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4309A -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309A
KR20150034309A KR20130114194A KR20130114194A KR20150034309A KR 20150034309 A KR20150034309 A KR 20150034309A KR 20130114194 A KR20130114194 A KR 20130114194A KR 20130114194 A KR20130114194 A KR 20130114194A KR 20150034309 A KR20150034309 A KR 2015003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code
cord
connector
s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4014B1 (en
Inventor
김수종
백종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014B1/en
Priority to PCT/KR2014/005899 priority patent/WO2015046722A1/en
Publication of KR2015003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1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04Q1/135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characterized by patch cord details
    • H04Q1/136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characterized by patch cord details having patch field management or physical layer managemen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cord, a patch panel, and a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of such a patch cord and a det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patch panel, and being compatible with such a general existing patch cord in case of installing patch cord forming an intelligence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on the patch panel.

Description

패치코드, 패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Patch code, patch panel, and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patch code, patch panel,

본 발명은 패치코드, 패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코드를 패치패널에 장착하는 경우,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에 구비된 감지단자 등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의 일반적인 패치코드 등과 호환사용될 수 있는 패치코드, 패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code, a patch panel, and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when the patch code constituting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tact reliability of the patch cord and the sensing terminal provided on the patch panel, A patch panel, and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대형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대량의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의 양이 많아서, 작업자가 직접 각각의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의 장착 상태 및 장착 위치를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대량의 패치코드의 양단이 각각 어떤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장착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수 있다.In large data centers, a large number of patch cords and patch panels can be used. The amount of patch cords and patch panels to be used is large, and it is inefficient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manage the mounting state and mounting position of each patch cord and patch panel. It may be impossible to monitor and manage which patch port of a patch panel is attached to a patch port, respectively.

따라서, 최근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각각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에 별도의 감지단자 또는 감지유닛을 구비하여 패치코드와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의 전기적 연결에 의하여 패치코드의 장착여부, 더 나아가 각각의 패치코드의 커넥터의 장착위치 등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refore, a recent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s being introduced.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has separate sensing terminals or sensing units in the patch cords and patch panels, respectively, to determine whether the patch cords are mounted 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tch cords and the code ports of the patch panel, And the like can be remotely monitored.

일반적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패치패널은 복층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케이블들은 서로의 하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치코드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패치코드 및 코드포트에 구비되는 감지단자들의 전기적 접촉을 방해하여 특정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커넥터가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를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patch panel constituting the general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patch panel on which the patch cord is mounted can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ultiple layers. In such a case, the cables constituting the patch cord may be deflected downward due to mutual load. When the patch cord is deflected in this way, in order to implement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the patch cord and the sensing terminals provided in the code port are obstructed from electrical contac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또한, 이러한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으로 소개된 제품들은 일반적인 종래의 패치코드를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착 여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패치코드를 해당 시스템에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roducts introduced with such an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can not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patch code is mounted on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so that a conventional general patch code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코드를 패치패널에 장착하는 경우,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에 구비된 감지단자 등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의 일반적인 패치코드 등과 호환사용될 수 있는 패치코드, 패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When the patch code constituting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patch cord and the sensing terminal provided on the patch panel, A patch panel, and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연결되는 패치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통신선 및 감지선을 구비하는 케이블,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드 커넥터, 상기 코드포트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과 접촉되도록, 상기 감지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 및 상기 코드 커넥터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치패널에 구비된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코드 커넥터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tch cord connected to a code port of a patch panel, the patch cord comprising: a cabl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and a sensing line;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ing wir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de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code port and i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And a protrusion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ord connector so as to be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patch panel in order to prevent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and the code detecting unit .

또한, 상기 코드 커넥터는 통신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 후방과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할 수 있다.The cord connector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n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cable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케이블은 UTP 케이블, STP 케이블 및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may be any one of a UTP cable, an STP cable, and an optical cabl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패널 커넥터가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코드포트, 상기 패치코드는 케이블에 구비되는 감지선 및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에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패치코드의 장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코드포트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 및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에 구비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tch cord comprising: at least one code port having a panel connector to which a code connector of a patch cord is mounted; a patch cord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And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provided in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In order to prevent a poor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and the code detection unit when the code detection unit and the patch cord provided in the respective code ports are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nd a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so that the protrud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It can provide a patch panel.

이 경우, 상기 패치패널은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코드 감지유닛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는 보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하우징 및 보조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tch panel includes a panel housing and an auxiliary housing mounted on the panel housing, the auxiliary housing providing an arrangement space in which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de detection unit is mounted is disposed, It may be provided in one.

또한, 상기 보조하우징은 상기 패널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보조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auxiliary housing may be mounted on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housing.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은 상기 코드포트에서 패치코드가 제거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를 포함하며,Here,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may include a first sensing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patch cord is removed from the code port,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상기 제2 감지단자는 전기적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may constitute a code sensing circuit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a patch cord is attached to each of the code ports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또한,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의 전기적 연결상태는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감지단자가 상기 제1 감지단자를 변위시켜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displacing the first sensing terminal during the mounting of the patch cord to the patch panel,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sensing terminal can be released.

또한,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감지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감지단자의 적어도 일부에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at least at a part thereof so as to prevent the at least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rd connector. can do.

그리고,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확장부는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홈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연결 감지단자에 간섭되어 상기 홈의 내부로 상기 제1 감지단자가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the extension is interfered with the edg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or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so that the first sens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패치코드가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코드의 커넥터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하방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b' shape to preven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or side of the patch cord from being deflected downwar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통신선 및 감지선이 구비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드 커넥터, 상기 감지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 및 패치패널에 구비된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코드 커넥터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상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패널 커넥터가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드포트,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패치코드의 장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코드포트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 및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에 구비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패치패널 및 상기 패치패널의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패치코드가 장착된 코드포트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과 연결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cable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and a sensing line; a code connecto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able; A patch cord including a sensing terminal and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cord connector so as to be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patch panel, a plurality of code ports having a panel connector for mounting the cord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 code detection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code ports to detect a mounting state of the patch cor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of the patch cor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 patch panel including a fixing part having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cord connector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order to prevent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and the cord detecting unit, And a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to identify the code port on which the patch code is mounted or the code port on which the patch code is mounted.

여기서,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은 패치코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상기 제2 감지단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패치패널의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커넥터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Here,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may include a first sensing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atch cord is not mounted, and the sen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each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은 상기 패치코드를 상기 패치패널의 해당 코드포트에 삽입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패치코드와 코드포트 간의 접촉 및 지능형 시스템을 구성하는 감지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tch cord and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atch cord from sagging when the patch cord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and detect contact between the patch cord and the code port,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는 외형상 일반 패치코드와 차이점이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는 일반 패치패널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general shape patch code of the outline shape,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general patch pa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외에 일반 패치코드가 장착된 경우에도 오류가 발생되지 않고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를 원격에서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patch code is installed without generating an error even when the general patch code is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를 패치패널에 장착하는 경우, 하나의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된 패치패널의 코드포트를 원격에서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having the pair of cord connectors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patch cord can be remote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패치코드의 처짐을 방지하여 특정 코드포트의 패치코드 장착 여부 및 상기 코드포트의 식별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tch cord and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mploye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specific code port and whether the code port is identified or not by preventing the patch cord from sagg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대량의 패치코드와 패치패널이 사용되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 경우,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의 관리 상의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intenance, repair, and management of a system in which a large number of patch codes and patch panels are used, the ease of management of the patch code and patch panel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하나의 실시예인 UTP 케이블의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다른 실시예인 광케이블의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 부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보조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감지단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서 감지단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코드 커넥터의 연결 감지단자와 패치패널의 감지단자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의 패치코드가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패치코드가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종래의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1 shows a cord connector of a patch cord of a UTP cable which is one embodiment of a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rd connector portion of a patch cord of an optical cabl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housing is separated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de detection unit included in a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ing terminal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ed state of the sensing terminals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of a code connector and a sensing terminal of a patch pane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patch 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patch panel.
12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patch cord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ch panel.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patch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patch panel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patch code on a patch panel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tch panel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하나의 실시예인 UTP 케이블(50a)을 포함하는 패치코드(100a)의 코드 커넥터(30a)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 1(a)는 코드 커넥터(30a)의 사시도, 도 1(b)는 코드 커넥터(30a)의 정면도, 도 1(c)는 코드 커넥터(30a)의 측면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ord connector 30a of a patch cord 100a comprising a UTP cable 50a which is one embodiment of a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a, Fig. 1 (b) is a front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a, and Fig. 1 (c) is a side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50a)을 포함하는 패치코드(100a)는 적어도 1개의 통신선 및 감지선이 구비되는 UTP 케이블(50a), 상기 UTP 케이블(50a)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드 커넥터(30a) 및 상기 감지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 외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4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atch cord 100a including a UTP cable 5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TP cable 50a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and a sensing line, And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ing line an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일반적으로 UTP 케이블은 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선 이외에 센싱 등의 목적으로 여분의 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선은 통신을 위한 정보의 송수신 이외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TP 케이블은 4 쌍(pair)의 통신선과 하나의 감지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a UTP cable may include an extra sensing line for sensing purpose other than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purpose. The sensing line may be provided for purposes other tha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For example, a UTP cable may comprise four pairs of communication lines and one sensing line.

도 1에 도시된 패치코드(100a)는 케이블(50a) 양단에 코드 커넥터(3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커넥터(30a)는 종래의 UTP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와 달리 코드 커넥터(30a)를 구성하는 하우징(20a)의 표면에 각각 연결 감지단자(40a)가 구비될 수 있다.The patch cord 100a shown in Fig. 1 may be provided with a cord connector 30a at both ends of the cable 50a. The cord connector 30a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on sensing terminals 40a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a constituting the cord connector 30a, unlike the cord connector of the conventional UTP patch cord.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는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에 구비되며, 패치코드(100a)를 구성하는 케이블(50a) 내의 감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provided in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in the cable 50a constituting the patch cord 100a.

따라서, 상기 패치코드(100a)의 케이블(50a)을 구성하는 통신선은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통신단자(1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패치코드(100a)의 케이블(50a)을 구성하는 감지선은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에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40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lines constituting the cable 50a of the patch cord 100a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1 of the code connector 30a and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1 of the patch cord 100a, And the wire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s 40a provided in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100a)의 감지선과 연결 감지단자(4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능형 패치코드의 관리를 위한 패치코드 장착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ensing line of the patch cord 100a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provide patch code mounting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intelligent patch cord as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1에 도시된 UTP 패치코드(100a)의 코드 커넥터(30a)는 하우징(20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a)은 패치패널(200, 도 3 참조)의 코드포트(220,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통신단자(11)가 구비되는 단자부(10a)와 상기 단자부(10a) 후방 및 케이블(50a)을 감싸는 연결부(12a)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de connector 30a of the UTP patch cord 100a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housing 20a and the housing 20a may include a code port 220 (see FIG. 3) of the patch panel 200 A terminal portion 10a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11 inser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10a and a connecting portion 12a surrounding the terminal portion 10a and the cable 50a.

이 경우, 상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 중 단자부(10a) 및 연결부(12a)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부(10a)는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포트(220)에 연결되므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2a)는 케이블(50a)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portion 10a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a of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of the patch cord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terminal portion 10a is connected to the code port 220 of the patch panel 200,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10a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The connection portion 12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ecures the flexibility of the cable 50a It can be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material.

상기 케이블(50a)의 감지선과 연결되는 연결 감지단자(4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 커넥터(30a)를 구성하는 하우징(20a) 중 단자부(10a)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일측면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장착방향을 따라 그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패치코드(100a)의 코드 커넥터(30a) 장착과정에서의 연결 감지단자(40a)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of the cable 50a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code connector 30a Of the housing 20a constituting the terminal portion 10a.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may be provided in a reg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so as to be longer than the width thereof along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ode connector 30a have. This is to ensure contact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patch cord 100a to the cord connector 30a.

또한,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외표면의 형상에 따라 절곡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가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외표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연결 감지단자(40a)는 상기 하우징(20a) 중 단자부(10a) 형상에 따라 일단부가 절곡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may be bent and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not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For example,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shown in FIG. 1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portion 10a of the housing 20a.

한편, 상기 패치코드(10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가 상기 코드포트(22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와 상기 코드포트(220)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240, 도 6 참조)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60a)를 구비할 수 있다.The patch cord 100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and the code detection unit 240 provided in the code port 220 when the code connector 30a is mounted on the code port 220. [ (See FIG. 6), a protrusion 60a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cord connector 30a may be provided.

일반적으로 패치코드는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짐 현상은 패치패널이 복층으로 배치되고, 패치코드가 대량으로 설치되는 경우 더욱 심화될 수 있다.Generally, the patch cord may be deflected downwardly of the cable by gravity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patch panel. Such a deflection phenomenon can be further exacerbated when the patch panel is arranged in a multiple layer and the patch cord is installed in a large amount.

이와 같이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코드 커넥터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된 경우에도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속이 해제되어 지능형 패치코드의 관리를 위한 패치코드 장착여부와 관련된 정보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If deflection occurs, even if the code connector constituting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and the code detection unit is released, and it is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atch code for managing the intelligent patch code is mounte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low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a)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60a)를 구비하고, 상기 패치패널(200)에는 상기 돌출부(60a)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270,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60a protruding from a cord connector 30a of a patch cord, and the patch panel 2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270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rotrusion 60a, See Fig. 3).

즉,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a)를 패치패널(200)의 코드포트(220)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60a)가 상기 패치채널(200)의 고정부(27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의 접촉 불량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de connector 30a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220 of the patch panel 200, the protrusion 60a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ed portion 270 of the patch channel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code connector 30a and thereby to prevent or minimize the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and the code sensing unit 240. [

상기 돌출부(6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을 형성하는 연결부(12a)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돌출부(6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을 형성하는 단자부(10a) 및 연결부(12a)의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60a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2a forming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 60a may be provided at any one of the terminal portion 10a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a forming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한편,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가 구비된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일면에 소정의 홈(13)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groove 1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상기 홈(13)은 상기 코드커넥커(30a)를 제작하는 경우에 제조사에 따라 공구 등의 사용을 위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홈(13)이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가 형성된 하우징(20a)의 동일한 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또는 상기 홈과 동일한 형태의 홈이 형성된 종래의 패치코드를 후술하는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삽입시키게 되면 후술하는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감지단자 중 하나의 감지단자가 상기 홈(13)에 안착 또는 삽입되어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과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의 접촉이 방해되거나, 패치코드의 커넥터가 코드포트에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드 감지유닛의 감지단자 중 하나가 홈에 삽입되어 코드 감지유닛의 감지단자가 분리되지 않게 되어 코드 커넥터가 특정 코드포트에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드 커넥터의 장착 상태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The groove 13 may be formed for use of a tool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when the code connector 30a is manufactured. In this case, the groove 13 is provided on the same side of the housing 20a on whic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formed, and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ventional patch cord A detection terminal of a sensing terminal constituting a sens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or inserted into the groove 13 so that the code sensing unit 240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are obstructed or one of the detection terminals of the code dete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detection terminal of the code detection unit is not detached, even though th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The mounting state of the code connector can not be recognized even though it is mounted on the port.

한편, 전술한 도 1은 UTP 케이블(50a)의 코드 커넥터(30a)를 도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UTP 케이블(50a)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은 UTP 케이블, STP 케이블 및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케이블은 이더넷(ethernet)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케이블이며, STP(shielded twisted pair cable) 케이블과 비교해서 실드 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잡음에 약하지만, 비용을 낮출 수 있다.1 shows the code connector 30a of the UTP cable 50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TP cable 50a. For example, the cable may be one of a UTP cable, an STP cable, and an optical cable. As is well known, the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UTP) cable is a commonly used communication cable in ethernet and is not shielded compared to a shielded twisted pair cable (STP) cable, .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를 통한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전술한 UTP 케이블을 구비하는 패치코드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50b)을 구비하는 패치코드(100b)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atch code 100b having the optical cable 50b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patch code having the UTP cable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다른 실시예인 광케이블(50b)의 패치코드(100b)의 코드 커넥터(3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a)는 코드 커넥터(30b)의 사시도, 도 2(b)는 코드 커넥터(30b)의 정면도, 도 2(c)는 코드 커넥터(30b)의 측면도를 도시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de connector 30b of the patch cord 100b of the optical cable 50b,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b, Fig. 2 (b) is a front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b, and Fig. 2 (c) is a side view of the cord connector 30b.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치코드(100b) 역시 코드 커넥터(30b)의 하우징(20b) 표면에 연결 감지단자(4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감지단자(40b)는 상기 하우징(20b)을 구성하는 연결부 (12b)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패치코드(100b)의 코드 커넥터(30b)의 단자부(10b)는 코드포트(220)에 깊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연결 감지단자(40b)의 위치도 그에 대응하여 후방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2, the patch cord 100b may also have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b of the cord connector 30b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20b,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b . Since the terminal portion 10b of the cord connector 30b of the patch cord 100b shown in FIG. 2 has a structure deeply inserted into the code port 220,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also corresponds to the rear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 감지단자(40b)의 위치는 패치코드(100b)의 코드 커넥터(30b)의 하우징(20b)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패치코드(100b)의 연결 감지단자(40b) 역시 도 1에 도시된 연결 감지단자(40a)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b)의 표면에 표면 형상에 따라 돌출되지 않도록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may be various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using 20b of the code connector 30b of the patch cord 100b.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of the patch cord 100b shown in FIG. 2 may also be configured so as to be bent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b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shown in FIG. have.

한편, 광케이블(50b)의 패치코드(100b)를 형성하는 코드 커넥터(30b)의 하우징(20b)에도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부(6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60b)는 상기 하우징(20b)을 구성하는 연결부(12b)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 감지단자(40b)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패치코드(100b)의 코드 커넥터(30b)의 단자부(10b)는 코드포트(220)에 깊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돌출부(60b)의 위치도 그에 대응하여 후방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20b of the cord connector 30b forming the patch cord 100b of the optical cable 50b may be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60b as in the embodiment of FIG. In this case, the projecting portion 6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b constituting the housing 20b. The terminal portion 10b of the cord connector 30b of the patch cord 100b shown in Figure 2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eeply inserted into the cord port 220.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portion can also be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correspondingly.

이하, 전술한 패치코드가 연결되는 패치패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atch panel to which the above-mentioned patch code is conn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패치패널(2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Fig. 3 shows a front view of a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side view of a patch panel 200.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은 전술한 패치코드(100)가 장착되는 적어도 1개의 코드포트(220), 상기 코드포트(220)의 후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삽입되는 패치코드(100)의 코드 커넥터(30)와 장착되는 패널 커넥터(260) 및 상기 패치코드(100)가 상기 코드포트(220)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26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100)의 연결 감지단자(40)와 접촉되어 상기 패치코드(100)의 장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코드포트'란 용어는 패널하우징에 개구부를 형성한 뒤 상기 개구부 후방에 각각의 패널 커넥터가 장착된 패치코드의 장착을 위한 장착슬롯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3 and 4,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ode port 220 on which the patch cord 100 described above is mounted, The panel connector 260 and the patch cord 100 of the patch cord 100 inserted into the code port 220 of the panel connector 260 are inserted into the panel connector 260 through the code port 220, The code detection unit 240 provided in each of the code ports 220 for sens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patch cord 100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100, . ≪ / RTI > Hereinafter, the term 'code port' is defined as a mounting slot for mounting a patch cord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a panel housing and each panel connector is mounted in the rear of the opening.

상기 패치패널(200)은 예를 들어 12개의 코드포트(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드포트(220)의 후방에는 패치코드(100)의 코드 커넥터(30)가 장착되는 패널 커넥터(2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atch panel 200 may include twelve code ports 220 and a panel connector 260 to which the code connector 30 of the patch cord 100 is mounte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de port 220. [ Respectively.

전술한 패치코드(100)의 연결 감지단자(40)는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코드 커넥터(30)의 하우징(20)의 표면, 즉 단자부(10) 후방 또는 연결부(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치코드(100)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패널(200)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240, 도 7 참조)은 패치코드(100)의 삽입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코드(100)의 연결 감지단자(40)와 접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 감지유닛(240)의 후술하는 감지단자는 상기 연결 감지단자(40)가 상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삽입된다면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10'은 패널하우징을 도시하고, '230'은 보조하우징을 도시하며, '270'은 고정부를 도시한다. 상기 패치패널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10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 of the cord connector 30 constituting the patch cord, that is, behind the terminal portion 10 or at the connection portion 12. [ The code detection unit 240 (see FIG. 7) provided in the patch panel 200 with the patch code 100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atch code 100, And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100 in the inserted state. Therefore, a sensing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code sensing unit 240 of the patch panel 200 can be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i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is inserted in an upwardly exposed state.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panel housing, reference numeral 230 denotes an auxiliary housing, and reference numeral 270 denotes a fixing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patch pa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보조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housing is detached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치패널(200)은 패널하우징(210)을 구비하며, 상기 패널하우징(210)의 전방 상부에 보조하우징(230)이 구비될 수 있다.5 and 6, the patch panel 200 includes a panel housing 210, and an auxiliary housing 230 may be provided on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210.

상기 코드포트(220)는 패널하우징(210)에 개구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후방에 상기 패널 커넥터(260)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de port 22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opening 212 in the panel housing 210 and mounting the panel connector 260 behind the opening.

한편,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은 패널하우징(21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보조하우징(230)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하우징(230)은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 등이 장착되는 회로기판(250) 및 그 배선 등이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하우징(230)의 내측에는 코드 감지유닛(240) 등이 장착되는 회로기판(2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250)에 복수 개의 코드 감지유닛(240)이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de detection unit 240 may be expo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230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210. The auxiliary housing 230 may provide an arrangement space in which the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code sensing unit 240 and the like are mounted and the wiring thereof are disposed. That is, a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code sensing unit 24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230, and a plurality of code sensing units 240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

상기 패치패널(200)에는 상기 패치코드(100)가 상기 코드포트(220)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26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40)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거나 접촉 상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patch cord 100 is mounted on the panel connector 260 through the code port 220,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and the code sensing unit 240 The fixing portion 270 may be provided to prevent defects o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tact state.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코드 커넥터(30)의 돌출부(60)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코드 커넥터(30)를 상기 터치패널(200)의 코드포트(22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코드 커넥터(3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60 of the cord connector 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portion 270 so that when the cord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cord port 220 of the touch panel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movable member 30.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패널하우징(210) 및 보조하우징(230)의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하우징(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보조하우징(230)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해 소정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60)가 삽입되는 고정홈(272)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70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panel housing 210 and the auxiliary housing 230 and may be provided under the auxiliary housing 230 as shown in the figure, . The fixing portion 27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housing 23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bent to form a fixing groove 272 into which the protrusion 60 is inserted.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70)는 패치코드가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코드의 커넥터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6, the fixing portion 270 may be formed in an 'a' shape to support a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or side of the patch cord with the patch cord mounted on the patch panel. have.

상기 패치코드를 상기 코드포트(22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60)가 상기 고정부(270)의 고정홈(272)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코드 커넥터의 하방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atch cord is connected to the code port 220, the projecting portion 6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72 of the fixing portion 270 and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downwar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24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7 shows one example of the code detection unit 240 included in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은 전술한 회로기판(250) 측에 장착되는 보호하우징(247)을 구비한다. 상기 보호하우징(247)에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 도 8 참조)가 장착 및 보호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de detection unit 240 includes a protective housing 247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sid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see FIG. 8) provided in the protective housing 247 can be mounted and protect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에 구비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는 얇은 와이어 또는 판재 형태의 클립으로 구성되므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비틀리거나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감지단자의 비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고 조립과정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은 보호 하우징(247)을 포함하여 유닛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included in the code sensing unit 240 are formed of a thin wire or a plate-like clip.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 Accordingly, the cord sensing unit 240 can be unitized including the protective housing 247 to prevent twisting or deformation of each sensing terminal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process.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코드 감지유닛(240)의 보호 하우징(247)이 제거된 상태에서 코드 감지유닛(240)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가 보호 하우징(247) 내에서의 위치관계 또는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240 in the state where the protective housing 247 of the code sensing unit 240 shown in FIG. FIG. 9 shows a positional relationship or a mounted stat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shown in FIG. 8 in the protective housing 247.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코드 감지유닛(240)은 패치코드가 미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는 전기적 연결 여부를 통해 개별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감지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8 and 9, each of the code sensing units 240 may include a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patch cord is not installed .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form a code sensing circuit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a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individual code port 220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or not. can do.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은 특정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가 장착 또는 탈착 여부를 지능적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을 구성하는 감지단자들(241, 243)의 전기적 연결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한다.The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de terminals of the detection terminals 240 constituting the code detection unit 240, (241, 243) are used.

즉,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의 특정 코드포트에 장착되면, 해당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었음을 식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감지단자를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로 구성하고,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코드포트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코드포트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identify that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pecific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24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is released when the cord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rd port .

반대로,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를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장착하는 경우에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상태의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in an electrically disconnected st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특정 코드포트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원격으로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 패치코드의 양 코드 커넥터가 어떤 코드포트에 각각 장착되었는지를 식별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motely identify whether or not a patch code is installed in a specific code port, and also to identify to which code port each of the code connectors of a specific patch code is mounted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코드 감지유닛(240)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는 각각의 일단인 장착단(241m, 243m)이 상기 회로기판(25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장착 또는 접합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240 ar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ends 241m and 243m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50 Or may be bonded.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패치패널의 특정 코드포트에서 분리된 경우, 즉 코드포트에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감지단자(241)의 타단인 자유단(241e)과 상기 제2 감지단자(243)의 타단을 구성하는 자유단(243e)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cord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the specific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that is, without the cord connector mounted on the cord port, the free end 241e,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free end 243e constitu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감지단자(241)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성형되어 전술한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40)와 접촉되는 접촉단(241c)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may be bent and protruded downward to form a contact terminal 241c contacting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한편, 상기 제1 감지단자(241)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확장부(241x)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41x)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코드 커넥터(30a)의 연결 감지단자(40a)가 형성된 하우징(20a)의 동일한 면에 홈(13)이 형성되는 경우,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감지단자가 홈에 안착되어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가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40)는 UTP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 중 홈이 형성된 부분의 일측 공간을 마련하여 커넥터 표준 규격을 만족하는 형태를 유지하며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may have an enlarged portion 241x that is relatively wid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nsing terminal 241. When the groove 13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housing 20a on whic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of the code connector 30a of FIG. 1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nsing terminal is seated in the groove to prevent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and maintained in a contact state even though the cord connector of the cord is mounted. Generall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of one side of a groove-formed portion of the code connector of the UTP patch cord so as to maintain the shape satisfying the connector standard specification.

본 발명에 패치코드와 달리 일반적인 종래의 패치코드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가 구비된 위치가 전술한 홈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Unlike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conventional patch cord may be a region where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즉, UTP 패치코드의 커넥터는 표준 규격을 만족하는 커넥터의 경우에도 홈이 형성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 시스템은 표준 규격을 만족하는 커넥터라면, 코드 커넥터 측에 연결 감지단자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던 아니면 일반적인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던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는 경우 그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의 접촉단(241c) 측에 확장부(241x)를 형성하여 코드 커넥터의 홈 또는 연결 감지단자의 유무와 무관하게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된 코드 포트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면,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connector of the UTP patch cord meets the standard specifications, there may exist a product with a groove and a product that does not have a groove. In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d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is mounted or the case where the cod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on which the code connector of the general patch cord is mounted is secured The extension 241x is formed on the contact end 241c sid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so that the cord having the code sensing unit When the cord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ort,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leased.

상기 확장부(241x)는 코드 포트에 코드 커넥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홈이 형성된 코드 커넥터의 홈 주변 테두리 벽에 걸리게 되어, 접촉단(241c)이 연결 감지단자에 접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와 마찬가지로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41x is hooked to the peripheral wall of the groove of the groove formed cord connecto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de connector in the code port so that the contact end 241c contacts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can be released.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감지단자가 상기 제1 감지단자를 상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In summary,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rd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displaces the first sensing terminal upward, 2 detection terminal 243 can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가 코드 커넥터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된다면 상기 제1 감지단자를 상방향으로 가압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 감지단자의 가압을 차단하여 상기 제1 감지단자와 제2 감지단자를 분리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of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code connector, the first sensing terminal can not be pressed upward. That is, the first sensing terminal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terminal by interrupting the pressing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이는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장착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제1 감지단자와 제2 감지단자가 분리되지 않아 해당 코드포트에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잘못된 식별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감지단자(241)에 확장부(241x)를 구비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40)와 접촉되는 접촉단(241c)에 상기 확장부(241x)를 구비하고, 종류를 불문하여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감지단자(24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13)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is is because even if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re not separated, and it is possible to erroneously identify that the code connector is not attached to the code port, The extension 241x is provided o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specifically the contact 241c contacting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241x, It is possible to preven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3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regardless of the ki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1은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코드 커넥터의 연결 감지단자와 패치패널의 감지단자가 접촉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11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of the code connector and the sensing terminal of the patch pane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a)가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연결 감지단자(40a)는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의 접촉단(241c)에 접촉될 수 있으며, 코드 커넥터의 삽입 과정에서 연결 감지단자(40a)는 제1 감지단자(241)의 접촉단(241c)을 가압하게 되어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접촉을 해제하게 된다.When the cord connector 30a of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of the cord connector 30a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may contact the contact terminal 241c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contact terminal 241c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241c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241x)는 별도의 역할을 할 필요가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연결 감지단자(40a)는 코드 커넥터(30a)에 형성되는 홈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일반 커넥터의 경우에는 도 10의 연결 감지단자(40a)의 장착위치까지 홈이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일반 코드 커넥터가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코드 커넥터의 장착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홈의 크기와 무관하게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를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10, the extension portion 241x does not have to play a separate rol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of the code connector 30a is connected to the code connector 30a, In the case of the general connector, the groove may be extended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of FIG. 10, and such a general code connecto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tch panel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roove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ode connector is mounted.

따라서, 상기 확장부(241x)는 홈의 크기 여부 및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의 유무와 무관하게 코드 커넥터가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된 코드 포트에 장착되는 경우, 코드 커넥터의 장착 여부 식별을 보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rd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rd port provided with the cord detection uni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roov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the extension 241x ensures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or not the cord connector is mounted can do.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홈이 연결 감지단자의 장착 위치까지 확장된 일반 커넥터의 경우, 코드 커넥터가 코드 포트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241)x는 코드 커넥터의 홈의 테투리에 걸리게 되어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를 분리시켜 패치코드의 장착을 식별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general connector in whic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not present and the groove is extended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when the cord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rd port, So that the mounting of the patch cord can be identified by separating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의 UTP 케이블의 패치코드(100a)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광케이블 패치코드(100b)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 및 도 12(a)는 패치코드(100a, 100b)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1(b) 및 도 12(b)는 패치코드(100a, 100b)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2(a), 도 12(b)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접촉 상태의 변형과정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 하우징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11(c) 및 도 12(c)는 상기 패치코드의 돌출부와 상기 패치패널의 고정부의 연결과정을 도시하기 위하여 보조 하우징을 포함한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11 is a sid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patch cord 100a of a UTP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ch panel 200, FIG. 12 is a side view of a patch cord 100a of a UTP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b)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11 (a) and 12 (a)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the patch cords 100a and 100b are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and Figs. 11 (b) and 12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tch cords 100a and 100b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FIG. In order to clearly confirm the deformation process of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in FIGS. 11A, 11B, 12A and 12B, 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are removed. Figs. 11 (c) and 12 (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uxiliary housing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projections of the patch cords and the fixing portions of the patch panel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패치코드(100a)의 코드 커넥터(30a)가 상기 패치패널(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가 상기 제1 감지단자(241)를 가압하여 변위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1, when the cord connector 30a of the patch cord 100a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of the cord connector 30a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40a, So that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an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100a)는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20a)의 단자부(10a) 상면에 연결 감지단자(40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11 (a), the patch cord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rd connector 30a,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10a of the housing 20a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may be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상기 패치코드(100a)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 감지유닛(24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자유단(241e, 243e)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전기적 연결에 의하여 후술하는 코드 감지회로는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해당 코드포트에는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a)가 장착되지 않았다고 식별할 수 있다.Before the patch cord 100a is mounted, the free ends 241e and 243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240 of the patch panel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tate can be maintained. Therefore,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the code sensing circuit described later can be operated whil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circuit is maintained It can be discriminated that the code connector 30a of the patch cord is not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code port.

한편,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코드(100a)를 해당 코드포트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치코드(100a)의 코드 커넥터(30a)의 하우징(20a) 표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에 의하여,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 중 제1 감지단자(241)는 가압되어 상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11 (b),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atch cord 100a into the code port 100a, the patch cord 100a of the cord connector 30a, which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a of the code connector 30a,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of the patch panel 200 is pressed b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to be displaced upward .

상기 제1 감지단자(241)는 상기 패치코드가 장착되면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방법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패치코드의 장착이 해제되면, 다시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가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감지단자(241)가 상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 감지유닛(24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전기적 연결은 끊어지게 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may be displaced in a manner that i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when the patch cord is installed. When the mounting of the patch cord is release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are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to be mutually connected.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is displaced upward so that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240 of the patch panel 200 is releas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constituting the sensing circuit may be broken.

상기 제1 감지단자(241)는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판재가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므로, 상기 제1 감지단자(241)는 상기 패치코드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 감지단자(40)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방법으로 변위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is formed to have a bent shape of a metal wire or a metal plat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when the patch cord is inserted As shown in Fig.

상기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접촉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전기적 연결의 해제 여부에 의하여 특정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연결 감지단자(40a)의 전기적 연결 여부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패치코드의 양 커넥터가 장착된 코드포트(220)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circuit is relea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specific code port 220 by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As described later, the cord port 220 on which the two connectors of one patch cord are mounted can be specifi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코드(100a)를 해당 코드포트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100a)의 커넥터(20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60a)가 패치패널(200)의 고정부(270)의 고정홈(272)에 삽입되면서 상기 패치코드(100a)를 코드포트에 삽입 및 고정하게 될 수 있다. 11 (c), when the patch cord 100a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code port, the projecting portion 60a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20a of the patch cord 100a is inserted into the patch The patch cord 100a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rd por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72 of the fixing portion 270 of the panel 200.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치패널은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패치코드는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패치코드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코드 커넥터가 해당 코드포트에 장착된 경우에도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코드포트에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돌출부(60a)를 패치패널(200)의 고정부(270)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30a)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불량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tch panel is provi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and the patch cord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so that deflection of the patch cord may occur. If the deflection occurs, even if the cord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cord port, a contact failure may occur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and the cord detection unit is not performed, and a cord connector may not be mounted on the cord port Lt; / RTI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60a of the cord connector 30a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portion 270 of the patch panel 200 to prevent the cord connector 30a from sag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failure of the code detection unit.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패치코드(100b), 즉 광케이블 패치코드(100b)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에서는 전술한 도 11과 비교하여 코드 커넥터(30b)에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40b)가 하우징(20b)의 단자부(10b)가 아니라 연결부(12b)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코드 커넥터(30b)가 패치패널(200)에 장착되는 과정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12 sequentially shows a process of mounting a patch cord 100b, that is, an optical cable patch cord 100b, to another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different from FIG. 11 in that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b provided in the cord connector 30b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2b rather than the terminal portion 10b of the housing 20b.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ode connector 30b to the patch panel 200 is similar,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100)가 장착되는 과정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3(b)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되는 하나의 코드포트(220(1), 220(2))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패치패널을 하나의 패치코드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은 양 패치패널이 하나의 감지부(S)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한다.FIG. 13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 in which a patch cod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tch panel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 shows a state before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tch panel constituting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nd FIG. 13 (b) And a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3 includes a pair of patch panels each having one code port 220 (1), 220 (2) equipped with a code detection unit, ≪ / RTI > In addi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shown in FIG. 13 assumes that both patch panels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single sensing unit S.

도 1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100)는 적어도 1개의 통신선(51)과 감지선(53)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선(53)은 패치코드(100)의 코드 커넥터(30)의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 감지단자(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패치코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240)의 제1 감지단자(241) 및 제2 감지단자(243)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의 상기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는 전기적 연결 여부를 통해 개별 코드포트(220(1), 220(2))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감지회로(S1, S2)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the patch co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51 and a sensing line 53. The sensing line 53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30 of the patch cord 100. [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of the code sensing unit 240 included in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 Therefor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of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ividual code ports 220 (1) and 220 (2) Code detection circuits S1 and S2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the patch cord is mounted can be formed.

상기 코드 감지회로(S1, S2)는 패치패널(200)의 각각의 코드포트(220(1), 220(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감지회로(S1, S2)는 각각의 코드 감지회로(S1, S2)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코드포트(220(1), 220(2))에 패치코드, 정확하게는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The code sensing circuits S1 and S2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code ports 220 (1) and 220 (2) of the patch panel 200,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the sensing circuits S1 and S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de ports 220 (1) and 220 (2) , It can be accurately discriminated that the code connector 30 of the patch cord is not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은 상기 패치패널(200)의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패치코드가 장착된 코드포트(220)를 식별하기 위한 감지부(S)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치패널(200)의 코드 감지유닛(240)은 상기 감지부(S)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코드포트(220(1), 220(2))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회로(S1, S2)는 상기 감지부(S)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S)는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구비된 코드 감지회로(S1, S2)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 감지단자(241(1), 241(2))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1), 243(2))의 연결 여부를 통해 해당 코드포트(220(1), 220(2))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S)는 상기 패치패널의 양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식별할 수 있다.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ch panel 20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patch cord is installed in each code port 220 of the patch panel 200, (S). The code detection unit 240 of the patch pane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S. [ For example, the code sensing circuits S1 and S2 provided in the respective code ports 220 (1) and 220 (2)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portion S. Therefore, the sensing unit S may include the first sensing terminals 241 (1) and 241 (2)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circuits S1 and S2 provided in the code ports 220,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code ports 220 (1) and 220 (2)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two detection terminals 243 (1) and 243 (2). In the state shown in FIG. 13 (a), the sensing unit S can identify that the patch code is not installed in both code ports 220 of the patch panel.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의 한 쌍의 코드포트(220)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100)의 양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13 (b) shows a state in which both connectors of the patch co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 pair of code ports 220 of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b)를 참조하면,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가 각각의 코드포트(220(1), 220(2))에 구비된 패널 커넥터(26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코드 커넥터(30)의 하우징(20)에 구비된 연결 감지단자(40)가 코드포트(220)의 제1 감지단자(241(1), 241(2))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감지단자(241(1), 241(2)) 및 제2 감지단자(243(1), 243(2)) 중 하나의 감지단자인 제1 감지단자(241(1), 241(2))를 다른 하나의 감지단자인 제2 감지단자(243(1), 243(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코드의 통신선(51)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패널 커넥터(260)를 경유하여, 송신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 등의 트랜시버(T1, T2) 등과 송수신될 수 있다.13 (b), in the process that the cord connector 30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nel connector 260 provided in each of the cord ports 220 (1) and 220 (2)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s 40 provided in the housing 20 of the second connector 20 press the first sensing terminals 241 (1), 241 (2) of the code port 220 upward, The first sensing terminals 241 (1) and 241 (2) which are the sensing terminals of the terminals 241 (1) and 241 (2)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s 243 (1) and 243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terminals 243 (1) and 243 (2) which are the other sensing terminal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line 51 of the patch cod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the transceivers T1 and T2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via the panel connector 260. [

이 경우, 상기 감지부(S)는 특정 코드포트(220)에 구비되는 각각의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S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constituting each code sensing circuit provided in the specific code port 22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code port 220.

또한, 도 13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경우, 하나의 패치코드가 장착된 패치패널(200) 및 코드포트(22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의 감지부(S)는 하나의 패치코드의 양 코드 커넥터(30)가 장착된 각각의 코드포트(220(1), 220(2))에 구비된 제1 감지단자(241(1), 241(2)), 하나의 패치코드의 양 커넥터의 연결 감지단자(40) 및 상기 패치코드의 감지선(53)을 연결하는 포트 감지회로(도면 부호 미도시)를 통해 양 코드 커넥터(30)가 장착된 코드포트(220)를 식별할 수 있다.13, when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shown in FIG. 13 includes a patch panel 200 and a code The port 220 can be identified. The sensing unit S of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de ports 220 (1) and 220 (2) provided with the code ports 30 A port sensing circui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terminals 241 (1), 241 (2),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s 40 of both connectors of one patch cord and the sensing wires 53 of the patch cords The code port 220 on which the both code connectors 30 are mounted can be identified.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은 패치패널(200)의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커넥터가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함께 상기 포트 감지회로를 통해 각각의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가 장착된 코드포트(220)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트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감지단자(241(1), 241(2)), 한 쌍의 연결 감지단자(40) 및 감지선(53)을 연결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포트 감지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S)는 각각의 코드포트(220)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240)의 미리 할당된 고유번호 등을 통해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30)의 장착 위치를 인식 또는 식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or not a connector is attached to each code port 220 of the patch panel 200, Can be recognized. That is, a closed loop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ensing terminals 241 (1), 241 (2), the pair of connection sensing terminals 40 and the sensing line 53 constituting the port sensing circuit is formed The port sensing circuitr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S recognizes or identifi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de connector 30 of the patch cord through the pre-assigned unique number of the code sensing unit 240 provided in each code port 220, can do.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에 종래의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과정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에 종래의 패치코드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에 종래의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4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 역시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되는 하나의 코드포트(220(1), 220(2))를 구비하는 한 쌍의 패치패널을 일반적인 패치코드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 in which a conventional patch code is mounted on a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a) shows a state before a conventional patch cord is mounted on a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b) And shows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patch code is mounted on a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a code management system.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4 also includes a pair of patch panels having one code port 220 (1), 220 (2) equipped with a code detection unit, as a general patch code FIG.

종래 소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코드는 커넥터 하우징의 표면에 연결 감지단자(4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감지단자(40)가 구비된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감지단자(241, 243)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게 될 수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the patch code constituting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sensing terminal 40 on the surface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patch cod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terminals 241 and 243 constituting the code sensing unit can be released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d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연결 감지단자(40)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이외에 커넥터의 하우징에 연결 감지단자(4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특정 코드포트(220(1), 220(2))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atch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even when a conventional patch cord having no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installed in the code ports 220 (1), 220 (2).

이 경우, 상기 코드 감지회로의 제1 감지단자(241) 및 상기 제2 감지단자(243)는 상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20)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상태가 분리되는 구성이므로, 커넥터의 하우징(20) 표면에 연결 감지단자(4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 패치코드가 장착된 경우에도 해당 코드포트(220(1), 220(2))에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종래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된 코드포트(220(1), 220(2))에 장착되는 과정에서도 패치코드의 하우징(20)에 의해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241(1), 241(2)) 및 제2 감지단자(243(1), 243(2))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해제되므로 코드 감지회로는 일반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of the code sensing circuit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by the housing 20 of the cord connecto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code ports 220 (1) and 220 (2) even when the conventional patch cord having no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20 Can be identified. That is, even when the code connector of the conventional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s 220 (1) and 220 (2) provided with the code detection unit, Sinc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terminals 241 (1) and 241 (2)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s 243 (1) and 243 (2) is released, the code detection circuit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common patch cord can do.

다만, 패치코드의 감지선 및/또는 연결 감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일반 패치코드를 통한 포트 감지회로를 구성할 수는 없으나, 일반 패치코드를 본 발명에 따른 패치패널(200)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코드포트(220)에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블이 감지선(54)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커넥터에 연결 감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detection line and / or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of the patch cord are not provided, it is not possible to configure the port detection circuit through the general patch cord. However, when the general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patch cord is fitted with the cord connector. Even when the cable has the sensing wire 54, or when the connector is not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or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코드 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제1 감지단자의 확장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일반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코드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코드 커넥터 식별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even if a general patch cord as shown in FIG. 14 is mounted, the extension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ode sensing un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 crack formed in the code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the general patch cord As described abov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치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관리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패치패널(200)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5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은 코드 감지유닛이 구비되는 하나의 코드포트(220)를 구비하는 패치패널을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FIG.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tch panel constituting a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 shows a state before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b) The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atch panel 200 constituting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5 shows a process of connecting a patch panel having one code port 220 equipped with a code detection unit to a patc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2000)은 전술한 도 13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감지부(S)가 일측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에만 연결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감지부는 한 쌍의 패치패널을 구비하는 경우에 양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에 상기 감지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구성한 반면, 도 15에 도시된 패치코드 관리시스템(2000)은 상기 감지부(S)가 한 쌍의 패치패널 중에 어느 일측의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도 13과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S)는 한 쌍의 패치패널을 구비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2000 shown in FIG. 15 differs from the system of FIG. 13 in that the detection unit S is connected only to the code detection unit of one patch panel. In other words, in the case where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13 includes a pair of patch panels, th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de sensing unit of both patch panels, while the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2000 shown in FIG. The sensing unit 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on either side of the pair of patch panels. 13 and 15, the sensing unit 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de detection unit of at least one patch panel when the pair of patch panels is provided.

도 15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감지부(S)는 어느 하나의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코드포트(220)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회로(S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a)와 같이 코드 커넥터(30)가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드 감지회로(S1)에 의해 아직 코드포트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식별할 수 있다.15, the sensing unit S may be connected to a code sensing unit of any one of the patch panels.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S may include a code sensing circuit S1 provided in the code port 220 of the code sensing unit. Lt; / RTI > 15 (a), before the cord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discriminated by the circuit S1 that the patch code is not yet mounted in the code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15(b)와 같이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면,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40)에 의해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연결 감지단자(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지부(S)는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위차에 의해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됨을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15(a)와 같이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기 전의 경우에는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가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는 전위차이가 없게 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5(b)와 같이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에 전위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감지부(S)가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위차이 여부에 따라 특정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15 (b), when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code port,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of the patch cor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the sensing unit 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the code port. 15 (a),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fore the patch code is mounted on the code port. Therefore,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may have no potential difference. 15 (b),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code port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and the sensing unit S is mounted on the specific code port depending on whether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24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43 It can be detected.

한편, 도 15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감지단자(40)를 구비한 패치코드 이외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가 생략된 종래의 패치코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특정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연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종래의 패치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종래 패치코드를 코드포트에 삽입 고정하면 상기 패치코드에 의해 상기 제1 감지단자와 제2 감지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1 감지단자(241)와 제2 감지단자(243)의 전위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각각의 단자의 접지 전위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전극의 전위의 변화 또는 접지 전위를 이용하여 패치패널이 하나인 경우에도 단독으로 코드 커넥터 등의 장착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도 13에 도시된 한 쌍의 패치패널을 통해 지능형 패치코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과 구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변형과 활용이 가능하다.15,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patch cord in which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is omitted in addition to the patch cord having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dentified. Even when a conventional patch cord is used, if the conventional patch cor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rd por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is released by the patch cord, 2 sensing terminal 243, or a change in the ground potential of each terminal may occur,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may use a change in potential of each electrode or a ground potential to change the potential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ord connector or the like is mounted alone even when one panel is provided. Thi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intelligent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air of patch panels shown in FIG. 13,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단자부
12: 연결부
20: 하우징
30: 코드 커넥터
40: 연결 감지단자
50: 케이블
51: 통신선
53: 감지선
100: 패치코드
200: 패치패널
1000: 패치코드 관리시스템
10: Terminal portion
12: Connection
20: Housing
30: Cord connector
40: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50: Cable
51: Communication line
53: sensing line
100: patch cord
200: patch panel
1000: patch code management system

Claims (14)

패치패널의 코드포트에 연결되는 패치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통신선 및 감지선을 구비하는 케이블;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드 커넥터;
상기 코드포트에 구비된 코드 감지유닛과 접촉되도록, 상기 감지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 및
상기 코드 커넥터가 상기 코드포트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치패널에 구비된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코드 커넥터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In the patch code connected to the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A cabl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and a sensing line;
A cord connecto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ble to be mounted on the cord port;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ing lin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de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code port an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respectively; And
The cord connector is protruded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cord connector so as to b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patch panel in order to prevent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and the cord detecting unit when the cord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rd port And a protru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커넥터는 통신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 후방과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d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vering the rear of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able,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UTP 케이블, STP 케이블 및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is one of a UTP cable, an STP cable, and an optical cable.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패널 커넥터가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코드포트;
상기 패치코드는 케이블에 구비되는 감지선 및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에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패치코드의 장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코드포트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 및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에 구비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At least one cord port having a panel connector for mounting a cord connector of a patch cord;
Wherein the patch cor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provided on the cable and the sensing line and is provided in the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n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 code detection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code ports for sensing a mounting state of the patch cord in contact with a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of the code; And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code connector is inserted and fixed to prevent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and the code detection unit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nd a patch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패널은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코드 감지유닛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는 보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하우징 및 보조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tch panel includes a panel housing and an auxiliary housing mounted on the panel housing to provide a layout space in which a circuit board to which the code detection unit is mounted is disposed,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panel housing and the auxiliary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은 상기 패널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보조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uxiliary housing is mounted on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and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auxiliary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은 상기 코드포트에서 패치코드가 제거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상기 제2 감지단자는 전기적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감지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includes a first detection terminal and a second det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atch cord is removed from the code port,
Wherei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constitute a code detection circuit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a patch cord is mounted on each of the code ports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의 전기적 연결상태는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감지단자가 상기 제1 감지단자를 변위시켜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may be such that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displaces the first sensing terminal in the course of mounting the patch cord to the patch panel, And releases the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of the patch pan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감지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감지단자의 적어도 일부에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to prevent insertion of the at least part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into the groove formed in one face of the housing of the cord connector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Features a patch pan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확장부는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홈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연결 감지단자에 간섭되어 상기 홈의 내부로 상기 제1 감지단자가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the extension part interferes with the edg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or the connection sensing terminal so that the first sensing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patch panel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패치코드가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코드의 커넥터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하방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패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an 'a' shape so as to prevent downward sagging of protrusions formed on a connector side of the patch cor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the patch panel.
복수 개의 통신선 및 감지선이 구비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드 커넥터, 상기 감지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코드 커넥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 감지단자 및 패치패널에 구비된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코드 커넥터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상기 패치코드의 코드 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패널 커넥터가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드포트,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코드의 연결 감지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패치코드의 장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코드포트에 구비되는 코드 감지유닛 및 상기 패치코드가 상기 코드포트를 통해 상기 패널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감지단자와 상기 코드 감지유닛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커넥터에 구비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패치패널; 및
상기 패치패널의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패치코드가 장착된 코드포트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과 연결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
A cable connecto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ble, a connection sensing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ing wire and i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de connector, A patch cord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code connector to be fixed to the cover;
A plurality of code ports provided with a panel connector for mounting a cod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a plurality of cord port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patch cord,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 code detection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code ports for detecting a mounting state of the code detection unit and a connection failure detection unit for preventing connection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detection terminal and the code detection unit when the patch cord is mounted to the panel connector through the code port A patch panel including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cord connector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thereto; And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to identify whether the patch cord is mounted on each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or the code port on which the patch cord is moun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패널의 코드 감지유닛은 패치코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감지단자 및 제2 감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감지단자 및 상기 제2 감지단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패치패널의 각각의 코드포트에 패치코드의 커넥터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de detection unit of the patch panel includes a first sensing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atch cord is not mounted and th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of the patch cord is attached to each code port of the patch panel.

KR1020130114194A 2013-09-26 2013-09-26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2064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194A KR102064014B1 (en) 2013-09-26 2013-09-26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PCT/KR2014/005899 WO2015046722A1 (en) 2013-09-26 2014-07-02 Patch cord, patch panel, and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194A KR102064014B1 (en) 2013-09-26 2013-09-26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309A true KR20150034309A (en) 2015-04-03
KR102064014B1 KR102064014B1 (en) 2020-01-08

Family

ID=5274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19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64014B1 (en) 2013-09-26 2013-09-26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4014B1 (en)
WO (1) WO2015046722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342B1 (en) 2018-09-10 2019-06-20 (주)티씨아이네트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detecting connected port
KR102011711B1 (en) * 2018-09-10 2019-08-19 (주)티씨아이네트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port extension
KR20200079658A (en) * 2018-12-26 2020-07-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lug for communication and patch cord having the same
KR102139973B1 (en) * 2019-04-24 2020-07-31 (주)제이에스제이텍 Administration module of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operating using the same
KR20200092557A (en) 2019-01-25 2020-08-04 대은전자 주식회사 Patch Cord with LED Adapter
KR102204478B1 (en) * 2020-08-31 2021-01-18 탈렌티스 주식회사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KR102218121B1 (en) * 2020-10-21 2021-02-22 탈렌티스 주식회사 Folder type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554A (en) * 2005-07-04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Connecting device
US20090227140A1 (en) * 2006-02-14 2009-09-10 Pandui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atch Panel Patch Cord Documentation and Revis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5009B1 (en) * 2007-05-21 2008-10-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EP2380245B1 (en) * 2008-12-31 2018-02-14 Panduit Corp. Patch cord with insertion detection and light illumination capabilities
KR101163997B1 (en) * 2010-11-26 2012-07-18 (주)에스피에스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for sensing inse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554A (en) * 2005-07-04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Connecting device
US20090227140A1 (en) * 2006-02-14 2009-09-10 Pandui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atch Panel Patch Cord Documentation and Revis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342B1 (en) 2018-09-10 2019-06-20 (주)티씨아이네트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detecting connected port
KR102011711B1 (en) * 2018-09-10 2019-08-19 (주)티씨아이네트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port extension
KR20200079658A (en) * 2018-12-26 2020-07-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lug for communication and patch cord having the same
KR20200092557A (en) 2019-01-25 2020-08-04 대은전자 주식회사 Patch Cord with LED Adapter
KR102139973B1 (en) * 2019-04-24 2020-07-31 (주)제이에스제이텍 Administration module of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operating using the same
KR102204478B1 (en) * 2020-08-31 2021-01-18 탈렌티스 주식회사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KR102218121B1 (en) * 2020-10-21 2021-02-22 탈렌티스 주식회사 Folder type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WO2022085898A1 (en) * 2020-10-21 2022-04-28 탈렌티스 주식회사 Foldable patch code identification and insp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014B1 (en) 2020-01-08
WO2015046722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309A (en)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AU2003291309B2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module
CN101572369B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ight pipe assembly
AU2010284185B2 (en) Systems for automatically tracking patching connections to network devices using a separate control channel and related patching equipment and methods
AU2010284086B2 (en) Systems, equipment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acking cable connections and for identifying work are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JP4785837B2 (en) Network interface adapter module
US20030232535A1 (en) Receptacle and plug interconnect module with integral sensor contacts
US7193422B2 (en) Patch panel system
US20040192094A1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JP4822560B2 (en) Duplex plug adapter module
KR20110094011A (en) Intelligent Patching System
CN103226997A (en) Signal cable, cable connector and sign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10221601A1 (en) Detecting Engagement Conditions Of A Fiber Optic Connector
KR102038711B1 (en) Patch Panel And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TWI436534B (en) Intelligent structured cabling system and jack
US10522958B2 (en) Receptacle for connecting a multi-lane or one-lane cable
US11411357B2 (en) Electronics unit for managed connectivity, patch panel incorporating the same,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KR102012054B1 (en) Patch Cord, Patch Panel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CN222052238U (en) Amplitude detection unit receiving device
EP1602154A1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US8811605B1 (en) Intelligent patching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KR20230045201A (en) Optical patch cord connector
KR20240114467A (en) Line management system for Optical Fiber Distruction
CN110459918A (en) A kind of cabinet adapter
KR20120062146A (en) Connector for double-faced flexible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