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51638A -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638A
KR20150051638A KR1020130133368A KR20130133368A KR20150051638A KR 20150051638 A KR20150051638 A KR 20150051638A KR 1020130133368 A KR1020130133368 A KR 1020130133368A KR 20130133368 A KR20130133368 A KR 20130133368A KR 20150051638 A KR20150051638 A KR 20150051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time division
illumination
divis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훈
김현식
김재필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638A/ko
Publication of KR2015005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63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 가변 특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제어유닛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명부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부;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류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발광 색을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듀티 비를 조절하여 혼합광의 발광 스펙트럼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색 조절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COLOR TUNABLE LIGHTING DEVICE USING TIME DIVISION SIGNAL}
본 발명은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색 가변 특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제어유닛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정보의 70%는 시각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각을 통해 인지된 각 물체의 색은 사람의 정서 및 경험에 큰 작용을 한다.
즉, 특정한 색을 통해서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거나 어떤 감정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색을 결정할 수 있는 조명의 색상은 사람의 정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조명 환경은 작업자의 뇌파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색온도는 작업자의 피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의학적 연구를 통해, 지나치게 밝거나 어두운 조명 및 색상이 사람의 감성이나 육체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것과 같이, 조명은 사람을 편안하게 할 수 있고,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의 감성 자극 기능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단순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광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색상 및 조도에 대해 사람마다 느끼는 감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분위기의 조명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조명장치는 대표적으로 형광등 또는 할로겐, 백열등 등이 천장이나 벽체에 구비되어 구현되고, 최근에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자연색에 가까운 발광 스펙트럼을 보이는 조명 광원의 개발과 사용자 또는 색상 등의 조절이 가능한 연동형 스마트 제어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동일한 조명 아래에서 외부 요소에 따라 조명의 색이 자유롭게 변하는 색 가변 조명기구의 기술은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감성 조명에 사용되는 색 가변 조명기구는 두 개 이상의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발광 소자 또는 하나의 발광 소자에서 인가된 전압/전류의 조건에 따라 발광색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 소자를 이용한 조명기구에서 발광 스펙트럼을 바꾸는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268532호, 10-1268543호에서 연색지수(CRI, Color Rendering Index)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광원 구조에 초점을 둔 것으로 광원의 제조 과정에서 발광 스펙트럼이 결정되고, 색 가변 조명기구에서 꼭 필요한 연동형 스마트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일 광원 외부에 추가적인 색 가변판을 부착하거나 또는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해 인가된 전압 및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광 스펙트럼이 변하는 소자에 대한 개발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는 외부 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색 가변의 영역이 매우 제한적이고, 발광 스펙트럼에 따라 조명의 휘도 또한 함께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동형 스마트 제어 방식을 통한 색 가변 조명기구는 두 개 이상의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별도의 제어 유닛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명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6853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268543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 가변 특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제어유닛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로서, 조명부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부;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류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간 분배 신호는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usoidal wave), 삼각파(Triangular wave), 구면파(Spherical wave)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부의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부의 발광 소자는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로서, 조명부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및 다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부의 발광 소자는 동일한 극성으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부의 발광 소자는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발광 색을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듀티 비를 조절하여 혼합광의 발광 스펙트럼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색 조절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기 회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발광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시간 분배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시간 분배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 6 은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시간 분배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7 은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시간 분배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8 은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시간 분배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9 는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 오프셋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도 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 오프셋 신호와 발광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 는 도 1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기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100)는 서로 다른 발광 색을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제어하고,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를 조절하여 혼합광의 발광 스펙트럼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와, 교류 전원부(120)와, 조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시간에 따라 양의 값을 갖는 정방향 성분과 음의 값을 갖는 역방향 성분의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명부(1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비, 예를 들면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를 100:0, 75:25, 50:50, 25:75, 0:100 등으로 조절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시간 분배 신호는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usoidal wave), 삼각파(Triangular wave), 구면파(Spherical wave)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형파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교류 전원부(120)는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단위 시간 내에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을 조명부(130)로 공급하고,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은 상용 교류 전원일 수도 있으며, 조명부(130)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에 따라 교류 전원의 전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류 전원부(120)는 조명부(130)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의 동작 전원이 예를 들면, 5V이고 20개의 발광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100V가 동작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13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류 전원부(120)에서 공급되는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명부(130)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두 개의 발광 소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정류 방향이 반대로 연결된 발광 소자는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에 의해 각각 전류가 흘러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130)는 색 가변의 자유도 증가를 위해 3개 또는 4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조명 장치(100a)에 색 가변이 가능한 2개의 발광소자(D1, D2)와 1개의 발광소자(D3)가 조합된 복수의 광원이 설치된 경우, 제어부 1(110a)은 교류 전원부 1(120a)과, 제 1 발광 소자(D1)와 제 2 발광 소자(D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조명부 1(130a)과 접속되고, 제어부 2(110b)는 교류 전원부 2(120b)와, 제 3 발광 소자(D3)가 연결된 조명부 2(130b)와 접속되어 3개의 발광 소자(D1, D2, D3)를 제어하기 위해 2개의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도 2(b)와 같이 조명 장치(100b)에 색 가변이 가능한 2개의 발광소자(D1, D2)와 2개의 발광소자(D4, D5)가 조합된 복수의 광원이 설치된 경우, 제어부 1(110a)은 교류 전원부 1(120a)과, 제 1 발광 소자(D1)와 제 2 발광 소자(D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조명부 1(130a)과 접속되고, 제어부 3(110c)은 교류 전원부 3(120c)과, 제 4 발광 소자(D4)와 제 5 발광 소자(D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조명부 3(130c)과 접속되어 4개의 발광 소자(D1, D2, D4, D5)를 제어하기 위해 2개의 제어수단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도 3(a)와 도 3(b)와 같이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반대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조명부(130)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 비에 따라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발광소자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서로 다른 색,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발광소자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가 도 4(a)와 같이, 단위 시간당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A)과 역방향 성분(B)의 시간 비가 50:50으로 설정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면, 교류 전원은 양의 값을 갖는 A부분과 음의 값을 갖는 B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A부분에서는 발광 소자의 정류 작용 때문에 발광 소자 1(D1, 도 2 참조)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발광 소자 2(D2, 도 2 참조)로만 전류가 흐르고, 상기 B부분에서는 발광 소자 1(D1)로만 전류가 흘러 조명부(130)는 도 4(b)와 같은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두 발광 소자(D1, D2)의 스펙트럼이 혼색되어 발광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가 도 5(a)와 같이, 단위 시간당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A)과 역방향 성분(B)의 시간 비가 100:0으로 설정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면, 조명부(130)는 도 5(b)와 같이 발광 소자 2(D2)만 점등된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가 도 6(a)와 같이, 단위 시간당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A)과 역방향 성분(B)의 시간 비가 75:25로 설정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면, 조명부(130)는 도 6(b)와 같이 발광 소자 1(D1)보다 발광 소자 2(D2)의 발광 스펙트럼이 증가한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가 도 7(a)와 같이, 단위 시간당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A)과 역방향 성분(B)의 시간 비가 25:75로 설정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면, 조명부(130)는 도 7(b)와 같이 발광 소자 1(D1)의 발광 스펙트럼이 발광 소자 2(D2)의 발광 스펙트럼보다 증가한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가 도 8(a)와 같이, 단위 시간당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A)과 역방향 성분(B)의 시간 비가 0:100으로 설정된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면, 조명부(130)는 도 8(b)와 같이 발광 소자 1(D1)만 점등된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색 가변의 자유도를 증가하기 위해 도 9(a)와 같이 (+)오프셋 값이 설정되도록 하면 도 9(b)와 같이 발광 소자 2(D2)만 점등되거나 또는 도 10(a)와 같이 (-)오프셋 값이 설정되도록 하면 도 10(b)와 같이 발광 소자 1(D1)만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색 가변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한 개 이상의 별도 제어수단이 필요한 종래의 색 가변 조명 기구에서 두 개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제어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시간 비에 따른 전류량을 제어하여 색 가변의 자유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2 는 도 11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기 회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100')는 제어부(110')와, 스위치부(111')와, 직류 전원부(120')와, 조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111')는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조명부(130')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조명부(130')에 설치된 발광 소자(D6, D7)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상기 직류 전원부(120')는 스위치부(111')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조명부(130')에 선택적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AC-DC 컨버터, 브리지 회로 등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조명부(130')는 복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스위치부(111')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직류 전원부(120')에서 직류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 또는 소등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발광 소자(D6, D7)가 동일한 극성으로 병렬 연결되어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 소자(D6, D7)는 스위치부(111')를 통해 개별 제어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130')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110')가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형성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병렬 연결된 조명부(130')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 비에 따라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시간 비에 따른 전류량을 제어하여 색 가변의 자유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개 이상의 별도 제어수단이 필요한 종래의 색 가변 조명 기구에서 다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제어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조명 장치 110, 110' : 제어부
110a : 제어부 1 110b : 제어부 2
110c : 제어부 3 111' : 스위치부
120 : 교류 전원부 120': 직류 전원부
120a : 교류 전원부 1 120b : 교류 전원부 2
120c : 교류 전원부 3 130, 130' : 조명부
130a : 조명부 1 130b : 조명부 2
130c : 조명부 3

Claims (9)

  1.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로서,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정방향 성분과 역방향 성분의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부(120);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류 전원부(120)에서 공급되는 시간 비가 제어된 교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분배 신호는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usoidal wave), 삼각파(Triangular wave), 구면파(Spherical wave)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의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의 발광 소자는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조명 장치.
  6.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로서,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미리 설정된 시간 비(Duty ratio)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제어되도록 시간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시간 분배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111');
    상기 스위치부(111')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120'); 및
    다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류 전원부(12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의 발광 소자는 동일한 극성으로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의 발광 소자는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조명 장치.
KR1020130133368A 2013-11-05 2013-11-05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Ceased KR20150051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68A KR20150051638A (ko) 2013-11-05 2013-11-05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68A KR20150051638A (ko) 2013-11-05 2013-11-05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638A true KR20150051638A (ko) 2015-05-13

Family

ID=5338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368A Ceased KR20150051638A (ko) 2013-11-05 2013-11-05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13A (ko) * 2021-12-15 2023-06-22 이동광 두 개의 전원 배선을 이용한 조색조광 기능을 갖는 led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13A (ko) * 2021-12-15 2023-06-22 이동광 두 개의 전원 배선을 이용한 조색조광 기능을 갖는 led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276U (ja) 照明の色相を変えることのできるled点灯装置
EP3228159B1 (en) Current splitter for led lighting system
TWI576010B (zh) 光源裝置
US9763298B2 (en) Voltage balancing current controlled LED circuit
DE602004005180D1 (de) Benutzerschnittstelle zur kontrolle von leuchtdioden
JP2005100799A (ja) 可変色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及び可変色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
JP6038113B2 (ja) 光角度分布についての調光制御
JP6507449B2 (ja) 点灯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5129512A5 (ko)
KR100912120B1 (ko) 지피에스(gps)와 연동되는 능동형 감성 조명장치
KR20160110280A (ko) 온도에 따라 색온도를 변화시키는 엘이디 조명등
KR20150051638A (ko) 시간 분배 신호를 이용한 색 가변 조명 장치
US9101000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CN106341919A (zh) 照明控制装置、照明设备和照明器具
JP6210452B2 (ja) 照明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KR20170058097A (ko) 발광부 색온도 통합 제어 회로
JP6965135B2 (ja) Led照明装置
JP6953090B2 (ja) Led照明装置
KR102143498B1 (ko) 디밍 컨버터 조명장치
WO2017016253A1 (zh) 发光二极管照明组合套件
KR20150003514U (ko) 색온도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구조
KR200403439Y1 (ko) 엘이디로 조명되는 연등의 점등장치
KR100825989B1 (ko) 감성 조명장치
KR101483229B1 (ko) 색 조절 조명장치
KR20160095773A (ko) 조명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