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1767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767A
KR20150031767A KR20130111370A KR20130111370A KR20150031767A KR 20150031767 A KR20150031767 A KR 20150031767A KR 20130111370 A KR20130111370 A KR 20130111370A KR 20130111370 A KR20130111370 A KR 20130111370A KR 20150031767 A KR20150031767 A KR 20150031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ensing
electrodes
electrode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236B1 (ko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한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Priority to KR102013011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36B1/ko
Priority to PCT/KR2014/008172 priority patent/WO2015037853A1/ko
Priority to CN201480051069.5A priority patent/CN105556435A/zh
Publication of KR2015003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싱글 레이어 구조의 터치패널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블럭들을 포함한다. 센싱블럭들 각각은 좌-구동라인, 우-구동라인 및 좌-센싱라인을 포함한다. 좌-구동라인은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일측에 배치된다. 우-구동라인은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타측에 배치된다. 좌-센싱라인은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좌-구동라인과 우-구동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는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구동전극 하나에 2개 이상의 센싱전극들이 대응되므로 구동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싱전극들이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글 레이어 구조의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전자기기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각 전자기기의 기능이 고도화, 복잡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고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센싱장치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미 여러 전자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화면 터치나 제스쳐(gesture)를 입력정보로 인식하는 터치센싱장치는 터치센싱장치의 터치패널은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정전 용량 방식은 멀티 터치 입력이 용이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구조가 중요하다. 터치패널은 2층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는 다수의 센싱전극 트레이스들(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 위에 교차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전극 트레이스들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에 의해 형성된 픽셀들의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드라이브 및 센싱전극 트레이스들은 PET, Glass 등의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나, 2층 구조의 하부 및 상부 층들에 각각 형성된 드라이브 및 센싱전극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은 제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2층 구조의 전극 층들을 접합하는 공정 및 구조에 기인한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기판의 단일 층의 단일 측면 상에 제조된 동일 평면상의 단일 층 터치 센서들을 갖는 터치패널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단일 층 터치 센서에서 배선들이 많으면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dead zone)이 증가하여 터치시 선형성 및 정확성을 찾기 어렵다. 단일 층 터치패널의 경우,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구동전극들과 상기 구동전극들에 인접하게 센싱전극들이 배열된다.
센싱전극들의 수가 증가하면 센싱전극들에 연결되어 외부의 터치인식칩에 연결하는 연결배선의 수 역시 증가한다. 이러한 연결배선의 수가 증가하면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전극들과 상기 센싱전극에 인접하는 구동전극 사이에 연결배선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증가하여 데드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증가하면 터치인식칩의 패드 수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5730호 (등록일자: 2009년 2월 19일)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3012호 (공개일: 2010년 7월 21일) 한국등록특허 제10-1169250호 (등록일자: 2012년 7월 23일)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4982호 (공개일: 2012년 8월 28일)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5833호 (공개일: 2013년 4월 9일) 한국등록특허 제10-1293165호 (등록일자: 2013년 8월 6일)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싱글 레이어 구조의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블럭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좌-구동라인, 우-구동라인 및 좌-센싱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은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우-구동라인은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은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과 상기 우-구동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는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상기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좌-구동 라우팅배선들과,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우-구동 라우팅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 라우팅배선들과 상기 우-구동 라우팅배선들은 서로 거울 대칭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우-센싱라인을 더 포함하되, 인접하는 한쌍의 우-센싱전극들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한쌍의 우-센싱전극들은 교호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상기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상기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서로 거울 대칭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상기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는 구동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는 상기 구동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되며, 동일한 로우에 배치된 좌-구동전극 및 우-구동전극에는 동일한 구동전압이 동일한 시간에 인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중 첫번째 로우와 마지막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두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첫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두배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과 상기 우-구동전극은 서로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교호로 배치된 상기 좌-구동전극 및 상기 우-구동전극에는 구동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터치패널의 좌측에 배치된 센싱블럭과 상기 터치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센싱블럭은 서로 다른 구동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에 의하면, 구동전극 하나에 2개 이상의 센싱전극들이 대응되므로 구동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싱전극들이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싱라인의 양쪽에 구동라인들이 배치되므로, 터치패널의 경계조건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에서 검출되는 센싱신호들이 메모리에 매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블럭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좌측이나 우측이라는 기재는 도면을 관찰하는 관찰자 시점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110), 우-구동라인(120), 좌-센싱라인(13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14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15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110), 상기 우-구동라인(120), 상기 좌-센싱라인(130),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140) 및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150)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좌-구동라인(1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우-구동라인(1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이 상기 좌-구동라인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는 영역은 해당 좌-구동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과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은 서로 마주한다.
상기 좌-센싱라인(1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130) 및 상기 우-센싱라인(102)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네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두번째 좌-센싱전극과 세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섯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네번째 좌-센싱전극과 다섯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덟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섯번째 좌-센싱전극과 일곱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덟번째 좌-센싱전극과 아홉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두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번째 좌-센싱전극과 열한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네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두번째 좌-센싱전극과 열세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여섯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네번째 좌-센싱전극과 열다섯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140)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150)은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구비되는 우-구동라인(1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좌-구동라인(1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구동라인(1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구동라인(1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블럭(SB1)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구동라인(1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구동라인(1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센싱블럭(SB2)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들에 부여된 숫자들은 전압의 송수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기입하였다. 예를들어, 좌-구동전극 및 우-구동전극에 기입된 숫자들은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순서를 의미하고, 좌-센싱전극에 기입된 숫자들은 센싱전압을 검출하는 순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배선들의 선폭은 균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연결배선의 선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컬럼 방향의 하부로 갈수록 좌-구동 연결배선 및 우-구동 연결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좌-구동전극의 폭 및 우-구동전극의 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좌-구동전극과 좌-구동 연결배선간의 영역 및 우-구동전극과 우-구동 연결배선간의 영역에 더미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블럭들 각각이 센싱라인, 상기 센싱라인의 좌측에 배치된 좌-구동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의 우측에 배치된 우-구동라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센싱라인에 정사영되는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구동전극 하나에 2개 이상의 센싱전극들이 대응되므로 구동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싱전극들이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센싱라인 양쪽에 구동라인이 배치되므로 센싱라인의 일측에만 구동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좌-구동라인의 좌-구동전극과 우-구동라인의 우-구동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응하여 하나의 센싱전극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연결배선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들의 수의 증가에 따라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감소하므로 터치인식칩의 패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에서 검출되는 센싱신호들이 메모리에 매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의 정전용량 감지회로로부터 구동신호들은 제1 내지 제8 구동채널들(TX1, TX2, ㅇ, TX8)을 통해 좌-구동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좌-구동전극들 및 우-구동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우-구동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좌-센싱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좌-센싱전극들에는 좌-구동전극들이나 우-구동전극들에 인가되는 구동신호가 유기되어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들은 센싱신호들로 정의되어 제1 내지 제6 센싱채널들(RX1, RX2, ㅇ, RX5, RX6)을 통해 외부의 정전용량 감지회로에 인가된다. 상기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상기 센싱신호들을 근거로 터치좌표를 연산한다. 예를들어, 상기 센싱신호들은 도 3에 도시된 메모리에 매핑되어 터치좌표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터치가 발생되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좌-센싱전극에서 검출되는 센싱신호의 전압 레벨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 레벨에 대응하는 좌-센싱전극에 대응하는 위치를 터치좌표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210), 우-구동라인(220), 좌-센싱라인(230), 우-센싱라인(2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2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2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2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우-구동라인(2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이 상기 좌-구동라인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해당 좌-구동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과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은 서로 마주한다.
상기 좌-센싱라인(2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210) 및 상기 우-센싱라인(2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네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두번째 좌-센싱전극과 세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섯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네번째 좌-센싱전극과 다섯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덟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섯번째 좌-센싱전극과 일곱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덟번째 좌-센싱전극과 아홉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두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번째 좌-센싱전극과 열한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네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두번째 좌-센싱전극과 열세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여섯번째 좌-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네번째 좌-센싱전극과 열다섯번째 좌-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상기 우-센싱라인(2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230) 및 상기 우-구동라인(2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네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두번째 우-센싱전극과 세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섯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네번째 우-센싱전극과 다섯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여덟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섯번째 우-센싱전극과 일곱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여덟번째 우-센싱전극과 아홉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두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번째 우-센싱전극과 열한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네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두번째 우-센싱전극과 열세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되고, 열여섯번째 우-센싱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열네번째 우-센싱전극과 열다섯번째 우-센싱전극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첫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7 센싱채널(RX7)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센싱전극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제8 센싱채널(RX8)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250)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260)은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구비되는 우-구동라인(2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좌-구동라인(2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구동라인(2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구동라인(2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블럭(SB1)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구동라인(2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구동라인(2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센싱블럭(SB2)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블럭들 각각이 좌-센싱라인, 우-센싱라인, 상기 좌-센싱라인의 좌측에 배치된 좌-구동라인 및 상기 우-센싱라인의 우측에 배치된 우-구동라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센싱라인에 정사영되는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우-센싱라인에 정사영되는 하나의 우-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우-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우-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센싱라인의 일측에만 구동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좌-구동라인의 좌-구동전극과 우-구동라인의 우-구동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및 2개 이상의 우-센싱전극들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응하여 하나의 센싱전극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연결배선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들의 수의 증가에 따라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감소하므로 터치인식칩의 패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310), 우-구동라인(320), 좌-센싱라인(330), 우-센싱라인(3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3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3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3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우-구동라인(3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이 상기 좌-구동라인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해당 좌-구동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과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은 서로 마주한다.
상기 좌-센싱라인(3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310) 및 상기 우-센싱라인(3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센싱라인(3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330) 및 상기 우-구동라인(3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상기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에 대해 거울 대칭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350)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360)은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구비되는 우-구동라인(3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좌-구동라인(3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구동라인(3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구동라인(3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블럭(SB1)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구동라인(320)의 마지막 우-구동전극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구동라인(310)의 마지막 좌-구동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센싱블럭(SB2)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사이에는 15개의 구동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컬럼 영역에 배치된 센싱라인의 좌측 및 우측에 구동라인이 배치되므로, 센싱라인의 일측에만 구동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4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410), 우-구동라인(420), 좌-센싱라인(430), 우-센싱라인(4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4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4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4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5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마지막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좌-구동전극들의 크기의 1/2이다.
상기 우-구동라인(4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은 상기 좌-구동전극들에 정사영되는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상기 좌-구동전극들은 서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4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410) 및 상기 우-센싱라인(4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첫번째 좌-구동전극 및 마지막번째 좌-구동전극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두번째 좌-구동전극, 세번째 좌-구동전극 및 네번째 좌-구동전극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센싱라인(4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430) 및 상기 우-구동라인(4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우-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우-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우-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4에서 도시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4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450)의 수는 5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4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 구동채널(TX1)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구동채널(TX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4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3 구동채널(TX3)을 연결하여 상기 제3 구동채널(TX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4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5 구동채널(TX5)을 연결하여 상기 제5 구동채널(TX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450)은 네번째 좌-구동전극과 제7 구동채널(TX7)을 연결하여 상기 제7 구동채널(TX7)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450)은 다섯번째 좌-구동전극과 제9 구동채널(TX9)을 연결하여 상기 제9 구동채널(TX9)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다섯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4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460)의 수는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4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2 구동채널(TX2)을 연결하여 상기 제2 구동채널(TX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4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4 구동채널(TX4)을 연결하여 상기 제4 구동채널(TX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460)은 세번째 우-구동전극과 제6 구동채널(TX6)을 연결하여 상기 제6 구동채널(TX6)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460)은 네번째 우-구동전극과 제8 구동채널(TX8)을 연결하여 상기 제8 구동채널(TX8)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블럭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9 구동채널(TX9)에 인접하는 센싱블럭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싱블럭들(SB1, SB2, SB3) 각각은 좌-구동라인(410), 우-구동라인(420), 좌-센싱라인(430), 우-센싱라인(4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4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4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410)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좌-구동전극(411), 제2 좌-구동전극(412) 및 제3 좌-구동전극(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좌-구동전극들(411, 412, 413) 각각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분기되어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기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의 크기는 상기 제2 좌-구동전극(412)의 1/2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와 상기 분기부들의 수를 조정하여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의 본체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좌-구동전극(412)의 본체부의 길이의 1/2가 되도록 설계하고,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의 좌-분기부의 수를 4개로 설계하고, 상기 제2 좌-구동전극(412)의 분기부의 수를 8개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우-구동라인(420)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우-구동전극(421) 및 제2 우-구동전극(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우-구동전극들(421, 422) 각각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분기되어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기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우-구동전극(421)의 크기와 상기 제2 우-구동전극(422)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우-구동전극(421)의 본체부의 길이와 상기 제2 우-구동전극(422)의 본체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설계하고, 상기 제1 우-구동전극(421)의 분기부의 수와 상기 제2 우-구동전극(422)의 분기부의 수를 8개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좌-센싱라인(430)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좌-센싱전극(431), 제2 좌-센싱전극(432), 제3 좌-센싱전극(433), 제4 좌-센싱전극(434), 제5 좌-센싱전극(435), 제6 좌-센싱전극(436) 및 제7 좌-센싱전극(4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좌-센싱전극들(431, 432, 433, 434, 435, 436, 437) 각각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기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좌-센싱전극들(431, 432, 433, 434, 435, 436, 437) 각각의 분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좌-구동전극들(411, 412, 413) 각각의 분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7 좌-센싱전극들(431, 432, 433, 434, 435, 436, 437)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의 크기의 1/2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7 좌-센싱전극들(431, 432, 433, 434, 435, 436, 437) 각각의 분기부의 수를 2개로 설계하여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의 크기의 1/2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우-센싱라인(440)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우-센싱전극(441), 제2 우-센싱전극(442), 제3 우-센싱전극(443), 제4 우-센싱전극(444), 제5 우-센싱전극(445), 제6 우-센싱전극(446) 및 제7 우-센싱전극(44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우-센싱전극들(441, 442, 443, 444, 445, 446, 447) 각각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기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우-센싱전극들(441, 442, 443, 444, 445, 446, 447)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7 좌-센싱전극들(431, 432, 433, 434, 435, 436, 437) 각각과 거울 대칭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45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좌-구동전극(411), 상기 제2 좌-구동전극(412) 및 상기 제3 좌-구동전극(413) 각각과 연결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46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우-구동전극(421) 및 상기 제2 우-구동전극(422) 각각과 연결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특히, 하나의 터치패널이 2개의 구획들로 구분되어 구동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제3 센싱블럭(SB3), 제4 센싱블럭(SB4), 제5 센싱블럭(SB5) 및 제6 센싱블럭(SB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6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블럭들(SB1, SB2, SB3)과 상기 제4 내지 제6 센싱블럭들(SB4, SB5, SB6)은 서로 다른 구동채널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좌-구동라인(410), 우-구동라인(420), 좌-센싱라인(430), 우-센싱라인(4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4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460)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은 도 6에 도시된 바 있으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좌-구동라인(510), 우-구동라인(520), 좌-센싱라인(530), 우-센싱라인(5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5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5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5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5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마지막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좌-구동전극들의 크기의 1/2이다.
상기 우-구동라인(5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은 상기 좌-구동전극들에 정사영되는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상기 좌-구동전극들은 서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5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510) 및 상기 우-센싱라인(5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첫번째 좌-구동전극 및 마지막번째 좌-구동전극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두번째 좌-구동전극, 세번째 좌-구동전극 및 네번째 좌-구동전극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좌-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좌-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센싱라인(5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530) 및 상기 우-구동라인(5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우-센싱전극과 마지막번째 우-센싱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우-센싱전극들은 한쌍씩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4에서 도시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5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550)의 수는 5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5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0 구동채널(TX10)을 연결하여 상기 제10 구동채널(TX10)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5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2 구동채널(TX12)을 연결하여 상기 제12 구동채널(TX1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5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4 구동채널(TX14)을 연결하여 상기 제14 구동채널(TX1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550)은 네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6 구동채널(TX16)을 연결하여 상기 제16 구동채널(TX16)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550)은 다섯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8 구동채널(TX18)을 연결하여 상기 제18 구동채널(TX18)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다섯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5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560)의 수는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5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11 구동채널(TX11)을 연결하여 상기 제11 구동채널(TX1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5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13 구동채널(TX13)을 연결하여 상기 제13 구동채널(TX1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560)은 세번째 우-구동전극과 제15 구동채널(TX15)을 연결하여 상기 제15 구동채널(TX1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560)은 네번째 우-구동전극과 제17 구동채널(TX17)을 연결하여 상기 제17 구동채널(TX17)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6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610), 우-구동라인(620), 좌-센싱라인(630), 우-센싱라인(6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6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6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6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좌-구동전극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우-구동라인(6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6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은 상기 좌-구동전극들에 정사영되는 영역이 해당 좌-구동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6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610) 및 상기 우-센싱라인(6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좌-센싱라인(6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좌-센싱라인(6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9 센싱채널(RX9)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0 센싱채널(RX10)에 연결된다.
상기 우-센싱라인(6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630) 및 상기 우-구동라인(6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서,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우-센싱라인(6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7 센싱채널(RX7)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8 센싱채널(RX8)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우-센싱라인(6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1 센싱채널(RX1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2 센싱채널(RX12)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6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650)의 수는 6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6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 구동채널(TX1)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구동채널(TX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6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3 구동채널(TX3)을 연결하여 상기 제3 구동채널(TX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6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5 구동채널(TX5)을 연결하여 상기 제5 구동채널(TX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650)은 네번째 좌-구동전극과 제7 구동채널(TX7)을 연결하여 상기 제7 구동채널(TX7)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650)은 다섯번째 좌-구동전극과 제9 구동채널(TX9)을 연결하여 상기 제9 구동채널(TX9)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다섯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6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660)의 수는 6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6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2 구동채널(TX2)을 연결하여 상기 제2 구동채널(TX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6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4 구동채널(TX4)을 연결하여 상기 제4 구동채널(TX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660)은 세번째 우-구동전극과 제6 구동채널(TX6)을 연결하여 상기 제6 구동채널(TX6)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660)은 네번째 우-구동전극과 제8 구동채널(TX8)을 연결하여 상기 제8 구동채널(TX8)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7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710), 우-구동라인(720), 좌-센싱라인(730), 우-센싱라인(7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7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7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7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마지막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의 1/2이다.
상기 우-구동라인(7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3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상기 좌-구동전극들은 서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즉, 하나의 우-구동전극이 상기 좌-구동라인(710)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좌-구동전극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센싱라인(7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710) 및 상기 우-센싱라인(7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고,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4이다. 본 실시예에서,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좌-센싱라인(730)에서,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좌-센싱라인(7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9 센싱채널(RX9)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0 센싱채널(RX10)에 연결된다.
상기 우-센싱라인(7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730) 및 상기 우-구동라인(7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우-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4이다. 본 실시예에서,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우-센싱라인(7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7 센싱채널(RX7)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8 센싱채널(RX8)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우-센싱라인(7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1 센싱채널(RX1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2 센싱채널(RX12)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7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750)의 수는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7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 구동채널(TX1)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구동채널(TX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7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3 구동채널(TX3)을 연결하여 상기 제3 구동채널(TX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7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5 구동채널(TX5)을 연결하여 상기 제5 구동채널(TX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750)은 네번째 좌-구동전극과 제7 구동채널(TX7)을 연결하여 상기 제7 구동채널(TX7)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7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760)의 수는 3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7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2 구동채널(TX2)을 연결하여 상기 제2 구동채널(TX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7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4 구동채널(TX4)을 연결하여 상기 제4 구동채널(TX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760)은 세번째 우-구동전극과 제6 구동채널(TX6)을 연결하여 상기 제6 구동채널(TX6)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8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810), 우-구동라인(820), 좌-센싱라인(830), 우-센싱라인(8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8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8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8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나머지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의 1/2이다. 나머지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우-구동라인(8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지막번째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나머지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의 1/2이다. 나머지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상기 좌-구동전극들은 서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즉, 하나의 우-구동전극이 상기 좌-구동라인(810)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좌-구동전극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상기 우-구동라인(820)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우-구동전극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첫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전체와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이다. 또한, 두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와 세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이다. 또한, 세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세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와 네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이다. 한편, 네번째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네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1/2이므로, 네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네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이다.
상기 좌-센싱라인(8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810) 및 상기 우-센싱라인(8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절반이고,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4이다. 본 실시예에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도 1에서 설명된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상기 좌-센싱라인(8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좌-센싱라인(8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좌-센싱라인(830)의 경우, 홀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9 센싱채널(RX9)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좌-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0 센싱채널(RX10)에 연결된다.
상기 우-센싱라인(8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830) 및 상기 우-구동라인(8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4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우-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4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상기 좌-센싱라인(830)에 구비되는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상기 우-센싱라인(8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우-센싱라인(8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7 센싱채널(RX7)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8 센싱채널(RX8)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우-센싱라인(840)의 경우, 홀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1 센싱채널(RX11)에 연결되고, 짝수번째 우-센싱전극들은 직렬연결되어 제12 센싱채널(RX12)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8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850)의 수는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8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 구동채널(TX1)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구동채널(TX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8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3 구동채널(TX3)을 연결하여 상기 제3 구동채널(TX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8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5 구동채널(TX5)을 연결하여 상기 제5 구동채널(TX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850)은 네번째 좌-구동전극과 제7 구동채널(TX7)을 연결하여 상기 제7 구동채널(TX7)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8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860)의 수는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8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2 구동채널(TX2)을 연결하여 상기 제2 구동채널(TX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8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4 구동채널(TX4)을 연결하여 상기 제4 구동채널(TX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860)은 세번째 우-구동전극과 제6 구동채널(TX6)을 연결하여 상기 제6 구동채널(TX6)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860)은 네번째 우-구동전극과 제8 구동채널(TX8)을 연결하여 상기 제8 구동채널(TX8)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네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9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및 제3 센싱블럭(SB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및 상기 제3 센싱블럭(SB3)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은 좌-구동라인(910), 우-구동라인(920), 좌-센싱라인(930), 우-센싱라인(940),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950) 및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960)을 포함한다.
상기 좌-구동라인(9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의 수는 3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세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1/2이다.
상기 우-구동라인(9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의 수는 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상기 좌-구동전극들은 서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즉, 하나의 우-구동전극이 상기 좌-구동라인(910)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좌-구동전극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상기 우-구동라인(920)에 정사영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우-구동전극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첫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전체와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이다. 또한, 두번째 우-구동전극이 정사영되는 영역은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일부와 세번째 좌-구동전극의 전체이다.
상기 좌-센싱라인(9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910) 및 상기 우-센싱라인(9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3이고, 두번째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6이다. 본 실시예에서, 첫번째 좌-구동전극, 여섯번째 좌-구동전극, 일곱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두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1 센싱채널(RX1)에 연결된다. 또한, 두번째 좌-구동전극, 다섯번째 좌-구동전극, 여덟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한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2 센싱채널(RX2)에 연결된다. 또한, 세번째 좌-구동전극, 네번째 좌-구동전극, 아홉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3 센싱채널(RX3)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좌-센싱라인(930)의 경우, 첫번째 좌-구동전극, 여섯번째 좌-구동전극, 일곱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두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7 센싱채널(RX7)에 연결된다. 또한, 두번째 좌-구동전극, 다섯번째 좌-구동전극, 여덟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한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8 센싱채널(RX8)에 연결된다. 또한, 세번째 좌-구동전극, 네번째 좌-구동전극, 아홉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9 센싱채널(RX9)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좌-센싱라인(930)의 경우, 첫번째 좌-구동전극, 여섯번째 좌-구동전극, 일곱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두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13 센싱채널(RX13)에 연결된다. 또한, 두번째 좌-구동전극, 다섯번째 좌-구동전극, 여덟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한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14 센싱채널(RX14)에 연결된다. 또한, 세번째 좌-구동전극, 네번째 좌-구동전극, 아홉번째 좌-구동전극 및 열번째 좌-구동전극은 직렬연결되어 제15 센싱채널(RX15)에 연결된다.
상기 우-센싱라인(9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930) 및 상기 우-구동라인(9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의 수는 12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센싱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첫번째 우-구동전극의 크기의 대략 1/4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센싱채널들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외하고 상기 좌-센싱라인(930)에 구비되는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제4 센싱채널(RX4)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센싱전극은 제5 센싱채널(RX5)에 연결되며, 세번째 우-센싱전극은 제6 센싱채널(RX6)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상기 우-센싱라인(940)의 경우,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0 센싱채널(RX10)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1 센싱채널(RX11)에 연결되며, 세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2 센싱채널(RX1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상기 우-센싱라인(940)의 경우, 첫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6 센싱채널(RX16)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7 센싱채널(RX17)에 연결되며, 세번째 우-센싱전극은 제18 센싱채널(RX18)에 연결된다.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950)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950)의 수는 3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950)은 첫번째 좌-구동전극과 제1 구동채널(TX1)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구동채널(TX1)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첫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950)은 두번째 좌-구동전극과 제3 구동채널(TX3)을 연결하여 상기 제3 구동채널(TX3)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950)은 세번째 좌-구동전극과 제5 구동채널(TX5)을 연결하여 상기 제5 구동채널(TX5)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세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960) 각각은 상기 우-구동전극들과 구동채널들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960)의 수는 2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960)은 첫번째 우-구동전극과 제2 구동채널(TX2)을 연결하여 상기 제2 구동채널(TX2)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좌-구동전극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960)은 두번째 우-구동전극과 제4 구동채널(TX4)을 연결하여 상기 제4 구동채널(TX4)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두번째 우-구동전극에 인가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터치패널 SB1 : 제1 센싱블럭
SB2 : 제2 센싱블럭 SB3 : 제3 센싱블럭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 좌-구동라인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920 : 우-구동라인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930 : 좌-센싱라인
140, 240, 340, 440, 540, 640, 740, 840, 940 : 좌-구동 연결배선들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950 : 우-구동 연결배선들
TX1, TX2, TX3, TX4, TX5, TX6, TX7, TX8, TX9 : 구동채널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 센싱채널

Claims (9)

  1.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블럭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복수의 좌-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일측에 배치된 좌-구동라인;
    복수의 우-구동전극들을 포함하고 타측에 배치된 우-구동라인; 및
    복수의 좌-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라인과 상기 우-구동라인 사이에 배치된 좌-센싱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는 하나의 좌-구동전극이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을 커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좌-센싱전극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상기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좌-구동 연결배선들; 및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우-구동 연결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구동 연결배선들과 상기 우-구동 연결배선들은 서로 거울 대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복수의 우-센싱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센싱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우-센싱라인을 더 포함하되,
    인접하는 한쌍의 우-센싱전극들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한쌍의 우-센싱전극들은 교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상기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와 상기 우-센싱전극들간의 연결 구조는 서로 거울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좌-구동전극의 크기와 상기 우-구동전극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좌-구동전극들 각각에는 구동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상기 우-구동전극들 각각에는 상기 구동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되며,
    동일한 로우에 배치된 좌-구동전극 및 우-구동전극에는 동일한 구동전압이 동일한 시간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구동전극들중 첫번째 로우와 마지막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두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의 크기는 첫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좌-구동전극의 크기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구동전극과 상기 우-구동전극은 서로 교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좌측에 배치된 센싱블럭과 상기 터치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센싱블럭은 서로 다른 구동채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30111370A 2013-09-16 2013-09-16 터치패널 Active KR10214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370A KR102140236B1 (ko) 2013-09-16 2013-09-16 터치패널
PCT/KR2014/008172 WO2015037853A1 (ko) 2013-09-16 2014-09-02 터치패널
CN201480051069.5A CN105556435A (zh) 2013-09-16 2014-09-02 触摸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370A KR102140236B1 (ko) 2013-09-16 2013-09-16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767A true KR20150031767A (ko) 2015-03-25
KR102140236B1 KR102140236B1 (ko) 2020-07-31

Family

ID=5266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370A Active KR102140236B1 (ko) 2013-09-16 2013-09-16 터치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40236B1 (ko)
CN (1) CN105556435A (ko)
WO (1) WO201503785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87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센서패널
KR20210074182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US20220253173A1 (en) * 2019-04-02 2022-08-11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767A1 (en) * 2014-03-27 2015-10-28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1168607A1 (zh) * 2020-02-24 2021-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触控面板及触控驱动方法
CN114967982B (zh) * 2022-08-01 2023-09-01 深圳贝特莱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的信号接收电路、扫描方法及系统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539A1 (en) * 2006-07-06 2008-01-10 Steve Hotelling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KR100885730B1 (ko) 2007-03-05 2009-02-26 (주)멜파스 단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접촉위치 감지 패널
KR20090130101A (ko) * 2007-04-05 2009-12-17 아트멜 코포레이션 이차원 위치 센서
US20100149108A1 (en) * 2008-12-11 2010-06-17 Steve Porter Hotelling Single layer touch panel with segmented drive and sense electrodes
KR20100083012A (ko) 2009-01-12 2010-07-21 (주)미래디피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US20100301879A1 (en) * 2007-08-26 2010-12-02 Harald Philipp Capacitive sensor with additional electrode
US20110048813A1 (en) * 2009-09-03 2011-03-03 Esat Yilmaz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KR101112780B1 (ko) * 2011-05-13 2012-03-1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터치 위치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 터치 패널 센서 장치
KR101169250B1 (ko)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KR20120094982A (ko) 2011-02-18 2012-08-28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20130035833A (ko) 2011-09-30 2013-04-09 (주)멜파스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KR101293165B1 (ko) 2011-06-20 2013-08-14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539A1 (en) * 2006-07-06 2008-01-10 Steve Hotelling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KR100885730B1 (ko) 2007-03-05 2009-02-26 (주)멜파스 단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접촉위치 감지 패널
KR20090130101A (ko) * 2007-04-05 2009-12-17 아트멜 코포레이션 이차원 위치 센서
US20100301879A1 (en) * 2007-08-26 2010-12-02 Harald Philipp Capacitive sensor with additional electrode
US20100149108A1 (en) * 2008-12-11 2010-06-17 Steve Porter Hotelling Single layer touch panel with segmented drive and sense electrodes
KR20100083012A (ko) 2009-01-12 2010-07-21 (주)미래디피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US20110048813A1 (en) * 2009-09-03 2011-03-03 Esat Yilmaz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KR20120094982A (ko) 2011-02-18 2012-08-28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1112780B1 (ko) * 2011-05-13 2012-03-1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터치 위치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 터치 패널 센서 장치
KR101293165B1 (ko) 2011-06-20 2013-08-14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KR20130035833A (ko) 2011-09-30 2013-04-09 (주)멜파스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KR101169250B1 (ko)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87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센서패널
WO2020197088A3 (ko) * 2019-03-26 2020-11-19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센서패널
US11861112B2 (en) 2019-03-26 2024-01-02 Hideep Inc. Touch sensor panel
US20220253173A1 (en) * 2019-04-02 2022-08-11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US12079427B2 (en) * 2019-04-02 2024-09-03 Hideep Inc. Input touch device that detects the amount of negative capacitance change due to coupling between an object and a predetermined driving electrode
KR20210074182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236B1 (ko) 2020-07-31
CN105556435A (zh) 2016-05-04
WO2015037853A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3689B (zh) 驱动芯片、电路膜、膜上芯片型驱动电路及显示装置
KR10204447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센싱 컨트롤러 및 터치 센싱 시스템
TWI606379B (zh) 具有整合觸控面板的顯示裝置
EP3183638B1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gesture detection and tracking
CN105511705B (zh) 触控面板、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31767A (ko) 터치패널
US20160170533A1 (en) Switched-electrode capacitive-measurement device for touch-sensitive and contactless interfaces
KR101604395B1 (ko) 터치 디바이스
KR102178134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CN109388290B (zh) 一种柔性显示装置、触控位置确定方法以及电子设备
US20140293163A1 (en) Touch panel
CN107256101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433052B1 (ko) 상호정전용량 터치감지 패널
CN104063100A (zh) 静电电容式触摸板
TW201602871A (zh) 觸碰感測裝置、包含該觸碰感測裝置的顯示裝置以及觸碰感測方法
TWI443570B (zh) 未接地的觸控輸入裝置及其控制裝置
CN102411449B (zh) 触控显示面板
CN104571767A (zh) 触控面板、显示装置及触摸驱动方法
US20190114018A1 (en) Active Matrix Touch Panel With Narrow Bezel
CN107015701A (zh) 整合触控的显示面板
CN105760013B (zh)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1569696B1 (ko) 터치패널
US10884511B2 (en) Input device with key input and 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5047986B (zh) 触控显示面板及其工作方法、显示装置
KR20210056850A (ko) 햅틱 시스템, 햅틱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