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53608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608A
KR20150053608A KR1020130135775A KR20130135775A KR20150053608A KR 20150053608 A KR20150053608 A KR 20150053608A KR 1020130135775 A KR1020130135775 A KR 1020130135775A KR 20130135775 A KR20130135775 A KR 20130135775A KR 20150053608 A KR20150053608 A KR 2015005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nozzle
outlet
nozzles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고홍석
김영걸
김재신
임경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608A/ko
Priority to US14/532,115 priority patent/US9957660B2/en
Priority to CN201520225712.3U priority patent/CN204753163U/zh
Priority to CN201420680121.0U priority patent/CN204343061U/zh
Publication of KR2015005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회전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며, 분사 유닛은, 각기 다른 지점에서 세탁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복수의 노즐로 분기되도록 복수개의 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유닛의 노즐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세탁수가 세탁조의 넓은 면적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물을 담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세탁 또는 탈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회전조에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회전하면서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회전조의 내부에는 분사 유닛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된다. 복수개의 지점에서 세탁수를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별도로 부착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노즐이 한 쪽에 치우쳐져 있어 세탁수가 넓은 면적에 분사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수가 넓은 면적에 대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유닛은, 각기 다른 지점에서 상기 세탁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상기 복수의 노즐로 분기되도록 복수개의 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즐 중 하나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즐로 세탁수를 펌핑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는 세탁수의 이동을 위하여 통합 호스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유닛은 제1노즐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합호스와 연결되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제2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제2유출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일 지점인 분기점에서 분기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이 상기 제2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안착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분사 유닛의 복수의 노즐이 상기 세탁조와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에 세탁수를 분사하기 위해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인 통합호스, 상기 회전조의 각각 다른 지점에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통합호스로부터 분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노즐,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일측은 상기 통합호스와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과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합호스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제2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로 분기되는 분기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이 상기 제2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는 직선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호스가 결합되는 안착홈과,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결합을 위한 연통홀을 포함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호스는 상기 고정 유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로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복수의 노즐 사이에 위치하는 통합호스, 상기 통합 호스와 상기 복수의 노즐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노즐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분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합 호스와 결합되는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과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출구의 직경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입구와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유닛의 노즐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세탁수가 세탁조의 넓은 면적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의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유닛의 다른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물을 담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40)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그 상면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0a)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10a)를 개폐하는 도어(11)가 설치된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현가 설치되어 세탁에 사용될 물을 담는다. 터브(20) 상측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사 유닛(70)이 배치되며, 터브(20)의 하측에는 세탁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80)가 배치된다. 분사 유닛(70)은 터브(20)의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60)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 유닛(70)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된 급수관(74)과, 급수관(74)과 연결되며 회전조(30)의 내부로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73)를 포함한다. 세탁수는 펌프(73)에서 통합 호스(72)를 통해 복수 개의 노즐(77, 78, 도 3 참고)로 전달되어 분사된다.
배수 장치(80)는 터브(20) 하부에 연결되어 터브(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81)과, 배수관(81)에 배치되어 배수관(81)을 개폐하는 배수밸브(82)를 포함한다.
회전조(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31)와, 몸통부(31)의 하단에 고정되어 회전조(3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부(32)를 포함한다. 몸통부(31)에는 터브(20)의 물이 회전조(3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조(30) 내의 물이 터브(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통공(31a)들이 마련된다. 또한 회전조(3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불균형 하중을 상쇄하여 회전조(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31b)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조(30)는 구동장치(50)를 통해 펄세이터(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를 위해 회전조(30)는 회전조(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32)에 설치되어 펄세이터(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플랜지(33)를 포함한다.
구동 플랜지(33)에는 회전조(3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중공의 탈수축(34)이 설치되고, 탈수축(34) 내에는 세탁축(5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펄세이터(40)는 회전조(30)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수류를 발생시키고, 회전조(30) 내의 세탁물은 펄세이터(40)에 의해 발생한 수류에 의해 교반되며 마찰에 의해 세탁된다.
구동장치(50)는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장치(50)는 코일(51a)을 가진 고정자(51)와, 코일(51a)과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52a)를 포함하여 고정자(51)와 상호 작용하며 회전하는 회전자(52)와, 회전자(52)의 중심에 하단이 연결된 구동축(53)과, 펄세이터(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54)과, 구동축(53)과 세탁축(54) 사이에 배치되며 감속을 위한 유성기어를 내부에 포함한 감속유닛(55)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70)은 회전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고정 유닛(60)에 분사 유닛(70)이 결합된다. 고정 유닛(60)에는 분사 유닛(70)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 구조는 고정 유닛(6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유닛(70)은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모터(73)와, 모터(73)와 노즐(77, 78)의 사이를 연결하는 통합 호스(7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유닛(70)은 복수개의 노즐(77, 78)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지점에서 회전조(30)에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즐과(77) 제2노즐(78)을 포함하여 두 지점에서 회전조(30)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통합 호스(72)와 복수개의 노즐(77, 78) 사이에는 커넥터(74)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74)는 통합 호스(72)에서 복수개의 노즐(77, 78)로 세탁수의 유로가 분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노즐(77)은 커넥터(74)와 근접한 일 지점에 마련되며, 제2노즐(78)은 제1노즐(77)보다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제2노즐(78)과 커넥터(74) 사이에는 연결 호스(71)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 구조는 분사 유닛(70)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부, 하부, 측면 중 한 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 구조는 분사 유닛(70)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 유닛(60)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안착홈(6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64)에는 커넥터(74)와 제2노즐(78)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71)가 끼워질 수 있다.
안착 구조는 분사 유닛(7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61, 62, 6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60)에는 세탁수가 복수개의 노즐(77, 78)로부터 회전조(30)로 분사되기 위하여 회전조(3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분사부(65)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부(65)는 고정 유닛(60)에서 회전조(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분사부(65)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즐(77)과 제2노즐(78)이 마련되기 때문에 분사부(65) 또한 두 개가 마련된다.
고정 유닛(60)과 터브(20)는 결합부(66, 67)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66, 67)는 고정 유닛(60)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66, 67)는 고정 유닛()6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66)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66)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터브(20)에 끼워지고, 제2결합부(67)에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어 터브(20)와 고정 유닛(6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유닛과 분사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60)에는 분사 유닛(70)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안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 유닛(60)에는 연결 호스(71)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안착홈(6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리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리브(61)는 고정 유닛(60)의 상부로 연장되며, 분사 유닛(70)의 연결 호스(71)가 고정 유닛(6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안착 구조는 분사 유닛(7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 유닛(70)의 연결 호스(71)의 상면을 고정시키는 상부 리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리브(62)는 연결 호스(71)의 상부에 위치하며, 안착홈(64)의 상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안착 구조는 분사 유닛(7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분사 유닛(70)의 연결 호스(71)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리브(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리브(61)와 상부 리브(62)는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면 리브(61)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정의하고, 상부 리브(62)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 정의하면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상이한 영역일 수 있다. 측면 리브(61)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상부 리브(6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상부 리브(62a, 62b, 62c)와 2개의 측면 리브(61a, 61b)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 리브(63)는 측면 리브(61a, 61b)의 양 말단에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70)은 복수개의 노즐(77, 78)을 포함하며,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복수의 노즐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7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74)와 통합 호스(72)의 사이에는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관(75)이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74)가 가이드 관(75)에 끼워지고, 가이드 관(75)의 표면에는 가이드 관(75)과 커넥터(74)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76)가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74)는 통합호스(72)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74a)와, 각각의 노즐(71, 77)과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유출구(74b, 74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노즐(77, 78)을 포함하기 때문에 두 개의 유출구(74b, 74c)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노즐(77)은 제1유출구(74b)와 연통되며, 제2노즐(78)은 제2유출구(74c)와 연통된다. 제2노즐(78)과 제2유출구(74c)의 사이에는 연결 호스(71)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노즐(78)과 연통되는 제2유출구(74c)는 유입구(74a)와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2노즐(78)이 제1노즐(77)에 비해 커넥터(74)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제2노즐(78)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커넥터(74)는 제1유출구(74b)와 제2유출구(74c)로 분기되는 일 지점인 분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출구(74b)와 연통되는 분기점의 직경을 d1으로 정의하고, 제2유출구(74c)와 연통되는 분기점의 직경을 d2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1>d2에 해당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즐(77)이 커넥터(74)에 대해 일정한 각도 이상 꺾이도록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유로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74)의 구조에 따라 제1노즐(77)과 제2노즐(78)은 일정한 각도 이상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즐(77)과 제2노즐(78)은 세탁조(20)의 중심에 대해 100ㅀ이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개의 노즐(77, 78)이 이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유출구(74b)와 제2유출구(74c)의 분기 각도 및 분기점의 직경으로 인해 제1노즐(77)과 제2노즐(78)에서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사 유닛의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유닛의 다른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노즐(77, 78)은 고정 유닛(60)의 분사부(65)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부(65)는 회전조(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77, 78)은 분사부(65)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연통관(68)에 결합된다.
분사 유닛(70)의 노즐(77, 78)은 분사부(65)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74)에 각각 결합된 노즐(77, 78)의 다른 일 측면은 각각 분사부(65)에 결합된다. 커넥터(74)의 다른 일 측면은 연결 호스(71)와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가이드 관(75)과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74)가 가이드 관(75)에 끼워지고, 가이드 관(75)의 표면에는 가이드 관(75)과 커넥터(74)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76)가 결합할 수 있다.
분사부(65)의 바닥면(69a)은 세탁수가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 구조에 비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65)의 측벽(69b)도 연통관(68)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세탁수가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통관(68)과 연통되어 회전조(30)의 내측과 마주하는 연통구(69d)의 주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69c)로 인해 세탁수가 회전조(30)로 넓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캐비닛 20: 터브
30: 회전조 40: 펄세이터
50: 구동장치 60: 고정 유닛
70: 분사 유닛 61, 161: 상부 리브
62, 162: 측면 리브 63, 163: 하부 리브
64: 안착홈 70: 분사 유닛
71: 연결 호스 72: 통합 호스
73: 펌프 74: 커넥터
74a: 유입구 74b: 제1유출구
74c: 제2유출구 75: 가이드 관
76: 홀더

Claims (22)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분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유닛은,
    각기 다른 지점에서 상기 세탁조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상기 복수의 노즐로 분기되도록 복수개의 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즐 중 하나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즐로 세탁수를 펌핑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는 세탁수의 이동을 위하여 통합 호스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제1노즐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합호스와 연결되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제2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제2유출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일 지점인 분기점에서 분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이 상기 제2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안착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분사 유닛의 복수의 노즐이 상기 세탁조와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에 세탁수를 분사하기 위해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인 통합호스;
    상기 회전조의 각각 다른 지점에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통합호스로부터 분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노즐;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통합호스와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과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합호스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제2노즐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로 분기되는 분기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이 상기 제2유출구와 연통되는 상기 분기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는 직선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호스가 결합되는 안착홈과,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결합을 위한 연통홀을 포함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호스는 상기 고정 유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로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복수의 노즐 사이에 위치하는 통합호스;
    상기 통합 호스와 상기 복수의 노즐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노즐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분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합 호스와 결합되는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과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의 직경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입구와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35775A 2013-11-08 2013-11-08 세탁기 Ceased KR20150053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775A KR20150053608A (ko) 2013-11-08 2013-11-08 세탁기
US14/532,115 US9957660B2 (en) 2013-11-08 2014-11-04 Washing machine
CN201520225712.3U CN204753163U (zh) 2013-11-08 2014-11-07 洗衣机
CN201420680121.0U CN204343061U (zh) 2013-11-08 2014-11-07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775A KR20150053608A (ko) 2013-11-08 2013-11-08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08A true KR20150053608A (ko) 2015-05-18

Family

ID=5304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775A Ceased KR20150053608A (ko) 2013-11-08 2013-11-08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57660B2 (ko)
KR (1) KR20150053608A (ko)
CN (2) CN2043430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003B1 (ko) * 2013-10-24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378129B1 (ko) * 2015-04-27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908351B2 (ja) * 2016-02-29 2021-07-28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KR102523465B1 (ko) 2017-11-09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86309B1 (ko) * 2017-06-28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체
EP3755835B1 (en) * 2018-02-22 2023-08-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liquid supply line
KR102638187B1 (ko) 2018-06-04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CN119177551A (zh) * 2023-06-21 2024-12-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3828A (ko) * 1952-11-07
US3170314A (en) * 1963-08-12 1965-02-23 Gen Electric Washing system for economizing on water usage
MY115384A (en) * 1994-12-06 2003-05-31 Sharp Kk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ier
MX9504040A (es) * 1995-09-21 1997-03-29 Gilberto Manuel Guerrero Parra Sistema de lavado por bombeo recirculante con exprimido centrifugo autobalanceado de ropa.
JP2001070694A (ja) * 1999-08-18 2001-03-21 Lg Electronics Inc 洗濯機
US7677062B2 (en) * 2005-10-25 2010-03-16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with spraying device
CN100547142C (zh) * 2008-01-18 2009-10-07 胡杰波 一种多功能集成的清洁器具一体机
KR20090107164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107223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466337B1 (ko) * 2008-07-04 2014-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U2010201095B2 (en) * 2009-03-20 2011-11-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US8776297B2 (en) *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8186182B2 (en) * 2010-11-12 2012-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Surge fill apparatus and method for top load washing machine
KR101820662B1 (ko) * 2011-12-07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343061U (zh) 2015-05-20
US20150128657A1 (en) 2015-05-14
CN204753163U (zh) 2015-11-11
US9957660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3608A (ko) 세탁기
KR102183472B1 (ko) 세탁기
KR102197861B1 (ko) 복수 개의 터브를 구비하는 세탁기
JP5406212B2 (ja) 洗濯装置
EP2902540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2019005299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47372A (ko) 세탁기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20130063611A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EP3056599B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KR20100106260A (ko) 세탁기
BRPI1013130A2 (pt) anel de tanque em máquinas lavadoras e conjunto de fixação do referido anel ao tanque
KR102071704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20130125199A (ko) 세탁기
KR20100012996A (ko) 세탁기
JP5686614B2 (ja) 洗濯機
KR201000965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38447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10163736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JP6082647B2 (ja) 洗濯機
KR2022002170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74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040006220A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1021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10325

Appeal identifier: 2020101001789

Request date: 202007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7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714

Effective date: 202103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3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0714

Decision date: 20210325

Appeal identifier: 2020101001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