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0636A -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한 자동 플랫브레드 제빵방법 및 제빵기 - Google Patents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한 자동 플랫브레드 제빵방법 및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636A
KR20150030636A KR1020147026405A KR20147026405A KR20150030636A KR 20150030636 A KR20150030636 A KR 20150030636A KR 1020147026405 A KR1020147026405 A KR 1020147026405A KR 20147026405 A KR20147026405 A KR 20147026405A KR 20150030636 A KR20150030636 A KR 2015003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dough
plate
capsules
f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를로스 루이스
요내스 뮬러
루이즈 레나우드 폴 프랑세 프라콘
Original Assignee
플라테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테브 아게 filed Critical 플라테브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3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63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3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for baking pancak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2Ready-for-oven dough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2Ready-for-oven doughs
    • A21D10/025Packaged dough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2Tortilla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3Flatbreads, e.g. naa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가정이나 기업에서 사용되는 제빵기에 의해 토르티야와 같은 플랫프레드를 자동으로 조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밀가루 반죽이 유통수명이 긴 냉장 저장과 비냉장 저장에 적합하게 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캡슐(3) 안에 단위 밀가루 반죽이 포장된다. 컵 모양의 캡슐(3)은 호일(18)에 의해 기밀 밀봉되고,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로 컨베이어 벨트(40)로 이송된다. 호일(18)은 호일을 파지하고 그것을 찢는 두 개의 인접한 샤프트(43, 44)에 의해 제거된다. 캡슐(3)은 그 후 홀딩 링(45)에 위치하고 단위 밀가루 반죽(28)이 하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 위로 떨어진다.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가 밀가루 반죽을 압착하고 굽기 위해서 엑츄레이터(47)에 의해 선회하여 내려온다. 상부 플레이트(7)를 들어올린 이후에, 완성된 플렛브레드가 제빵기로부터 미끄러저 나간다.

Description

밀가루 반죽 캡슐과 포장 시스템에 기초한 자동 플랫브레드 조제 방법이 구현된 플랫브레드 제빵기{FLATBREAD MACHINE WITH AN AUTOMATIC FLATBREAD PREPARATION METHOD BASED ON DOUGH CAPSULES AND A PACKAGING SYSTEM}
플랫브레드(Flatbread, 번역자주: ?은 두께의 빵, 보통 원 모양을 이룬다)는 매일 수백 만개가 생산되고 있다. 대개 플랫브래드를 미리 제조하지 않고 필요할 때 준비한다. 그러나 홈메이드의 갓 만들어낸 플랫브레드의 전통적인 제조 방법은 오늘날 여전히 매우 수고스럽다. 플랫브레드를 만들기 위한 정확한 점도와 향미를 지닌 신선한 밀가루 반죽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드는데다가 노하우와 경험을 요한다. 현재 가정용 기계나 레스토랑 같은 작은 회사에서 사용되는 공업화된 기계가 그런 작업을 단순화하고 있지만 홈메이드 플랫브레드의 제조는 여전히 매우 수고스럽다. 완전히 자동화된 프로세스에서 토르티야를 제조할 수 있는 오늘날의 기계들은 크고 인간에 의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런 것들은 가정에서 설치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나 작은 회사들이 산업적으로 제조된 플랫브레드를 사는 이유이며, 그런 플랫브레드는 종종 많은 양으로 만들어진다.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그와 같은 플랫브레드는 대중 생산에 따른 품질의 문제가 있고, 유통기한이나 방부재로 인해서 자연적인 신선함이 떨어진다.
반죽용 밀가루와 물과 다른 재료를 섞는 과정에는 밀가루 반죽의 점도와 질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이 있다. 예컨대 물의 온도는 그 점도와 맛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는 충분한 경험, 노하우 또는 시간이 없이는 사람이 행하기에 매우 복잡하다.
드러몬드 등이 제안한 미국 특허 제5,366,744호와 같은 특허는유통수명이 긴 냉장 저장에 적합한 포장된 효모 사용 밀가루 반죽을 만드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트레이에서 밀가루 반죽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소비자는 제빵 과정에서 트레이로부터 밀가루 반죽을 제거해야만 하며, 그것을 베이킹 시트나 다른 적당한 기구에 위치시켜야 한다.
현재는 마켓에서 이용할 수 있는 예비-제빵된(pre-baked) 플랫브레드만이 있을 뿐이다. 이 플랫브레드는 전체 베이킹 프로세스에서 부분적으로만 베이킹된 다음에 플라스틱 포장용기 안으로 포장된다. 먹기 전에 이들 플렛브레드는 전자레인지나 스토브 안에서 완전히 제빵되어 완성된다. 그러나 그런 플랫브레드의 맛은 홈메이드로 즉시 만든 플랫브레드의 풍부함과 신선함에 결코 이를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완전히 자동화되며 즉시 조제할 수 있고 모든 종류와 유형의 플랫 브레드를 제빵할 수 있는 것에 관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런 장치 안에 저장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단위 밀가루 반죽(dough portions)을 즉시 포장하고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으로써 신선하게 만들어진 플랫브레드를 언제라도 즉시 배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어느 때라도 신선하게 만들어진 플랫브레드를 베이킹하고 배달할 수 있는 가정용 혹은 기업용 플랫브레드 제빵 기(flatbread machine)를 이용하여 토르티야(tortilla), 난(naan), 러티(ruti), 피아디나(piadina) 등의 플랫브레드의 완전 자동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혁신은 밀가루 반죽이 유통수명이 긴 냉장 저장과 비냉장 저장에 적합하게 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캡슐로 포장된 단위 밀가루 반죽을 포함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국면들, 단위 밀가루 반죽을 포장하는 과정, 단위 밀가루 반죽을 처리하는 장치, 그리고 그것의 베이킹과 딜리버리가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느 장치 도식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장치 도식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3은 한 개의 플랫브레드에 대한 단위 밀가루 반죽이 들어 있는 캡슐을 나타낸다.
도 4는 한 개의 플랫브레드에 대한 단위 밀가루 반죽이 들어 있는 캡슐의 두 개의 반분을 나타낸다.
도 5는 한 개의 플랫브레드에 대한 단위 밀가루 반죽이 들어 있는 다른 타입의 캡슐의 두 개의 반분을 나타낸다.
도 6은 한 개의 플랫브레드에 대한 단위 밀가루 반죽이 들어 있는 캡슐의 개봉과 비움을 나타낸다.
도 7은 단위 밀가루 반죽이 캡슐로부터 떨어질 때의 순간을 나타낸다.
도 8은 덮개를 가진 한 개의 실린더형 캡슐을 나타낸다.
도 9는 바닥면 위로 놓여 막힌 실린더형 캡슐 열을 나타낸다.
도 10은 캡슐 열의 이동에 따라 캡슐로부터 배출되는 한 개의 단위 밀가루 반죽이 쏟아지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른 형태의 캡슐 열의 이동에 따라 캡슐로부터 배출되는 한 개의 단위 밀가루 반죽을 분리해 내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장치 안에서 단위 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두 개의 뜨거운 플레이트 사이에 집어넣은 단위 밀가루 반죽을 베이킹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장치 안에서 롤링 핀으로 단위 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장치 안에서 압착대로 단위 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은 베이킹 플레이트를 뒤집음으로써 베이킹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베이킹된 플랫브레드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은 베이킹 플레이트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베이킹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베이킹된 플랫브레드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8은 한쪽 측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바라본 플랫브레드 제빵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플랫브레드 제빵기의 반대쪽 측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바라본 플랫브레드 제빵기를 나타낸다.
도 20은 밀가루 반죽 캡슐을 개방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기능하는 제빵기로서 한쪽 측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바라본 또 다른 플랫브레드 제빵기를 나타낸다.
도 21은 호일로 위쪽을 밀봉한 컵 모양의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22는 미리 정해진 폴딩 라인(Folding lines)을 가진 컵 모양의 접이식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23은 접힘 상태에 있는 도 22의 접이식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24는 호일로 위쪽을 밀봉하며 둘러쌓인 홈(surrounding grove)을 형성하는 상부 엣지를 갖는 컵 모양의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25는 호일로 위쪽을 밀봉하며 둘러쌓인 홈을 형성하는 상부 엣지를 가지며 그리고 미리 정해진 폴딩 라인을 가진 컵 모양의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26은 컵 모양 밀가루 반죽 캡슐 밀봉용으로 연약선(weakening line)을 가진 원판 모양 호일 피스(foil piece)를 나타낸다.
도 27은 컵 모양 밀가루 반죽 캡슐 밀봉용으로 호일 피스를 횡단하는 복수의 연약선들을 가지는 원판 모양 호일 피스를 나타낸다.
도 28은 컵 모양 밀가루 반죽 캡슐 밀봉용으로 십자 모양의 연약선들을 가지는 원판 모양 호일 피스를 나타낸다.
도 29는 두 개의 중공의 반구(hollow hemispheres)으로 구성되는 볼 모양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30은 증발가능한 호일(evaporizable foil) 안으로 캡슐화된 볼 모양 밀가루 반죽을 나타낸다.
도 31은 증발가능한 호일(evaporizable foil) 안으로 캡슐화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을 나타낸다.
도 32는 호일 재료 안으로 캡슐화되고 포장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을 나타낸다.
도 33은 스택 안에 쌓아 올려지고 채워진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34는 블리스터 패키징(blister packaging)으로 배열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35는 카드보드 박스로 줄지어 배열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36은 포카요케 시스템(pokayoke-system)에 의해서 제빵기 안으로 삽입되기 전의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37은 플랫브레드 제빵기에 넣기 위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의 컨베잉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8은 플랫브레드 제빵기에 넣기 위한 플렛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의 회전식 컨베이어를 나타낸다.
도 39는 플랫브레드 제빵기에 넣기 위한 플렛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 스텍을 나타낸다.
도 40은 캡슐의 밀봉 호일을 벗기는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의 개봉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1은 밀봉 호일을 잘라서 개봉하기 전의 그리고 그것을 압착하여 접기 전의 접이식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42는 밀봉 호일을 잘라서 개방하고 피스톤으로 캡슐의 바닥을 압하함으로써 캡슐이 압착하여 접어서 밀가루 반죽이 내려가도록 되는 도 41의 접이식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을 나타낸다.
도 43은 떼어내어 서로 분리시키는 레일에 의해서 볼 모양 밀가루 반죽을 개봉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4 오리피스(orifices)를 가진 두 개의 밀봉되어 연결된 쉘(sealingly connected shells)로 구성되는 캡슐과 캡슐을 수용하고 개봉하고 반송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5는 캡슐을 개봉하고 비우는 동안의 도 44의 캡슐과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6은 캡슐을 처리하는 동안의 도 44의 캡슐과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7은 밀가루 반죽 볼을 밀착하여 납작하게 만드는 평행식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48은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만들기 위한 하부 수평 정지플레이트와 상부 회전 플레이트를 갖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49는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만들며 이어서 납작하게 된 밀가루 반죽을 배출하기 위한 상부 수평 플레이트와 하부 회전 플레이트를 갖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50은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만들며 이어서 납작하게 된 밀가루 반죽을 배출하기 위한 상하부 회전 플레이트를 갖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51은 상하부 수평 플레이트를 갖는 프레스 플레이트로서, 상부 수평 플레이트는 밀가루 반죽 볼을 삽입하기 위한 임시 홀을 만드는 이동식 스탬프를 갖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52는 클리닝 목적의 해제 가능한 히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53은 세 가지 다른 온도에 있어 시간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보여줌으로써 가압 가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시작점은 적절한 밀가루 반죽을 즉시 저장하기 위한 패키징 시스템이다. 밀가루 반죽은 한 개의 플랫브레드에 대한 일인분으로 이루어진 캡슐들로 캡슐화되어 있다. 이 형태와 모양으로 단위 밀가루 반죽은 적어도 3주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이 캡슐들은 플랫브레드 제빵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봉되고 처리되도록 특별히 디자인된다. 플랫브레드 제빵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으로 각각의 캡슐화된 밀가루 반죽을 개봉하거나 특정 부분을 제거할 필요 없이, 완전히 자동으로 캡슐 안에 들어 있는 밀가루 반죽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플랫브레드를 준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빵기이나 제빵장치는 도식에 표현된 3개의 요소들: 각 단위 밀가루 반죽이 들어 있는 캡슐(3)들을 수용하는 공급칸(2)을 수납하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캡슐(3)들은 베이킹 플레이트(7, 8)들을 향하는 컨베이어 시스템(4)에 의해 운송될 것이며, 다음으로 개봉 시스템(5)에 의해 개봉되고 비어질 것이다. 빈 캡슐(3)들은 폐기물 수용부(6) 안으로 이송되며, 밀가루 반죽은 베이킹 플레이트(7, 8)의 사이에 떨어지고, 그 사이에서 납작한 형태로 눌려진다. 그런 다음에 가열된 베이킹 플레이트(7, 8)들은 제빵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플레이트(7, 8)가 열리고 보온 시스템(10)이 갖춰진 수용부(9) 안으로 신선하게 만들어진 플랫브레드를 내보내거나 배출한다.
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캡슐(3)들은 체인이나 열(11)을 통해서 장치로 이송되고 있다. 그것들은 단부 위치에 이르러 기계적으로 유압식이나 공압식으로 개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3)의 플런저(12)가 밑으로 이동하며 캡슐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 압력 하에서 캡슐(3)의 하부측(lower side)에서의 밀봉 호일이 터지며 그러면 단위 밀가루 반죽은 그 제빵기의 하우징(1) 안으로 리딩 파이프를 통해서 떨어지며, 따라 터지고, 베이킹 플레이트(7, 8)들의 사이로 내려가게 된다. 하부 베이킹 플레이트(8)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공압식,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피스톤(14)에 의해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제빵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하부 베이킹 플레이트(8)는 다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내려가고, 완성된 플랫브레드가 보온 시스템(10)에 의해서 보온되는 수용부(9)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자동으로 다음 밀가루 반죽 캡슐(3)이 필요에 따라 다음 플랫브레드를 준비하기 위해서 플런저(12)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만일 제빵기 내부에 더 많은 캡슐(3)들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빵기는 공급칸이나 열(3)이 비게 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할 것이며 그렇게 해서 모든 플랫브레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마지막으로 플랫브레드 수용부(9)로부터 서랍(drawer) 안에서 요리된 것 같은 완성된 플랫브레드들을 빼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은 밀가루 반죽 캡슐(3)을 포함하며, 그것은토르티야(tortilla), 난(naan), 피타(pita),러티(ruti), 피아디나(piadina) 등의 플랫브레드를 만들기 위한 신선한 밀가루 반죽의 적어도 일인분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패드 또는 패키지로 여기서 정의된다. 밀가루 반죽 캡슐의 형태는 원형, 큐빅, 원통형(캔이나 캐니스터), 포우치(pouch),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이 될 수 있다. 제빵기의 종류와 그것에 상응하는 개봉 시스템에 따라서는 상기 캡슐은 밀가루 반죽 덩어리를 둘러싸고 밀봉하는 적어도하나의 단위 피스(single piece)로 구성될 수 있다. 캡슐의 형태는 제빵기 시스템이 사용자가 어떤 것을 열고 분리해 낼 필요 없이 캡슐로부터 자동으로 밀가루 반죽을 개봉하고 분리하거나 내놓을 수 있게 해야 한다.그러나 그 형태는 작은 크기로 단순하고도 휴대하기 편함으로써 경제적이어야한다.
우선 주요하게는 밀가루 반죽의 점도와 배후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냉장 보관이나 비냉장 보관 양 측면에서 가능한 오랫 동안 밀가루 반죽이 유지되어야 한다. 캡슐 재료는 예컨대 부드럽고 생분해성이 있으며 유연하고 강성이 있거나 반강성이거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다만 그런 재료적 특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의 재료나 그것들 - 알루미늄, 종이, 판지, 캔이나 캐니스터, 플라스틱이나 고분자 물질 - 의 조합은 플랫브레드 제빵기의 종류나 밀가루 반죽 제품에 따라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스트에 없는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캡슐의 재료와 형태는 제빵기의 개봉 시스템과 상호 관계를 갖는데, 밀가루 반죽이 캡슐에 달라붙지 말아야 하며 캡슐의 일부가 밀가루 반죽과 함께 압착 플레이트로 이송되지 않는 적절한 방법이어야 한다.
소비자들은 스스로 밀가루 반죽 캡슐을 개봉하지 말아야 한다. 밀가루 반죽 캡슐(3)은 플랫브레드 제빵기 시스템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봉되거나, 또는 개봉을 행하는 레버 혹은 커버에 의해서 제빵기를클로징함으로써개봉될 수 있다. 캡슐(3)이 개봉되지 않았거나 그 전에 손상된 경우에만 제빵기 시스템이 캡슐(3)을 개봉한다. 이는 플랫브레드 제빵기만이 인식하는 캡슐(3)상의 칩이나 코드로 행해질 수 있다(칩이나 코드는 예시적일뿐 그것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캡슐(3)의 디자인은 예컨대 제빵기가 캡슐로부터 밀가루 반죽을 쉽게 분리하도록 하는 연약점(weak poi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동시에 캡슐(3)의 어떤 조각도 다음 레벨로의 분리와 이송에 의해서 밀가루 반죽에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장해 줄 수 있다.
동질의 밀가루 반죽 덩어리를 만들기 위해서, 밀가루, 물, 소금과 이스트나 다른 미생물 같은 기타 성분이나, 팽창제, 유화제, 효소 등이 적절한 양으로 혼합된다. 밀가루 반죽 제품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밀가루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콘 토르티야를 위한 흰색, 노란색, 및 파란색 콘(Zea Maize) 가루 또는 밀 토르티야를 위한 밀가루, 테프(teff) alc 다른 기본 재료들이 서로 다른 플랫브레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할라페뇨, 토마토, 치즈, 꿀, 마늘 및 다른 허브, 향료, 및 향을 주기 위한 액체로서 와인, 맥주, 콩 소스와 같은 요소들이 밀가루 반죽 덩어리에 추가될 수 있다. 밀가루 반죽은 발효되거나, 화학적으로 부풀려질 수 있고, 방수 처리하거나 방수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be proofed or un-proofed). 자연 이스트(saccharomyces cerevisae), 베이킹 파우더(Sodiumbicarbonate) 또는 다른 이스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적절한 보존용 재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덩어리의 요소들은 밀가루 반죽이 만들어지는 과정 중에 결합되고 치대질 수 있다. 콘 토르티야의 전형적인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모든 퍼센티지는 밀가루 반죽의 중량에 관련된다).
- 콘가루: 46±5% 건조된, 닉스타말화된(nixtamalized) 콘 가루, 수분: 13%±2%
- 물: 54±5% 온도, 80-95℃ (연수)
- 첨가물: <=2% 소금 또는 알코올, 소듐 바카보네이트(sodium bacarbonate), 소듐 프로피오네이트(sodium propionate), 포타슘 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소르빈 에시드(sorbic acid)과 같은 다른 보존제, 또는 NDA에서 승인한 재료
밀 토르티야의 전형적인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모든 퍼센티지는 밀가루 반죽의 중량에 관련된다.
- 밀가루: 68%. 백색 가루 종류 440, 단백질 함량: 9.5-11.5%. 수분 함량: 13-14%
- 물: 27.5%
- 소금: 1%
- 식물성 지방: 2%
- 베이킹 파우더: 1%
- 산미료: 0.3%
- 보존제: 0.13%
- 반죽 개량제(dough conditioner): 변동가능
방부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소금 또는 알코올, 소듐 바카보네이트(sodium bacarbonate), 소듐 프로피오네이트(sodium propionate), 포타슘 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소르빈 에시드(sorbic acid)과 같은 다른 보존제, 또는 NDA에서 승인한 재료가 선호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올바른 토르티야는 6mm보다 두껍지 않고, 둥글거나, 네모지거나, 타원형이거나,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맛이 신선함에 매우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사용자는 제빵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제빵기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난 후, 사용자는 예를 들면 버튼을 누르거나 칸을 당겨 꺼내는 것에 의해 제빵기의 공급칸을 열 수 있다. 그리고 난 후, 사용자는 캡슐을 열거나 무언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밀가루 반죽 캡슐을 제빵기의 공급칸에 넣는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 예를 들면 각각의 밀가루 반죽 캡슐을 칸의 특정한 위치에 밀어 넣거나, 예를 들면 리볼버 시스템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면 캡슐이 하나 하나 놓여지는 레일 같은 형상을 하는 공급 시스템 안으로 개별 밀가루 반죽 캡슐을 넣음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버튼을 누르거나 칸을 제빵기 안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제빵기의 공급칸을 닫을 수 있다.
소비가가 캡슐(3)을 개봉하거나 무언가를 제거하지 않아도 제빵기는 밀가루 반죽 캡슐(3)을 전부 자동으로 개봉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 예를 들면 다른 방법으로 캡슐(3)을 누르거나, 그것을 깨뜨리고 밀가루 반죽으로부터 그것을 분리하기 위해 캡슐의 일부를 절개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의 예는 가능한 캡슐(3)과 그것의 개봉 시스템을 도시한다. 만약 예를 들어 밀가루 반죽 캡슐(3)이 예를 들면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반강성의 물질로 이루어져있고, 캡슐(3)의 형상이 도 3과 같이 원형이면, 제빵기는 캡슐(3)의 특정 위치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밀가루 반죽 캡슐의 상부를 플런저로 압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캡슐(3)이 개봉되고 밀가루 반죽이 압착되고 구워지기 위해 제빵기의 다음 레벨로 떨어질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개별 플랫브레드를 위한 단위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볼 모양 캡슐의 두 개의 반분을 나타낸다. 두 개의 반분은 서로 맞추어지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둥근 모서리를 따라 서로 용접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특이한 두 개의 강성의 경계와 알루미늄으로부터의 강성의 물질로 된 캡슐의 몸체와 알루미늄으로부터의 반강성 물질로 된 캡슐의 중앙부의 약한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형태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 부분은 도면의 우측에 있는 캡슐의 부분에 삽입된다. 우측 부분의 좌측 모서리에서, 이 부분은 좌측 부분의 하부판에 용접된다.
제빵기의 공급 시스템은 공급 시스템 안으로 캡슐(3)을 누르거나 이동시킨다. 공급 시스템의 말단부는 캡슐의 두 개의 강성의 경계를 파지하는 부분을 이들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캡슐의 약한 부분이 ?어져서 캡슐(3)로부터 밀가루 반죽(28)이 분리되며 밀가루 반죽(28)이 결국에는 제빵기의 다음 레벨로 떨어져서 압착되도록 하고, 캡슐의 두 부분은 제거되거나 제빵기의 폐기물 컨테이너로 이송된다.
밀가루 반죽이 캡슐로부터 이탈된 후에, 밀가루 반죽은 예를 들면 압착 시스템 또는 밀가루 반죽의 압착 이전에 정확한 위치를 잡기 위한 튜브와 같은 통로와 같이 밀가루 반죽이 압착되는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밀가루 반죽(28)이 압착되기 위한 적절한 장소에 도착하면, 밀가루 반죽은 자동으로 압착된다. 압착은 예를 들면, 제한되지 않는, 도 12에 개시된 두 개의 롤러를 통해서, 또는 잘못 성형되는 것과 반투명한 스팟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218℃까지 가열되는 도 1, 2, 및 13에 개시된 두 개의 플레이트에 의해서 행해진다. 다른 압착 시스템은 도 15에 개시된 볼록한 프레스를 포함하고, 도 14에 개시된 “치약” 프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밀가루 반죽에 접촉하는 부분의 말단 물질은 예를 들면 테프론 또는 말단 물질에 들러붙지 않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밀가루 반죽이 압착된 후, 제빵기는 밀가루 반죽을 요리하거나 구워서 이것이 원하는 신선한 플랫브레드가 되도록 한다. 가열은 예를 들면, 제한되지 않는, 유도 가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기술에 의해 가열되는 도 1, 2, 및 13에 개시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밀가루 반죽이 수 초 안에 압착되고 디스크를 형성될 수 있다. 밀가루 반죽이 압착되는 수 초 안에 플레이트가 차가워지면 밀가루 반죽은 반투명 스팟을 형성하지 않으며 모양이 안정화된다. 유도 가열은 매우 빠르게 높은 온도에 도달하는데, 이 경우에, 두 개의 플레이트가 밀가루 반죽을 플랫브레드로 압착하기 위해 밀착한 다음에, 플레이트는 수 초 안에 260℃ 이상의 요리 온도에 도달하며, 압착된 밀가루 반죽은 빠르게 요리되며 바람직한 구운 빵 자국이 생긴다.
밀가루 반죽이 압착되고 가열될 때, 개봉된 캡슐의 물질은 제거되거나 폐기물 수용칸으로 자동으로 이송된다. 플랫브레드가 요리되고 먹을 수 있게 준비된 후, 이것은 보온 시스템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따듯하게 유지하는 제거 가능한 플랫브레드 수용칸으로 이송된다. 요리된 플랫브레드를 제거 가능한 보온 수용칸으로 이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한되지 않는, 도 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있는 플레이트의 일 측면을 아래로 움직여서 플랫브레드가 그 측면에서 떨어지도록 하거나, 도 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바닥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토르티야가 중앙부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질 수 있다.
만약 제빵기가 내부에 캡슐을 더 포함하고 있으면, 제빵기는 공급칸이 비고 모든 플랫브레드가 만들어질 때까지 이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사용자는 플랫브레드 스용칸의 모든 먹을 수 있게 준비된 플랫브레드를 최종적으로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특정한 방법 및 제빵기의 실행에 대해서 개시한다. 도 18은 보다 개선된 제빵기를 일 측이 개방된 형태로 개시하고 있다. 측면(15)은 제빵기의 앞면이고, 측면(16)은 제빵기의 뒷면이다. 제빵기는 상부에 하우징(1)을 포함하고, 제빵기 내부로 캡슐들을 공급하기 위한 컨테이너(17)가 개시된다. 제빵기 하우징(1)의 일측은 제빵기의 내부를 자유롭게 볼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하우징(1)의 해당하는 커버 플레이트 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오픈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캡슐(3)이 쌓여 있는 컨테이너(17)로부터 캡슐이 제빵기로 공급된 경우에 캡슐이 취급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캡슐(3)은 접이식 컵 모양을 갖는다. 컵의 상부 개구는 기밀 호일(18)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컵은 하나의 플랫프레드를 준비하기 위한 단위 밀가루 반죽을 포함한다. 캡슐과 밀가루 반죽은 캡슐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모양에 딱 맞춰지면 안되고, 오히려, 밀가루 반죽은 컵 모양의 캡슐에 채우지 말고 커버 호일(18)로부터 약 5mm의 거리를 남겨 두는 것이 좋다. 컵은 컨테이너(17) 상면이 위로 향하게 적층된다.하부의 컵 또는 캡슐(3)은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것은 수평축(21) 주위에서 회전하는 회전가능한 디스크(2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핑거(19)에 의해 파지된다. 이 디스크(20)는, 동작할 때, 회전이 초기화될 때 마다 도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한다. 회전할 때, 디스크의 핑거(19)는 컵 모양의 캡슐(3)을 사이에 파지하고, 중앙축(21) 주위에서 동일하게 회전한다. 컵의 호일 측면은 그 다음에 원통형 벽(22)를 따라서 미끄러진다. 이 원통형 벽(22)은 작은 반경을 갖는 내부 원통형 벽(24)에 연결된 복수의 받침대(23)에 의해 유지된다. 디스크(20)와 이것의 핑거(19)는 컵이 중앙 홀(이 도면에 개시되지 않음)을 갖는 홀딩 플레이트 상에 위아래가 반전되어 위치할 때까지 회전한다. 컵-개구의 단부는 홀의 단부에 얹혀지고, 플런저(이 도면에 개시되지 않음)가 아래로 이동하고, 하부 면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컵이 접혀지고, 그렇게 함으로써 밀봉 호일(18)을 자르거나 터뜨려 개봉한다. 결과적으로, 캡슐(3)의 단위 밀가루 반죽이 홀을 통해서 하부 베이킹 플레이트(8)로 떨어진다. 광학 센서가 밀가루 반죽이 상기 플레이트(8)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이 베이킹 플레이트(8)는 하부 프레싱 플레이트로 동작하기 위한 수평 비배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수평 방향으로 좌측으로 제거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는(이 도면에 개시되지 않음)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고 , 두 개의 플레이트(7, 8) 사이에서 밀가루 반죽이 플랫브레드 모양이 될 때까지 단위 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만든다. 다음으로, 가열 수단이 가동되고 밀가루 반죽을 굽는다. 이 가열 수단은 플레이트(7, 8) 내에 전기적 가열 코일을 포함하거나, 심지어 유도 가열 코일 또는 플레이트(7, 8)을 가열하는 가스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굽는 과정이 끝나고 나면, 하부 플레이트(8)은 뒤로 당겨진다. 하부 플레이트(8)는 그것의 후단에서 이동축(25) 주위에서 선회가능하고, 이것은 도트 라인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것의 전부가 수평 방향에서 제빵기의 앞면(15)을 향해 이동 가능하다. 도 18에 개시된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비배치된 때의 하부 플레이트(8)의 위치에서, 플레이트(8)는 인가되는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상부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먼저 지지되고, 뒤로 당겨졌을 때, 이것은 그것의 전단부가 하부 가이딩 레일(26) -도면 19와 연관되어 설명될 보우(bow)을 묘사함 - 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축(25) 주위에서 아래로 선회한다. 하부 플레이트(8)가 임시적으로 아래로 선회할 때, 완성된 플랫브레드가 하부 플레이트(8)로부터 미끄러져 나갈 것이고, 궁극적으로 제빵기의 하우징(1)의 앞면(15)의 슬릿(27)을 통해 배출된다. 제빵기의 하부 뒷부분에 수용 컨테이너(6)가 설치될 수 있다. 컵 또는 캡슐(3)이 비워지면, 디스크(20)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며, 캡슐(3)을 폐기될 캡슐의 수용 컨테이너(6) 안으로 떨어지게 될 제빵기의 뒷면(16)으로 옮긴다.
도 19는 하우징(1)의 좌측 패널이 개방되며, 좌측인 다른 측면에서 본 같은 제빵기를 도시한다. 여기서, 공급 컨테이너(17) 및 스택으로 컨테이너(17) 내에 포개어 놓은 컵 모양과 형태의 캡슐(3)을 볼 수 있다. 디스크(20)는 축(2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정렬되고 하우징(1)의 뒷벽(16)을 향해 연장되며, 디스크(20) 상의 핑거(19)는 디스크(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크(20) 상에 수직하여 배열된다. 중앙홀을 갖는 홀딩 플레이트(29) 상에서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로 다른 컵(3’’)이 이미 축(21) 주위에서 회전할 때, 컨테이너(17)의 최하단 컵(3’)은 디스크(20)의 두 개의 핑거(19) 사이에 이미 놓여 있다. 밀가루 반죽은 이미 떨어져서 하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 상에 놓여있다. 디스크(20)이 더욱 회전하면, 이것은 상부 컵(3’)을 하부 위아래 반전 위치로 이동시키며, 하부 컵(3’’)은 빈 컵 또는 캡슐(3)을 위한 수용 컨테이너(6) 안으로 배출된다. 밀가루 반죽이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 상에 놓여지면, 플레이트(8)은 제빵기의 앞면(15)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한다. 전단부의 그 측면에는, 볼트(30)가 측면으로 연장되고, 이들 볼트(30)는 가이딩 레일(26, 31)에서 가이드된다. 첫번째 이동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는 그것의 사이드 볼트(30)가 상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볼트(30)가 이 가이드 레일(31)의 전단부에 도착할 때까지 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인다. 전단부 영역(32)에서, 스프링이 장착된 분리기(33)가 배치된다. 볼트(3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개시된 위치에서 수평한 위치로 분리기(33)를 회전시켜서, 그것이 볼트(30)가 지나갈 수 있는 길을 주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가이드 레일(31)의 전단(32)에 도착하도록 한다. 볼트(30)의 이 위치에서,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는 프레싱 및 베이킹 과정을 위한 동작 위치에 도달한다.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에 위치한 밀가루 반죽을 압착하기 위해서,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가 하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7)는 무릎 관절 프레싱 기구(34)에 달려있다. 개시된 예에서, 두 개의 레버(35, 36)가 각 측면에 있다. 중앙 연결부(37)가 예를 들어 기계적인 주축/심축(mandrel/spindle) 또는 선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또는 수력 또는 공압 피스톤/실린터 배치에 의해 서로 밀려 나갈 때,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가 내려가서 궁국적으로 하부 플레이트(8) 상에 놓여진 단위 밀가루 반죽을 증가하는 압력으로 누른다. 압력은 선택된 배열(34)의 무릎 관절 효과에 기인하여 증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이 선택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단위 밀가루 반죽이 플랫브레드 모양으로 눌려지면, 이미 가열된 베이킹 플레이트(7, 8)에 의해 베이킹 과정이 시작된다.실제 베이킹은 예를 들어 토르티야를 위한 200℃에서 220℃의 선택된 온도에서 행해진다. 이 온도는 예를 들어 제시된 것이며 확실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밀가루 반죽의 사용에 따라서, 낮거나 높은 온도가 적합할 수 있다. 제빵기는 필요에 따라서 200℃에서 350℃까지의 온도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밀가루 반죽 베이킹 과정이 끝나면, 베이킹 플레이트를 서로 이격시키고 완성된 플랫브레드를 배출하는 것에 의해 베이킹 과정이 정지된다. 상부 플레이트(7)는 들어 올려지고, 하부 플레이트(8)은 뒤로 당겨진다. 하부 플레이트(8)가 뒤로 당겨질 때, 볼트(30)가 아래로 가이드되어 하부의 활 모양의 가이드 레일(26) 안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플레이트(8) 양쪽에 배치된 스프링이 장착된 분리기(33)가 도시된 위치로 재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의 측면 볼트(30)가 활 모양의 하부 가이드 레일(26)을 따라 가이드 된다. 다른 분리기(38)은 도 19에 도시된 시작 위치에 볼트(30)가 도달하도록 보장하고, 우측으로의 다음 이동을 위해서, 볼트(30)가 이 분리기(38) 상에서 수평 가이드 레일(31)로 미끄러지도록 보장한다.
기본적으로 공급칸(17)은 제빵기에 포함되거나 외부 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캡슐이 배치된 컨테이너일 수 있다. 제빵기의 칸은 어느 경우든 쉽게 리필될 수 있다. 이것은 개봉 및 비움 시스템으로 개별 캡슐들을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다. 수용 컨테이너(6)는 예를 들어 서랍처럼 빈 캡슐들이 쉽게 제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제빵기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디자인된다.
도 20은 일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다른 플랫브레드 제빵기를 개시한다. 그것의 개구에 밀봉된 호일(18)을 갖는 컵 형상의 캡슐(3)이 선회가능한 커버 플레이트(39)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위아래가 반전되어 제빵기 안으로 삽입된다. 캡슐(3)은 두 개의 샤프트(41, 42) 주위를 도는 컨베이어 벨트(40) 상에 위치한다. 컨베이어 벨트(40)의 전단부에서, 샤프트(43, 44)의 주위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된 고무 톱니를 갖는 두 개의 샤프트(43, 4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 첫번째 것(43)은 시계방향으로, 전단부의 인접한 것(44)은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샤프트는 우수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약 20mm의 지름을 갖는다. 캡슐(3)의 호일(18)은 약 5mm 중첩되고, 항상 캡슐(3) 상단부로부터 구부러진다. 그러므로 캡슐(3)이 컨베이터 벨트(40) 상에서 위아래가 반전되어 놓일 때, 중첩부가 아래로 구부러져 팽팽해진다. 캡슐(3)의 중첩부가 고무 톱니를 갖는 샤프트(43, 44)에 도달하면, 이 중첩부가 꽉 들어찬다. 두번째 샤프트(44)는조금 높게 위치하여 호일 중첩부를 확실하게 파지한다. 호일은 두 개의 샤프트(43, 44) 사이에서 아래로 당겨지고, 캡슐(3)의 개구 말단으로부터 찢겨지고, 캡슐은 두 개의 샤프트(43, 44) 위로 이동하고, 그들을 통과하도록 강제된다. 그러므로, 호일(18)은 캡슐(3)로부터 찢겨지고, 개봉된 캡슐(3)은 기울여진 홀딩 고리(45) 상으로 미끄러진다. 즉시, 밀가루 반죽이 캡슐로부터 떨어져 나와, 두 개의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 사이로 떨어져 들어간다. 광학 센서가 밀가루 반죽이 플레이트(7, 8)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는 편심되어 배열된(exentrically arranged) 축(46) 주위에서 선회가능하고, 액츄레이터(47)는 상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를 하부 플레이트(8) 상으로 회전시킨다. 축(46)의 편심 배치는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보장하고, 프레싱 플레이트(7)을 더욱 아래로 회전하게 한다. 압착 후에 플레이트는 다시 위로 조금 이동한다. 플랫브레드를 요리한 후, 상부 프레싱 플레이트는 들어올려지고, 먹을 수 있게 준비된 플랫브레드가 중력에 의해 제빵기 밖으로 미끄러져 나간다. 이 경우에, 플랫브레드를 위한 보온 컨테이너는 설치되지 않았다.
도 21에서 도 29는 적절한 캡슐(3)의 다양한 종류를 개시한다. 도 21은 예를 들어 호일(18)에 의해 상부가 밀봉된 컵 형상의 밀가루 반죽 캡슐(3)을 개시한다. 단위 밀가루 반죽은 질소와 같은 충전가스 분위기에서 이와 같은 캡슐에 충전된다. 캡슐은 음식과 음료 산업에 알려진 기밀(gas-tight)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 호일은 기밀성의 알루미늄 박판(laminate)이다. 반투과성의 호일은 캡슐 내부로부터 산소가 투과하는 것은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의 것은 사용할 수 없다. 특별한 목적에서, 이러한 캡슐 및 호일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산소 기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컵 형상 캡슐(3)은 빈 상태로 포개어지고, 재사용은 선택사항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캡슐은 빈 컵을 위한 수용칸에 포개어질 수 있어서, 쉽게 재활용될 수 있고, 그것들을 팔 때의 원래 카드보드 박스로 판매자에게 되가져갈 수 있다. 도 22는 미리 정해진 폴딩 라인(48)을 갖는 컵 모양의 접이식 밀가루 반죽 캡슐(3)을 개시한다. 캡슐(3)은 도 21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같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캡슐(3)은 정해진 형상으로 접힐 때 수용된 밀가루 반죽이 확실하게 비워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 23에서, 도 22의 접이식 밀가루 반죽 캡슐(3)은 접혀진 상태로 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위아래가 반전되어 위치된 캡슐(3)이 그것의 개구 단부가 링 위에 놓일 때 플런저 또는 피스톤에 의해 위로부터 가압된다. 링은 개구 아래의 공간을 자유롭게 하여 밀봉 호일(18)이 개봉되면 밀가루 반죽이 링의 개구를 통해 자유롭게 떨어지게 한다. 더 용이한 캡슐의 개봉을 위해 호일(18)은 다음에 설명할 연약선을 갖출 수 있다.
도 24는 호일(18)에 의해 상부가 밀봉되며, 둘러쌓인 홈(surrounding groove, 50)을 갖는 상부 엣지를 갖는 컵 형상의 밀가루 반죽 캡슐(3)을 개시한다. 이 특별한 형상의 엣지(49)와 상기 홈(50)의 목적은 도 41 및 도 42에 개시된 개봉 과정과 함께 연관하여 후술한다. 이롭게도, 이러한 컵 형상의 캡슐(3)은 도 22에서 이미 설명하고 도 25에 개시된 폴딩 라인(48)을 갖출 수 있다.
도 26은 컵 모양의 밀가루 반죽 캡슐(3)을 밀봉하기 위한 연약선(51)을 갖는 원형 디스크 모양의 호일 피스(18)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연약선은 종래 기술에서 미리 알려진 방식, 예를 들어 단단한 지지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뜨거운 용접 나이프를 호일을 향해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이 선을 따라 호일을 얇게 만드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에서 연약선은 오직 하나의 호일 층을 밀폐(airtight)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천공하는 2층의 호일의 미세 천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7에서 원형 디스크 모양의 호일 피스(18)는 호일 피스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연약선(51)을 갖추고, 도 28에서 연약선은 원형 호일(18)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십자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캡슐에서 호일은 두 가지 기본적인 목적을 갖는다. 첫째, 밀가루 반죽으로부터 공기를 멀리하기 위해 호일은 캡슐(3)을 반드시 밀봉해야 한다. 둘째, 호일(18)은 캡슐(3)을 비우는 과정에서, 밀가루 반죽이 제빵기의 어떤 부분과도 닿지 않게, 심지어 나이프가 사용되는 경우 호일(18)을 개봉하는 나이프 조차도 닿지 않게 해야 한다. 캡슐의 개봉은 도 40, 도 41, 및 도 42와 연관하여 후술한다.
도 29에서는 전혀 다른 종류의 캡슐이 개시된다. 이 볼 모양의 밀가루 반죽 캡슐(3)은 그것의 맨윗부분에 작은 노브(53)를 갖춘 두 개의 중공의 반구로 구성된다. 두 개의 중공의 쉘(52)은 그들을 열에 의해 용접하거나 접착하는 것에 의해 폐쇄되고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위 밀가루 반죽은 필폐하여 폐쇄된다. 이 캡슐(3)을 처리하고 개봉하는 것은 도 43과 연관하여 후술한다.
캡슐은 2차 패키징 물질과 함께 또는 그렇지 않게 판매될 수 있다. 캡슐 호일이 천공된 경우에도, 내부 호일(18)을 보호하기 위해서 2차 패키지, 예를 들어, 카드보드 박스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다른 종류의 캡슐에 있어서, 도 30은 증발 가능한 호일(54)로 밀가루 반죽을 캡슐화하는 볼 모양의 캡슐을 개시한다. 베이킹 과정에서 호일이 가열되면, 호일이 증발에 의해 사라진다. 도 31에서 이미 플랫브레드 모양의 밀가루 반죽이 이와 같은 증발 가능한 호일(54)에 의해 캡슐화된다. 도 32에서 다른 방식으로 밀가루 반죽을 패키징하는 것이 개시된다. 이미 플랫한 밀가루 반죽이 내부의 밀가루 반죽을 배출하기 위해 제빵기 또는 수동으로 찢겨저 분리되는 적절한 호일 물질(55)로 캡슐화된다.
다음 섹션에서, 이러한 캡슐(3)을 다루는 것에 대해서 개시하고 설명한다. 도 33은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3)을 포개 올리고 스택으로 쌓은 것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스택은 캡슐의 세트가 판매되고 취급되는 카드보드 박스로 패키징된다. 이 카드보드 박스로부터 캡슐(3)이 제빵기의 공급칸(2)으로 투입되거나, 카드보드 박스 자체가 제빵기의 공급칸을 형성하여 간단하게 박스를 열고 제빵기의 입구에 놓는 것으로 캡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4에 있어서, 캡슐(3)의 공급과 취급을 위한 대체 패키징이 개시된다.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은 네 개의 캡슐(3) 모두를 덮도록 연장되는 상부 호일(57)을 포함하는 플리스터 패키징 안에 배열된다. 캡슐(3)을 사용하기 위해, 상부 커버 호일(57)은 찢겨지고, 네 개의 밀봉된 캡슐(3)은 그 후 분리되어 제빵기 안으로 투입된다. 도 35에 따르면,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3)은 카드보드 박스(58) 안에 열로 배치된다.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캡슐(3)이 박스로부터 꺼내지고 그 다음 제빵기의 공급칸(2) 안으로 투입된다. 도 36에서, 하나의 캡슐을 제빵기 내부로 투입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제빵기와 캡슐(3)은 제빵기의 하우징(2)의 특별한 개구(59)를 통해서 제빵기 내부로 캡슐(3)을 올바르고 풀프루프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포카요케(Pokayoke system)을 형성한다.
이 섹션에서, 제빵기 내부에서 캡슐(3)을 이송하는 다양한 방법을 개시한다. 도 37에서,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3) 수송 시스템은 캡슐의 열을 내려놓는 프레임(60)으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60)은 캡슐을 공급하도록 제빵기 내에서 옮겨질 수 있다. 개봉 시스템(5) 안으로 캡슐을 공급하여 캡슐을 개봉하고 비워지게 하여 단위 밀가루 반죽이 하부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8)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 프레임은 기계적, 수력, 또는 공압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338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홀(62)를 포함하는 캐러셀(carousel, 61)을 사용한다. 캡슐이 하부 플레이트에 위아래가 반전되어 있을 때 , 캡슐은 캐러셀의 하면으로부터 홀(62) 밖으로 돌출된다. 캐러셀이 회전하면, 캡슐(3) 각각이 움직이고, 하나의 캡슐(3)이 하부 플레이트의 상응하는 홀에 도착하면, 그것의 엣지 만이 지지되며, 피스톤이 지금은 상면 상에 있는 캡슐(3)의 하면에 작용하여, 밀봉 호일(18)을 터뜨리고 밀가루 반죽이 나오도록 눌러서, 그것이 베이킹 플레이트(8) 위로 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하부 플레이트의 오목부(recess) 안으로 빈 캡슐(3)이 떨어질 때까지 캐러셀이 다시 회전하고, 빈 캡슐이 궁극적으로 빈 캡슐(3)을 위한 수용 컨테이너 안에 배치된다. 도 39는 도 33에서 이미 개시된 캡슐의 스택 또는 더미를 포함하는 카드보드 박스를 개시한다. 카드보드 박스(56)는 제빵기 하우징(1)의 상면에 위치하고, 내부에 있는 캡슐 및 밀가루 반죽이 더욱 처리되기 위해서 가장 낮은 캡슐이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스택이 중력에 의해 낮아진다. 캡슐은 예를 들어 도 20에 개시된 컨베이어 벨트로 떨어질 수 있다.
이 섹션에서는, 캡슐의 개봉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고 설명된다. 도 40에서는, 도 20에서 이미 언급되고 개시된 개구 시스템을 더 나은 이해를 위해 투시도로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40)의 앞 단, 그것의 바로 옆 프론트 샤프트(42)에서, 샤프트(43, 44) 주위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고무 톱니를 갖는 두 개의 샤프트(43, 44)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 첫째 것(43)은 시계방향으로, 인접한 것(44)은 앞 단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 도시된 캡슐(3)은 높이 올려진 상태에서, 위아래가 반전되어, 벨트(40)에 올려진다. 오프닝 엣지(63)는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호일(18)에 의해 폐쇄되고 밀봉된다. 호일은 오프닝 엣지의 면으로부터 구부러지고, 캡슐(3)의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에서 그것은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구부러진다.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벨트(40) 상에서 캡슐(3)이 움직일 때, 그것의 호일이 샤프트(43, 44) 사이의 공간으로 궁극적으로 움직인다. 캡슐(3)이 이들 두 개의 샤프트(43, 44)를 넘어 수평한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궁극적으로 프레임(64)이나 도 20에 개시된 홀딩 고리(45)로 미끄러질 때, 이 두 개의 샤프트(43, 44)는 이것을 파지하고 그들 사이에서 이것을 찢어 내린다. 캡슐(3)은 이제 개구되었기 때문에, 밀가루 반죽이 제빵기의 하부 베이킹 플레이트(8)로 중력에 의해 떨어진다.
캡슐(3)을 비우기 위한 다른 해결방안이 도 41 및 도 42에 개시된다. 여기서, 접이식 플랫브레드 밀가루 반죽 캡슐(3)이 사용된다. 이들은 폴딩 라인(48)을 포함한다. 캡슐(3)은 캡슐(3)의 개구 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홀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68) 상에서 위아래가 반전되어 위치한다. 캡슐의 오프닝 엣지(49)는 홈(50)을 형성하고, 오프닝 엣지 전부는 캡슐(3)을 밀봉하여 폐쇄하는 원형 호일 피스(18)에 의해 덮혀있다. 일정한 개봉을 위해서, 고정된 원형 나이프(66)가 원주 전체를 거의 덮도록 연장되는 홈(50) 밑으로 배열되고, 약 20°에서 30°의 섹션을 남겨놓는다. 나이프의 내측에서, 원형 지지대(67)는 캡슐의 오프닝 엣지(49)가 얼마나 낮게 컴프레션 스프링(65)의 힘에 대항하여 움직일 것인지를 정의한다. 그것은 캡슐(3)을 비우기 위해서 도 4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2) 또는 피스톤에 의해서 지지 고리(67) 상에서 눌러 내려진다. 컴프레션 스프링(65)이 압착되면, 원형 나이프(66)가 호일(18) 잘라 개봉하고 홈(50)으로 들어가고, 그리고 나서 캡슐(3)이 압착되고 무너지고, 결과적으로 캡슐(3) 내의 밀가루 반죽이 원형 나이프(66)가 차단되어 작동하지 않은 조금 남아있는 재료 브릿지 위에 있는 그것의 엣지에 여전히 매달려 있는 남아있는 호일(18) 위에 떨어진다. 그러므로, 밀가루 반죽은 제빵기의 어떤 부분에도 닿지 않는다. 이것은 최상의 위생 레벨을 유기하기 위해 아주 중요하다. 심지어 원형 나이프(66) 조차도 밀가루 반죽을 터치하지 않는다. 밀가루 반죽은 단지 캡슐(3)의 내면과 호일(18)의 내면에 닿을 뿐이고, 하부 베이킹 플레이트(8)에 자유롭게 낙하한다. 대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호일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와이어를 가열하는 것에 의한 호일의 가열식 개봉은 선택적이다.
도 43은 볼 모양의 캡슐(3)의 개봉을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두 개의 반구(52) 또는 밀봉 쉘(52)의 맨윗부분에 있는 노브(53)는 레일(53)에 의해 가이드 된다. 캡슐(3)을 개봉하기 위해서, 레일(53)은 서로 벌어지고, 캡슐(3)은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플런저에 의해 기계적으로 푸쉬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밀봉 쉘(52)은 분리되게 당겨지고 밀가루 반죽이 아래로 떨어진다. 밀봉 쉘(52)은 레일 끝에서 이격되어 빈 캡슐(3)을 위한 수용 컨테이너(28) 안으로 떨어진다.
도 44 내지 도 46은 상응하는 캡슐(3)을 개봉하는 또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개별 캡슐(3)은 그들의 개구를 따라 밀봉된 두 개의 반분(70)으로 구성된다. 이들 반분의 외면에는 오리피스(71)가 구비된다. 개봉 시스템은 두 개의 레일(72)을 포함하고, 그들의 하부 말단에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레일 후크(73)가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두번째 단계에서, 레일 후크(73)는 도 4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선회한다. 이것은 캡슐을 개봉한다. 이것의 두 개의 반분(70)은 그들의 개구가 하면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밀가루 반죽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다. 그리고 나서, 레일 후크(73)은 그들이 도 46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더욱 회전한다. 이제, 빈 반분(70)이 중력에 의해 그들 스스로 아래로 떨어지고, 반분은 빈 캡슐을 위한 수용칸(6) 안으로 경로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다.
도 47에서, 평행한 폐쇄와 밀가루 반죽 볼의 납작하게 하기 위한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가 개시된다. 플레이트가 압착을 위해 항상 서로 평행하게 움직인다면 그것은 장점이 된다. 오직 그런 후에만 볼 모양의 밀가루 반죽이 각 측면에서 균등하게 납작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원형 플랫 밀가루 반죽이 얻어진다. 도 48에서,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하기 위한 하부의 수평 정지 플레이트(8) 및 상부 회전 플레이트(7)를 갖는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가 개시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하부 플레이트(8)로부터 완성된 구운 플랫브레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도 49에서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는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하기 위한 상부 수평 플레이트(7) 및 하부 회전 플레이트(8)를 포함하고, 그 뒤에 개시된 하부 플레이트(8)을 선회하는 것에 의해 플랫 밀가루 반죽을 배출한다. 도 50에는,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가 모두 밀가루 반죽 볼을 납작하게 하기 위한 회전 플레이트이고, 그 뒤에 플랫 밀가루 반죽을 배출한다. 도 51은 하부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8)가 수평 플레이트(8)이고, 상부 플레이트(7)도 마찬가지이다. 밀가루 반죽을 플레이트(8)에 공급하기 위해서, 상부 플레이트(7)은 홀 및 상부 플레이트(7)의 플랫한 하부 표면을 얻기 위해서 이 홀 안으로 맞추어지는 압인기를 포함한다. 프레싱과 베이킹을 위해 상부 플레이트(7) 전체가 위 아래로 움직이므로 압인기는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2는 바람직하게는 테프론 또는 세라믹 층으로 코딩된, 배출가능하고, 분리되는 히팅 플레이트(76)를 포함하여, 세정 목적을 위해 용이하게 제거되는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를 개시한다. 밀가루 반죽이 플레이트에 들러붙으므로 저항을 낮추고 그에 따라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낮은 점착성의 플레이트가 사용되어야 하고, 밀가루 반죽을 위한 압력은 실질적으로 콘 반죽 보다 높다. 프레싱 및 히팅 또는 베이킹 플레이트(7, 8)는 반죽이 들러붙지 않도록 세라믹 또는 테프론 코팅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및 베이킹 플레이트는 지지력을 위해 뻣뻣하지만 다소 유연하기도 하다.
도 53은 220℃, 260℃, 및 200℃와 같은 세 개의 다른 온도에서 시간에 따라서 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서 프레싱 및 히팅 과정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개시한다. 전형적으로, 압력은 프레싱 플레이트가 서로 다가가고, 요구되는 온도까지 가열된 후, 둘 사이의 간격이 약 2mm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이는 방법으로 제빵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된다. 수 초 이후에, 압력이 낮아지고, 플레이트가 약 5mm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이동한다. 이것은 밀가루 반죽 및 그 안의 밀가루가 수분을 배출하도록 한다. 궁극적으로, 다른 수 초 이후에, 증가된 압력이 다시 플레이트를 2mm의 간격으로 누르도록 동작한다. 베이킹 플레이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베이킹 시간이 단축된다. 플레이트의 온도는 베이킹 과정 중에 변화한다. 이것은 경험과 가열 수단의 제어에 관한 문제이며, 밀가루 반죽의 특정한 요소에 의존한다. 만약 저항성 가열이 사용되면, 충분히 짧은 시간에 200에서 260℃에 도달하기 위해서 1800W의 파워가 필요하다. 유도성 가열은 선택적이다.

Claims (15)

  1.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베이킹 플레이트(8) 위로 떨어지는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받는 단계;
    (b) 제 2 플레이트(7) 또는 롤러에 의해서 상기 베이킹 플레이트(8) 위의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납작하게 만들거나 또는 밀어 펴거나, 두 개의 베이킹 플레이트(7, 8) 사이 안에서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납작하게 만들고 베이킹하는 단계; 및
    (c) 완성된 플랫브레드를 수용칸(9) 안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제빵기로 공급되는 개별 단위 밀가루 반죽(28) 각각은 상기 베이킹 플레이트(8) 위로 떨어지도록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배출하기 전에 상기 제빵기에 의해 즉시 개봉되고 비어지는 밀봉하여 폐쇄된 캡슐(3)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은 컵의 형태와 모양을 지니며 기밀 호일(gas-tight foil, 18)에 의해 밀봉되는 캡슐(3) 안에 공급되도록 되며, 그리고 글라이딩 플레이트(gliding plate)나 컨베이어 벨트(40) 위로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로 공급되도록 된 다음에, 각 캡슐(3)은 캡슐(3)이 인접하여 위치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샤프트(43, 44) 위로 운송되는 동안 상기 샤프트(43, 44)에 의해 상기 호일이 찢겨짐으로써 개봉되고, 개봉된 캡슐(3)은 프레임(64) 또는 홀딩 고리(45) 위로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a) 단계, (b) 단계, 및 상기 (c) 단계가 속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은 컵의 형태와 모양을 지니며 기밀 호일(18)에 의해 밀봉된 접이식(collapsible) 캡슐(3) 안에 공급되도록 되며, 그리고 제빵기의 공급칸(17) 안으로 수직하게 스택 안에 적층하여(upright position in a stack) 보관되고, 상기 캡슐(3)의 개봉과 비움은 회전 디스크(20)의 핑거(19)로 스택의 가장 아래에 적층된 캡슐(3)을 파지한 다음, 180° 정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캡슐(3)을 홀딩 플레이트 위에서 반전된 위치가 되면서 개봉되는 것으로 실행되며,
    (d) 위로부터 캡슐(3)을 압착하는 플런저(12)로 상기 캡슐(3)을 개봉하고 비우는 단계로서,
    상기 호일(18)이 원형 나이프(66)로 절개되어 개봉되거나 또는 상기 호일(18)에 설치되는 연약선(51)을 따라 파열되도록 하여 상기 캡슐(3)을 개봉하고 비운 다음에,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속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은 맨윗부분에 노브(53)를 가진 두 개의 밀봉 쉘(52)로 만들어진 캡슐(3)에 수납되며, 이들 캡슐(3)은 레일(69)을 따라 이들 노브(53)를 가이드함으로써 제빵기 안으로 공급되며, 이들 캡슐(3)의 개봉과 비움은 펼쳐지면서 이격되는 레일을 따라 상기 캡슐(3)을 푸시하여 수행되며, 두 개의 밀봉 쉘(52)은 당겨져서 분리되며 이로써 상기 밀가루 반죽(28)이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속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은 외측에 오르피스(71)를 가진 두 개의 쉘 모양 반분(shell-like halves)(70)으로 만들어진 캡슐(3)에 수납되며, 이들 캡슐(3)은 제빵기에 공급되어 상기 오르피스(71)들이 회전 레일 후크(73)에 걸려서 초기 수직 자세가 되게 하며, 그런 다음에
    선회하는 이들 레일 후크(73)가 서로 멀어짐으로써 상기 반분(70)이 당겨져서 분리되도록 되며, 상기 레일 후크(73)가 초기 수직 자세에서 120° 이상 더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밀가루 반죽(28)은 중력에 의해 떨어지며, 상기 두 반분(70)이 중력에 의해 레일 후크(73)로부터 떨어져서 수납칸(6) 안으로 빠지도록 하고,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속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하부의 고정된 플레이트(8)를 압착하기 위해서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레버(35, 36)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 기구(34)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7)가 기계적으로, 수력으로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동안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두 개의 프래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 사이에서 상기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납작하게 만들고 굽고, 그런 다음에 상부 플레이트(7)를 들어올리고,
    상기 (c) 단계에서, 완성된 플랫브레드를 수용칸(9) 안으로 배출하는 것은 가이드 레일(26)을 따라 하부 플레이트(8)를 당기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 플레이트(8)가 경사지게 되고, 그럼으로써 완성된 플랫브레드가 디스펜서 슬릿(27) 을 통하여 제빵기의 하우징(1) 또는 수용칸(9)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로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
  7. 두 개의 히팅 플레이트(7, 8)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하거나 폐쇄를 위해 이동 가능하므로 두 개의 히팅 플레이트(7, 8)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 1 가열가능한 베이킹 플레이트(8) 및 제 2 히팅 플레이트(7) , 및 히팅 플레이트(7, 8)이 개방된 후 완성된 플랫브레드를 받기 위한 수용칸(9)을 포함하고,
    밀봉되고 하나의 단일한 플랫브레드를 생산하기 위한 단위 밀가루 반죽(28) 각각을 수용하는 다수의 캡슐(3)을 받고 수송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및 공급칸(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압력에 의해 또는 컷팅 수단에 의해 첫번째 도착하는 캡슐(3) 각각을 개봉하여 캡슐(3) 내부의 밀가루 반죽(28)이 캡슐(3) 외부로 배출되고 가열가능한 베이킹 플레이트(8) 상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개봉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시스템은
    컵 형태의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이며 호일(18)로 밀봉된 캡슐(3)을 대응되는 캡슐(3)이 위로 지나갈 때 아래 방향에서 상기 호일(18)을 찢기 위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인접한 샤프트(43, 44)로 구성된 개봉 시스템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40),
    이동 가능한 피스톤에 의해 다른 하나 위에 있는 홀딩 고리, 및
    빈 캡슐(3)을 폐기물 수납칸(6) 안으로 수송하는 수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시스템은
    컵 형태의 캡슐(3)의 스택을 받기 위한 칸(2), 컨베이어, 수평 축(25) 주위로 회전 가능한 디스크(20) - 상기 디스크(20)는 두 개의 핑거(19) 사이의 캡슐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20)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핑거(19)를 갖음 - 를 포함하는 및 개봉 시스템, 이 벽을 따라 호일 방향으로 캡슐(3)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원통형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봉 시스템은 상기 캡슐(3)이 위아래가 반전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디스크(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홀딩 플레이트 상에서 위아래가 반전되도록 캡슐(3)을 위치시키기 위한 개구(opening)를 갖는 홀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시스템은
    위에서 상기 캡슐(3)의 아래 방향으로 압하하는 플런저,
    나이프로 캡슐(3)을 압착하며 호일의 일부를 절개하기 위해 상기 캡슐(3)의 개구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 나이프(66),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레버(35, 36)를 포함하며 프레싱 및 베이킹 플레이트(7, 8)를 기계적으로, 수력으로 또는 공압 액츄레이터로 서로 평행하게 압착하기 위한 무릎 관절 기구(34), 및
    저항성의 가열 코일, 유도성 코일을 포함하는 베이킹 플레이트(7, 9) 내의 가열 수단 또는 플레이트 (7, 8)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버너를 포함하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는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가능한 베이킹 플레이트(7, 8)은 유도 가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유도성 코일을 갖추며, 유도 코일을 위해 HF-제너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가능한 베이킹 플레이트는 상응하는 전기 저항성 가열 코일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하게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브레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
  12.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제조하기 위해 단위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캡슐로서,
    상기 캡슐은 하나의 개별 플랫브레드를 만들기 위한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기밀하여 캡슐화하기(gas-tightly encapsulating) 위해서 밀봉하여 폐쇄가능한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제조하기 위해 단위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캡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돔 형상, 볼 형상, 또는 원통형 또는 원뿔 컵 형상의 중공 부분은 박판(laminate)으로 만들어지고, 평평한 밀봉 호일(18)은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기밀하여 캡슐화하기 위해서 중공 부분에 밀봉하여 용접되고,
    상기 캡슐(3)은 미리 정해진 폴딩 라인(51)을 따라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제조하기 위해 단위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캡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약간(slightly) 다른 지름을 갖는 두 개의 원통형 캔을 포함하여, 더 작은 지름의 캔은 큰 지름의 캔 안을 틀어 막고, 그리고 나서 용접(welding), 접착(glueing)에 의해 밀봉하여 폐쇄하여, 하나의 개별 플랫브레드를 위한 단위 밀가루 반죽(28)을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제조하기 위해 단위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캡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부드럽고, 생분해성이 있으며, 유연하고 , 강성이 있거나 반강성이거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랫브레드를 제조하기 위해 단위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캡슐.
KR1020147026405A 2012-02-22 2013-02-21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한 자동 플랫브레드 제빵방법 및 제빵기 Abandoned KR20150030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6609 2012-02-22
EP12156609.5 2012-02-22
PCT/IB2013/051418 WO2013124809A2 (en) 2012-02-22 2013-02-21 Flatbread machine with an automatic flatbread preparation method based on dough capsules and a packag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636A true KR20150030636A (ko) 2015-03-20

Family

ID=483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405A Abandoned KR20150030636A (ko) 2012-02-22 2013-02-21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한 자동 플랫브레드 제빵방법 및 제빵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182574B2 (ko)
EP (2) EP2816901B1 (ko)
JP (1) JP6193894B2 (ko)
KR (1) KR20150030636A (ko)
CN (1) CN104302184B (ko)
AU (2) AU2013223696B2 (ko)
BR (1) BR112014020544A2 (ko)
CA (2) CA2890536C (ko)
CO (1) CO7061064A2 (ko)
EA (1) EA029764B1 (ko)
MX (2) MX352806B (ko)
MY (1) MY183286A (ko)
SG (2) SG10201601581VA (ko)
WO (1) WO20131248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96B1 (ko) * 2012-06-12 2013-09-10 주식회사 비스켓글로벌 건강모니터링 방법
US20160255845A1 (en) * 2014-08-14 2016-09-08 Amaize Joint Ventures, Llc Food preparation process
DE102015205706A1 (de) 2015-03-30 2016-10-06 BSH Hausgeräte GmbH Gerät zur Herstellung eines Backerzeugnisses
CN106361170B (zh) * 2015-07-21 2019-01-22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烤饼机
CN105078282B (zh) * 2015-07-30 2018-05-1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胶囊面包机
CN106419611B (zh) * 2015-08-06 2018-12-21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家用自动烤饼机
MA45298A (fr) * 2015-10-23 2018-08-29 F Lli Venturini S R L Procédé et appareil pour fabriquer des panigacci
AU2016350076A1 (en) 2015-11-06 2018-05-24 Mukesh Agarwal Automated preparation of breads
WO2017147574A1 (en) 2016-02-27 2017-08-31 Simplecious Llc Machines and methods fof making flatbreads
CN105788081A (zh) * 2016-03-14 2016-07-20 厦门西湖良田科技有限公司 一种商用自助售卖烤饼机及烤饼制作方法
WO2017157628A1 (de) 2016-03-16 2017-09-21 Flatev Ag System zur flachbrotherstellung sowie verfahren zu dessen bereitstellung
WO2018133916A1 (de) 2017-01-17 2018-07-26 Flatev Ag Lebensmittelzubereitungsvorrichtung mit kapselöffnungs-toleranzausgleich
EP3570672A1 (de) 2017-01-17 2019-11-27 Flatev AG Lebensmittelzubereitungsvorrichtung mit kapselschublade
WO2018133918A1 (de) 2017-01-17 2018-07-26 Flatev Ag Lebensmittelzubereitungsvorrichtung mit gestuftem messer
WO2018133917A1 (de) 2017-01-17 2018-07-26 Flatev Ag Lebensmittelzubereitungsvorrichtung mit ausstossstössel und niederhaltestempel
WO2018141387A1 (de) 2017-02-02 2018-08-09 Eugster / Frismag Ag Lebensmittelzubereitungsvorrichtung mit weichenmechanismus
ES2769524T3 (es) 2017-03-02 2020-06-26 Eugster Frismag Ag Dispositivo de horneado y método de funcionamiento
MX2019011377A (es) 2017-03-27 2019-12-05 Flatev Ag Dispositivo de horneado domestico asi como proceso de operacion.
WO2019040112A1 (en) * 2017-08-21 2019-02-28 Tigout Inc. AUTOMATIC PASTRY MANUFACTURING MACHINE
JP2019154369A (ja) * 2018-03-15 2019-09-19 日本製粉株式会社 過熱水蒸気を使用した半焼成フラットブレッドの製造方法
US11800875B2 (en) 2020-01-28 2023-10-31 Tigout Inc. Automatic apparatus for baking pastry products
RU2727674C1 (ru) * 2020-01-31 2020-07-22 Алекс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Голяк Способ выпекания теста
CN111758754B (zh) * 2020-06-23 2025-01-14 北京正隆斋全素食品有限公司 一种煎饼馃子打卷装置
US11066211B1 (en) 2020-08-13 2021-07-20 Fitto Ltd Collapsible capsules and supplemental devices
KR102774036B1 (ko) * 2022-08-29 2025-02-27 김연희 마스크팩 자동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102B2 (ja) * 1985-12-23 1994-07-27 ヘ−デン−テイ−ム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パン、ケ−キ等の食品を自動的に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FR2672774A1 (fr) * 1991-02-20 1992-08-21 Andre Vasseneix Procede de preparation de pates a cuire et machine de distribution de telles pates.
CA2090837A1 (en) 1992-03-26 1993-09-27 Rashmi K. Drummond Refrigerated dough package and method
FR2764417B1 (fr) * 1997-06-05 2000-08-04 Helverep Sa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et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portions predeterminees de frites
US5937739A (en) * 1997-08-04 1999-08-17 X-Press Manufacturing Bidirectional magnetic press
AU2001226343A1 (en) * 2000-02-29 2001-09-12 General Mills Inc. Packaging system for frozen muffin batter pucks
US20020039609A1 (en) * 2000-03-30 2002-04-04 Bezek Edward Anthony Consumables container with multi-functional cap
WO2003070592A1 (fr) * 2002-02-21 2003-08-28 Nissei Kabushiki Kaisha Contenant a couvercle ajuste
GB2399274A (en) * 2003-03-11 2004-09-15 Mars Inc Expanded starchy cake baking apparatus
NL1031955C2 (nl) * 2006-03-09 2007-09-11 Weasy Pack Internat Ltd Portieverpakking en halfvloeibaar product.
JP2009543734A (ja) * 2006-07-14 2009-12-10 イーコ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固体製品の包装
US8110233B2 (en) * 2006-07-14 2012-02-07 Ecolab Usa Inc. Method of dispensing a solid product
EP1902620A1 (en) * 2006-09-01 2008-03-26 Nestec S.A. An induction wafer b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7061064A2 (es) 2014-09-19
CN104302184B (zh) 2017-10-20
CA2871251C (en) 2016-01-19
EP3738436A1 (en) 2020-11-18
JP6193894B2 (ja) 2017-09-06
SG11201405037TA (en) 2014-09-26
AU2013223696A1 (en) 2014-09-04
EP2816901A2 (en) 2014-12-31
US20150044340A1 (en) 2015-02-12
EP2816901B1 (en) 2020-04-22
CA2890536A1 (en) 2013-08-29
SG10201601581VA (en) 2016-04-28
WO2013124809A2 (en) 2013-08-29
BR112014020544A2 (pt) 2019-09-24
CN104302184A (zh) 2015-01-21
AU2013223696B2 (en) 2018-04-26
WO2013124809A3 (en) 2013-11-07
EA201400943A1 (ru) 2015-02-27
CA2871251A1 (en) 2013-08-29
WO2013124809A4 (en) 2013-12-27
US10182574B2 (en) 2019-01-22
EA029764B1 (ru) 2018-05-31
AU2018208635A1 (en) 2018-10-11
MX352806B (es) 2017-12-08
MX2014008840A (es) 2015-05-07
JP2015512622A (ja) 2015-04-30
CA2890536C (en) 2016-11-15
MX349125B (es) 2017-07-11
MY183286A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0636A (ko) 밀가루 반죽을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한 자동 플랫브레드 제빵방법 및 제빵기
TWI377158B (en) Method and packaging for baked, thaw and serve, or microwavable goods
US1811772A (en) Method and means of packeting dough
US9220278B2 (en) Flat bread dinner ware serving apparatus for serving flatbreads, including features to form, fill, fold and wrap flatbreads, tortillas, burritos, wraps and pastry sheets in a uniquely novel controlled fashion
US20180055059A1 (en) Flatbread machine with an automatic flatbread preparation method based on dough capsules and a packaging system
JP2008523482A (ja) 温かい食料製品のディストリビュータ
US11896015B1 (en) Wrapping apparatus for making handheld food
JP2024012539A (ja) ピザ製品、ピザ製品用包装材、並びにピザ製品のための調理及び配送方法
CN111802414A (zh) 一种智能煎饼馃子制售机
KR20220077487A (ko) 김가루 제조 및 포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20033681A (ko) 김가루 제조 및 포장 시스템
OA20265A (ko)
WO2017162782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39;une pate a tarte crue preformee et stabilisee et produits afferents
HK1225231B (zh) 用於製造食品的烘焙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