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45132A -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132A
KR20150045132A KR20130124401A KR20130124401A KR20150045132A KR 20150045132 A KR20150045132 A KR 20150045132A KR 20130124401 A KR20130124401 A KR 20130124401A KR 20130124401 A KR20130124401 A KR 20130124401A KR 20150045132 A KR20150045132 A KR 2015004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bottom
stern
ship
engine room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132A/ko
Publication of KR2015004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3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2Double bottoms; Tank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0Stern posts; Stern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관실과 샤프트 터널이 위치하는 더블 바텀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를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추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있어서, 선미부의 더블 바텀 상에 샤프트 터널과 기관실이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가 상기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더블 바텀에 단차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Double bottom structure in stern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를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추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미부에 추진을 위한 엔진이 설치되는 기관실이 마련되는데, 엔진은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서 선체 외측의 프로펠러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을 프로펠러에 전달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종래 선박에서 기관실을 포함한 선미부 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51528호의 2-행정 저속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선박에 개시된 바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1)은 선창(3)들로 분할된 선체(2)를 가진다. 선창(3)들은 해치 커버(hatch cover; 4)들에 의해 상부가 폐쇄되고, 그 위의 컨테이너들은 점선(5)으로 지시된 높이까지 갑판 화물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선루(6)의 아래, 즉 선박의 프로펠러(propeller; 7)로부터 멀리 이격된 거리에 기관실이 배치되고, 기관실 내부의 엔진인 내연기관(8)은 프로펠러 샤프트(propeller shaft; 9)를 통하여 고정 피치 프로펠러(7)에 연결된다. 프로펠러 샤프트(9)는 기관실로부터 샤프트 터널(shaft tunnel; 9')을 통해서 프로펠러(7)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된 다수의 저널 베어링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1)은 선저가 더블 바텀(double bottom; 9")으로 이루어지는데, 기관실과 샤프트 터널(9')이 위치하는 더블 바텀(9")은 그 레벨이 프로펠러 샤프트(9)의 중심과 메인 엔진 베드(main engine bed)의 규격에 의하여 결정되며, 동일한 레벨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이나 기존의 Ro-Ro 선박(Roll on-Roll off ship)과 같이 빠른 선속과 상대적으로 낮은 드래프트(draft)를 갖는 선박의 경우, 낮은 프로펠러 샤프트 중심의 높이와 고출력의 메인 엔진 적용으로 인해 기관실과 샤프트 터널(9')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프로펠러 샤프트(9)의 분리시, 중간축 플랜지(intermediate shaft flange)에 프로펠러 샤프트(9)가 걸림으로써 인보드(inboard)에서의 프로펠러 샤프트(9) 제거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관실과 샤프트 터널이 위치하는 더블 바텀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를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추도록 하여, 공간 확보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원가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있어서, 선미부의 더블 바텀 상에 샤프트 터널과 기관실이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가 상기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더블 바텀에 단차가 형성되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단차는 상기 샤프트 터널의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기관실이 인접하는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500~900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실과 샤프트 터널이 위치하는 더블 바텀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를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추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서 기관실을 포함한 선미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10)는 선미부의 더블 바텀(double bottem; 11) 상에 샤프트 터널(shaft tunnel; 12)과 기관실(13)이 마련되고, 샤프트 터널(12)의 바닥(12a) 높이가 기관실(13)의 바닥(13a) 높이보다 낮도록 더블 바텀(11)에 단차(1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10)는 일례로 컨터이너 선박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Ro-Ro 선박(Roll on-Roll off ship)과 같이 빠른 선속과 상대적으로 낮은 드래프트(draft)를 갖는 선박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더블 바텀(11) 상에 샤프트 터널(12)과 기관실(13)이 마련되는 모든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더블 바텀(11)은 선체(15)의 선저에 보강부재(11a)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이중 선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샤프트 터널(12)과 기관실(13)이 각각 위치한다.
샤프트 터널(12)은 기관실(13)로부터 선체(15)의 스턴 벌브(stern bulb; 16)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선창(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관실(13) 내에 설치된 추진용 엔진(17)으로부터 프로펠러(18)에 연결되는 프로펠러 샤프트(19)가 내측에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되, 바닥(12a)이 단차(14)에 의해 기관실(13)의 바닥(13a)보다 낮게 형성된다.
샤프트 터널(12)은 프로펠러 샤프트(19)를 베어링에 의해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21)가 프로펠러 샤프트(19)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기관실(13)은 추진용 엔진 등의 장비가 내측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선미부의 더블 바텀(11) 상에 샤프트 터널(12)과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필요에 의해 샤프트 터널(12)과의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스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기관실(13)과 샤프트 터널(12) 사이에 격벽이 있는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일반 선박에서는 격벽이 없으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된 것이다.
단차(14)는 샤프트 터널(12)의 바닥(12a)에 형성되되, 샤프트 터널(12) 내에서 기관실(13)이 인접하는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터널(12) 내의 공간을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예로서 기관실(13)의 바닥(13a)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차(14)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블 바텀(11)의 강성 변화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단차(14)는 500~900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700mm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차(14)가 500mm 미만인 경우 프로펠러 샤프트(19)의 분리에 필요한 공간 확보가 불충분하고, 단차(14)가 900mm 초과인 경우 선체(15)의 구조 강성 확보가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샤프트 터널(12)과 기관실(13)과 샤프트 터널(12)이 위치하는 더블 바텀(11)에 단차(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14)에 의해서 샤프트 터널(12)의 바닥(12a) 높이가 기관실(13)의 바닥(13a) 높이보다 낮도록 하고, 이로 인해 프로펠러 샤프트(19)의 분리를 위한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프로펠러 샤프트(19)의 분리 작업시 샤프트 터널(12) 바닥(12a)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19)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더블 바텀(11)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더블 바텀(11)에 소요되는 구조재의 사용량을 일정량, 예컨대 30톤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 : 더블 바텀 11a : 보강부재
12 : 샤프트 터널 12a : 바닥
13 : 기관실 13a : 바닥
14 : 단차 15 : 선체
16 : 스턴 벌브 17 : 추진용 엔진
18 : 프로펠러 19 : 프로펠러 샤프트
21 : 샤프트 지지부 22 : 선창

Claims (5)

  1.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에 있어서,
    선미부의 더블 바텀 상에 샤프트 터널과 기관실이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터널의 바닥 높이가 상기 기관실의 바닥 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더블 바텀에 단차가 형성되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샤프트 터널의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기관실이 인접하는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500~900mm의 높이를 가지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에 의해 바닥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상기 샤프트 터널 바닥 상부에는 샤프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KR20130124401A 2013-10-18 2013-10-18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Ceased KR20150045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401A KR20150045132A (ko) 2013-10-18 2013-10-18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401A KR20150045132A (ko) 2013-10-18 2013-10-18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32A true KR20150045132A (ko) 2015-04-28

Family

ID=5303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401A Ceased KR20150045132A (ko) 2013-10-18 2013-10-18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1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8516B (zh)
GB2523249B (en) Ship equipped with main propeller and additional propeller and hybri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2259962B1 (en) A ship
ATE388890T1 (de) Marine-fahrzeug
KR20200115150A (ko) 선박
JP6304554B2 (ja) 船舶
JP5975091B2 (ja) 荷物積載船舶及び荷物積載方法
JP6492350B2 (ja) カーフェリー
KR20150045132A (ko) 선박의 선미부 더블 바텀 구조
KR102367115B1 (ko) 대형 배수형 선체 선박
JP4917762B2 (ja) Roro船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WO2016080272A1 (ja) 滑走型船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21725B2 (ja) 船舶
KR102434966B1 (ko) 선박
JP2012035785A (ja) 二軸船
US955703A (en) Marine vessel.
US1155028A (en) Ship.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JP2020164023A (ja) 船首構造および船舶
JP2007284019A (ja) トリマラン構造船
KR20170073959A (ko) 컨테이너 선박
JPH06247379A (ja) 船体横隔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