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33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4333A KR20150024333A KR1020147034687A KR20147034687A KR20150024333A KR 20150024333 A KR20150024333 A KR 20150024333A KR 1020147034687 A KR1020147034687 A KR 1020147034687A KR 20147034687 A KR20147034687 A KR 20147034687A KR 20150024333 A KR20150024333 A KR 20150024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random access
- beacon signal
- frequency band
- serving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를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이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2D 통신을 위한 비콘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서빙 셀에서 동작하는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를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를 통신을 위해 신호를 송수신 하는 제1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2 단말 장치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말 장치이다.
상기 제1 및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비콘 신호 수신 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상기 제2 단말의 타이밍 어드밴스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에 대하여 반송파 지시자 필드가 설정 불가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에 대하여 반송파 지시자 필드가 설정 가능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에 관련된 세컨더리 셀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반송파 병합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세컨더리 셀을 위한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의 전환은 상기 하향링크 동기 획득 및 상기 비콘 신호 수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포워딩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이 전송하는 스캔 요청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의 비콘 신호는 상기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과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 각각의 동작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자신의 서빙 셀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서빙 셀에 속한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반송파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 주파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캔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반송파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 주파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캔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LTE
/
LTE
-A 시스템 일반
도 1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전송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반송파 병합
도 5는 반송파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반송파 병합을 설명하기에 앞서 LTE-A에서 무선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셀(Cell)의 개념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자원은 필수 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셀은 하향링크 자원 단독 또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현재 LTE-A 릴리즈 10에서의 정의이며 반대의 경우, 즉 셀이 상향링크 자원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하향링크 자원은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Downlink component carrier, DL CC)로 상향링크 자원은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로 지칭될 수 있다. DL CC 및 UL CC는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반송파 주파수는 해당 셀에서의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의미한다.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primary frequency)에서 동작하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주파수(secondary frequency)에서 동작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로 분류될 수 있다. PCell과 SCell은 서빙 셀(serving cell)로 통칭될 수 있다. PCell은 단말이 초기 연결 설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설정 과정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이 PCell이 될 수 있다. 즉, PCell은 후술할 반송파 병합 환경에서 제어관련 중심이 되는 셀로 이해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PCell에서 PUCCH를 할당 받고 전송할 수 있다. SCell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병합 환경에서 PCell을 제외한 나머지 서빙 셀을 SCell로 볼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반송파 병합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반송파 병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PCell로만 구성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반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반송파 병합이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존재하고, 전체 서빙 셀에는 PCell과 전체 SCell이 포함된다. 반송파 병합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네트워크는 초기 보안 활성화(initial security activation) 과정이 개시된 이후, 연결 설정 과정에서 초기에 구성되는 PCell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SCell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반송파 병합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파 병합은 높은 고속 전송률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보다 넓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입된 기술이다. 반송파 병합은 반송파 주파수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의 집합(aggreg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기존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CC를 사용하는 경우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7(b)는 반송파 병합이 사용되는 경우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5(b)에는 예시적으로 20MHz의 CC 3개가 사용되어 총 6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각 CC는 연속적일 수도 있고, 또한 비 연속적일 수도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수개의 DL CC를 통해 동시에 수신하고 모니터할 수 있다. 각 DL CC와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DL CC/UL CC 링크는 시스템에 고정되어 있거나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전체 대역이 N개의 CC로 구성되더라도 특정 단말이 모니터링/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M(<N)개의 CC로 한정될 수 있다. 반송파 병합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는 셀 특정(cell-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단말 특정(UE-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이란,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의 DL CC의 제어영역에 다른 DL CC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 또는 복수의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의 DL CC의 제어영역에 그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복수의 UL CC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반송파 지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에 대해 설명한다.
CIF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 포맷에 포함되거나 또는 불포함 수 있으며, 포함된 경우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현재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DL CC상에서 유효하다. 또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DL CC 와 링크된 하나의 UL CC에 대해 유효하다.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된 경우, CIF는 어느 하나의 DL CC에서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관련된 CC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6를 참조하면 DL CC A 상의 제어 영역 내 PDCCH를 통해 DL CC B 및 DL CC C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 정보, 즉 PDSCH 자원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단말은 DL CC A를 모니터링하여 CIF를 통해 PDSCH의 자원영역 및 해당 CC를 알 수 있다.
PDCCH에 CIF가 포함되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는지는 반-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특정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CIF가 비활성화(disabled)된 경우에, 특정 DL CC 상의 PDCCH는 해당 동일한 DL CC 상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고, 특정 DL CC에 링크된 UL CC 상의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PDCCH 구조와 동일한 코딩 방식, CCE 기반 자원 매핑, DCI 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CIF가 활성화(enabled)되는 경우에, 특정 DL CC 상의 PDCCH는 복수개의 병합된 CC들 중에서 CIF가 지시하는 하나의 DL/UL CC 상에서의 PDSCH/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PDCCH DCI 포맷에 CIF가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고정된 3 비트 길이의 필드로 정의되거나, CIF 위치가 DCI 포맷 크기에 무관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PDCCH 구조와 동일한 코딩 방식, CCE 기반 자원 매핑, DCI 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CIF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기지국은 PDCCH를 모니터링할 DL CC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의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CC 세트는 전체 병합된 DL CC의 일부분이고 단말은 PDCCH의 검출/디코딩을 해당 CC 세트에서만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에 대해서 PDSCH/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PDCCH를 PDCCH 모니터링 CC 세트 상에서만 전송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단말-특정 또는 단말 그룹-특정 또는 셀-특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3 개의 DL CC가 병합되는 경우에, DL CC A 가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될 수 있다. CIF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각각의 DL CC 상의 PDCCH는 DL CC A에서의 PDSCH만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CIF가 활성화되면 DL CC A 상의 PDCCH는 DL CC A는 물론 다른 DL CC에서의 PDSCH 도 스케줄링할 수 있다. DL CC A가 PDCCH 모니터링 CC로 설정되는 설정되는 경우에는 DL CC B 및 DL CC C에는 PDSCCH가 전송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반송파 병합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은 복수개의 하향링크 반송파를 통해서 복수개의 PDSCH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단말은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UL CC 상에서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개의 ACK/NACK을 PUCCH 포맷 1a/1b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높은 전송 전력이 요구되며 상향링크 전송의 PAPR이 증가하게 되고 전송 전력 증폭기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단말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 가능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PUCCH를 통해서 복수개의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ACK/NACK 번들링(bundling) 또는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병합의 적용에 따른 많은 개수의 하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TDD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DL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많은 개수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PUCCH를 통해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전송되어야 할 ACK/NACK 비트가 ACK/NACK 번들링 또는 다중화로 지원가능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위 방안들로는 올바르게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랜덤 액세스 절차(
Random
Access
Procedure
)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다음과 같은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이 기지국과의 연결 (RRC Connection)이 없어, 초기 접속 (initial access)을 하는 경우
- 단말이 핸드오버 절차에서, 타겟(target) 셀로 처음 접속하는 경우
-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 상향링크의 시간 동기가 맞지 않거나, 무선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정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향링크로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 무선 연결 실패 (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 (handover failure) 시 복구 절차의 경우
이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한다.
도 7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제1 메시지 전송
먼저,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집합에서 임의로(randomly) 하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PRACH(Physical RACH) 자원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S901).
(2) 제2 메시지 수신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 후에,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윈도우 내에서 자신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수신을 시도한다(S902). 좀더 자세하게,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는 MAC PDU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MAC PDU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SCH로 전달되는 정보를 단말이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DCCH에는 상기 PDSCH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의 정보와, 상기 PDSCH의 무선자원의 주파수 그리고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PDSCH의 전송 형식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단말이 자신에게 전송되는 PDCCH의 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PDCCH의 정보들에 따라 PDSCH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적절히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별자(ID; 예를 들어,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Temporary C-RNTI) 그리고 시간 동기 보정 값(Timing Advance Command: TAC)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별자가 필요한 이유는,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단계에서 단말은 단계 S902에서 자신이 선택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일치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를 통해 단말은 상향링크 승인 (UL Grant), 임시 셀 식별자(Temporary C-RNTI) 및 시간 동기 보정 값 (Timing Advance) 등을 수신할 수 있다.
(3) 제3 메시지 전송
단말이 자신에게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들을 각각 처리한다. 즉,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셀 식별자를 저장한다. 또한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에 대응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메시지3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수신된 UL 승인을 이용하여, 데이터(즉, 제3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903). 제3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는 기지국에서 어떠한 단말들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없는데, 차후에 충돌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을 식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논의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단말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이전에 이미 해당 셀에서 할당 받은 유효한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었다면, 단말은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전송 신호를 통해 자신의 셀 식별자를 전송한다. 반면에, 만약 랜덤 액세스 절차 이전에 유효한 셀 식별자를 할당 받지 못하였다면, 단말은 자신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S-TMSI 또는 임의 ID(Random 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고유 식별자는 셀 식별자보다 길다. 단말은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 충돌 해결을 위한 타이머 (contention resolution timer; 이하 "CR 타이머")를 개시한다.
(4) 제4 메시지 수신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UL 승인을 통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 한 이후, 충돌 해결을 위해 기지국의 지시를 기다린다. 즉,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S904).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두 가지 방법이 논의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여 전송된 제3 메시지가 자신의 식별자가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된 경우, 자신의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하고, 상기 식별자가 고유 식별자인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임시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 후, 전자의 경우, 만약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자신의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종료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임시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PDCCH가 지시하는 PDSCH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의 내용에 자신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와 달리 제1 메시지 전송 및 제2 메시지 전송만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게 된다. 다만, 제1 메시지로서 단말이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받게 되며, 이 할당받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 제1 메시지로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게 된다.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셀에 각각 포함된
단말간의
D2D
통신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단말들이 D2D 통신을 위해 신호를 송수신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보다 상세히, 특정 D2D 단말이 자신의 서빙 셀의 동작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운용되고 있는 서빙 셀에 속한 단말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단말은 듀얼/멀티 밴드 지원이 가능하여 둘 이상의 사업자 주파수에서 송/수신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즉, 단말은 둘 이상의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거나 또는 일부 특정 사업자에만 가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은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은 가능하지만 송신은 자신이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 주파수 대역에서만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네트워크가 D2D 통신에 대한 요청을 받고 D2D 통신의 대상이 되는 단말에게 비코닝(beaconing)을 명령하며 또한 D2D 통신의 대상이 되는 다른 단말에게 비코닝 밴드/시간에서 스캐닝(scanning)을 하도록 명령(beacon request and ack/scan request)하는 과정이 성공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의 명령 없이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비콘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1 기지국(eNB1)과 제2 기지국(eNB2)를 서빙 셀로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UE1)은 제1 사업자 주파수(f1)의 제1 기지국(eNB1)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있으며, 제2 단말(UE2)은 제2 사업자 주파수(f2)의 제2 기지국(eNB2)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 각 사업자 주파수(f1, f2)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분리되어 있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제1 단말(UE1)이 스캔 요청(scan request)을 수신하고, 제2 단말(UE2)은 비콘 요청(beacon request)를 수신하였다면, 단말 2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여기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자원은 D2D 주파수 대역, 즉 제2 단말(UE2)의 (서빙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이하에서는 비콘 신호가 제2 단말(UE2)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됨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제1 단말(UE1)이 D2D 통신을 위해 제2 단말(UE2)을 발견(제2 단말(UE2)과의 직접 링크를 측정 또는 제2 단말(UE2)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2 단말(UE2)의 비콘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 즉 제2 단말(UE2)의 (서빙 셀)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UE1)은 측정을 위한 특정 시간 구간(측정 구간) 동안 자신의 서빙 셀에서의 송수신은 불가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구간은 네트워크가 정해서 스캔 요청 등에 포함시켜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측정 구간에서 제1 기지국(eNB1)은 제1 단말(UE1)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며 또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단말(UE1)이 제2 단말(UE2)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더라도 제2 단말(UE2)/제2 기지국(eNB2)과 동기가 맞지 않아 비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하, 이를 위한 방법들을 살펴본다.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 획득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써 축소된/변형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서빙 셀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예를 들어, PSS(Primary Synchronous Signal), SSS(Secondary Synchronous Signa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이, 거리, 주변 다른 셀들로부터의 간섭 등으로 인해 제2 단말의 서빙 셀로부터 위 예시된 신호들을 제대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스캔 요청에 위 예시된 신호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프레임/서브프레임 타이밍 또는 제1 단말의 서빙 셀과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타이밍 오프셋 정보 등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기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한 단말은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은 기존 LTE/LTE-A 시스템에 정의되어 있는 그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본 절차를 위해 별도로 정의되는 프리앰블일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제2 단말의 서빙 셀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후술하는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별자(ID; 예를 들어,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 (Temporary C-RNTI) 등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랜덤 액세스 응답의 전송으로써 축소된/변형된 랜덤 액세스 절차는 종료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이후 단말 식별 목적 등의 메시지 3 및 경쟁 해소에 관련된 메시지 4의 송 수신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이와 같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제1 단말은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획득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2 단말의 타이밍 어드밴스로 가정/전제/추정하고 상향링크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이 제2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를 알게 되었으므로, 제2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적절히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써, 제2 단말의 서빙 셀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한 후, 시간 축에서 비콘 신호를 연속적으로 스캐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써,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를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획득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 간 이종 망간의 협력을 통해 대략적인 타이밍 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향링크 타이밍은 이종 사업자 망 간에 로컬 클럭이 공유되면 글로벌 클럭(GPS 클럭이 사용될 수 있다) 대비 타이밍의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의 TA 값은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여 제1 단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제1 기지국이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스캔 요청은 제1 단말에게 제2 단말로의 인터-오퍼레이터 네트워크(inter-operator network)간 핸드오버 요청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스캔 요청은 측정 구간(measurement period), 핸드오버를 수행할 셀의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주파수 대역의 전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관련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비콘 시그널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의 동작 주파수의 전환이 필요하고,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의 동작 주파수의 전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단말에 신호 수신 회로가 한 개만 구현되어 있는 경우와 두 개의 수신 회로가 구현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어, 제1 단말이 반송파 병합을 지원하는 경우, 다른 표현으로 제1 단말에 대해 반송파 지시자 필드가 설정 가능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도 9는 제1 단말에 신호 수신 회로가 한 개만 구현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a)는 수신 회로가 한 개만 구현되어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DL band #1 signal 및 DL band #2 signal)을 수신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의 전환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수신 회로를 갖는 제1 단말이 타이밍 정보 획득 및 비콘 신호 수신을 위해서는 도 9(b)와 같은 동작 주파수 전환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단말이 자신의 동작 주파수 대역 신호(DL band #1 signal)을 수신하다가 스캔 요청을 받으면, 측정 구간에서,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여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신호(DL band #2 singal)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UL band #2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제2 단말의 상향링크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제1 단말에게 두 개의 수신 회로가 구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1 단말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신 회로를 갖고 있으며, 각 수신 회로에서 두 개 주파수 대역의 신호(DL band #1 signal, DL band #2 signal)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파수 대역(f1)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제3 주파수 대역(f2)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일 수 있다.
도 10(a)와 같은 경우, 만약 제3 주파수 대역(f3)이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경우, 제1 단말은 제1 수신 회로(1001)를 통한 제1 주파수 대역(f1)에서 하향링크 신호(DL band #1 signal) 수신을 유지하면서, 제2 수신 회로(1003)를 통한,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 신호(즉,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DL band #2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은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수신 회로(1001)에서의 주파수 대역을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여 비콘 신호(UL band #2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a)에서는 도 10(b)의 경우와 달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제1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신호) 수신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즉, 제1 수신 회로(1001)에서는 제1 주파수 대역(f1)에서 하향링크 신호(DL band #1 signal)를 계속 수신하면서, 제2 수신 회로(1002)의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제2 수신 회로(1002)를 통해 서빙 셀의 제3 주파수 대역(f3)의 하향링크 신호(DL band #3 signal)를 수신하다 스캔 요청을 받으면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해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여 제2 주파수 대역(f2)의 신호(DL band #2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동기를 획득한 단말은 제2 수신회로(1003)의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신호(UL band #2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신호(UL band #2 signal)는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제3 주파수 대역(f3)가 제1 단말의 서빙 셀의 Scell 반송파에 해당하는 경우, Pcell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은 유지한 채 Scell의 수신 회로를 사용하여 제2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Scell의 수신 회로, 즉 제2 수신 회로(1003)에서 밴드 스위치 이후에는 Scell에서의 수신이 이루어 지지 못하게 되므로, 네트워크는 반송파 병합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수행하고 이를 스캔 요청에서 제1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이 측정 구간을 요청하면서 반송파 병합 재설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송파 병합 재설정은 순간적으로(또는, 측정 구간 동안) Scell이 스케줄링 되지 않도록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두 개의 수신 회로(1001, 1003)을 모두 전환해가면서 제2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하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신호(DL band #2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수신회로(1003)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비콘 신호(UL band #2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수신회로(1001)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비콘
신호 수신 보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로 제2 단말의 비콘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제1 단말은 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 수신 보고(비콘 신호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 이하, 스캔 보고(scan report)라 한다)를 위한 방법의 예시로써 도 12에 도시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 도 12를 참조하면, 스캔 보고는 제1 단말 자신의 기지국으로 전송(1201)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 단말이 비콘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측정 설정에 따라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비콘 신호의 전송 주파수는 제2 단말의 동작 주파수인 f2의 상향링크 밴드이며, 비콘 전송 구간 이외의 시간 구간에서는 제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제1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스캔 요청을 수신하면 앞서 설명된 방법들로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단말은 다시 자신의 동작 주파수, f1으로 돌아와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제2 단말의 발견을 보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단말이 제2 단말을 성공적으로 발견한 경우 성공 여부와 측정한 신호 정보(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수신 신호 강도 등)을 제2 기지국에 알리고, D2D 통신 허용 여부와 D2D 자원 협상(resource negot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협상 과정은 생략되고 미리 설정된 D2D 자원 영역을 할당해 줄 수도 있다. 도 13에는 상술한 일련의 과정이 시간 흐름의 순으로 도시되어 있다.
두 번째로, 도 12를 참조하면, 스캔 보고는 제2 단말의 서빙 셀인 제2 기지국으로 전송(1203)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1 단말이 제2 기지국에 연결(connected)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은 제2 기지국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 절차에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 받으면 이를 통해 스캔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써, 랜덤 액세스 신호가 스캔 보고의 역할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랜덤 액세스 신호는 스캔 보고(detection result(success/fail)), D2D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된 스캔 보고는 제1 기지국에도 공유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캔 보고는 제1 기지국으로 포워딩 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이 자신의 서빙 셀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다시 전환한 후 제1 기지국으로 스캔 보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측정 구간에서 이미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이 있는 경우, 이 자원을 사용하여 스캔 보고를 전송하거나, 제2 기지국에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단말에게 스캔 보고를 전송(1205)할 수도 있다. 즉, 제1 단말이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축소된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그 결과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츠겆ㅇ한 채널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지국은 보고를 위한 자원을 미리 할당해 둘 수 있으며,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하여 비콘 요청/스캔 요청에서 해당 자원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고 자원 영역은 시스템 상에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410)는, 수신모듈(1411), 전송모듈(1412), 프로세서(1413), 메모리(14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4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4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4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3)는 기지국 장치(14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1410)의 프로세서(14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410)의 프로세서(1413)는 그 외에도 기지국 장치(14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420)는, 수신모듈(1421), 전송모듈(1422), 프로세서(1423), 메모리(14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4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4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4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단말 장치(14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420)의 프로세서(14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1420)의 프로세서(14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14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4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4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를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비콘 신호 수신 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상기 제2 단말의 타이밍 어드밴스로 가정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 대하여 반송파 지시자 필드가 설정 불가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 대하여 반송파 지시자 필드가 설정 가능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에 관련된 세컨더리 셀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단말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반송파 병합 재설정을 요청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세컨더리 셀을 위한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단말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의 전환은 상기 하향링크 동기 획득 및 상기 비콘 신호 수신을 위한 것인,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포워딩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이 전송하는 스캔 요청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확인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지시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의 비콘 신호는 상기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상에서 수신되는,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셀과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 각각의 동작 주파수는 상이한, D2D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를 통신을 위해 신호를 송수신 하는 제1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2 단말 장치의 서빙 셀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셀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64739P | 2012-06-26 | 2012-06-26 | |
US61/664,739 | 2012-06-26 | ||
PCT/KR2013/005227 WO2014003342A1 (ko) | 2012-06-26 | 2013-06-13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333A true KR20150024333A (ko) | 2015-03-06 |
Family
ID=4978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4687A Withdrawn KR20150024333A (ko) | 2012-06-26 | 2013-06-13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544932B2 (ko) |
KR (1) | KR20150024333A (ko) |
WO (1) | WO2014003342A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0239A (ko) * | 2015-08-14 | 2017-02-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
WO2017176033A1 (ko) * | 2016-04-04 | 2017-10-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7213375A1 (ko) * | 2016-06-08 | 2017-1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동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80037012A (ko) * | 2015-08-13 | 2018-04-10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US9960830B2 (en) | 2016-04-04 | 2018-05-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in beamforming system |
US10305637B2 (en) | 2016-04-04 | 2019-05-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701684B2 (en) | 2016-04-04 | 2020-06-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25037909A1 (ko) * | 2023-08-17 | 2025-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터 셀 빔 관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48774B (zh) * | 2013-07-31 | 2017-11-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接入信道的方法和设备 |
CN104427592B (zh) * | 2013-08-26 | 2019-04-26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终端设备及帧发送和接收方法 |
EP3063999B1 (en) | 2013-10-30 | 2019-02-2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wireless devices for enabling synchronization in d2d communications |
US20150208371A1 (en) * | 2014-01-23 | 2015-07-23 | Humax Holdings Co., Ltd. |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n lt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US10587493B2 (en) * | 2014-01-30 | 2020-03-10 | Nokia Technologies Oy | Device to 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
US10278219B2 (en) * | 2014-02-18 | 2019-04-30 | Kyocera Corporation |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US9723630B2 (en) * | 2014-03-21 | 2017-08-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ention-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D2D communication |
MX369377B (es) | 2014-04-18 | 2019-11-07 | Nokia Technologies Oy | Operacion de dispositivo a dispositivo entre operadoras. |
EP3142421B1 (en) * | 2014-05-09 | 2019-07-03 | Kyocera Corporation |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 for terminals served by different cells |
KR102247142B1 (ko) * | 2014-05-09 | 2021-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 간 통신을 위한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WO2015173187A1 (en) * | 2014-05-16 | 2015-11-19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node, communication devic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
KR101609648B1 (ko) * | 2015-01-23 | 2016-04-08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2237511B1 (ko) * | 2015-04-29 | 2021-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
CN107925536B (zh) * | 2015-07-06 | 2021-10-29 | 瑞典爱立信有限公司 | 用于无线系统中数据传送的资源分配 |
US10044601B2 (en) * | 2015-11-13 | 2018-08-07 |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 Transmission of broadcast communication |
US10631173B2 (en) * | 2016-09-02 | 2020-04-21 | Qualcomm Incorporated | Radio (NR) procedures for shared spectrum |
CN109152082B (zh) * | 2017-06-16 | 2021-10-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发送控制信息的方法、基站以及用户设备 |
CN109219153B (zh) * | 2017-06-30 | 2021-01-29 |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随机接入的方法、基站及终端 |
US12028731B2 (en) * | 2018-06-25 | 2024-07-02 | Apple Inc. | Techniques in system frame number (SFN) and frame timing difference measurements in new radio (NR) |
EP4059289B1 (en) * | 2019-11-14 | 2024-11-13 | Qualcomm Incorporated |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s with external assistanc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48325B (zh) * | 2007-11-27 | 2012-11-21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随机接入过程中的处理方法和基站 |
EP2327272B1 (en) | 2008-07-17 | 2013-06-05 | Nokia Siemens Networks OY |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cellular system |
US8554200B2 (en) * | 2008-09-12 | 2013-10-08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for device to-device communication |
KR101233182B1 (ko) * | 2010-03-15 | 2013-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
WO2011116815A1 (en) * | 2010-03-23 | 2011-09-29 | Nokia Siemens Networks Oy | Resource allocation for direct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in a cellular system |
US8509105B2 (en) * | 2010-06-23 | 2013-08-1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
US20140122607A1 (en) * | 2011-06-17 | 2014-05-01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
US20140099950A1 (en) * | 2011-06-29 | 2014-04-1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
EP2737759A4 (en) * | 2011-07-26 | 2014-11-26 |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 ENB-TRANSLATOR ACT DEPARTURE / TA-VALIDITY |
US9769857B2 (en) * | 2012-02-27 | 2017-09-19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
EP2850857B1 (en) * | 2012-05-15 | 2019-03-0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Device discovery of second user equipments in a second network for d2d communication |
-
2013
- 2013-06-13 WO PCT/KR2013/005227 patent/WO201400334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13 KR KR1020147034687A patent/KR20150024333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06-13 US US14/411,045 patent/US954493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7012A (ko) * | 2015-08-13 | 2018-04-10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US11191114B2 (en) | 2015-08-13 | 2021-11-30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tain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 |
KR20170020239A (ko) * | 2015-08-14 | 2017-02-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
US10701684B2 (en) | 2016-04-04 | 2020-06-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9960830B2 (en) | 2016-04-04 | 2018-05-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in beamforming system |
US10305637B2 (en) | 2016-04-04 | 2019-05-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939429B2 (en) | 2016-04-04 | 2021-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986627B2 (en) | 2016-04-04 | 2021-04-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7176033A1 (ko) * | 2016-04-04 | 2017-10-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
US11395289B2 (en) | 2016-04-04 | 202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7213375A1 (ko) * | 2016-06-08 | 2017-1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동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
US11109328B2 (en) | 2016-06-08 | 2021-08-3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ownlink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25037909A1 (ko) * | 2023-08-17 | 2025-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터 셀 빔 관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03342A1 (ko) | 2014-01-03 |
US9544932B2 (en) | 2017-01-10 |
US20150341878A1 (en) | 2015-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25333B2 (en)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executing beam recovery,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 |
US954493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50364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hannel access failure in unlicensed band | |
US1129758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to transmi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861694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EP29381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34534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US1001582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having low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86783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940532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
EP384657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hannel access failure in unlicensed band | |
US20180110074A1 (en) |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 |
US11943817B2 (en) | Method for switching operation m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
KR2015002278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동기 방법 및 장치 | |
KR2016000953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2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