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378A - 공명침 - Google Patents
공명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8378A KR20150048378A KR1020130128319A KR20130128319A KR20150048378A KR 20150048378 A KR20150048378 A KR 20150048378A KR 1020130128319 A KR1020130128319 A KR 1020130128319A KR 20130128319 A KR20130128319 A KR 20130128319A KR 20150048378 A KR20150048378 A KR 201500483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ower supply
- electromotive force
- power source
- wi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38 necr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06 sweat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8—Apparatus for applying thermoelectric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 인체에 삽입된 공명침에 열과, 유도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공명침 시스템이 개시된다. 공명침 시스템은 인체에 삽입되는 공명침, 공명침 주위에서 공명침에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는 가열판, 가열판에 포함된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기의 실시예들은 금, 백금,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된 공명침을 이용하여 인체의 병을 치유하거나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 접촉식이며 공명침에서 열을 발생시켜 공명침의 효과를 배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방에서 사용되는 침은 인체 조직에 자극을 주어 관련된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즉, 많은 자극은 그만큼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침을 이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침을 혈자리에 놓는 것도 모두 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침의 굵기를 두껍게 할 수 있으나, 통증과 위험성 때문에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침을 인체에 삽입하고, 물리적인 진동(돌리기, 튕기기 등)을 이용하여 자극의 범위를 크게 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또한, 침의 끝 부분에 열을 가하거나 '저주파 전기 자극기'를 이용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 또한 침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침을 인체에 삽입하고, 튀어나온 부분에 뜸, 토치 등으로 열을 가하는 방법(화침또는 열침)은 인체의 대부분이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열은 피부표면에서 대부분 흡수되고, 심부 가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피부 표면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표피층에 있는 신경이 괴사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저주파 자극기' 를 이용하여 두개의 침에 전극을 연결하고, 침을 통해 몸속 깊숙히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은 인체의 대부분이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는 표면으로 흐르는 특성을 고려할 때, 대부분의 전기 에너지는 피부 깊숙히 보다는 표면으로 흘러 표피층에 있는 신경만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효과가 의문시 된다. 이를 해결 하기위하여 침을 코팅하고 끝부분만을 탈피하여 중간에 누전을 막은 것도 나와 일명 '전침' 또는 '전열침'이라 하여 시판되기도하나, 전기 자극기에서 나온 에너지가 침의 끝 부분에 모여 고열을 발생하므로 세포 괴사 가일어나며 심지어는 이를 이용하여 소위 '고바야시침술법'이라는 것은 겨드랑이 땀샘을 괴사시켜 액취증 치료에도 적용하나 피부 에있는 신경이 괴사될경우 심각한 의료사고를 초래하며 언론에도 침의 코팅에 대해 비위생적이라고 지적하였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인체에 삽입되는 공명침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인체에 삽입되는 공명침을 이용하여 인체에 열 자극,및 전기적 자극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판,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공명침을 포함하는 공명침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은, 상기 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과 상기 인체의 표면 사이에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가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패드는 철이나 스텐이 아닌 비철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구리금속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상기 공명침에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전원은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에 공급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도 기전력은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된 공명침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전원 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방향 전원이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분리부는 상기 제1 전원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되어 발생된 유도 기전력은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된 공명침에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은 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과 상기 인체의 표면 사이에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가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상기 공명침에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체에 삽입되는 공명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체에 삽입되는 공명침을 이용하여 인체에 열 자극과 전기자극을 줄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명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공명침에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공명침을 그룹으로 구성하여 자극을 극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공명침에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공명침을 그룹으로 구성하여 자극을 극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명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명침 시스템은 전력 공급 장치(130), 가열판(121, 122) 및 공명침(111, 112)을 포함한다.
공명침(111, 112)은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에 물리적인 자극을 준다. 공명침은 순수한 철을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철, 니켈 등의 자성체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구리합금, 금 등의 비자성체도 사용될 수 있다.
가열판(121, 122)은 중앙 부분이 천공된 원반 모양의 얇은 판이다. 공명침(111, 112)이 가열판(121, 122)의 천공된 부분을 관통하여 인체에 삽입될 수 있다. 가열판(121, 122)은 전선을 루프 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다르면, 가열판은 두께 5mm 미만의 초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의료용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인체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30)는 코일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가열판(121, 122)에 포함된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측에 따르면, 가열판(121, 122)에 포함된 전선은 두께 2mm이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공급 장치(130)가 코일에 공급하는 전력은 구형파 형상의 펄스일 수 있다.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는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 주위에 형성되는 자기장도 시간에 따라 변경되며, 천공된 부분을 관통하는 공명침(111, 112)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 인하여 공명침(111, 112)에는 전류가 흐르고,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명침(111, 112) 자체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인체에 좀더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한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침은 직경 0.2~0.3mm, 길이 40~60mm로 매우 얇고 길다. 또한 자성체인 철의 함유량은 극히 소량이다. 따라서, 유도 기전력에 의한 발열은 히스테리시스에 의한 발열 보다는 와류손에 의한 발열이다.
와류손에 의한 발열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된다.
[수학식 ]
수학식 1을 참고하면,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와류손에 의한 발열량이 높아진다. 따라서,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가 높은 것이 효율적이며, 바람직하게는 가열판에 600 kHz 이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판에 600 kHz 이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가열판은 와류손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그러나, 600 kHz 이상의 전력 스위칭 회로에서 220V의 교류 전원을 직접 입력전원으로 하면 역기전력이 주파수와 비례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전력 공급 장치의 스위칭 소자가 파괴될 위험이 있으며, 전력 공급 장치의 발열이 극심해 지는 등 위험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역기전력을 다른 곳으로 유도하여 출력에서 순방향과 같은 방향성을 갖게하는 전력 공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측에 따르면, 가열판(121, 122)은 공명침이 삽입될 인체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열판(121, 122)은 코일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가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열판(121, 122)은 공명침(111, 112)의 발열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직접 발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명침(111, 112)의 효과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공명침들(111, 112)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공명침(111, 112)의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명침들(111, 112)을 여러 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그룹에는 주파수 차이가 약 5Hz 정도인 전력들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각 그룹 내부에는 여러 개의 채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각 채널들간에는 주파수 차이가 약 3Hz 정도인 전력들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채널간 또는 각 그룹간의 공명은 3-144Hz에서 발생하며 인체의 주파수와 동조하여 공명침(111, 112)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공명침(111, 112)에 발열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주파수의 전력을 가열판(121, 122)에 공급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200)는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매우 높은 효율로 전력을 변환할 수 있으며, 높은 주파수의 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00)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와,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제1전원 출력부(230),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출력부(240)와,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에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고 제2전원 출력부(240)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분기부(220)와,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전원합성부(250)를 포함한다.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는 직류전원을 제1전원 출력부(120)로 공급한다. 일측에 따르면,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는 직류전원을 소정 펄스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로 단속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는 풀 브릿지, 하프 브릿지, 푸시 풀 등이 다양한 회로 구성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원 출력부(230)는 스위칭 전원공급부(210)가 출력한 순방향의 스위칭 전원이 도통되는 1차 권선과, 1차 권선에 유입된 전류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원 출력부(240)는 제1전원 출력부(230)와 병렬로 연결되어, 순방향의 스위칭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으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한다. 역기전력은 전류에 대한 자극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 원래의 전류 변화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으로써, 렌츠의 법칙(Lenz's law) 등으로 증명된 전자기법칙이다.
일측에 따르면, 제2전원 출력부(240)는 순방향 전류와 반대 방향인 역방향 전류가 도통되는 3차 권선과, 3차 권선에 유입된 전류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하는 4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분기부(220)는 제1전원 출력부(230)와 제2전원 출력부(240) 및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의 접점에 위치하며,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제2전원 출력부(24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를 차단하고, 제2전원 출력부(240)로부터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로 유입되는 역기전력을 차단한다.
전원합성부(250)는 제1전원 출력부(230)에서 출력된 제1전원과 제2전원 출력부(240)에서 출력된 제2전원의 극성을 매칭시켜 제1전원 및 제2전원의 합성 전원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에서 순방향 전류를 공급하면, 제1전원 출력부(1230)에 순방향 전류가 공급되고, 제2전원 출력부(24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는 차단된다. 여기서, 제2전원 출력부(240)와 분기부(220)의 접점은 제1전원 출력부(23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한 역기전력으로 인해 기준 전압보다 전압이 강하된다. 이에, 제2전원 출력부(240)에는 순방향 전류와는 방향이 반대인 역기전력이 여기되고, 분기부(220)는 제2전원 출력부(240)로부터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로 유입되는 역기전력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1전원 출력부(230)에서는 순방향 전류로 유도된 제1전원이 생성되고, 제2전원 출력부(240)에서는 역방향 전류로 유도된 제2전원이 생성되어, 전원합성부(250)를 통해 하나의 출력전원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역기전력 자체를 또 하나의 전원 생성 소스로 이용함으로써, 역기전력을 제거하거나 감쇄시키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 출력부(230)에서 생성되는 전원 이외에 추가적으로 역기전력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출력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블록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칭 전원공급부(210)는 직류전원 공급부(VCC, 311)와, 직류전원 공급부(VCC, 311)로부터 인입되는 입력전원(Vin)을 단속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 3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 312)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PWM)에 따라 온/오프 교번 동작하여, 입력전원(Vin)의 인입을 단속한다. 여기서, 제2전원의 크기는 역기전력의 크기에 비례함으로. 입력전원(Vin)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전원 출력부(230)는 일단이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GND)와 연결되어 순방향의 입력전원(Vin)을 통전시키는 1차 권선(331)과, 1차 권선(331)에 유입된 입력전원(Vin)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2차 권선(332)을 포함한다.
제2전원 출력부(240)는 일단이 1차 권선(321)과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GND)에 연결된 3차 권선(341)과, 3차 권선(341)에 유입되는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4차 권선(342)을 포함한다. 3차 권선(341)에는 1차 권선(331)으로 유입되는 입력전원(Vin)에 의해 발생한 역방향 전원(-Vin)이 통전된다. 입력전원(Vin)으로 인해 역방향 전원(-Vin)이 발생하면 1차 권선(331)과 연결된 3차 권선(341)의 일단은 전위가 -Vin으로 강하되고 3차 권선(341)의 타단은 GND로 상대적으로 고전위 상태가 된다. 이에, 3차 권선(341)의 GND 연결지점으로부터 타단으로 역방향 전류가 유도되어, 4차 권선(342)이 제2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분기부(220)는 1차 권선(331)과 3차 권선(341) 사이에 개재되어 1차 권선(331)으로부터 3차 권선(341)으로 순방향 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3차 권선(341)으로부터 1차 권선(331)으로 역방향 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D1, 322)와,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스위칭 전원공급부(210)에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D2, 321)를 포함한다. 즉, 제1다이오드(D1, 322) 및 제2다이오드(D2, 321)는 양 측의 전원 출력부(230, 240)에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이 각각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의 통전 특성에 따라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1다이오드(D1, 322) 및 제2다이오드(D2, 32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 312)의 동작속도에 응답할 수 있을 정도의 고속 다이오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쇼트키 다이오드, 혹은, 스위칭용 다이오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원합성부(250)는 2차 권선(332)과 4차 권선(342)을 직렬로 연결하는 전원라인(251)을 포함하여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한다. 전원합성부(250)는 2차 권선(332)의 일단과 4차 권선(342)의 타단을 통해 합성된 전원을 출력한다.
출력된 전원은 가열판에 포함된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에 공급된다.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는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 주위에 형성되는 자기장도 시간에 따라 변경되며, 가열판의 천공된 부분을 관통하는 공명침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 인하여 공명침에는 전류가 흐르고,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명침 자체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인체에 좀더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가열판을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열판은 중앙 부분이 천공(420)된 원반(410) 모양의 얇은 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판은 두께 5mm 미만 의 초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가열판은 중앙의 천공(420)을 중심으로 전선이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코일(430)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판에 포함되는 전선은 두께 2mm이하일 수 있다.
가열판은 의료용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인체에 손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공명침은 중앙의 천공(420)부분을 관통하여 인체에 삽입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코일(430)에 전력이 공급되면,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4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는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430) 주위에 형성되는 자기장도 시간에 따라 변경되며, 천공된 부분(420)을 관통하는 공명침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된다. 공명침에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전류가 발생하며, 그 결과 공명침이 발열하여 공명침의 온도가 상승한다.
도 4의 (b)는 가열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가열판(440)은 루프 형상으로 감긴 코일(450) 및 가열 패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패드(460)는 코일(450)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소자이다. 일측에 따르면, 가열 패드(460)는 코일(450)의 밑에, 코일(450)과 인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가열판은 공명침이 삽입될 인체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열판은 공명침의 발열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직접 발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명침의 효과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공명침에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명침(510)은 가열판의 천공부분을 관통하여 인체에 삽입된다. 가열판에 포함된 코일에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공명침(510)에는 유도 기전력(520, 530)이 발생된다. 일측에 따르면, 코일에 흐르는 구형파 형상의 펄스일 수 있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또는 방향 변경되면, 공명침(510)에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520, 530)의 세기 또는 방향도 변경된다.
일측에 따르면, 공명침(510)에 발생된 유도 기전력(520, 530)으로 인하여 공명침(510)에는 유도 전류가 생성된다. 일측에 따르면, 유도 전류의 방향은 공명침(510)의 끝단으로부터 인체에 삽입된 부분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인체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공명침(510)의 끝단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공명침(510)에 전류가 흐르면, 공명침(510)내부의 저항에 의하여 공명침(510)의 온도가 상승한다. 공명침(510)의 온도가 상승하면, 인체로 전달되어 공명침(510)의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공명침을 그룹으로 구성하여 자극을 극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명침(610)에 전력이 공급되면, 공명침(610) 주위로 유도 기전력(611, 612, 613, 614)이 발생된다. 유도 기전력(611, 612, 613, 614)의 주파수는 공명침(610)에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일측에 따르면, 공명침 시스템은 복수의 공명침(610, 620, 630)들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공명침(610, 620, 630)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명침 시스템은 복수의 공명침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은 다시 복수의 채널(일측에 따르면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채널은 복수의 공명침(일측에 따르면 4개)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채널간에는 3Hz의 차이를 두고 위상 변조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각 그룹간에는 5Hz의 차이를 두고 위상 변조된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각 그룹간/각 채널간의 공명 현상은 대략 3~144Hz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 그룹간/각 채널간에는 서로 상이하게 변조된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각 그룹간/각 채널간에 생성된 유도 기전력/유도 전류도 상이하다. 각 그룹간/각 채널간의 유도 기전력/유도 전력은 서로 상쇄/보강간섭을 일으키며 자극의 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공명침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독립된 가열판을 인체에 부착하고, 각 가열판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공명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이용하여 좀더 강한 자극을 생성한다. 따라서, 침이 삽입된 부분 이외의 광역 부위까지 치료 효과를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1, 112: 공명침
121, 122: 가열판
130: 전력 공급 장치
121, 122: 가열판
130: 전력 공급 장치
Claims (12)
-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판;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비접촉식 공명침
을 포함하는 공명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것인 공명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은,
상기 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과 상기 인체의 표면 사이에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가열 패드를 더 포함하는 공명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상기 공명침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공명침 시스템.
-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전원은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에 공급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도 기전력은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된 공명침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전원 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전원이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분리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리부는 상기 제1 전원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 전선을 루프형상으로 감아 형성된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되어 발생된 유도 기전력은 상기 루프형상의 중앙을 통과하여 인체에 삽입된 공명침에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권선;
상기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이 합성된 것인 가열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은 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과 상기 인체의 표면 사이에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발열하는 가열 패드
을 더 포함하는 가열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상기 공명침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가열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8319A KR20150048378A (ko) | 2013-10-28 | 2013-10-28 | 공명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8319A KR20150048378A (ko) | 2013-10-28 | 2013-10-28 | 공명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8378A true KR20150048378A (ko) | 2015-05-07 |
Family
ID=5338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8319A Pending KR20150048378A (ko) | 2013-10-28 | 2013-10-28 | 공명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837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37532A (zh) * | 2016-08-22 | 2016-12-21 | 深圳烯旺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多通道热灸仪 |
CN117618244A (zh) * | 2024-01-24 | 2024-03-01 | 德州玉东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针灸理疗装置 |
-
2013
- 2013-10-28 KR KR1020130128319A patent/KR20150048378A/ko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37532A (zh) * | 2016-08-22 | 2016-12-21 | 深圳烯旺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多通道热灸仪 |
CN117618244A (zh) * | 2024-01-24 | 2024-03-01 | 德州玉东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针灸理疗装置 |
CN117618244B (zh) * | 2024-01-24 | 2024-05-07 | 德州玉东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针灸理疗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36519B2 (en) |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herapeutic treatments | |
US11491342B2 (en) |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herapeutic treatments | |
US10426969B2 (en) | Magnetic field stimulation | |
ES2606665T3 (es) | Reducción de molestias usando estimulación nerviosa | |
US11666774B2 (en) | Pulse source and method for magnetically inductive nerve stimulation | |
US7335156B2 (en) |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 |
WO2003090863A1 (en) | A stimulation coil using magnetic mirror and use thereof | |
CN112221015A (zh) | 一种通过电磁场分解脂肪组织的装置与方法 | |
JP2016144757A (ja) | 医療処置のための磁気コア | |
JP2009513258A (ja) | 電気刺激による不快感の軽減 | |
KR101249387B1 (ko) | 코일의 교번자계를 이용한 자화침/뜸에 의한 복합 자극장치 | |
EP3785763A1 (en) | Magnetic stimulation device | |
JP2010051562A (ja) | 生体の深部刺激方法及び生体深部の刺激装置 | |
CN102614592A (zh) | 用于医学领域tms的瞬变电磁场激励系统 | |
Burunkaya |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low cost dsPIC controller based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or (rTMS) | |
Hu et al. | Calculations of cell transmembrane voltage induced by time-varying magnetic fields | |
KR20150048378A (ko) | 공명침 | |
CN105251124A (zh) | 基于磁谐振耦合原理的经颅磁刺激系统 | |
Yamamoto et al. | Characteristics of bowl-shaped coils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
JP2009279149A (ja) | エネルギ検知装置 | |
Kato et al. | Fabrication of a prototype magnetic stimulator equipped with eccentric spiral coils | |
TW202216240A (zh) | 可撓式多層線圈結構的腦部磁波刺激裝置 | |
CN215135978U (zh) | 一种通过电磁场分解脂肪组织的装置 | |
RU22347U1 (ru) | Магнитогрелка | |
EP1962958A1 (en) | An operating head for medical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