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80A -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7280A KR20150047280A KR1020130127164A KR20130127164A KR20150047280A KR 20150047280 A KR20150047280 A KR 20150047280A KR 1020130127164 A KR1020130127164 A KR 1020130127164A KR 20130127164 A KR20130127164 A KR 20130127164A KR 20150047280 A KR20150047280 A KR 201500472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rror
- self
- correction
- value
- learning algorith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차량의 지능형 배터리 센서의 전류, 전압, 온도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데이터 측정부, 데이터 측정부에서 도출한 출력값에 대한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부 및 오차 측정부에서 측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스스로 계산하고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C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rent, voltage, temperature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n intelligent battery sens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at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tate variable of a battery and deriving an output value thereof, an erro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rror with respect to an output value derived from the data measuring unit, And an error correc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ecessary value by itself and correcting the err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차량의 지능형 배터리 센서의 전류, 전압, 온도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C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rent, voltage, temperature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n intelligent battery sensor of a vehicle.
최근 차량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차량에 여러 가지 제어장치들이 설치되는데(예컨대, 파워 윈도 제어, 도난 경보 제어 등), 차량에 장착된 각각의 제어장치들은 여러 종류의 센서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받아 시스템을 제어한다.In recent years, various control devices have been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power window control, burglar alarm control, etc.)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Various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various kinds of sensors And controls the system.
여러 가지 차량용 센서들 중에서 지능형 배터리 장치(IBS, Intelligent Battery Sensor)는 차량용 배터리의 (-)부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 노화상태(SOH, State Of Health) 및 시동성능(SOF, State Of Function)을 예측하여 주 제어기(ECU)에 제공한다. Among various vehicle sensors, the Intelligent Battery Sensor (IBS) is mounted on the negative (-) portion of the vehicle battery to periodically monitor the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o measure the state of charge (SOC) The state of health (SOH), and the state of function (SOF), to the main controller (ECU).
이처럼 IBS에 의해 주 제어기로 제공된 정보는 차량의 각종 장치들이 배터리의 현재 상태에 맞춰 작동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컨대, 배터리의 충·방전 성능의 최적화 및 연비향상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차량의 발전제어(Alternator Management System)나 연료절감 목적으로 개발하는 ISG(Idle Stop & Go)제어 조건 판단 및 차량 엔진의 배기가스(CO2)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BS to the main controller thus drives the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For example, not only is it used for optimizing the charging / discharg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and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but also for judging the ISG (Idle Stop & Go) control condition to be developed for the alternator management system or the fuel saving purpose of the vehicle, It is used to cope with exhaust gas (CO2) regulations.
따라서 IBS는 모니터링한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정확히 진단한 값을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IBS가 측정한 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보정목표치 대비 출력값에 미세한 오차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IBS to transfer the correctly diagnosed value to the main controller based on the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monitored battery. For this reason, although various methods for correcting the error of the data measured by the IBS have been develo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slight error in the output value with respect to the correction target value.
종래기술에 따른 여러 가지 IBS의 보정방법 중, 2점 보정법(Two Point Calibration)에 기초하여 계산된 ADC 보정된 값도 목표치 대비 미세한 오차를 갖는다. 도 1은 2점 보정법에 의해 계산된 출력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Of the various IBS corr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DC-corrected values calculated based on the two-point calibration method also have minute errors relative to the target values. 1 is a graph showing output values calculated by a two-point correction meth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점 보정법에 의해 얻은 GAIN(입력에 대한 출력비) 및 OFFSET(입력이 ‘0’이더라도 출력이 ‘0’이 아닌 어떤 값)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이는 2점 보정법의 임의의 두 점(X1,Y1), (X2,Y2)을 이용한 공식이다.As shown in FIG. 1, GAIN (output ratio for input) and OFFSET (a value other than '0' for an input of '0') obtained by the two-point correction method ar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1) do. This is a formula using arbitrary two points (X1, Y1), (X2, Y2) of the two-point correction method.
수학식 1은 2점 보정법 이후 출력되는 GAIN, OFFSET 공식이다.Equation (1) is a GAIN, OFFSET formula outputted after the two-point correction method.
여기서 OFFSET값이 오차범위에 해당되는데, 2점 보정법이 정확히 오차를 보정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수학식 1에 의한 결과값은 항상 실수형이 아닌 정수형이기 때문이다.Here, the OFFSET value corresponds to the error range. The reason why the two-point correction method can not accurately correct the error is that the result of Equation 1 is not always a real number but an integer.
따라서 수학식 2를 통해 오차를 보정하더라도 출력값의 실수부는 포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error is corrected through Equation (2), the real part of the output value is not included.
예) GAIN(보정 전) = 1.683 → GAIN(보정 후) = 1Example) GAIN (before correction) = 1.683 → GAIN (after correction) = 1
OFFSET(보정 전)= 2.356 → OFFSET(보정 후)= 2 OFFSET (before correction) = 2.356 → OFFSET (after correction) = 2
수학식 2는 보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최종 출력값을 나타내는 공식이다.Equation (2) is a formula indicating the final output value that is finally output after correction.
이처럼 2점 보정법과 같은 보정을 통하여 배터리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수정하더라도, 종래기술에 따르면 미세한 오차가 존재하거나, 추가적으로 재보정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를 갖는다.
Even if the data measured by the battery sensor is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such as the two-point correction method,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that there is a slight e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r additionally re-determin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한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히 전압, 전류, 온도를 보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correcting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that imitates a human neural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스스로 오차보정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보정이 필요한 값을 계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error correction by itself and calculating a value requiring correc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차 보정장치는,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데이터 측정부,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한 출력값에 대한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부 및 오차 측정부에서 측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스스로 계산함과 물론이며 측정된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한다.An error correcting apparatus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tate variable of a battery and deriving an output value, an erro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rror with respect to an output value measured by the data measuring unit, And an error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measured error, as well as calculating the value required to be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erro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본 발명의 상태변수는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차 측정부는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오차의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The state vari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urrent, a voltage, a temperature, etc. indicating a state of a battery. In addition, the error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n error should be corrected when the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오차 보정부는 오차 측정부에서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 받아 측정된 오차 및 기 설정된 임계치를 기초로 하여, 자기 보정값을 계산하고 오차를 보정한다.The error corr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correction is required in the error measurement unit, calculates a self-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measured error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corrects the error.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차 보정방법은,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출력값의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오차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측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보정이 필요한 값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error correction method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 state variable of a battery and deriving an output value, calculating an error of the derived output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Calculating a value required to be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error when the error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correcting the error using the value requiring correction.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지능형 배터리 센서가 측정한 배터리의 상태변수(예컨대, 전류, 전압, 온도 등)를 출력함에 있어서, 자기학습 알고리즘 방법을 통해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출력값을 검출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n outputting state variables (for example, current, voltage, temperature, etc.) of a battery measured by an intelligent battery sensor mounted on a vehicle, an error is corrected through a self-learning algorithm method to detect a more accurate output value to provid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2점 보정법(Two Point Calibra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차 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부 및 신호 발생부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wo-point calib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of an error correction unit and a sign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Quot;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차 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변수의 오차 보정장치는,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데이터 측정부(210), 데이터 측정부(210)에서 도출한 출력값에 대한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부(220) 및 측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스스로 계산하고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23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 of a battery stat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상태변수란,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센서가 측정한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의미한다. The state variabl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state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vehicle, which means the current, voltage, temperature, etc. measured by the sensor of the vehicle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적용의 예를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센서로 하였지만,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아 보다 정확한 출력값을 결과로 도출해야 하는 아날로그 신호 변환기, 기타 여러 종류의 ADC(Analog-Digital Converter)장치에 본 발명은 모두 적용가능 하다. Although a typic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sensor for a vehicle battery, the batter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analog signal converter that receives a data signal to obtain a more accurate output value as a result, and various other types of ADC (Analog- Are all applicable.
예컨대 측정된 값의 민감도에 따라 환경 변화의 폭이 예민하게 작용할 수 있는 무균실 및 반도체 제조공정 라인의 클린룸(공기의 온도, 습도 및 먼지입자 등이 작업공정에 적합하게 인위적으로 조절ㆍ관리되는 실내공간)의 먼지 측정기 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clean room of a clean room and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line in which the width of environment change can be sensitized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of the measured value (a room where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particles are artificially controlled / Space) may b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치 중, 오차 측정부(220)는 목표치 대비 출력값의 오차를 구해서 측정된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오차 보정이 필요함을 스스로 판단하여 오차 보정부(230)로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221)를 포함한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오차 측정 시 이용되는 목표치는 오차 보정부(230)에서 최종적으로 출력해야 하는 값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하거나 혹은 시스템상에서 주어진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목표치를 설정 가능하다. 다시 말해 목표치는 측정된 입력값이 어느 목적에 적합하도록 오차 보정부(230)의 동작 목표가 되는 값이다. Here, the target value used in the error measurement is a value finally output b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오차 측정부(220)는 스스로 오차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오차의 범위를 판단하여, 판단된 범위가 오차 보정이 필요할 정도로 클 경우, 오차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오차 측정부(220)에서 오차 범위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임계치는 사용자 및 시스템이 설정한 최소 보정 단위(Least Significant Bit)인데, 만약 측정된 오차가 최소 보정 단위보다 크다면 오차는 1 LSB이상의 보정단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If the measured error is larger than the minimum correction unit, the error is at least 1 LSB. If the error is less than 1 LSB, Means having a correction unit.
예컨대, 측정된 오차가 4mV이고, 시스템상에 기 설정된 LSB가 12uV라면, 1 LSB 만큼 보정이 되어도 오차를 12uV만큼 더 줄일 수 있고 그만큼 더 정확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발생부(221)는 오차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For example, if the measured error is 4 mV and the predetermined LSB on the system is 12 uV, even if the error is corrected by 1 LSB, the error can be further reduced by 12 uV and a more accurate value can be outputted. Therefore,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 중, 오차 보정부(230)는 오차 측정부(22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받아 오차 및 LSB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 즉 자기 보정값을 스스로 계산하고 계산된 오차만큼 기본 입력값을 보정하여 출력한다.The
앞서 예로든 오차가 4mV, LSB가 12uV인 시스템은 1 LSB만큼 보정되면 약 12uV만큼 오차는 줄어든다. 따라서 1 LSB가 보정되면 오차는 4mV에서 3.988mV로 감소하게 된다.(), A system with an error of 4 mV and an LSB of 12 uV is corrected by 1 LSB, and the error is reduced by about 12 uV. Therefore, if 1 LSB is corrected, the error will decrease from 4 mV to 3.988 mV. ( ),
여기서 오차 보정부(230)가 LSB에 기초하여 최대로 보정 가능한 값을 계산해보면, LSB가 약 333만큼 ()보정될 경우, 오차는 3.996mV만큼()감소하게 되고, 보정된 오차는 0.004mV가 된다.()If the
다시 말해, 처음 측정된 오차는 4mV이지만, 본 발명의 자기학습 알고리즘 보정을 통하여 0.004mV로 오차 범위가 처음 측정치 대비 99.9% 감소한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first measured error is 4mV, the error range is reduced by 99.9% from the initial measurement to 0.004mV through the self-learning algorithm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와 측정된 데이터의 흐름을 연관 지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measured data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부(230) 및 신호 발생부(221)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오차에 대해 신호 발생부(221)에서 보정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만약, 측정된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예컨대, LSB)보다 큰 값을 갖는 다면, 신호 발생부(221)는 오차 보정부(230)로 오차 보정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보낸다.As shown in FIG. 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이후 오차 보정부(230)는 중간 과정에서 출력된 데이터(예컨대, 오차, LSB)를 기초로 하여 자기 보정값을 스스로 기 설정된 계산법에 의해 계산한 후, 최종 출력값을 출력한다. 이 단계에서 최종 출력값이란, 앞서 언급한 목표치에 가까운 근사치이다.Thereafter, the
정리하자면, 목표치= 14V, 1차 출력값= 13.996V, 1 LSB= 12uV인 시스템에서, 목표치 대비 오차는 4mV가 되고(14-13.996V = 4mV), 오차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4mV의 오차는 최소 보정 단위인 1 LSB보다 훨씬 큰 값을 가지므로, 신호 발생부(221)에서는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오차 보정부(230)로 전달한다. 전달된 신호를 받은 오차 보정부(230)에서는 자기 보정값을 계산하는데, 이 경우 333 LSB가 보정되면 최대로 보정 가능하다고 판단되므로, 오차 보정부(230)에서는 4mV를 333 LSB를 보정한, 즉 3.996mV만큼의 오차를 보정하여 0.004mV의 오차를 갖는 최종 출력값을 출력한다.In summary, in a system with a target value of 14 V, a primary output value of 13.996 V, and a 1 LSB of 12 uV, the error with respect to the target value becomes 4 mV (14-13.996 V = 4 mV), the error of 4 mV measured by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구체적인 수치들은 본 장치가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거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특정 수치만을 보정하는 장치로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In the meantime, the specific values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roduced to expla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the present apparatus takes to correct an error,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pparatus for correcting only specific value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측정한다(S410).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 등에 대한 1차 출력값 및 목표치를 도출하고(S420), 도출된 출력값 및 목표치를 기초로 하여 오차범위를 계산한다(S430). As shown in FIG. 4, the state of the battery is periodically monitored and measured in a sensor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vehicle battery (S410). A primary output value and a target value of the measured current, voltage, temperature, etc. of the measured battery are derived (S420), and an error rang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rived output value and the target value (S430).
여기서 오차범위를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단순히 목표값과 출력값의 차이뿐 아니라, 이외의 기타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오차범위를 계산 가능하다.Here, the simple method of measuring the error range can not only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value and the output value, but also calculate the error range by various other methods.
예컨대, 출력값을 목표값으로 나누어 %의 단위로 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를 측정하고 그 측정치와 참 값의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표현법은 모두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output value by the target value to make it a unit of%. That is, all of the error expressions that measure the data and represent the difference that occurs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true value are all possible.
이렇게 측정된 오차를 최소 단위 보정값 이상, 이하인지를 판단하고(S440), 최소 단위 보정값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본 발명의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보정단계로 넘어간다(S4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unit correction value (S440),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rrection step through the self-learning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S450).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보정 단계에서는 보정이 필요한 값을 스스로 계산하여 오차를 보정하여 최종 출력값을 도출한다. In the correction step using the self-learning algorithm, a value required for correction is calculated by itself and the error is corrected to derive the final output value.
본 발명은 측정치와 목표치간의 오차를 갖는 시스템에서 스스로 목표치 대비 측정치의 오차를 계산하고, 오차 보정에 필요한 값인 자기 보정값을 판단하여 보정단계에 적용하고, 최종 출력값을 도출하는 시스템으로서, 최초 보정단계에 사용하거나 혹은 앞서 언급한 2점 보정법(Two Point Calibration) 이후 단계에 적용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보정법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오차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alculating an error of a measured value with respect to a target value by itself in a system having an error between a measured value and a target value, applying a self correction value as a value necessary for error correction to the correction step, and deriving a final output value, Or to the step after the two-point calibration mentioned above, or in addition to various other correc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rang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210: 데이터 측정부 220: 오차 측정부
221: 신호 발생부 230: 오차 보정부210: data measuring unit 220: error measuring unit
221: Signal generator 230: Error corrector
Claims (7)
상기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데이터 측정부;
상기 데이터 측정부에서 도출한 상기 출력값에 대한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부; 및
상기 오차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스스로 계산하고 상기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
를 포함하는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 of a battery state variable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A dat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tate variable of the battery and deriving an output value;
An erro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output value derived from the data measuring unit; And
An error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error by calculating a value required to be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error measured by the error measuring unit,
And an ADC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elf-learning algorithm.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의미하는 것
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장치.2. The method of claim 1,
Means a current, voltage, temperature, etc. indicating the state of the battery
ADC Compensation Device Using Self - Learning Algorithm.
상기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오차의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
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rror measuring unit
And a signal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rrection of the error is necessary when the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DC Compensation Device Using Self - Learning Algorithm.
상기 오차 측정부에서 보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 받아 측정된 상기 오차 및 기 설정된 임계치를 기초로 하여, 자기 보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오차를 보정하는 것
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rror correction unit
Calculating a self-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measured error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correcting the error by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correction is necessary in the error measuring unit
ADC Compensation Device Using Self - Learning Algorithm.
상기 배터리의 상태변수를 측정하고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출력값의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차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측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보정이 필요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이 필요한 값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방법.A method for correcting error of a battery state variable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Measuring a state variable of the battery and deriving an output value;
Calculating an error of the derived output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rr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Calculating a value required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measured error when the error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Correcting an error using a value required for the correction
A method for calibrating an ADC using a self-learning algorithm.
상기 오차와 기 설정된 임계치를 기초로 하여 자기 보정값을 계산하는 것
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alculating the value requiring correction comprises:
Calculating the self-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error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method of ADC calibration using self - learning algorithm.
상기 오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알리는 것
인 자기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ADC 보정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err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comprises:
If the err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method of ADC calibration using self - learning algorith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164A KR20150047280A (en) | 2013-10-24 | 2013-10-24 |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164A KR20150047280A (en) | 2013-10-24 | 2013-10-24 |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7280A true KR20150047280A (en) | 2015-05-04 |
Family
ID=5338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7164A Withdrawn KR20150047280A (en) | 2013-10-24 | 2013-10-24 |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728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30710B2 (en) | 2017-06-20 | 2019-06-25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200034034A (en) * | 2018-09-14 | 2020-03-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offset of analog to digital converter |
-
2013
- 2013-10-24 KR KR1020130127164A patent/KR2015004728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30710B2 (en) | 2017-06-20 | 2019-06-25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200034034A (en) * | 2018-09-14 | 2020-03-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offset of analog to digital conver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20491B2 (en) | Battery cell state of charge estimation method and a battery state monitoring system | |
CN106716168B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sensors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 |
AU201731761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equivalent load of wind turbine | |
EP190619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harged state of battery | |
US10162014B2 (en) | Battery state determining device | |
US2014001279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 error detection and compensation | |
KR20010043872A (en) | Means for estimating charged state of battery and method for estimating degraded state of battery | |
CN108779995B (en) | Sensor for detecting an environmental parameter and method for calibrating such a sensor | |
JP2016151909A (en) |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and abnormality diagnosis system | |
CN107478703A (en) | Electrochemical gas sensor and its calibration method, air conditioner | |
JP2010203885A (en) | Device of estimating inputtable/outputtable power of secondary battery | |
KR102481221B1 (en) | Estimating device for the state of charge o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2023018484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ging State for a Device Battery Having Correction of State Observations on the Basis of Systematic State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 |
KR20150047280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elf-learning adc correction system | |
KR102037149B1 (en) | Current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Using Temperature Dependent Resistance | |
JP2010217079A (en) | Device for estimation of total capacity of secondary battery | |
US7216061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system faults using hidden process drivers | |
US10998585B2 (en) | Determination method of smoke emission in battery, and battery system | |
JP5367320B2 (en) |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method, state detec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power supply system | |
CN105446314A (en) | Sensor system using safety mechanism | |
KR20140052658A (en) | Intelligent battery sensor and battery internal resistance estimation method thereof | |
KR20160059204A (en) | Battery sensor for vehicle and mehtod for compensating error of shunt resistor comprised in the sensor | |
CN119064820A (en) | Laser power supply component performanc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 |
KR101457923B1 (en) | Battery cell voltage measuring apparatus with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JP4668015B2 (en) |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