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497A -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3497A KR20150033497A KR20130158204A KR20130158204A KR20150033497A KR 20150033497 A KR20150033497 A KR 20150033497A KR 20130158204 A KR20130158204 A KR 20130158204A KR 20130158204 A KR20130158204 A KR 20130158204A KR 20150033497 A KR20150033497 A KR 20150033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portion
- conductive pattern
- transparent conductive
- conductive layer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의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투명 도전층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전성 패턴부 | 비도전성 패턴부 | ||
면저항 | 86 ohm/sq. | 1 ⅹ 106 ohm/s. | |
광 투과도 | 98.5 % | 97.9 % | |
헤이즈 | 0.5 % | 0.6 % | |
접착력(R/RO) | 1.05 | 1.08 | |
내열성(R/RO) | 1.08 | 1.10 | |
열충격성(R/RO) | 1.07 | 1.07 | |
내용제성 (R/RO) |
아세톤 | 1.05 | 1.06 |
에탄올 | 1.10 | 1.10 | |
탈이온수 | 1.09 | 1.10 |
20 투명 도전층 형성용 도막
30 마스크
20' 투명 도전층
20a 도전성 패턴부
20b 비도전성 패턴부
40 보호층
Claims (17)
-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시 비도전성을 나타내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가 평균직경이 1 내지 20nm이고, 평균길이가 15 내지 30㎛인 것인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 (metha)acrylate),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epoxy (metha)acryl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이 은 나노와이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3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불소계 유동성 조절제를 0.1 내지 5중량%로 더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유동성 조절제가 퍼플루오로알킬 카르복실레이트인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인더 0.1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폴리우레탄 수지인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시 비도전성을 나타내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 위에 도포 후 열처리하여 투명 도전층 형성용 도막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투명 도전층 형성용 도막 위에 패턴 형성용 마스크를 위치시킨 후 광조사하여, 도전성 패턴부와 비도전성 패턴부로 패턴화함으로써,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투명도전층 형성용 도막의 형성 후 또는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의 형성 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의 제조방법. -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의 비도전성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경화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 (metha)acrylate),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epoxy (metha)acryl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광조사에 의해 경화된 것인 투명 도전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부의 면저항이 80 내지 100 ohm/sq.이고, 상기 비도전성 패턴부의 면저항이 1ⅹ106 ohm/sq. 이상인 것인 투명 도전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는 각각 95% 이상의 투과도 및 1% 이하의 헤이즈를 가지며, 상기 도전성 패턴부와 비도전성 패턴부의 투과도차가 5% 이하이고, 헤이즈차가 0.5% 이하인 것인 투명 도전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 위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의 비도전성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 도전성 패턴부 및 비도전성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도전성 패턴부는 은 나노와이어 및 광경화성 화합물의 비도전성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2703 | 2013-09-23 | ||
KR1020130112703 | 2013-09-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3497A true KR20150033497A (ko) | 2015-04-01 |
KR102117250B1 KR102117250B1 (ko) | 2020-06-02 |
Family
ID=5303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8204A Active KR102117250B1 (ko) | 2013-09-23 | 2013-12-18 |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725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50469A (zh) * | 2016-12-29 | 2018-07-06 | 乐凯华光印刷科技有限公司 | 一种纳米银线透明导电膜的生产工艺 |
US10070515B2 (en) | 2015-08-10 | 2018-09-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16631676A (zh) * | 2023-05-25 | 2023-08-22 | 江苏纳美达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触控功能片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1273A (ja) * | 1993-03-31 | 1994-10-18 | Osaka Gas Co Ltd |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
JP2008179787A (ja) * | 2006-12-26 | 2008-08-07 | Daido Toryo Kk | 紫外線硬化型導電性塗料、紫外線硬化型導電性透明塗膜及び該塗膜の製造方法 |
KR100869161B1 (ko) * | 2007-07-13 | 2008-11-19 | 한국전기연구원 |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
JP2011018636A (ja) * | 2009-06-09 | 2011-01-27 | Fujifilm Corp | 導電性組成物、並びに透明導電膜、表示素子及び集積型太陽電池 |
KR20110097450A (ko) | 2010-02-25 | 2011-08-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선의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소자 |
WO2012147964A1 (ja) * | 2011-04-28 | 2012-11-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金属ナノワイヤを含有する分散液および導電膜 |
-
2013
- 2013-12-18 KR KR1020130158204A patent/KR10211725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1273A (ja) * | 1993-03-31 | 1994-10-18 | Osaka Gas Co Ltd |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
JP2008179787A (ja) * | 2006-12-26 | 2008-08-07 | Daido Toryo Kk | 紫外線硬化型導電性塗料、紫外線硬化型導電性透明塗膜及び該塗膜の製造方法 |
KR100869161B1 (ko) * | 2007-07-13 | 2008-11-19 | 한국전기연구원 |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
JP2011018636A (ja) * | 2009-06-09 | 2011-01-27 | Fujifilm Corp | 導電性組成物、並びに透明導電膜、表示素子及び集積型太陽電池 |
KR20110097450A (ko) | 2010-02-25 | 2011-08-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선의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소자 |
WO2012147964A1 (ja) * | 2011-04-28 | 2012-11-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金属ナノワイヤを含有する分散液および導電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70515B2 (en) | 2015-08-10 | 2018-09-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8250469A (zh) * | 2016-12-29 | 2018-07-06 | 乐凯华光印刷科技有限公司 | 一种纳米银线透明导电膜的生产工艺 |
CN116631676A (zh) * | 2023-05-25 | 2023-08-22 | 江苏纳美达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触控功能片 |
CN116631676B (zh) * | 2023-05-25 | 2024-04-26 | 江苏纳美达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触控功能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7250B1 (ko) | 202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36548B (zh) | 银离子扩散抑制层形成用组成物、银离子扩散抑制层用膜及其应用 | |
KR101290324B1 (ko) | 도전성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패널 | |
TW201522044A (zh) | 防焊乾膜之製備方法及使用其之膜積層體 | |
US20090266583A1 (en) |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laminate, method of producing metal plated material, metal plated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metal pattern material, metal pattern material and wiring substrate | |
WO2013168773A1 (ja) | 導電膜積層体、タッチパネル、配線基板、電子機器、透明両面粘着シート、透明粘着シート | |
WO2013141275A1 (ja) | 透明導電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 |
CN109415811B (zh) | 被镀层形成用组合物、被镀层、带被镀层基板、导电性薄膜、触摸面板传感器、触摸面板 | |
JP2013065450A (ja) | 導電性部材、導電性部材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太陽電池 | |
JP5614101B2 (ja) | 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 |
KR102117250B1 (ko) | 투명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체의 제조 방법 | |
WO2005116763A1 (ja) | グラフトパターン形成方法、グラフトパターン材料、リソグラフィ方法、導電性パターン形成方法、導電性パター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 | |
KR20140139484A (ko) | 감광성 구조체 처리 방법 | |
KR101306778B1 (ko) | 터치 패널용 미세 전극 패턴 구현을 위한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응용 | |
JP2014063444A (ja) | 透明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及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US20120261172A1 (en) | Structure and pattern forming method of transparent conductive circuit | |
TWI867132B (zh) | 導電性基板之製造方法、導電性基板、觸控感測器、天線、電磁波屏蔽材料 | |
JP2015184994A (ja) |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透明導電性積層体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 |
WO2021132389A1 (ja) | 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導電性基板、タッチセンサー、アンテナ、電磁波シールド材料 | |
CN114054322A (zh) | 一种金属网格感应膜的制备方法 | |
JP2017107426A (ja) | 導電パターン付き基材、導電パターン付き基材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 |
WO2021065322A1 (ja) |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 | |
WO2021065331A1 (ja) |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 | |
CN111051059A (zh) | 前体薄膜、两面导电性薄膜的制造方法、触摸面板传感器 | |
WO2021065288A1 (ja) |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 | |
KR20150053205A (ko) | 전도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된 전도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