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8988A -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988A
KR20150038988A KR20130117443A KR20130117443A KR20150038988A KR 20150038988 A KR20150038988 A KR 20150038988A KR 20130117443 A KR20130117443 A KR 20130117443A KR 20130117443 A KR20130117443 A KR 20130117443A KR 20150038988 A KR20150038988 A KR 2015003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protective layer
group
base substrate
touch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박상훈
손장배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8988A/ko
Priority to JP2014158372A priority patent/JP2015072677A/ja
Priority to US14/457,101 priority patent/US9383879B2/en
Publication of KR2015003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8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전극을 적용한 터치 센서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보호층을 전극패턴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상에 형성시켜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금속 전극의 신뢰성을 구현시키고,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낼 수 있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smart phone)의 대중화에 따라 터치 센서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모니터, 텔레비전 (TV) 등 기존 터치 센서이 사용되지 않던 분야에도 터치 센서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터치 센서을 위한 투명전극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인듐주석 (indium tin oxide, ITO)은 높은 가격, 제한된 공급량 및 높은 저항으로 인해 대형 터치 센서의 구현이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터치 센서 (touch sensor)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메탈 메쉬 (metal mesh)는 낮은 저항의 장점으로 대면적의 터치 센서에 적합하나, 패턴 (pattern)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지고,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쉽게 산화되는 단점이 있다. 금속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수분투과성이 낮은 액상재료나 필름을 패턴 전면에 코팅, 프린팅, 또는 적층 (lamination)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 평면판 표시장치 (flat panel display)에서 사용되는 방습필름들은 수분투과율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이 10-1 내지 10-4 g/㎡·day 정도로 낮은 이른바 밀봉 (hermetic sealing)재료로서, 수분 및 산소의 베리어 (barrier) 특성이 우수하지만 비용이 고가인 점에서 상대적으로 저가인 터치 센서나 대면적의 터치 센서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정전용량형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투명전극 패턴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과 부식에 대해 취약한 점을 보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으며, 투명전극 패턴에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고온다습에서의 내환경성 및 내침습 특성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2463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속 전극을 적용한 터치 센서에 있어서, 경제성이 좋은 복수고리 화합물 (heterocycle compound)을 제1 보호층에 포함시켜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금속 전극의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금속 전극 상에 제1 보호층을 형성하여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금속 전극의 신뢰성 구현이 가능한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 센서 (이하 "제1 발명"이라 함)는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세선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및 상기 전극패턴 상에 형성된 제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 (heterocycle compound)을 포함한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2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베이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 및 상기 베이스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한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이 형성된 전극패턴의 전면에 제2 보호층이 형성된다 (이하 "제2 발명"이라 함).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인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4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은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이 형성된 전극패턴 상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기판과 접착층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이 형성된다 (이하 "제3 발명"이라 함).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인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6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보호층은 액상의 아크릴, 에폭시 및 우레탄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금속 전극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하다는 점을 상기 금속상에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보호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금속 전극의 신뢰성 구현이 가능하고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및 제3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제2 보호층 및 제3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극패턴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적절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 상기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세선 (11a, 13a)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20) 및 상기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 상에 형성된 제1 보호층 (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 (31)은 복수고리 화합물 (heterocycle compoun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기판 (10)은 소정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테르술폰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 (CO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PVA) 필름, 폴리이미드 (PI) 필름, 폴리스티렌 (PS), 이축연신폴리스티렌 (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패턴 (20)은 금속 세선 (11a, 13a)이 서로 교차 되어있는 메탈 메쉬 (metal mesh)가 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리 (Cu), 알루미늄 (Al), 금 (Au), 은 (Ag), 티타늄 (Ti), 팔라듐 (Pd), 크롬 (C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제성 및 전도성 측면을 고려하면 구리 (Cu)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전극패턴 (20)은 금속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분에 취약하고 부식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전극패턴 (20)의 수분에 대한 신뢰성 저하 및 부식 등의 문제점을 상기 전극패턴 (20) 상에 제1 보호층 (31)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 (31)은 복수고리 화합물로써 형성될 수가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benzimidazole)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benzotriazole)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8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는 분자 내에 존재하는 질소 (N)원자가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의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에 의해 제1 보호층 (31)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에서 탄소 원자가 질소 원자로 하나 더 치환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는 상기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보다 공명구조 (resonance)가 안정하여 금속과의 배위결합력이 높고, 더욱더 안정적인 보호층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한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 상에 복수고리 화합물이 포함된 제1 보호층 (31)을 형성시켜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수분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시켜 전극패턴 (20)의 신뢰성 구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 (11)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 (10)의 타면에 제2 전극패턴 (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제1 보호층 (31)이 각각 형성된 제1 전극패턴 (11) 및 제2 전극패턴 (13) 상에 접착층 (50)을 형성시키고,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윈도우기판 (60)이 형성될 수 있고, 타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 (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5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투명접착제 (OCA)가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기판 (60)은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여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외부로의 충격으로부터 터치센서 (100)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투명성과 강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의 기판이 당업자에 의해 선택 및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70)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로서 터치센서 (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영상 출력값을 표시하는 장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7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정표시장치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전기루미네선스 (EL), 또는 음극선관 (CRT)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 상기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세선 (11a, 13a)이 서로 교차 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20) 및 상기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 상에 형성된 제1 보호층 (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 (31)이 형성된 전극패턴 (20)의 전면에 제2 보호층 (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 (31)은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전극패턴 (20)의 수분유입 및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더 높여주기 위해서 상기 제1 보호층 (31)이 형성된 전극패턴 (20)의 전면에 제2 보호층 (3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 (33)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한 전극패턴 (20) 상에 제1 보호층 (31) 및 제2 보호층 (33)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수분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시켜 전극패턴 (20)의 신뢰성 구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 (11)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 (10)의 타면에 제2 전극패턴 (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호층 (31)이 각각 형성된 제1 전극패턴 (11) 및 제2 전극패턴 (13)의 전면에 각각 제2 보호층 (33)을 형성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제2 보호층 (33) 상에 각각 접착층 (50)을 형성시키고,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윈도우기판 (60)이 형성되고, 타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 (7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에서, 상기 베이스기판 (10), 전극패턴 (20), 제1 보호층 (31), 접착층 (50), 윈도우기판 (60) 및 디스플레이부 (70)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및 제3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 상기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세선 (11a, 13a)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20) 및 상기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 상에 형성된 제1 보호층 (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 (31)이 형성된 전극패턴 (20)의 전면에 접착층 (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기판 (10) 및 접착층 (50)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 (31)은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전극패턴 (20)의 수분유입 및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더 높여주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기판 (10) 및 접착층 (50)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3 보호층 (35)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상의 아크릴, 에폭시 및 우레탄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50)은 광학투명접착제 (OCA)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 (50)의 재질은 다공성이기 때문에 수분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기판 (10) 및 접착층 (50)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을 형성시켜 수분유입 및 전극패턴 (20)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한 전극패턴 (20) 상에 제1 보호층 (31)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 (10) 및 접착층 (50)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수분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시켜 전극패턴 (20)의 신뢰성 구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 (11)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 (10)의 타면에 제2 전극패턴 (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호층 (31)이 각각 형성된 제1 전극패턴 (11) 및 제2 전극패턴 (13)의 전면에 각각 접착층 (50)을 형성시키고, 상기 베이스기판 (10) 및 접착층 (50)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윈도우기판 (60)이 형성되고, 타면에 형성된 접착층 (5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 (7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에서, 상기 베이스기판 (10), 전극패턴 (20), 제1 보호층 (31), 접착층 (50), 윈도우기판 (60) 및 디스플레이부 (70)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층, 제2 보호층 및 제3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본 발명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보호층 (31), 제2 보호층 (33) 및 제3 보호층 (35)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베이스기판 (1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 (11)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 (10)의 타면에 제2 전극패턴 (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제1 보호층 (31) 및 제2 보호층 (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에 제3 보호층 (3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패턴 (20)의 수분유입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사전에 미리 차단시켜 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전극패턴 (2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100)에서, 상기 베이스기판 (10), 전극패턴 (20), 제1 보호층 (31), 제2 보호층 (33), 제3 보호층 (35), 접착층 (50), 윈도우기판 (60) 및 디스플레이부 (70)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 및 설명은 본 발명의 도 1, 도 2 및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터치 센서 (100)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전극패턴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세선 (11a, 13a)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20)을 나타내고 있으며, A 내지 A' 구간에서의 전극패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전극패턴 (20)을 이루고 있는 금속 세선 (11a, 13a)이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하기 때문에,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제1 보호층 (31)을 상기 금속 세선 (11a, 13a) 상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100)는 금속으로 형성된 전극패턴 (20)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수분 및 부식에 취약하다는 점을 상기 금속상에 복수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보호층 (31)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온다습 조건에서도 수분유입 및 부식을 방지하여 전극패턴 (20)의 신뢰성 구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베이스기판: 10 제1 전극패턴: 11
제2 전극패턴: 13 금속 세선: 11a, 13a
전극패턴: 20 제1 보호층: 31
제2 보호층: 33 제3 보호층: 35
접착층: 50 윈도우기판: 60
디스플레이부: 70 터치 센서: 100

Claims (12)

  1.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세선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전극패턴; 및
    상기 전극패턴 상에 형성된 제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 (heterocycle compound)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터치 센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인 터치 센서: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10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베이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 및 상기 베이스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이 형성된 전극패턴의 전면에 제2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인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터치 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인 터치 센서: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12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은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터치 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이 형성된 전극패턴 상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기판과 접착층을 포함하는 측면에 제3 보호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복수고리 화합물인 이미다졸 (imidazole), 아졸 (azole), 티올 (thiol) 및 아민 (amine)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터치 센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고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인 터치 센서: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여기서, R1은 알킬기 (CnH2n +1,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는 아릴기 (Ar-)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14

    R2는 수소 (H) 또는 에스테르기 (COOCH3)이며, R3는 메틸기 (CH3) 또는 카르복실기 (COOH)이다.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보호층은 액상의 아크릴, 에폭시 및 우레탄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터치 센서.
KR20130117443A 2013-10-01 2013-10-01 터치 센서 Withdrawn KR20150038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43A KR20150038988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센서
JP2014158372A JP2015072677A (ja) 2013-10-01 2014-08-04 タッチセンサ
US14/457,101 US9383879B2 (en) 2013-10-01 2014-08-11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43A KR20150038988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88A true KR20150038988A (ko) 2015-04-09

Family

ID=5273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443A Withdrawn KR20150038988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83879B2 (ko)
JP (1) JP2015072677A (ko)
KR (1) KR201500389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988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서
JP6131165B2 (ja) * 2013-10-09 2017-05-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JP6848243B2 (ja) * 2016-07-25 2021-03-2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CN113961088A (zh) * 2020-07-20 2022-01-21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装置
US11294518B1 (en) * 2020-09-15 2022-04-05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device thereof
CN117012786A (zh) * 2023-07-20 2023-11-0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244A (en) * 1992-09-17 1995-12-05 Libove; Joel M. Apparatus for measuring voltages and currents using non-contacting sensors
US5422566A (en) * 1993-06-01 1995-06-0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DC current in a conductor
JPH08273952A (ja) * 1995-03-31 1996-10-18 Ikuro Moriwaki 平面電流検出器
US5767668A (en) * 1996-01-18 1998-06-16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Remote current sensor
JPH11265649A (ja) * 1998-03-18 1999-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流検出器及び電流検出器を備えた電力開閉器
WO1999064950A1 (fr) * 1998-06-08 1999-12-16 Kaneka Corporation Ecran tactile a film resistif pour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et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equipe dudit ecran tactile
US6373265B1 (en) * 1999-02-02 2002-04-16 Nitta Corporation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ensor
JP2000258464A (ja) * 1999-03-09 2000-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流センサ
US20080077336A1 (en) * 2006-09-25 2008-03-27 Roosevelt Fernandes Power line universal monitor
KR20160008653A (ko) * 2008-01-11 2016-01-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연신 해제 감압 접착제
JP4824831B2 (ja) * 2008-09-29 2011-11-3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感圧センサ
US7719258B2 (en) * 2008-10-13 2010-05-18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t measurement using hall sensors without iron cores
EP2202527A1 (en) * 2008-12-23 2010-06-30 Abb Research Ltd. Curre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MX2010001276A (es) * 2009-01-30 2011-01-10 Elster Solutions Llc Metodo y aparato para medir la salida de corriente de transformadores de energia de distribucion de bajo voltaje montados sobre cojinete.
WO2010147047A1 (ja) * 2009-06-18 201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CN102753986B (zh) * 2009-09-11 2015-10-07 阿尔斯通技术有限公司 用于差动保护方案的主-从光纤电流传感器
US20120237873A1 (en) * 2009-12-20 2012-09-20 Toray Industries Inc.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ured film formed from the same, and device having cured film
JP5829828B2 (ja) * 2010-04-06 2015-12-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有機金属錯体、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US8760149B2 (en) * 2010-04-08 2014-06-24 Infineon Technologies Ag Magnetic field current sensors
JP5531213B2 (ja) * 2010-04-26 2014-06-25 アルプス・グリーンデバイス株式会社 電流センサ
JP5661533B2 (ja) * 2010-05-28 2015-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EP2400308A1 (en) * 2010-06-10 2011-12-28 ABB Technology AG Wireless current measuring device
JP2012107003A (ja) * 2010-10-29 2012-06-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有機金属錯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表示装置
KR101246351B1 (ko) 2010-12-24 2013-03-21 전자부품연구원 정전용량형 터치 스크린 패널
JP5797025B2 (ja) * 2011-06-20 2015-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TWI436083B (zh) * 2011-11-02 2014-05-01 Ind Tech Res Inst 近接式電流感測裝置與方法
US8890824B2 (en) * 2012-02-07 2014-11-18 Atmel Corporation Connecting conductive layers using in-mould lamination and decoration
WO2014008064A1 (en) * 2012-07-03 2014-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activatable siloxane-based adhesives
US9171960B2 (en) * 2013-01-25 2015-10-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al oxide layer composition control by atomic layer deposition for thin film transistor
KR101477209B1 (ko) * 2013-05-21 2014-12-29 주식회사 필룩스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43646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3645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9704637B2 (en) * 2013-07-15 2017-07-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magnetizing transformer cores in closed loop magnetic current sensors
US9625535B2 (en) * 2013-08-07 2017-04-18 Allegro Micro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ing a position of a magnetic target
KR20150038988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서
KR20150088631A (ko) * 2014-01-24 2015-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US9753097B2 (en) * 2014-05-05 2017-09-05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ors and associated methods with reduced offset and improved accuracy
JP2015219061A (ja) * 2014-05-15 2015-12-07 Tdk株式会社 磁界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磁界検出装置
US9448288B2 (en) * 2014-05-20 2016-09-20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or with improved accuracy resulting from a digital potentiometer
KR102457008B1 (ko) * 2014-05-23 2022-10-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헤테로고리 화합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72677A (ja) 2015-04-16
US20150091590A1 (en) 2015-04-02
US9383879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4720B (zh) 偏振板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TWI391886B (zh) 可撓性觸控顯示裝置
KR20150038988A (ko) 터치 센서
US104906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ouch display device
KR102658176B1 (ko) 표시장치
US1033294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with OLED and OLE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759413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1587402B (zh) 可挠性触控显示装置
US20120064278A1 (en) Package of environmental sensitive element and encapsulation method thereof
US932341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78419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US974031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panel formed at an entire window
US9935289B2 (en) Environmental sensitive element package and encapsulation method thereof
US10120472B2 (en) Touch display panel
US20130278546A1 (en) Touch panel
KR102129034B1 (ko) 플라스틱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KR20170072973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20130277194A1 (en) Touch panel
KR10206275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015802A1 (en) Touch sensor
KR2017006416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112723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308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