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2517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517A
KR20150022517A KR20130100519A KR20130100519A KR20150022517A KR 20150022517 A KR20150022517 A KR 20150022517A KR 20130100519 A KR20130100519 A KR 20130100519A KR 20130100519 A KR20130100519 A KR 20130100519A KR 20150022517 A KR20150022517 A KR 20150022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wheelhouse
present
upper deck
hu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
이동현
이명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517A/ko
Publication of KR2015002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63B1/063Bulbous 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선체 중 선수부의 상갑판 하부에 설치되는 조타실을 포함하되, 상갑판은 선체의 최상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는 항해를 위한 조타실 및 선원의 거주구역(accommodation area)이 형성된 데크 하우스(deck house)가 상갑판(upper deck)의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데크 하우스가 상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요 이유는 선박의 운항을 위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에 있다.
한편, 데크 하우스가 상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선박의 운항 시 바람 등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여 운항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갑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선박 운항의 효율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갑판 상부의 일부 면적을 데크 하우스가 차지함에 따라 여타 장비 또는 화물의 적재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물류비의 증가로 인해 컨테이너선 등에 선적할 수 있는 화물 컨테이너들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상갑판의 화물 적재 면적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운항에 차질이 없는 한도 내에서 데크 하우스를 상갑판의 상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선박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942호 (2010.12.10.)
본 발명은 데크 하우스를 상갑판의 상부로부터 제거하여 운항 효율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선체 중 선수부의 상갑판 하부에 설치되는 조타실을 포함하되, 상갑판은 선체의 최상층을 형성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여기서, 선박은 조타실로부터 좌우현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윙브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수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조타실은 선수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갑판 하부 중 조타실의 후부에 설치되는 거주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타실을 선수부의 상갑판 하부에 설치하여 상갑판이 선체의 최상층을 형성하므로, 선박에서 데크 하우스를 상갑판의 상부로부터 제거하여 운항 효율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선체(100) 및 조타실(200)을 포함하고, 윙브리지(300) 및 거주구역(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 조타실(200), 윙브리지(300) 및 거주구역(40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선박(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타실(200)은 선체(100) 중 선수부(110)의 상갑판(120) 하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운항에 필요로 하는 운행과 조타 그리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갑판(120)은 선체(100)의 최상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상갑판(120)의 상부에 별도의 데크 하우스를 형성하지 않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120)의 하부에 조타실(200)이 설치된다.
특히, 조타실(200)은 선체(100) 중 선수부(110)에 마련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운항을 위한 전방 및 측방 일부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0)의 운항을 위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상갑판(120)의 상부에 별도의 데크 하우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상갑판(120)이 선체(100)의 최상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갑판(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데크 하우스 등의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운항 시 바람 등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상갑판(120)이 선체(100)의 최상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갑판(120)의 상부에 각종 화물(10) 내지 장비의 적재를 위한 공간이 최대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윙브리지(300)는 조타실(200)로부터 좌우현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부분으로, 선박(1000)의 도킹과 입항을 비롯하여 각종 운항이 어려운 지역에서 적정 시야를 확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선박(1000)에 대한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특히, 윙브리지(3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 조타실(200)의 구조상 선미부를 관측하기 곤란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조타실(200)로부터 좌우현 방향으로 돌출된 윙브리지(300)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선미부를 관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윙브리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실(200)로부터 돌출되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윙브리지(300)의 하부와 선체(100) 내지 조타실(200) 사이에 지지 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선체(100) 내지 조타실(200)에 대하여 윙브리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윙브리지(300)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길이 내지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윙브리지(300)를 더 포함하여, 선박(1000)의 운항을 위한 시인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 선수부(110)는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조타실(200)은 선수부(110)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110)는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타실(200)의 전면 역시 이러한 선수부(110)의 형상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운항 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타실(200)에서 관측할 수 있는 측방 각도를 크게하여 운항에 필요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 조타실(200)은 전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강화유리(210)란 고열에 의한 특수 열처리 등으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특수유리를 일컫는 것으로서, 시인성 확보를 위한 광투과성 및 외부로부터 조타실(200)을 보호하기 위한 고내구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타실(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0)의 운행 방향 전면에 설치되므로, 선박(1000)의 운행 시 바람 또는 각종 비산물에 의한 충격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타실(200)의 전면을 트러스 또는 브레이스 등의 구조용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 조타실(200) 본연의 기능인 시인성 확보가 불충분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는, 조타실(200)의 광투과성 및 고내구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도록 전면에 강화유리(210)를 설치할 수 있다.
거주구역(400)은 상갑판(120) 하부 중 조타실(200)의 후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선원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거주구역(400)은 종래에는 상술한 데크 하우스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에서는 데크 하우스를 제거하고 거주구역(400)을 조타실(200)의 후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주구역(400)은 조타실(200) 등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주구역(400)이 상갑판(120)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채광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채광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갑판(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거주구역(400)에 자연광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갑판(120)에 설치되는 별도의 집광장치에서 자연광을 집광한 후 광섬유 등을 활용하여 거주구역(400)으로 자연광을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거주구역(400) 역시 조타실(200)과 마찬가지로 상갑판(12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갑판(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데크 하우스 등의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의 운항 시 바람 등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상갑판(120)이 선체(100)의 최상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갑판(120)의 상부에 각종 화물(10) 내지 장비의 적재를 위한 공간이 최대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화물 100: 선체
110: 선수부 120: 상갑판
200: 조타실 210: 강화유리
300: 윙브리지 400: 거주구역
1000: 선체

Claims (4)

  1. 선체; 및
    상기 선체 중 선수부의 상갑판 하부에 설치되는 조타실;을 포함하되,
    상기 상갑판은 상기 선체의 최상층을 형성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실로부터 좌우현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윙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타실은 상기 선수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률이 형성되는 선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 하부 중 상기 조타실의 후부에 설치되는 거주구역;을 더 포함하는 선박.
KR20130100519A 2013-08-23 2013-08-23 선박 Ceased KR20150022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519A KR20150022517A (ko) 2013-08-23 2013-08-23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519A KR20150022517A (ko) 2013-08-23 2013-08-23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17A true KR20150022517A (ko) 2015-03-04

Family

ID=5302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519A Ceased KR20150022517A (ko) 2013-08-23 2013-08-23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51221L (no) Anordning ved forskip til fartoy av deplasementtypen.
JP2009120083A (ja) 液化ガス運搬船
WO2018070102A1 (ja)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CN207875922U (zh) 一种防撞船舶
ATE388890T1 (de) Marine-fahrzeug
DK2176118T3 (da) Sailing yacht having a heeling hull body part and having a non-heeling hull body part, in particular combinable sailing yacht and motorboat modular system
KR20150022517A (ko) 선박
JP5357466B2 (ja) 液化ガス運搬船
EP4081450B1 (en) Hull structure
US8789486B2 (en) Boats having inflatable planking
KR20120119333A (ko)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선박
WO2010114369A3 (en) Yacht with front windows on owner's cabin and with wheelhouse on intermediate deck
JP2019055692A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1323796B1 (ko) 덱 하우스 모듈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덱 하우스 모듈이 시공된 선박
KR20190093994A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CN204452824U (zh) 一种应用于货船航行驾驶室视线调整的克令吊结构
BR112014025212B1 (pt) Um casco marítimo e um vaso marítimo
RU24957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надводным транспортом а.н. канцера
KR102299206B1 (ko)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KR20170105691A (ko) 컨테이너선
JP2016107715A (ja) 舵および舵ユニットならびに船舶
RU2007105621A (ru) Носитель водолазов
KR101358331B1 (ko) 브리지윙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0709399B1 (ko) 플로팅 도크의 폰툰데크 길이를 초과하는 선박 건조공법
FR2495567A1 (fr) Car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