operation returns capabilities for a contact | no | No | no |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로직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관리 요청을 하기 위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리소스를 이용한다.
정의된 서비스 기능 관리 리소스는 표 1에서와 같이,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1),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R2), 컨택(Contact)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3)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리소스는 그들의 고유한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가지며, HTTP의 기본 메소드(method)인 GET(READ), PUT(UPDATE), POST(CREATE), DELETE만으로 접근할 수 있다.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1)인 제1 리소스(Capabilities 리소스)는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POST 메소드를 이용하여 신규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한다.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R2)인 제2 리소스(Individual capabilities 리소스)는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UPDATE 메소드를 이용하여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예를 들어, 등록된 서비스 제공 기능을 활성화하고 비활성화하는 것도 포함)하고, DELETE 메소드를 이용하여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삭제한다.
컨택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3)인 제3 리소스(Capabilities for a contact 리소스)는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컨택에 대한 모든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들을 관리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즉, 서비스 제공 기능 관리 개방형 서비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 개방형 서비스라고 명명함)를 위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1)인 제1 리소스(Capabilities 리소스)를 토대로, 관리 개방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을 생성하고 서비스 기능 정보를 조회하고,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하고 갱신 그리고 삭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네트워크(2) 상의 웹 사이트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정보 조회, 생성, 갱신 및 삭제를 요청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임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을 조회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표 1과 같이 정의된 리소스의 제1 메소드 즉,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조회를 요청한다(S100). 여기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1)인 제1 리소스(Capabilities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하여,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요청 메시지 "http://{server root}/{api version}/capabilitymgmt)/capabilites"를 생성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전송한다.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4)의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요청한다. 그리고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소스(Capabilities 리소스)에 대한 리소스 URL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한다(S110).
여기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의 제공 기능 관리부(12)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요청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RMI 서버를 생성하고 등록하며, RMI 서버는 관리 구현 모듈(122)을 생성하여 수신된 요청을 처리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수신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생성된 관리 구현 모듈(122)이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123)을 호출하여, 수신된 요청을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전달한다.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는 수신된 요청 즉, "Capabilities"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들에 대한 정보들에 해당하는 URL을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를 통하여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1)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결과가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서비스 제공 기능 조회 결과를 수신한다.
한편,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정의된 리소스의 제2 메소드 즉, POS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정보 생성을 요청한다(S120).
POST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새로운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인 신규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전달하여 신규 서비스 기능 정보 생성을 요청하며, 이에 따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는 신규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식별자(서비스 기능 정보 ID)와 관련 URL을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전달한다(S130).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수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 ID와 관련 URL을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 생성 결과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한다(S140).
한편, 서비스 기능 관련 정보를 갱신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정의된 리소스의 제3 메소드 즉, PU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정보 갱신을 요청한다(S150). PUT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는
"http://{serverroot}/{apiversion}/capabilitymgmt)/capabilites/capabilityId"
와 같이, 갱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식별자(capabilityId)를 포함한다.
PUT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전달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 갱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는 요청된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관련된 리소스 URL을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를 통하여 갱신을 요청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관련 리소스 URL을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 갱신 결과를 수신한다(S160).
또한, 서비스 기능 정보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정의된 리소스의 제4 메소드 즉, DELETE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정보 삭제를 요청한다(S170). 이 경우에도, DELETE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는 "http://{server root}/{api version}/capabilitymgmt)/capabilites/capabilityId"와 같이, 삭제하고자 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식별자(capabilityId)를 포함한다.
DELETE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를 삭제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전달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 삭제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는 요청된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 처리 결과를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를 통하여 갱신을 요청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삭제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S18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R2)인 제2 리소스(Individual capabilities 리소스)를 토대로, 서비스 기능별로 서비스 기능 정보를 조회하고,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하고 삭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갱신은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하는 것을 포함한다.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네트워크(2) 상의 웹 사이트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별로 개별적으로 정보 조회, 갱신 및 삭제를 요청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임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임의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표 1과 같이 정의된 리소스의 제1 메소드인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서비스 기능 조회를 요청한다(S200).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http://{serverroot}/{apiversion}/capabilitymgmt)/capabilites/capabilityId"와 같이, 조회하고자 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ID를 포함한다.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기능 관리 요청시에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송신된다.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제공받아서 조회 결과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한다(S210). 이후,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조회를 요청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 조회 결과를 수신한다.
한편,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활성화 및 비화설화 포함)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PU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갱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 갱신을 요청한다(S220).
PUT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를 통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부터 제공되는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관련된 리소스 URL을 포함하는 갱신 처리 결과를 개방형 응용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한다(S230). 임의 서비스 기능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어 해당 요청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정의된 리소스의 DELETE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개별 서비스 기능 정보 삭제를 요청한다(S240). 갱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개별 서비스 기능 삭제 요청이 이루어진다.
DELETE 메소드를 이용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를 통하여 삭제한다. 그리고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삭제 결과를 개방형 응용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한다(S250).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컨택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R3)인 제3 리소스(Capabilities for a contact 리소스)를 토대로, 컨택(contact)의 서비스 기능 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6에서와 같이, 네트워크(2) 상의 웹 사이트인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컨택의 서비스 기능 정보를 조회 요청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의 임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표 1과 같이 정의된 리소스의 제1 메소드인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로 컨택의 서비스 기능 조회를 요청한다(S300).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htp://{server root}/{api version}/capabilitymgmt)/capabilitiesSI(contactId)"와 같이, 조회하고자 하는 컨택에 대한 ID를 포함한다.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1)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5)로 제공받아서 조회 결과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로 전달한다(S310). 이후,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3)는 조회를 요청한 컨택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관련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응용 서버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에서,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포함하는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와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통신망의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상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을 포함하는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개방형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이며,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1 리소스, 개별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인 제2 리소스, 컨택(Contact)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3 리소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모든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 정보 목록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2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 기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하여 제4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고, 삭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관련 URL을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하여 제4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고, 삭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해당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리소스에 대하여 제1 메소드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해당 컨택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정보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조회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응용 서버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와 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
통신망에 위치한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요청의 처리 결과에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indicator)을 제공받아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공 기능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URL을 포함하는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는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개방형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이며,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1 리소스, 개별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인 제2 리소스, 컨택(Contact)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 목록인 제3 리소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기능 관리부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관리 서버 모듈;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요청을 상기 서비스 기능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객체 의하여 동작되며, 상기 요청을 상기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프로토콜 스택 구현 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제공하는, 관리 구현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생성을 요청하는 제2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갱신을 요청하는 제3 메소드, 상기 제1 리소스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제4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의 메소드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갱신을 요청하는 제3 메소드,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제4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의 메소드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이 상기 제3 리소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요청은 상기 제2 리소스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제1 메소드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는 상기 응용 서버에 대한 서비스 기능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인, 서비스 기능 관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826A KR20150053622A (ko) | 2013-11-08 | 2013-11-08 |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US14/198,688 US20150134729A1 (en) | 2013-11-08 | 2014-03-06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 capability through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826A KR20150053622A (ko) | 2013-11-08 | 2013-11-08 |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622A true KR20150053622A (ko) | 2015-05-18 |
Family
ID=5304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5826A Withdrawn KR20150053622A (ko) | 2013-11-08 | 2013-11-08 |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34729A1 (ko) |
KR (1) | KR2015005362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5543A (ko) * | 2021-05-14 | 2022-11-23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정보 교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95528B1 (en) * | 2014-09-01 | 2021-10-20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Application control interworking in network |
US10218766B2 (en) * | 2014-11-04 | 2019-02-2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Method of service capability notification |
US11916994B1 (en) * | 2016-12-15 | 2024-02-27 | Blue Yonder Group, Inc. | Extending RESTful web service resources in a JAVA-component-driven-architecture application |
-
2013
- 2013-11-08 KR KR1020130135826A patent/KR2015005362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3-06 US US14/198,688 patent/US2015013472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5543A (ko) * | 2021-05-14 | 2022-11-23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정보 교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34729A1 (en) | 2015-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311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US20080005119A1 (en) | Remotely updating a user status on a presence server | |
CN107251528A (zh) | 作为服务的网络标识 | |
JPWO2003048945A1 (ja) | 通信情報共有システム、通信情報共有方法、通信情報共有プログラム | |
CN112399130B (zh) | 云视频会议信息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通信设备 | |
CN103532833B (zh) | 一种业务系统访问方法、终端及代理服务系统 | |
KR20150053622A (ko) |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기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
WO2011129380A1 (ja) | 属性情報仲介システム、仲介装置、属性情報仲介方法および属性情報仲介プログラム | |
KR101923533B1 (ko) |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101954101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713092B1 (ko) | 원엠투엠 환경에서의 배치 통지 | |
CN101848456B (zh) | 一种业务处理方法、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 |
KR101080862B1 (ko) | Rest 스타일 제삼자호 api시스템 및 운영방법 | |
WO2017136979A1 (zh) | 一种远程访问的实现方法、装置和系统 | |
US20130091287A1 (en) | System for contact subscription invitations in a cross-domain converged address book system | |
JP5215362B2 (ja) | Web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及びWebコンテンツ共有方法 | |
CN101652788A (zh) | 提供增强型文档管理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 |
WO2016095472A1 (zh) | 资源操作请求的处理方法及装置 | |
EP289127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personal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
CN103634741B (zh) | 点对点wap推送方法和系统 | |
US8490202B2 (en) | Method for masking data | |
KR101761576B1 (ko) | 통신망 추상화 기술을 이용한 주소록 관리 방법 | |
KR20140008221A (ko) |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JP2005293088A (ja) |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 |
JP2004145499A (ja) | 認証支援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