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417A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5417A KR20150045417A KR20150049548A KR20150049548A KR20150045417A KR 20150045417 A KR20150045417 A KR 20150045417A KR 20150049548 A KR20150049548 A KR 20150049548A KR 20150049548 A KR20150049548 A KR 20150049548A KR 20150045417 A KR20150045417 A KR 20150045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bottom member
- paper bottom
- bent portion
- ind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종이용기의 바닥부재를 개선하여 인덕션 렌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속된 음식물 재료를 직접 끓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의하면;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띠 형태로 하향 절곡부(11)가 형성된 종이 바닥부재(10)와;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말아 컬링부(21)가 형성되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감싸도록 절곡된 밑굽부(22)가 형성된 종이 몸통부재(20)와;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인덕션 렌지의 자력선이 통과시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는 알루미늄 박판(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의하면;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띠 형태로 하향 절곡부(11)가 형성된 종이 바닥부재(10)와;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말아 컬링부(21)가 형성되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감싸도록 절곡된 밑굽부(22)가 형성된 종이 몸통부재(20)와;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인덕션 렌지의 자력선이 통과시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는 알루미늄 박판(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용기의 바닥부재를 개선하여 인덕션 렌지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용기는 뜨거운 음료나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컵라면 등과 같이 더운 물을 부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 식품이 개발되어 바쁜 일상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이 간식 또는 주식을 대신하여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시판되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을 담는 용기로는 종래 발포 폴리에틸렌을 재료로 소정형상의 용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발포 합성수지 용기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어 유해성 문제가 있고 사용 후에는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818호(고안의 명칭:인스턴트 식품용 종이용기)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지류를 사용하여 이중의 용기 벽면을 구성하고 용기 벽면 사이에 후지로 된 골판지를 삽입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후에는 폐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용 종이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인스턴트 식품용 종이용기(1)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코팅시킨 지류로 상측에 마감부(2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마감부(2a)와 동일폭으로 접착부(2b)를 형성하는 내부용기(2)와, 상측에 마감부(3a)가 형성되는 외부용기(3) 하측에 바닥판(4)를 열접착하고, 상기 내부용기(2)와 외부용기(3) 사이에는 접착부(2b)와 동일 두께의 후지로 된 골판지(5)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식품용 종이용기(1)는 컵라면 등과 같이 대부분 뜨거운 물을 직접 부어 음식물을 데워 먹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이용기(1) 내부에 부속된 음식물 재료는 시간이 지나면서 뜨거운 물에 의해 데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음식물이 익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며 물에 불린 상태로 익혀지기 때문에 음식물 본연의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용기의 바닥부재에 알루미늄 박판을 부설하여 인덕션 렌지에서 가열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속된 음식물을 직접 끓여 취식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용기를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이용기 내부에 부속될 수 있는 음식물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자동판매기 등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를 통해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이용기가;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띠 형태로 하향 절곡부가 형성된 종이 바닥부재와;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말아 컬링부가 형성되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종이 바닥부재의 하향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종이 바닥부재의 하향 절곡부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감싸도록 절곡된 밑굽부가 형성된 종이 몸통부재와; 상기 종이 바닥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인덕션 렌지의 자력선이 통과시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는 알루미늄 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 박판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상기 종이 바닥부재의 내면에 놓인 상태에서 200 ~ 250℃로 열가압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의하면; 종이용기의 종이 바닥부재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는 원판형 알루미늄 박판이 부착되어 있어서, 부속된 음식물(조리물)을 인덕션 렌지를 통해 직접 끓여 취식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종이용기를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종이용기에 부속될 수 있는 음식물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자동판매기 등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의하면; 알루미늄 박판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종이 바닥부재의 내면에 놓인 상태에서 180 ~ 210℃로 열가압하여 부착됨으로써, 알루미늄 박판이 종이 바닥부재에 용이하면서도 견실하게 부착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인스턴트 식품용 종이용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바닥부재의 단면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바닥부재의 단면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의 제작과정을 보인 것이다.
먼저,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일명 '고주파 유도가열기'라 함)는 기존의 가스렌지나 전자렌지를 대체할 수 있는 조리기로서; 그 어떤 가열 조리기보다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편리하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의 작동원리는 렌지 상판 직하부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보내면 여기에서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이 상판 위에 놓인 조리기구 바닥을 통과 시 조리기구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 와류전류를 생성시킨다. 조리기구 바닥에서 발생된 와류전류는 조리기구 자체만을 발열시킴으로써, 인덕션 렌지 상판은 달구어지지 않으면서 조리기구만 뜨거워지는 유도가열이 일어난다. 그리고 인덕션 렌지에서 조리기구를 들어올리면 즉시 가열이 멈추어진다. 또한, 인덕션 렌지 상판을 손으로 만져도 뜨겁지 않아 안전하고, 조리기구가 닿는 부분에서만 에너지가 생성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덕션 렌지를 통해 조리를 할 수 있는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는 자력선이 통과시 와류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박판(30)이 부착된 종이 바닥부재(10)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종이 바닥부재(1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되는 종이 몸통부재(20)로 정의된다.
종이 바닥부재(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원판형(펄프 단층지)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는 종이용기의 성형 과정에서 띠 형태로 하향 절곡되는데, 이 하향 절곡부(11)는 종이 몸통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종이 몸통부재(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이 몸통부재(2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말아 컬링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종이용기 성형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종이 몸통부재(20)의 상단부 강도가 상당하게 보강된다. 그리고 종이 몸통부재(20)의 하단 내측에는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 외면이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감싸도록 절곡된 밑굽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종이용기 성형과정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글게 말아진 테이퍼 관 형태의 종이 몸통부재(20)의 내부에 바닥부재(10)를 상부에서 아래로 밀어 넣으면서(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종이 바닥부재(10)의 가장자리를 하향 절곡한다. 그리고 종이 몸통부재(20)의 하단부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절곡하여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를 감싸도록 밑굽부(22)를 형성하면서 열을 가하면, 종이 몸통부재(20)의 내측과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은 폴리에틸렌 프로필렌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견실하게 열 접착되면서 일체화된다.
한편, 알루미늄 박판(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인덕션 렌지의 자력선이 통과시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원판형 알루미늄 박판(30)은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몸통부재(20)와 종이 바닥부재(10)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픽업장치(미도시)를 통해 종이 바닥부재(10) 상부에 배치한 후 열가압하여 부착된다. 즉, 원판형 알루미늄 박판(30)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열가압부재(40)(50)를 180 ~ 210℃로 순간(0.5 ~ 1 초) 열가압하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팅층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30)이 종이 바닥부재(10) 내면(상면)에 견실하게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물과 함께 조리물을 넣고 인덕션 렌지에 올리면, 종이용기의 종이 바닥부재(10), 즉 원판형 알루미늄 박판(30)에서 와류전류가 발생되어 발열하며, 이로 인해 끓는 물에 의해 조리물이 빨리 익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기를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이용기 내부에 부속될 수 있는 조리물(컵라면 등)이 다양하며 자동판매기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10..종이 바닥부재 11..절곡부
20..종이 몸통부재 21..컬링부
22..밑굽부 30..알루미늄 박판
40..상부 열가압부재 50..하부 열가압부재
20..종이 몸통부재 21..컬링부
22..밑굽부 30..알루미늄 박판
40..상부 열가압부재 50..하부 열가압부재
Claims (2)
- 인덕션 렌지를 통해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이용기는;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띠 형태로 하향 절곡부(11)가 형성된 종이 바닥부재(10)와;
내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말아 컬링부(21)가 형성되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하향 절곡부(11)를 아래에서 상측으로 감싸도록 절곡된 밑굽부(22)가 형성된 종이 몸통부재(20)와;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인덕션 렌지의 자력선이 통과시에 와류전류를 생성하면서 발열하는 알루미늄 박판(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박판(3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상기 종이 바닥부재(10)의 내면에 놓인 상태에서 200 ~ 250℃로 열가압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49548A KR20150045417A (ko) | 2015-04-08 | 2015-04-08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49548A KR20150045417A (ko) | 2015-04-08 | 2015-04-08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417A true KR20150045417A (ko) | 2015-04-28 |
Family
ID=5303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50049548A Withdrawn KR20150045417A (ko) | 2015-04-08 | 2015-04-08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541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122A (ko) | 2019-09-16 | 2021-03-24 | 청도원견공고집단유한공사 | 음식 용기 |
KR102675607B1 (ko) | 2023-08-21 | 2024-06-17 | 주식회사 에이스팩 | 인덕션용 종이용기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인덕션용 종이용기 |
-
2015
- 2015-04-08 KR KR20150049548A patent/KR2015004541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122A (ko) | 2019-09-16 | 2021-03-24 | 청도원견공고집단유한공사 | 음식 용기 |
KR102675607B1 (ko) | 2023-08-21 | 2024-06-17 | 주식회사 에이스팩 | 인덕션용 종이용기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인덕션용 종이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53860A (ko)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
JP7580100B2 (ja) | 具材加熱器 | |
JP4935784B2 (ja) |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の製造方法 | |
JPH0345641B2 (ko) | ||
WO2016098038A1 (en) | Microwave safe container | |
KR101489800B1 (ko) |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 |
US20060213905A1 (en) | Disposable microwave food shield | |
US8344297B2 (en) | Container for electromagnetic cookers | |
KR20150045417A (ko) |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 |
JP5968256B2 (ja) | 電子レンジ用二重容器 | |
KR101287978B1 (ko) | 일회용 조리용기 | |
JP2009285184A (ja) |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 |
JP2012116540A (ja) | 使い捨て容器および容器入り食品 | |
CN2702687Y (zh) | 一种壶 | |
CN103569436A (zh) | 一种防烫手的食品包装盒 | |
JP2014162515A (ja) | 電子レンジ用複合容器 | |
JP3926599B2 (ja) | 電磁調理器用食器 | |
KR102025857B1 (ko) | 가열용 종이용기 | |
JP5658915B2 (ja) | 電子レンジによる調理方法及び電子レンジ調理用調味液セット | |
KR20170011213A (ko) | 유도가열용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 |
JP2004231196A (ja) |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状容器 | |
KR101366411B1 (ko) | 조리 용기 | |
KR20170001961U (ko) |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 |
JP2004217271A (ja) |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状容器 | |
JP4108964B2 (ja) |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