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44293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293A
KR20150044293A KR20130123515A KR20130123515A KR20150044293A KR 20150044293 A KR20150044293 A KR 20150044293A KR 20130123515 A KR20130123515 A KR 20130123515A KR 20130123515 A KR20130123515 A KR 20130123515A KR 20150044293 A KR20150044293 A KR 2015004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liquid crystal
branches
branch portions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길
김경배
박제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293A/ko
Priority to US14/288,553 priority patent/US10712596B2/en
Priority to EP14179035.2A priority patent/EP2833200B1/en
Priority to CN201911148154.4A priority patent/CN110941121B/zh
Priority to CN201911148559.8A priority patent/CN110850646B/zh
Priority to CN201410371633.3A priority patent/CN104345500B/zh
Priority to CN201911147638.7A priority patent/CN110850645B/zh
Priority to JP2014157964A priority patent/JP6448245B2/ja
Publication of KR2015004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293A/ko
Priority to US16/893,899 priority patent/US12210234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는 표시기판, 대향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기판은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각각에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평면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다.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표시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표시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기판과 함께 휘어진다.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도메인들에서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이 배향되는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화소 전극의 가지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가로 줄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세로 줄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지부들 중 일부는 상기 가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각각이 제1 폭을 갖고, 상기 가지부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세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로, 티브이, 모니터, 노트북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휘어진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 휘어진 액정표시장치는 곡면의 표시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 형상을 갖는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품질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표시기판, 대향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기판은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각각에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평면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다.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표시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표시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기판과 함께 휘어진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대향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도메인들에서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이 배향되는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상기 화소 전극은 가지부들, 가로 줄기부 및 세로 줄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지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줄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세로 줄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지부들 중 일부는 상기 가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각각이 제1 폭을 갖고, 상기 가지부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세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가 휘어져 표시기판 및 대향기판 간에 오정렬이 발생되더라도, 표시기판의 배향막에 의해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하부 배향 방향은 대향기판의 배향막에 의해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상부 배향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배향 방향 및 상기 상부 배향 방향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배향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배향 불량에 의해 도메인에서 국부적으로 광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지부들의 구조에 의해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강화되고, 그 결과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방향과 상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메인에서 상기 외부 전계보다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가 우세하게 작용하므로, 상기 도메인에서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 및 상기 외부 전계가 중첩되더라도, 상기 도메인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이 원활하게 배향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표시기판 및 대향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배향된 액정분자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화소 영역에 정의되는 도메인들 및 액정 배향 방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화소 전극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53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을 갖고,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 상기 표시 영역(DA)을 이용하여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표시기판(100-2), 대향기판(300-2) 및 액정층(도 3a의 L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기판(300-2)은 상기 표시기판(100-2)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기판(100-2)과 결합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표시기판(100-2)과 상기 대향기판(300-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 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구성 요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 측으로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평면상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기판(100-2)의 일부 또는 전부(全部)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굴곡진 곡면 형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기판(300-2)은 상기 표시기판(100)과 함께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측면상에서 상기 표시기판(100-2)의 휘어진 부분에 제1 포인트(P1)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포인트(P1)를 지나는 법선(10)을 정의하고, 상기 대향기판(300-2)에 상기 법선(10)과 만나는 제2 포인트(P2)를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1 포인트(P1)에서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나란한 시선 라인(15)을 정의하고, 상기 대향기판(300-2)에서 상기 시선 라인(15)과 만나는 제3 포인트(P3)를 정의한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이 휘어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대향기판(300-2)에서 상기 제2 포인트(P2)의 위치는 상기 제3 포인트(P3)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포인트들(P2, P3)의 위치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 간의 오정렬(miss-alignment)이라고 정의한다. 이하, 상기 오정렬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상기 액정표시장치(530)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530)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530)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나, 도 2에서는 상기 다수의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가 배치되는 화소 영역(PA)이 도시되고, 나머지 화소 영역들 및 나머지 화소들 의 도시는 생략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액정표시장치(530)의 표시기판(100-2) 및 대향기판(300-2) 중 상기 표시기판(100-2)의 구조가 주로 도시되고, 그 대신에, 상기 대향기판(300-2)의 구조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기판(100-2)은 제1 베이스 기판(S1), 게이트 라인(GL), 제1 데이터 라인(DL1), 제2 데이터 라인(DL2),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화소 전극(PE) 및 제1 배향막(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은 플라스틱 기판과 같이 광 투과 특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절연기판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 위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 측으로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영역(PA)은 제1 서브 화소 영역(PA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들(DL1, DL2)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6, PE26)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6, PE26)의 타 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들(DL1, DL2)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6, PE26)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 신호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게이트 전극(GE1), 제1 액티브 패턴(AP1), 제1 소오스 전극(SE1) 및 제1 드레인 전극(DE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1 액티브 패턴(AP1)은 상기 제1 절연막(L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오스 전극(SE1)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액티브 패턴(AP1)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은 상기 제1 소오스 전극(SE1)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액티브 패턴(AP1)과 접촉된다.
제2 절연막(L2)은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커버하고, 제3 절연막(L3)은 상기 제2 절연막(L2)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상기 제3 절연막(L3)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L2, L3)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과 접촉된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신호가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2 게이트 전극(GE2), 제2 액티브 패턴(AP2), 제2 소오스 전극(SE2) 및 제2 드레인 전극(DE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2 액티브 패턴(AP2)은 상기 제1 절연막(L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오스 전극(SE2)은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액티브 패턴(AP2)과 접촉되고,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은 상기 제2 소오스 전극(SE2)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액티브 패턴(AP2)과 접촉된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은 상기 제3 절연막(L3)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은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L2, L3)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과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패턴들(AP1, AP2) 각각은 비정질 실리콘 및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반도체 물질의 종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패턴들(AP1, AP2)은 각각은 IGZO, ZnO, SnO2, In2O3, Zn2SnO4, Ge2O3 및 HfO2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도 있고, GaAs, GaP 및 InP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측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 측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와 상이한 상기 제2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6, PE26)이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들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서 서로 다른 계조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향막(110)은 상기 화소 전극(PE) 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층(LC)과 접촉된다.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배향막(110)은 상기 액정층(LC)이 갖는 액정 분자들(도 4a 내지 도 4d의 LM)을 상기 제1 배향막(110)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향시킨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경사져 배향된 상기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전계에 의해 더 기울어져 상기 표시기판(100-2)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술한 상기 액정 분자들의 상기 전계에 대해 동작하는 모드는, 소위 SVA(Super Vertical Alignment) 모드이고, 이 경우에, 상기 액정표시장치(530)가 영상을 표시하는 응답속도(response time)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대향기판(300-2)은 제2 베이스 기판(S2), 컬러필터(CF), 차광층(BM), 공통 전극(CE) 및 제2 배향막(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기판(S2)은 광 투과 특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절연기판일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S2) 위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전극(PE)과 함께 상기 액정층(LC)에 작용하는 전계를 발생한다. 상기 차광층(BM)은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들(DL1, DL2),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베이스 기판(S2)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차광층(BM)은 광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S2) 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층을 투과한 광을 컬러광으로 필터링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광층(BM) 및 상기 컬러필터(CF)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S2) 위에 배치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광층(BM) 및 상기 컬러필터(CF)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제1 가로 줄기부(HS1), 제2 가로 줄기부(HS2), 제1 세로 줄기부(VS1), 제2 세로 줄기부(VS2), 제1 내지 제4 가지부들(B1-1, B2-1, B3-1, B4-1) 및 제1 내지 제4 보조 가지부들(B1-2, B2-2, B3-2, B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는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의 에지들 및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의 에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는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B3-2)의 에지들 및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B4-2)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 줄기부들(VS1, VS2)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액정표시장치(530)가 휘어지는 제1 방향(D1)과 교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과 직교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에 대해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과 대칭인 형상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B3-2)은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에 대해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B4-2)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 상기 제1 가지부들(B1-1)의 에지들 및 상기 제2 가지부들(B2-1)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에 대해 상기 제2 가지부들(B2-1)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제1 및 제2 도메인들(도 5의 DM1, DM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 상기 제3 가지부들(B3-1)의 에지들 및 상기 제4 가지부들(B4-1)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지부들(B3-1)은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에 대해 상기 제4 가지부들(B4-1)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제3 및 제4 도메인들(도 5의 DM3, DM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과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경사진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가지부들(B2-1) 각각과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제4 방향(D4)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4 방향(D4)은 상기 제3 방향(D3)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방향들(D3, D4)은 서로 직교할 수 있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방향들(D3, D4)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 또는 상기 제2 방향(D2)과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지부들(B3-1) 각각과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B3-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제5 방향(D5)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4 가지부들(B4-1) 각각과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B4-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제6 방향(D6)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6 방향(D6)은 상기 제5 방향(D5)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5 및 제6 방향들(D5, D6)은 서로 직교할 수 있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5 및 제6 방향들(D5, D6)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 또는 상기 제2 방향(D2)과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의 형상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은 제3 가로 줄기부(HS3), 제4 가로 줄기부(HS4), 제3 세로 줄기부(VS3), 제4 세로 줄기부(VS4), 제5 내지 제8 가지부들(B5-1, B6-1, B7-1, B8-1) 및 제 5 내지 제8 보조 가지부들(B5-2, B6-2, B7-2, B8-2)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세로 줄기부(VS3)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가로 줄기부(HS3), 상기 제5 보조 가지부들(B5-2)의 에지들 및 상기 제6 보조 가지부들(B6-2)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상기 제4 세로 줄기부(VS4)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가로 줄기부(HS4), 상기 제7 보조 가지부들(B7-2)의 에지들 및 상기 제8 보조 가지부들(B8-2)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5 보조 가지부들(B5-2)은 상기 제3 세로 줄기부(VS3)에 대해 상기 제6 보조 가지부들(B6-2)과 대칭인 형상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7 보조 가지부들(B7-2)은 상기 제4 세로 줄기부(VS4)에 대해 상기 제8 보조 가지부들(B8-2)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가로 줄기부(HS3)는 상기 제3 세로 줄기부(VS3), 상기 제5 가지부들(B5-1)의 에지들 및 상기 제6 가지부들(B6-1)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가로 줄기부(HS3)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세로 줄기부(VS3)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5 가지부들(B5-1)은 상기 제3 가로 줄기부(HS3)에 대해 상기 제6 가지부들(B6-1)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가로 줄기부(HS3)는 제5 및 제6 도메인들(도 5의 DM5 및 DM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가로 줄기부(HS4)는 상기 제4 세로 줄기부(VS4), 상기 제7 가지부들(B7-1)의 에지들 및 상기 제8 가지부들(B8-1)의 에지들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가로 줄기부(HS4)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세로 줄기부(VS4)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7 가지부들(B7-1)은 상기 제4 가로 줄기부(HS4)에 대해 상기 제8 가지부들(B8-1)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가로 줄기부(HS4)는 제7 및 제8 도메인들(도 5의 DM7 및 DM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 가지부들(B5-1) 각각과 상기 제5 보조 가지부들(B5-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6 가지부들(B6-1) 각각과 상기 제6 보조 가지부들(B6-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방향(D4)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7 가지부들(B7-1) 각각과 상기 제7 보조 가지부들(B7-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8 가지부들(B8-1) 각각과 상기 제8 보조 가지부들(B8-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6 방향(D6)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도 5의 DM1-DM4)이 정의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에 제5 내지 제8 도메인(도 5의 DM5-DM8)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상기 제1 내지 제8 도메인들이 정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제1 도메인 연결부(LP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은 제2 도메인 연결부(L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메인 연결부(LP1)는 상기 제2 도메인 및 상기 제3 도메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및 제3 가지부들(B2-1, B3-1)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도메인 연결부(LP2)는 상기 제6 도메인 및 상기 제7 도메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6 및 제7 가지부들(B6-1, B7-1)을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메인 연결부(LP1)는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 간의 경계 영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도메인 연결부(LP2)는 상기 제6 및 제7 도메인들 간의 경계 영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 연결부들(LP1, LP2)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표시기판 및 대향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배향된 액정분자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5는 화소 영역에 정의되는 도메인들 및 액정 배향 방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전계에 의해 제1 가지부들(B1-1) 및 제1 보조 가지부들(B1-2) 위에 위치한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전계에 의해 제2 가지부들(B2-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2-2) 위에 위치한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c는 전계에 의해 제3 가지부들(B3-1) 및 제3 보조 가지부들(B3-2) 위에 위치한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d는 전계에 의해 제4 가지부들(B4-1) 및 제4 보조 가지부들(B4-2) 위에 위치한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 및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표시기판(도 3a의 100-2) 및 대향기판(도 3a의 300-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액정분자들(RM) 중 제1 배향막(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제1 선 경사각(pre-tilt angle, A1)으로 경사져 배향되고,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제2 배향막(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제1 선 경사각(A1)으로 경사져 배향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1 하부 배향 방향(LD1)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1 상부 배향 방향(UD1)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상부 배향 방향(UD1) 및 상기 제1 하부 배향 방향(LD1)은 상기 제3 방향(D3)과 나란하다. 즉, 상기 제1 하부 배향 방향(LD1) 및 상기 제1 상부 배향 방향(UD1)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LM)이 더 기울어져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가지부들(B1-1) 및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과 나란하게 상기 제3 방향(D3)으로 배향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들(110, 310)에 의해 선 경사져(pre-tilt) 배향된 상기 액정 분자들(RM)은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일괄적으로 더 기울어져 배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상부 배향 방향(UD1) 및 상기 제1 하부 배향 방향(LD1)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들(110, 3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정 분자들(RM)이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기울어지는 방향들이 서로 상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최종 배향되는 상기 액정 분자들(RM)의 개수가 감소되어 배향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부 배향 방향(UD1) 및 상기 제1 하부 배향 방향(LD1)이 서로 동일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기울어져 배향되는 방향들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배향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지부들(B1-1) 및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RM)이 배향되는 영역을 제1 도메인(DM1)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 분자들(L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은 상기 제1 하부 배향 방향(LD1) 및 상기 제1 상부 배향 방향(UD1) 각각과 동일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지부들(B2-1) 각각 및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은 제4 방향(D4)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액정분자들(RM) 중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제2 선 경사각(pre-tilt angle, A2)으로 경사져 배향되고,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제2 배향막(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제2 선 경사각(A2)으로 경사져 배향된다.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2 하부 배향 방향(LD2)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2 상부 배향 방향(UD2)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2 하부 배향 방향(LD2) 및 상기 제2 상부 배향 방향(UD2)은 상기 제4 방향(D4)과 나란하다. 즉, 상기 제2 하부 배향 방향(LD2) 및 상기 제2 상부 배향 방향(UD2)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LM)이 더 기울어져 평면상에서 상기 제2 가지부들(B2-1) 및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과 나란하게 상기 제4 방향(D4)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상부 배향 방향(UD2) 및 상기 제2 하부 배향 방향(LD2)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기울어져 배향되는 방향들이 서로 동일하고, 그 결과, 제2 도메인(DM2)에서 제2 액정 배향 방향(DR2)은 상기 제2 하부 배향 방향(LD2) 및 상기 제2 상부 배향 방향(UD2) 각각과 동일한 상기 제4 방향(D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가지부들(B3-1) 각각 및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B3-2) 각각은 제5 방향(D5)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제3 선 경사각(pre-tilt angle, A3)으로 경사져 배향되고,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제2 배향막(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제3 선 경사각(A3)으로 경사져 배향된다.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3 하부 배향 방향(LD3)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3 상부 배향 방향(UD3)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3 하부 배향 방향(LD3) 및 상기 제3 상부 배향 방향(UD3)은 상기 제5 방향(D5)으로 서로 동일하다. 즉, 상기 제3 하부 배향 방향(LD3) 및 상기 제3 상부 배향 방향(UD3)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LM)이 더 기울어져 평면상에서 상기 제3 가지부들(B3-1) 및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B3-2)과 나란하게 상기 제5 방향(D5)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상부 배향 방향(UD3) 및 상기 제3 하부 배향 방향(LD3)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들이 서로 동일하므로 제3 도메인(DM3)에서 제3 액정 배향 방향(DR3)은 상기 제3 하부 배향 방향(LD3) 및 상기 제3 상부 배향 방향(UD3) 각각과 동일한 상기 제5 방향(D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d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가지부들(B4-1) 및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B4-2) 각각은 제6 방향(D6)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제4 선 경사각(pre-tilt angle, A4)으로 경사져 배향되고, 상기 액정분자들(RM) 중 제2 배향막(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일부는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제4 선 경사각(A4)으로 경사져 배향된다.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4 하부 배향 방향(LD4)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배향막(110)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기 액정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을 제4 상부 배향 방향(UD4)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4 하부 배향 방향(LD4) 및 상기 제4 상부 배향 방향(UD4)은 상기 제6 방향(D6)으로 서로 동일하다. 즉, 상기 제4 하부 배향 방향(LD4) 및 상기 제4 상부 배향 방향(UD4)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 분자들(LM)이 더 기울어져 평면상에서 상기 제4 가지부들(B4-1) 및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B4-2)과 나란하게 상기 제6 방향(D6)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상기 제4 상부 배향 방향(UD4) 및 상기 제4 하부 배향 방향(LD4)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되는 방향들이 서로 동일하므로 제4 도메인(DM2)에서 제4 액정 배향 방향(DR4)은 상기 제4 하부 배향 방향(LD4) 및 상기 제4 상부 배향 방향(UD4) 각각과 동일한 상기 제6 방향(D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상기 제2 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DM4)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DM4)에서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은 모두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대한 시야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DM4) 각각에서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LM)이 배향되는 방향은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LM)이 배향되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DM4)에서 상기 배향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5 내지 제8 도메인들(DM5-DM8)을 갖고, 상기 제5 내지 제8 도메인들(DM5-DM8)에서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5 내지 제8 도메인들(DM5-DM8) 각각에서 상기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LM)이 배향되는 방향은 상기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LM)이 배향되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5 내지 제8 도메인들(DM5-DM8)에서 상기 배향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제1 내지 제8 도메인들(DM1-DM8)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정의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효과를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DM1, DM2)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c,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530)가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짐에 따라 표시기판(100-2) 및 대향기판(300-2) 간에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오정렬에 의해 상기 표시기판(100-2) 및 상기 대향기판(300-2) 간에 제1 길이(L1)만큼 정렬이 어긋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8 도메인들(DM1-DM8)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인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되므로, 상기 오정렬에 의해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배향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기판(100-2)에 배치된 제1 배향막(110)에 의해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된 영역을 하부 배향 영역(AR1)으로 정의하고, 상기 대향기판(300)에 배치된 제2 배향막(310)에 의해 액정 분자들(RM)이 배향된 영역을 상부 배향 영역(AR2)으로 정의할 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배향 영역(AR1)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은 제1 하부 배향 방향(LD1)으로 배향되고, 상기 상부 배향 영역(AR2)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RM)은 제1 상부 배향 방향(UD1)으로 배향된다. 이 경우에, 상기 오정렬이 발생되어 상기 대향기판(300-2)이 상기 제1 길이(L1)만큼 쉬프트 되면, 상기 하부 배향 영역(AR1)의 위치는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위치와 대략적으로 일치할 수 있으나, 상기 상부 배향 영역(AR2)의 위치는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제1 길이(L1)만큼 쉬프트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향기판(300-2)이 쉬프트 되어 상기 하부 배향 영역(AR1)의 위치가 상기 상부 배향 영역(AR2)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상기 하부 배향 영역(AR1)은 상기 상부 배향 영역(AR2)과 중첩된다. 즉,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상기 하부 배향 영역(AR1)은 상기 상부 배향 영역(AR2)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된 다른 상부 배향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서로 다른 방향들로 배향된 상부 배향 영역 및 하부 배향 영역이 중첩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배향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배향 불량에 의해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국부적으로 광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제1 세로 줄기부(VS1), 제1 가로 줄기부(HS1), 제1 가지부들(B1-1) 및 제1 서브 가지부들(B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이 제1 폭(W1)을 갖고,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이 제2 폭(W2)을 갖는다고 정의할 때, 상기 제2 폭(W2)의 크기는 상기 제1 폭(W1)의 크기보다 작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폭(W2)의 크기는 상기 제1 폭(W1)의 크기의 약 3%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폭(W1)이 약 3마이크로미터인 경우에, 상기 제2 폭(W2)은 약 0.10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지부들(B1-1) 및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가지부들(B2-1) 각각의 폭보다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의 폭이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의 폭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보조 가지부들 간의 제1 간격(L1)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1)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가지부들 간의 제2 간격(L2)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에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에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의 폭이 상기 제2 가지부들(B2-2) 각각의 폭 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보조 가지부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가지부들(B2-1)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가지부들 간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에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상기 제2 가지부들(B2-2) 각각에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 상기 제2 가지부들(B2-1),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2-1) 및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에 의해 발생되어 제1 및 제2 도메인들(도 5의 DM1, DM2)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 측을 향하는 전계를 내부 프린지 필드로 정의한다. 이 경우에, 상술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2-1, B2-2)이 갖는 구조에 따라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를 향하는 전계를 외부 전계로 정의하면,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상기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상기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큰 경우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에서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들이 배향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상기 외부 전계의 세기와 같거나 상기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방향은 상기 외부 전계의 방향과 서로 상충되므로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 및 상기 외부 전계가 중첩되는 부분에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1-2, B2-2)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를 강화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상기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커질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에서 상기 외부 전계보다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가 우세하게 작용하므로 상기 액정분자들이 용이하게 배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제1 서브 화소 전극(PE17)은 제1 세로 줄기부(VS1), 제1 가로 줄기부(HS1), 제1 가지부들(B1-1), 제2 가지부들(B2-1), 제1 서브 가지부들(B1-2`) 및 제2 서브 가지부들(B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지부들(B2-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1-2`, B2-2`) 중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은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1)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P2)은 상기 제1 부분(P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부분(P1)이 갖는 폭은 상기 제2 부분(P2)이 갖는 폭보다 작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분(P1)이 갖는 폭의 크기는 상기 제2 부분(P2)이 갖는 폭의 크기의 약 3%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P1)의 길이(L3)는 상기 제2 부분(P2)의 길이(L4)보다 작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분(P1)이 갖는 길이(L3)는 상기 제2 부분(P2)의 길이의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과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 각각이 상기 제2 부분(P2)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상기 제1 부분(P1)을 포함하므로,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클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도메인들(도 5의 DM1, DM2)에서 상기 외부 전계보다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가 우세하게 작용하여 액정분자들이 용이하게 배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제1 서브 화소 전극(PE18)은 제1 세로 줄기부(VS1), 제1 가로 줄기부(HS1), 제1 가지부들(B1-1), 제2 가지부들(B2-1), 제1 서브 가지부들(B1-20) 및 제2 서브 가지부들(B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지부들(B2-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0)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1-20, B2-20) 중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은 제1 가지 전극(B1-21), 제2 가지 전극(B1-22), 제3 가지 전극(B1-23) 및 제4 가지 전극(B1-2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가지 전극들(B1-20, B1-21, B1-22, B1-23)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8)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의 폭보다 작고, 즉 상기 제1 내지 제4 가지 전극들(B1-20, B1-21, B1-22, B1-23)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의 폭보다 작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이 갖는 폭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의 폭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8)의 외측에 가까울수록 작아지고, 즉 상기 제1 가지 전극(B1-21)의 폭은 상기 제2 가지 전극(B1-22)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가지 전극(B1-22)의 폭은 상기 제3 가지 전극(B1-23)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3 가지 전극(B1-23)의 폭은 상기 제4 가지 전극(B1-24)의 폭보다 작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지부들(B1-20, B2-20)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0)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B2-20)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가지부들(B2-1) 각각의 폭보다 작으므로,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의 세기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외부 전계의 세기보다 클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도메인들(도 5의 DM1, DM2)에서 상기 외부 전계보다 상기 내부 프린지 필드가 우세하게 작용하여 액정분자들이 용이하게 배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화소 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540)는 화소 영역(PA)에 배치된 화소 전극(PE)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PE)은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배치된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에 배치된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을 포함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은 제1 보조 가지부들(B1-2), 제2 보조 가지부들(B2-2), 제3 보조 가지부들(B3-2) 및 제4 보조 가지부들(B4-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은 제5 보조 가지부들(B5-2`), 제6 보조 가지부들(B6-2`), 제7 보조 가지부들(B7-2`) 및 제8 보조 가지부들(B8-2`)을 포함한다.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지부들(B1-1) 각각이 제1 폭(W1)을 갖고,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B1-2) 각각이 상기 제1 폭(W1) 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갖는다. 이 경우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 가지부들(B5-1)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폭(W1)과 동일하나, 상기 제5 보조 가지부들(B5-2`)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폭(W2)보다 작고, 상기 제6 보조 가지부들(B6-2`)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폭(W2)보다 작고, 상기 제7 보조 가지부들(B7-2`)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폭(W2)보다 작고, 상기 제8 보조 가지부들(B8-2`) 각각의 폭은 상기 제2 폭(W2)보다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이 갖는 상기 제1 내지 제4 보조 가지부들(B1-2, B2-2, B3-2, B4-2) 각각의 폭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이 갖는 상기 제5 내지 제8 보조 가지부들(B5-2`, B6-2`, B7-2`, B8-2`) 각각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내지 제4 보조 가지부들(B1-2, B2-2, B3-2, B4-2)에 의해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도 5의 DM1-DM4)에 작용하는 제1 내부 프린지 필드가 강화되는 정도보다 상기 제5 내지 제8 보조 가지부들(B5-2`, B6-2`, B7-2`, B8-2`)에 의해 제5 내지 제8 도메인들(도 5의 DM5-DM8)에 작용하는 제2 내부 프린지 필드가 강화되는 정도보다 크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내지 제8 보조 가지부들(B5-2`, B6-2`, B7-2`, B8-2`)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내부 프린지 필드가 강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의 크기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6) 보다 크더라도, 상기 강화된 상기 제2 내부 프린지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6`)에 대응하여 배열된 액정분자들을 용이하게 배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VS1: 제1 세로 줄기부 HS1: 제1 가로 줄기부
B1-1: 제1 가지부들 B1-2: 제1 보조 가지부들
LP1: 제1 도메인 연결부 PE16: 제1 서브 화소 전극
PA1: 제1 서브 화소 영역 DM1: 제1 도메인
LD1: 제1 하부 배향 방향 UD1: 제1 상부 배향 방향

Claims (16)

  1.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각각에 배치된 화소 전극을 갖고, 평면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표시기판;
    상기 표시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기판과 함께 휘어진 대향 기판; 및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대향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도메인들에서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이 배향되는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화소 전극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가지부들;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줄기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들 중 일부는 상기 가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각각이 제1 폭을 갖고, 상기 가지부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세로 줄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굴곡진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에서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분자들이 기울어지는 액정 배향 방향들은 평면상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도메인, 제2 도메인, 제3 도메인 및 제4 도메인이 정의되고,
    상기 가지부들은,
    상기 제1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지부들;
    상기 제2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지부들;
    상기 제3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가지부들; 및
    상기 제4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4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들은,
    각각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1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가지부들;
    각각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2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가지부들;
    각각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3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가지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4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2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3 가지부들 각각 및 상기 제4 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들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1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가지부들;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2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가지부들;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3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가지부들; 및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4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2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3 가지부들 각각 및 상기 제4 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들은,
    각각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1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가지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2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2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가지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3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가지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에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제4 가지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2 가지부들 각각, 상기 제3 가지부들 각각 및 상기 제4 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서브 가지부들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2 서브 가지부들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3 서브 가지부들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3 서브 가지부들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4 서브 가지부들의 폭들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줄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도메인 및 상기 제2 도메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로 줄기부; 및
    상기 제3 및 제4 가지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도메인 및 상기 제4 도메인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로 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줄기부는,
    상기 제1 서브 가지부들 및 상기 제2 서브 가지부들과 연결되는 제1 세로 줄기부; 및
    상기 제3 서브 가지부들 및 상기 제4 서브 가지부들과 연결되는 제2 세로 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가지부들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에 대해 상기 제2 가지부들과 대칭인 형상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3 가지부들은 상기 제2 가로 줄기부에 대해 상기 제4 가지부들과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보조 가지부들은 상기 제1 세로 줄기부에 대해 상기 제2 보조 가지부들과 대칭인 형상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3 보조 가지부들은 상기 제2 세로 줄기부에 대해 상기 제4 보조 가지부들과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서브 화소 전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 각각은 상기 가지부들, 상기 가로 줄기부 및 상기 세로 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 측으로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 측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와 상이한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데이터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가지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이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의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은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을 경사지도록 배향시키는 제1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기판은 상기 액정분자들을 경사지도록 배향시키는 제2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각각에서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방향은 상기 제2 배향막에 의해 상기 액정분자들이 배향된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123515A 2013-08-02 2013-10-16 액정표시장치 Ceased KR20150044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515A KR20150044293A (ko) 2013-10-16 2013-10-16 액정표시장치
US14/288,553 US10712596B2 (en) 2013-08-02 2014-05-28 Liquid crystal display
EP14179035.2A EP2833200B1 (en) 2013-08-02 2014-07-30 Liquid crystal display
CN201911148154.4A CN110941121B (zh) 2013-08-02 2014-07-30 液晶显示器
CN201911148559.8A CN110850646B (zh) 2013-08-02 2014-07-30 液晶显示器
CN201410371633.3A CN104345500B (zh) 2013-08-02 2014-07-30 液晶显示器
CN201911147638.7A CN110850645B (zh) 2013-08-02 2014-07-30 液晶显示器
JP2014157964A JP6448245B2 (ja) 2013-08-02 2014-08-01 液晶表示装置
US16/893,899 US12210234B2 (en) 2013-08-02 2020-06-05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515A KR20150044293A (ko) 2013-10-16 2013-10-16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93A true KR20150044293A (ko) 2015-04-24

Family

ID=5303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515A Ceased KR20150044293A (ko) 2013-08-02 2013-10-16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2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1747A (zh) * 2015-01-28 2015-07-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60137756A (ko) * 2015-05-20 2016-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9563088B2 (en) 2014-09-16 2017-02-07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US9746736B2 (en) 2015-04-2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80041797A (ko) * 2016-10-14 2018-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5103099A1 (zh) * 2023-11-17 2025-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3088B2 (en) 2014-09-16 2017-02-07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CN104751747A (zh) * 2015-01-28 2015-07-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9746736B2 (en) 2015-04-2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137756A (ko) * 2015-05-20 2016-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41797A (ko) * 2016-10-14 2018-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5103099A1 (zh) * 2023-11-17 2025-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73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59511B1 (ko) 액정표시장치
CN104345500B (zh) 液晶显示器
KR102162367B1 (ko) 곡면 표시 장치
KR20150047399A (ko) 액정표시패널
KR10212960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44293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56566B1 (ko) 곡면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96578A (ko) 곡면 표시 장치
KR101888034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60113379A (ko) 곡면 표시 장치
KR20150097890A (ko) 곡면 표시 장치
KR1020732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59604B1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56692B1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106812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4258652A (ja) 液晶表示装置
KR10210681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29436A (ko) 표시장치
KR101885804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850380B1 (ko)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021938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43976B1 (ko) 곡면 표시 장치
KR100767371B1 (ko)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810552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