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152A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9152A KR20150049152A KR1020130129327A KR20130129327A KR20150049152A KR 20150049152 A KR20150049152 A KR 20150049152A KR 1020130129327 A KR1020130129327 A KR 1020130129327A KR 20130129327 A KR20130129327 A KR 20130129327A KR 20150049152 A KR20150049152 A KR 20150049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uct
- engine
- air flap
- fl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6—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3—Means upstream of the air filter; Connection to the ambient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1—Arrangement of the air intake system in the engine compartment, e.g. with respect to the bonnet or the vehicle front 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더라도 엔진의 흡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엔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엔진룸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외기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에어 플랩이 구비된 에어 플랩 모듈;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항시 개방되는 에어 홀; 및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를 받아들여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덕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상기 에어 플랩이 폐쇄된 때에도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가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which allows the intake air of an engine to be smoothly supplied even when the flow of air for cooling the engine is cut off.
An air flap module including an air flap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receive ambient air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engine; An air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lap module and penetrating the air flap module, the air hole being always open; And an air duct configured to recei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and supply the air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 ≪ / RTI >
The airflow guiding device of the automobi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is supplied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even when the air flap is 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냉기를 흡기로서 엔진에 전달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flow guiding device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flow guiding device for an automobile which cools an engine and transfers cold air to an engine as an intake air.
일반적으로, 에어 덕트(air duct)는 공기의 통로로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한 부분으로부터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까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파이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에어 덕트는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에어 덕트 혹은 브레이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 덕트 등이 있다.Generally, an air duct is a passage for air, which is a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a portion where air can easily flow to a portion where air is required to be supplied. For example, such an air duct may include an air duct for inducing air sucked into the engine, or an air duct for cooling the brake.
한편, 에어 플랩(air flap)은 공기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에어 플랩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ir flap is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 of air. For example, such an air flap may serve to selectively block the flow of air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 배치된 에어 플랩이 공기의 통로를 개방하면, 라디에이터 그릴, 에어 플랩, 및 냉각 팬을 경유한 공기는 엔진을 냉각시키거나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된다. 또한, 엔진의 냉각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 배치된 에어 플랩이 공기의 통로를 폐쇄한다.When the air flap disposed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opens the passage of ai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grill, the air flap, and the cooling fan is cooled as the engine or supplied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Further, when cooling of the engine is not required, an air flap disposed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closes the air passage.
하지만,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 배치된 에어 플랩이 필요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이 차단될 때에는 엔진의 흡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air flap disposed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interrupts the air flow as needed,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may not be smoothly supplied when the air flow is interrup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더라도 엔진의 흡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tive air induction device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intake air of an engine,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엔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엔진룸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외기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에어 플랩이 구비된 에어 플랩 모듈;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항시 개방되는 에어 홀; 및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를 받아들여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덕트;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flow guiding apparatus includes an air flap having an air flap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receive outside air from a front side of the vehicle, module; An air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lap module and penetrating the air flap module, the air hole being always open; And an air duct configured to recei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and supply the air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 ≪ / RTI >
상기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상기 에어 플랩이 폐쇄된 때에도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가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airflow guiding device of the automobi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is supplied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even when the air flap is closed.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되는 중앙 덕트;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에어 플랩 또는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항시 받아들이도록 형성되는 보조 덕트; 및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를 경유한 공기를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덕트; 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duct includes a central duct formed to receiv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An auxiliary duct formed to receive air from the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through the air flap or the air hole at all times; And a supply duct formed to supp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 ≪ / RTI >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를 경유한 공기를 수집하는 덕트 챔버 및 상기 중앙 덕트와 상기 덕트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덕트 및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덕트 챔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덕트 챔버에 수집된 공기를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ir duct may further include a duct chamber for collecting ai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and a connecting duct for communicating the central duct and the duct chamber. The auxiliary duct and the supply duct are connected to the duct chamber, And the supply duct may be formed to supply the air collected in the duct chamber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상기 덕트 챔버는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로부터 수집한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일정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The duct chamber may have a certain volume to temporarily store air collected from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상기 덕트 챔버까지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ct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to the duct chamber.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flap modul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상기 에어 플랩이 개방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외기는 엔진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 상기 에어 플랩 모듈, 및 상기 냉각 팬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엔진룸에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air flap is opened, the outside air in front of the vehicle can be supplied to the engine room sequentially through the radiator grille, the air flap module, and the cooling fan so as to cool the engine.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사이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다.The auxiliary duct can receive ai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grille from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air flap module.
상기 에어 홀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측의 외기를 받아들이도록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상부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air hole may exten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lap module to an upper side of the radiator grille so as to receive the upper outside air of the radiator grill.
상기 중앙 덕트는 차체의 측방향 양측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차체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entral duct may be disposed at a center not offset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auxiliary duct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ateral sides of the vehicle body of the air flap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로부터 저온의 공기가 엔진의 흡기로서 항상 원활하게 공급됨으로써, 엔진의 동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temperatur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always supplied smoothly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engine can be improved.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손실이 방지되고, 보조 덕트가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기류가 차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력 특성(aerodynamic characteristics)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 the flow loss of the air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grille is prevented, and the auxiliary duc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erodynamic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airflow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can be improved.
나아가, 보조 덕트가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auxiliary duct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NVH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평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flow induc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n airflow gui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에어 플랩 모듈(10) 및 에어 덕트(20)를 포함한다.1 and 2, an airflow gui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은 하부 에어 플랩 장치(12), 하부 에어 플랩(14),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 상부 에어 플랩(18), 및 에어 홀(15)을 포함한다.The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은 상기 하부 에어 플랩 장치(12)와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은 상기 하부 에어 플랩 장치(12)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은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는 상기 하부 에어 플랩 장치(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다.The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및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은 엔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엔진룸(도시하지 않음)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외기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엑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이다. 여기서, 엔진룸은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는 공간이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및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및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또는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이 개방될 때, 개방된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또는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을 통하여 엔진룸으로 공급된 외기에 의해 엔진이 냉각된다.The
상기 에어 홀(15)은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hole)이다. 즉, 상기 에어 홀(15)은 선택적인 폐쇄없이 항시 개방된다. 또한, 상기 에어 홀(15)은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에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에어 홀(15)은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다.The
상기 에어 덕트(20)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에어 홀(15)을 통과한 외기가 공급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 덕트(20)는 상기 에어 홀(15)을 통하여 공급받은 공기의 통로로서,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까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나아가, 상기 에어 덕트(20)는 중앙 덕트(22), 보조 덕트(24), 덕트 챔버(25), 연결 덕트(26), 및 공급 덕트(28)를 포함한다.The
상기 중앙 덕트(22)는 상기 에어 홀(15)과 연통된다. 즉, 상기 중앙 덕트(22)는 상기 에어 홀(15)을 통과한 외기를 공급받는다. 또한, 차량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중앙 덕트(22)는 양측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앙에 위치된다.The central duct (22) communicates with the air hole (15). That is, the
상기 보조 덕트(24)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의 전방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에어 플랩(14, 18) 또는 상기 에어 홀(15)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받아들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덕트(24)의 일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에어 플랩(14, 18) 또는 상기 에어 홀(15)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항시 받아들이도록 항시 개방된다. 나아가, 차량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보조 덕트(24)는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의 차체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보조 덕트(24)가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보조 덕트(24)는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의 양측 중 일측에만 배치될 수 도 있다.The
상기 덕트 챔버(25)는 상기 중앙 덕트(22) 또는 상기 보조 덕트(24)를 경유한 공기를 공급받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덕트 챔버(25)는 상기 중앙 덕트(22) 또는 상기 보조 덕트(24)를 경유한 공기를 수집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덕트 챔버(25)는 상기 보조 덕트(24)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연결 덕트(26)는 상기 중앙 덕트(22)를 경유한 공기가 상기 덕트 챔버(25)에 전달되도록 상기 중앙 덕트(22)와 상기 덕트 챔버(25)를 연결한다.The connecting
상기 공급 덕트(28)는 상기 덕트 챔버(25)를 경유한 공기를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에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 덕트(28)는 상기 덕트 챔버(25)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flow induc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후드(52)와 언더 가드(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룸은 상기 후드(52), 상기 언더 가드(54), 및 차체(50)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보닛(bonnet)이라고도 불리는 후드(52) 및 엔진 하부 및 바닥의 주행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판인 언더 가드(54)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an automotive airflow gu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한편,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은 라디에이터 그릴(30)과 냉각 팬(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 또는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이 개방되면, 차량 전방의 외기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 및 상기 냉각 팬(4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엔진룸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라디에이터(radiator)의 전방에 배치되고 차량의 외관이 되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 및 날개를 회전시켜 엔진을 냉각하도록 상기 엔진룸에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냉각 팬(40)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도 3에는 상기 차체(5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중앙 덕트(22)의 형상 및 상기 에어 홀(15)을 통하여 중앙 덕트(22)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에어 홀(15)을 통하여 중앙 덕트(22)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은 점선의 회살표로 도시되었다.3 shows the shape of the
상기 에어 홀(15)과 연통된 중앙 덕트(22)는 상기 차체(50)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차체(5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냉각 팬(40)의 후방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에어 홀(15)은 상기 상부 에어 플랩 장치(16)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체(50)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차체(50)의 전방을 향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에어 홀(15)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의 상부에서 공기의 유동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 상부의 간섭에 의해 낭비될 수 있는 공기를 받아들인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의 평단면도이다.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n airflow gui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과 상기 라이에이터 그릴(30)의 사이로부터 상기 라이에이터 그릴(30)을 통과한 외기를 받아들이는 상기 보조 덕트(24)는 상기 차체(50)의 종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즉, 보조 덕트(24)는 상기 차체(50)의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4, the
도 4에는 상기 중앙 덕트(22) 또는 상기 보조 덕트(24)를 경유한 공기가 상기 덕트 챔버(25)로 전달되고, 상기 덕트 챔버(25)를 경유한 공기가 상기 공급 덕트(28)를 통하여 상기 차체(5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도시되었다.4,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연결 덕트(26)는 상기 냉각 팬(40)의 후방까지 연장된 중앙 덕트(22)로부터 상기 덕트 챔버(25)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팬(40)의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덕트(22) 및 상기 연결 덕트(26)를 경유하는 공기는 엔진에 가까워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0),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 및 상기 냉각 팬(40)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외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상기 공급 덕트(28)를 통하여 상기 차체(5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되는 공기는 상기 공급 덕트(28)에 의해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까지 유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은 엔진의 흡기통로(도시하지 않음) 또는 흡기통로와 연통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공급 덕트(28)는 엔진의 흡기통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ir supplied to the rear of the
한편, 상기 상부 에어 플랩(18) 및 상기 하부 에어 플랩(14)이 폐쇄되더라도 상기 에어 홀(15) 및 상기 중앙 덕트(22)를 경유한 공기 또는 상기 보조 덕트(24)를 경유한 공기가 상기 덕트 챔버(25) 및 상기 공급 덕트(28)를 통하여 항상 엔진의 흡기통로에 공급됨으로써, 엔진은 항상 저온의 외기를 흡기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저온의 공기가 높은 밀도를 갖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Even if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10)의 작동에 의해 엔진의 냉각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엔진의 냉각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은 밀도의 공기를 엔진의 흡기로서 항시 공급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airflow guiding device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performs the cooling of the engine by the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로부터 저온의 공기가 엔진의 흡기로서 항상 원활하게 공급됨으로써, 엔진의 동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30)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손실이 방지되고, 보조 덕트(24)가 차체(50)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기류가 차체(5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력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덕트(24)가 차체(50)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temperatur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always supplied smoothly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engin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flow loss of the air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0: 에어 플랩 모듈
12: 하부 에어 플랩 장치
14: 하부 에어 플랩
15: 에어 홀
16: 상부 에어 플랩 장치
18: 상부 에어 플랩
20: 에어 덕트
22: 중앙 덕트
24: 보조 덕트
25: 덕트 챔버
26: 연결 덕트
28: 공급 덕트
30: 라디에이터 그릴
40: 냉각 팬
50: 차체
52: 후드(hood)
54: 언더 가드(under guard)10: Air flap module 12: Lower air flap device
14: Lower air flap 15: Air hole
16: upper air flap device 18: upper air flap
20: air duct 22: central duct
24: auxiliary duct 25: duct chamber
26: connection duct 28: supply duct
30: Radiator grill
40: cooling fan
50: body 52: hood
54: under guard
Claims (10)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항시 개방되는 에어 홀; 및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를 받아들여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플랩이 폐쇄된 때에도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 또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 전방의 공기가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An air flap module having an air flap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receive ambient air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engine;
An air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lap module and penetrating the air flap module, the air hole being always open; And
An air duct configured to recei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and supply the air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Lt; / RTI >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or the air in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is supplied as the intake air of the engine even when the air flap is closed.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한 공기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되는 중앙 덕트;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에어 플랩 또는 상기 에어 홀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항시 받아들이도록 형성되는 보조 덕트; 및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를 경유한 공기를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ir duct,
A central duct formed to receiv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oles;
An auxiliary duct formed to receive air from the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through the air flap or the air hole at all times; And
A supply duct formed to supply air through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Wherein the airflow guiding device comprises: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를 경유한 공기를 수집하는 덕트 챔버 및 상기 중앙 덕트와 상기 덕트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덕트 및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덕트 챔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덕트 챔버에 수집된 공기를 엔진의 흡기로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air duct,
A duct chamber for collecting ai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and a connecting duct for connecting the central duct and the duct chamber,
Wherein the auxiliary duct and the supply duc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duct chamber,
Wherein the supply duct is formed to supply the air collected in the duct chamber as an intake air of the engine.
상기 덕트 챔버는 상기 중앙 덕트 또는 상기 보조 덕트로부터 수집한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일정한 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uct chamber has a constant volume to temporarily store the air collected from the central duct or the auxiliary duct.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상기 덕트 챔버까지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duct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front of the air flap module to the duct chamber.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냉각 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flap module is disposed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cooling fan.
상기 에어 플랩이 개방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외기는 엔진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 상기 에어 플랩 모듈, 및 상기 냉각 팬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엔진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air flap is opened, the outside air in front of the vehicle is supplied to the engine room via the radiator grill, the air flap module, and the cooling fan sequentially so as to cool the engine. Device.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사이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duct receives ai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grille from between the radiator grill and the air flap module.
상기 에어 홀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측의 외기를 받아들이도록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상부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ir hole extends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lap module to an upper side of the radiator grille so as to receive the upper outside air of the radiator grill.
상기 중앙 덕트는 차체의 측방향 양측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에어 플랩 모듈의 차체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er duct is disposed at a center not offset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auxiliary duct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ateral sides of the vehicle body of the air flap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327A KR20150049152A (en) | 2013-10-29 | 2013-10-29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US14/341,604 US20150118949A1 (en) | 2013-10-29 | 2014-07-25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CN201410415252.0A CN104553751A (en) | 2013-10-29 | 2014-08-21 | Airflow guidance systems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327A KR20150049152A (en) | 2013-10-29 | 2013-10-29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152A true KR20150049152A (en) | 2015-05-08 |
Family
ID=5299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327A Ceased KR20150049152A (en) | 2013-10-29 | 2013-10-29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18949A1 (en) |
KR (1) | KR20150049152A (en) |
CN (1) | CN104553751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4103672U1 (en) * | 2014-08-07 | 2015-11-10 | Reum Kunststoff- Und Metalltechnik Gmbh | aeration device |
US10293679B2 (en) * | 2014-11-18 | 2019-05-2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erodynamic device to optimize air flow through heat exchangers |
KR101637305B1 (en) * | 2015-07-13 | 2016-07-2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JP6504140B2 (en) * | 2016-09-14 | 2019-04-24 | スズキ株式会社 | Vehicle cooling system |
KR102215763B1 (en) * | 2017-03-14 | 2021-02-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of duct for cooling brake |
CN113553786B (en) * | 2021-07-19 | 2024-01-30 | 中国航发沈阳发动机研究所 | Aerodynamic force calculation method for bleed air guide pipe |
CN116176267B (en) * | 2023-02-03 | 2025-04-04 | 赛力斯汽车有限公司 | An integrated air intake mechanism for active air intake grille vehicle |
US20240326554A1 (en) * | 2023-03-27 | 2024-10-03 | Honda Motor Co., Ltd. | Airflow control for heat exchanger in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48544A (en) * | 1938-02-26 | 1941-07-08 | Daimler Benz Ag | Air supply means for diesel engines |
DE10233408A1 (en) * | 2001-07-25 | 2003-05-08 | Denso Corp | Engine unit |
JP2005053464A (en) * | 2003-07-24 | 2005-03-03 | Denso Corp | Front structure of vehicle |
JP2005248802A (en) * | 2004-03-03 | 2005-09-15 | Toyoda Gosei Co Ltd | Air intake duct |
EP1753943B1 (en) * | 2004-05-26 | 2013-03-13 | Behr GmbH & Co. KG | Cooling system |
KR20110055276A (en) * | 2009-11-19 | 2011-05-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ariable Intake Duct Structure of Engine |
-
2013
- 2013-10-29 KR KR1020130129327A patent/KR20150049152A/en not_active Ceased
-
2014
- 2014-07-25 US US14/341,604 patent/US2015011894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8-21 CN CN201410415252.0A patent/CN104553751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553751A (en) | 2015-04-29 |
US20150118949A1 (en) | 2015-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49152A (en)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
KR101637305B1 (en)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
CN105082985B (en) | Cooling system for vehicle | |
CN102407835B (en) | For guiding cooling vessel to discharge the air guiding device of air for chiller unit | |
JP6380212B2 (en) | Cooling device and cooling module | |
EP2602143A1 (en) | Cooling structure for vehicles | |
US20140138077A1 (en) | Vehicle cooling device | |
US20120318476A1 (en) | Combined condensation radiator fan module and brake cooling duct shutter system | |
JP5314462B2 (en) | Outside air introduction device for vehicles | |
WO2015129348A1 (en) | Cooling module | |
JPS62502814A (en) | engine cooling system | |
US20140224448A1 (en) | HVAC Airbox Systems and Methods | |
US20030121638A1 (en) | Vehicle with heat exchanger unit arranged near the passenger compartment | |
US20170030250A1 (en) | Compact cooling module | |
US9951675B2 (en) | Structure of intercooler cover integrated into fan shroud for turbocharged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159356B1 (en) | Active AirFlap Apparatus of Vehicle | |
WO2016092795A1 (en) | Cooling device and cooling module | |
WO2017030079A1 (en) | Cooling device | |
KR102019044B1 (en) | Airflow guiding system for vehicle | |
CN205086672U (en) | Vehicle | |
CN104228554B (en) | engine compartmen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 |
US11274596B2 (en) | Cooling air feed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 |
KR20120063116A (en) | Intercooler guide duct | |
JPS5990716A (en) | Automobil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07218106B (en) | Structure for cooling exhaust manifol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