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662A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1662A KR20150031662A KR20130111131A KR20130111131A KR20150031662A KR 20150031662 A KR20150031662 A KR 20150031662A KR 20130111131 A KR20130111131 A KR 20130111131A KR 20130111131 A KR20130111131 A KR 20130111131A KR 20150031662 A KR20150031662 A KR 201500316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le value
- image
- frame
- moving picture
- fa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5000019562 intensity of smel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 및 동영상 파일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촬영 중 각도 값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촬영 후 각도 값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프레임의 각도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된 음원의 위치를 동영상 프레임의 각도 값 데이터와 매칭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각도 값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동영상 재생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장치의 동영상 재생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1, 411, 511, 521: 표시 화면
110: 수평 각도 값 120: 수직 각도 값
210: 촬영부 310: 동영상 저장부
200, 300: 각도 값 생성부
220, 320: 저장부 330: 재생부
Claims (21)
- 영상 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미리 결정된 인자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 상기 인자에 대응되는 대상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장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연속하여 재생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도 값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대상의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값은 상기 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의 수평 위치 또는 수직 위치를 나타내는 값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각도 값은 연속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에 대해 선형적으로 변하는 값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의 재생 순서에 따라 상기 대상의 위치를 향해 대해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상기 각도 값의 기준 좌표를 포함하는 각도 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상기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각도 값을 더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값은 상기 영상 프레임과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 값을 참조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각도 값을 읽어내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는 소리 크기, 소리의 주파수, 소리의 빈도, 냄새의 강도, 냄새의 종류, 색상의 종류, 색상의 농도, 색상의 출현 빈도, 색상의 분포도 또는 미리 결정된 객체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는 복수의 인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자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의 촬영 중에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에 따라 상기 각도 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도 값을 상기 영상 프레임이 저장되는 동영상 파일에 삽입하거나 상기 동영상 파일과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각도 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이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참조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에 따른 상기 각도 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도 값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삽입하거나 상기 동영상 파일과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각도 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360도의 회전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360도 회전 영상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1.5배 이상 긴 광폭 영상 또는 파노라마 영상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폭 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영상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영상 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좁은 협폭 영상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상기 협폭 영상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영상 재생 장치.
-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갖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미리 결정된 인자에 따라, 상기 인자에 대응되는 대상의 상기 복수의 동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도 값 정보를 산출하는 각도 값 생성부; 및
상기 산출된 각도 값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값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에 대해 각각 산출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각도 값 정보는 상기 동영상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에 삽입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동영상 파일과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서 저장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값 생성부는 상기 각도 값의 기준 좌표를 포함하는 각도 값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에 삽입하는 영상 재생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 안에 360도의 회전 영상을 포함하는 동영상 또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 안에 포함된 영상이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1.5배 이상 긴 파노라마 영상인 영상 재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131A KR20150031662A (ko) | 2013-09-16 | 2013-09-16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131A KR20150031662A (ko) | 2013-09-16 | 2013-09-16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2838A Division KR20200133691A (ko) | 2020-11-16 | 2020-11-16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662A true KR20150031662A (ko) | 2015-03-25 |
Family
ID=5302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1131A Ceased KR20150031662A (ko) | 2013-09-16 | 2013-09-16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166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0153A1 (ko) * | 2016-05-16 | 2017-11-23 | 한국과학기술원 | 360도 영상 재생 시 사용자 단말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영역을 보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101583A (ko) * | 2019-02-20 | 2020-08-28 | ㈜브이리얼 | Vr 영상 컨텐츠 제작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US11067902B2 (en) * | 2017-08-07 | 2021-07-20 | Asml Netherlands B.V. | Computational metrology |
-
2013
- 2013-09-16 KR KR20130111131A patent/KR20150031662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0153A1 (ko) * | 2016-05-16 | 2017-11-23 | 한국과학기술원 | 360도 영상 재생 시 사용자 단말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영역을 보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US10600188B2 (en) | 2016-05-16 | 2020-03-24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field of view us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upon playback of 360-degree image |
US11067902B2 (en) * | 2017-08-07 | 2021-07-20 | Asml Netherlands B.V. | Computational metrology |
KR20200101583A (ko) * | 2019-02-20 | 2020-08-28 | ㈜브이리얼 | Vr 영상 컨텐츠 제작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5205B2 (en) | Processing of images to represent a transition in viewpoint | |
US1027789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viewing panoramic images having motion parallax depth perception without image stitching | |
US10681276B2 (en) | Virtual reality video processing to compensate for movement of a camera during capture | |
US20100013738A1 (en) | Image capture and display configuration | |
TWI547901B (zh) | 模擬立體圖像顯示方法及顯示設備 | |
US20230154106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 |
US11232626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pre-visualization | |
US20130162628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film pre-visualization | |
TW201501510A (zh) | 多視角影像之顯示系統、方法及其非揮發性電腦可讀取紀錄媒體 | |
WO2020166376A1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0258768A (ja) |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US20250193361A1 (en) | Techniques for displaying and capturing images | |
JP5818322B2 (ja) | 映像生成装置、映像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150031662A (ko)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
JP2021197082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230033201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WO2002087218A2 (en) | Navigable camera array and viewer therefore | |
JP2006310936A (ja) | 任意視点映像生成システム | |
JP7353821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AU2018203096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film pre-visualization | |
KR20200133691A (ko) | 동영상 장치 및 그것의 동영상 생성 및 재생 방법 | |
US8054332B2 (en) | Advanced input controller for multimedia processing | |
JP2020095465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838246B1 (ko) |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캡처하기 위한 기법 | |
JP7123222B1 (ja)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