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5644A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644A
KR20150025644A KR20130103502A KR20130103502A KR20150025644A KR 20150025644 A KR20150025644 A KR 20150025644A KR 20130103502 A KR20130103502 A KR 20130103502A KR 20130103502 A KR20130103502 A KR 20130103502A KR 20150025644 A KR20150025644 A KR 2015002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recast
precast segment
segment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최은희
김병연
이지현
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한영산업
주식회사 성진풍력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삼원밀레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한영산업, 주식회사 성진풍력,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삼원밀레니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0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644A/ko
Publication of KR2015002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4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02D27/425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급속한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기간의 단축되고, 인력의 소모가 적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PRECAST SEGMENT ASSEMBLY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단면을 가지는 교각기둥이나 프리캐스트 풍력타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고, 현장에서 용이하게 원주방향으로 일체화시키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 및 풍력발전기 등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크기도 이에 비례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압축하중 저항에 장점이 있는 콘크리트소재를 지지구조물에 사용함에 있어 단면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원형 중공구조물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원형 중공구조물을 활용한 방식의 경우는 운송중 제약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운반 가능한 최대높이는 저상 트레일러 사용시 4.2m이므로 통상적으로 8m 이상에 달하는 풍력타워 등의 대형구조물을 운송하는데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원형 중공구조물의 도로운송 편의성 및 현장에서의 공기절감을 위해 콘크리트 현장타설공법 대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현장조립공법의 검토가 활발해지고 있다.
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을 위해 기존에는 중공구조물 내부에서 볼트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 결합하는 방식이 검토되어 오고 있으나, 이와 같은 내부체결방식은 패널간 체결이후 중공구조물 외부 패널연결부에 벌어짐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중공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됨에 따른 유지관리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트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하여 패널을 결합하는 경우 연결부 주변 콘크리트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내부체결방식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외부체결을 병행하는 방식을 검토할 수 있으나, 이는 중공구조물 미관을 훼손할 뿐 아니라 노출된 철구의 부식발생 문제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체결방식을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고, 구조물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될 경우, 타워 외부 작업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운송이 용이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관리상의 편의성이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가 사전에 제작되고, 별도의 체결구 등의 설치의 필요없이,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부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급속한 연결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원주방향의 연결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내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원주방향의 연결부에 발생하던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외부체결에 사용되던 노출된 체결구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 이로 인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체결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구조물이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암형웨지연결부와, 상기 암형웨지연결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형웨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암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확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입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디리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웨지연결부는, 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바람직하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를 설치하는 복수의 고정스터드가 매립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쌍의 웨지연결부는 메탈글루로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합단부가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부포켓덮개와 내부포켓덮개를 포함하는 포켓덮개부; 및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포켓덮개부는, 상기 접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단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형의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세그먼트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급속한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기간의 단축되고, 인력의 소모가 적은 효과가 있다.
상기 암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확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돌출부의 구성에 의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원주방향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웨지연결부의 사이에 메탈글루를 주입시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상호 접합시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가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부포켓덮개와 내부포켓덮개를 포함하는 포켓덮개부와,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주입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원주방향의 연결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내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원주방향의 연결부에 발생하던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외부체결에 사용되던 노출된 체결구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 이로 인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물이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결합 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결합 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 웨지연결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공간부(300), 포켓덮개부(400), 그라우트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개수는 운송상의 제약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요구직경과 세그먼트(100)의 연결부의 개수에 따른 시공상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웨지연결부(200)는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웨지연결부(20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양측면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웨지연결부(200)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암형웨지연결부(210)와, 상기 암형웨지연결부(210)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형웨지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형성된 암형웨지연결부(210)의 길이방향의 상단부에 우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형성된 수형웨지연결부(220)의 하단을 배치한 상태에서 밀어넣거나, 중력을 활용하여 내려놓음으로써, 양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일체화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암형웨지연결부(210) 내입부(211)의 폭의 확대와 수돌출부(221)의 폭의 감소를 통한 쐐기 작용에 의해 원주방향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고, 메탈글루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를 일체화시키고, 한 쌍의 웨지연결부(200)의 미세한 틈을 채워서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웨지연결부(210)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확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내입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수형웨지연결부(220)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암형웨지연결부(210) 내입부(211)의 폭의 확대와 수형웨지연결부(220) 돌출부(221)의 폭의 감소를 통한 쐐기 작용에 의해 접합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고, 메탈글루에 의해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를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고, 한 쌍의 웨지연결부(200)의 미세한 틈을 채워져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내입부(211)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디리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21)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연결부(200)는 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200)가 설치되는 설치홈(120)이 구비되고, 웨지연결부(200)는 설치홈(1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200)를 설치하는 복수의 고정스터드(110)가 매립 형성될 수 있다.
고정스터드(11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 사전에 설치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고정스터드(110)에 웨지연결부(200)가 미리 설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설치홈(120)에 상기 웨지연결부(200)가 설치시, 상기 웨지연결부(200)의 외면과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외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형웨지연결부(220)와 암형웨지연결부(210)를 포함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는 메탈글루로 접합될 수 있다. 메탈글루는 강재를 접합시키는 접합제로서, 응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웨지연결부(200)는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인데,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암형웨지연결부(210) 내입부(211)의 폭의 확대와 수돌출부(221)의 폭의 감소를 통한 쐐기 작용에 의해 원주방향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고, 메탈글루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를 일체화시키고, 한 쌍의 웨지연결부(200)의 미세한 틈을 채워서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접합단부가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300)와, 상기 공간부(30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부포켓덮개와 내부포켓덮개를 포함하는 포켓덮개부(400)와, 상기 공간부(300)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00)의 전후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포켓덮개와 내부포켓덮개를 포함하는 포켓덮개부(400)에 의해 전후면이 밀폐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부(300)에는 그라우트재가 타설되어 그라우트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체결되어, 공간부(300)가 형성된 상태에서 내부포켓덮개와 외부포켓덮개가 설치되기 전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내부포켓덮개와 외부포켓덮개가 설치된 후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덮개부(400)는 웨지연결부(200)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부(500)는 한쌍의 웨지연결부(200)와, 포켓덮개부(400)가 설치된 후 공간부(300)에 그라우트재를 채워서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그라우트재가 공간부(300)에 채워진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진행하여 접합되는 양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를 현장에서 일체화시킨다.
이에 의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의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2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한 구조물의 높이 따라 3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적층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쉬스관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내면에 설치된 정착부에서 정착구(S)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1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10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110: 고정스터드
120: 설치홈 200: 웨지연결부
210: 암형웨지연결부 211; 내입부
220: 수형웨지연결부 221: 돌출부
300: 공간부 400: 포켓덮개부
410: 전단보강재 500: 그라우트부
S: 정착구 T: 프리스트레스 강선

Claims (10)

  1.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접합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웨지연결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암형웨지연결부와, 상기 암형웨지연결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형웨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확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형웨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디리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합단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연결부는, 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연결부를 설치하는 복수의 고정스터드가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웨지연결부는 메탈글루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부가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부포켓덮개와 내부포켓덮개를 포함하는 포켓덮개부; 및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덮개부는,
    상기 접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단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20130103502A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Ceased KR20150025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502A KR20150025644A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502A KR20150025644A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44A true KR20150025644A (ko) 2015-03-11

Family

ID=5302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502A Ceased KR20150025644A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6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68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CN108167125A (zh) * 2017-12-20 2018-06-15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构件、混凝土塔筒分片及模具、塔筒及其制作方法
KR20180064959A (ko) * 2016-12-06 2018-06-1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드아치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지지공법
CN112281553A (zh) * 2020-10-10 2021-01-2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磁悬浮桥梁结构
KR20250041483A (ko) 2023-09-18 2025-03-25 송성민 관형 측면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68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KR20180064959A (ko) * 2016-12-06 2018-06-1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드아치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지지공법
CN108167125A (zh) * 2017-12-20 2018-06-15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构件、混凝土塔筒分片及模具、塔筒及其制作方法
CN108167125B (zh) * 2017-12-20 2020-02-11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构件、混凝土塔筒分片及模具、塔筒及其制作方法
CN112281553A (zh) * 2020-10-10 2021-01-2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磁悬浮桥梁结构
KR20250041483A (ko) 2023-09-18 2025-03-25 송성민 관형 측면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34B1 (ko)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3195170B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框架结构体系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20150025644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454859B1 (ko) 강합성보 및 그에 따른 강합성보의 시공방법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CN103883482A (zh) 预制混凝土筒节、其制造方法及风机塔筒
KR101272601B1 (ko) 옥상 조형물의 피씨 접합 구조
KR101369998B1 (ko) 철골기둥 접합용 철골 일체형 합성pc기둥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둥 시공방법
KR101549417B1 (ko) 철골합성보용 조인트 바스켓
KR101797314B1 (ko) 강관기둥 접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20120060015A (ko) 창틀용 내진 보강 접합구조의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KR101429527B1 (ko) 복합보 접합부 구조
KR201500469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KR102114890B1 (ko) Pc 보-기둥 접합부
KR101216126B1 (ko)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96450B1 (ko) 세미아치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25643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577327B1 (ko) 혼합형 합성거더
KR10152803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10146286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