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797A -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1797A KR20150021797A KR20130099199A KR20130099199A KR20150021797A KR 20150021797 A KR20150021797 A KR 20150021797A KR 20130099199 A KR20130099199 A KR 20130099199A KR 20130099199 A KR20130099199 A KR 20130099199A KR 20150021797 A KR20150021797 A KR 201500217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b
- usb connector
- unit
- sensing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USB 모듈의 USB 커넥터에 전원을 공급하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설치되고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포트부에 마련된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포트부에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여 USB 커넥터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고, USB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전원 단자를 통해 USB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onnec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conn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including a port portion for supplying power to a USB connector of a USB module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sensing portion for sensing whether a USB connector is inser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In this case, when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 unit, The inspecting unit is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and when the USB connector is normally inser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USB module through the pow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해서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onnec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connectio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memory device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장치의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함) 포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 등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USB 커넥터를 구비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memory device is connected to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receives a power or a USB connector for an interface such as data communication do.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는 USB 커넥터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to 2 disclose a technology related to a USB connector.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USB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전원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The USB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generally includes a power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마찬가지로, USB 포트에는 USB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USB 커넥터와 대응되도록 전원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Similarly, the USB port includes a power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USB connector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USB connector and perform data communication.
USB 포트에 마련되는 전원 단자는 USB 커넥터 및 그 USB 커넥터에 연결된 휴대용 전자기기나 USB 메모리 장치 등의 USB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ower terminal provided on the USB port is used to power the USB connector and a USB module such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USB memory device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USB 포트가 마련된 전자장치는 USB 포트의 전원 단자에 상시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USB 모듈에 마련된 USB 커넥터가 삽입되면 USB 모듈과 통신을 시도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USB por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normally applies power to a power terminal of a USB port. When a USB connector provided in the USB module is inserted, communication is attempted with the USB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USB 포트에 USB 커넥터를 삽입할 경우, 삽입과 동시에 USB 포트를 통해 USB 커넥터의 전원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순간적인 피크 전압(peak voltage)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inserting the USB connector into the USB por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momentary peak voltage occur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USB connector through the USB port at the same time of inserting the USB connector.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USB 커넥터는 USB 포트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피크 전압에 의해 전기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USB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electrical damage is caused by the peak voltag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USB connector into the USB por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SB 커넥터의 삽입시 피크 전압에 의한 USB 커넥터의 전기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connec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electric damage of a USB connector due to a peak voltage when a USB connector is inser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는 USB 모듈의 USB 커넥터에 전원을 공급하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설치되고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포트부에 마련된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B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rt part for supplying power to a USB connector of a USB module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supplying or disconnecting power supplied to a power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 unit.
상기 포트부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어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실드, 상기 금속 실드 내부 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하면에 형성된 단자홈에 결합되고 USB 커넥터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 portion is coupled to a metal shield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an insulator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metal shield inner space, and a terminal groove formed on the insulator bottom,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트부의 금속 실드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 하부와 양측면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USB 커넥터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includes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respectively, which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connected.
상기 금속 실드의 상하면과 좌우측면에는 USB 커넥터를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는 상기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변형에 의해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s for fixing the USB connector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shiel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etal shield.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oks, .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포트부의 전원단자를 통해 USB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which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USB connector through a power terminal of the port uni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은 (a) 호스트 단말에 마련된 포트부에 USB 커넥터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포트부에 결합된 감지부를 이용해서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포트부의 전원단자를 통해 USB 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of a USB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he steps of: (a) inserting a USB connector into a port of a host terminal; (b) And (c)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USB module through the power terminal of the port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b) .
상기 (b)단계는 상기 포트부에 마련된 금속 실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all of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shield provided in the port portion.
상기 (c)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감지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USB 모듈에 구동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전체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c),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while the driving power is turned off to the USB module And a standby state is established.
본 발명은 (d) 상기 포트부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B module through a data terminal of the port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포트부에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여 USB 커넥터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고, USB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전원 단자를 통해 USB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SB connect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ng portion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port portion to inspect the inserted state of the USB connector. When the USB connector is normally inser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USB module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USB 커넥터 삽입시 피크 전압에 의한 USB 커넥터 및 USB 모듈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Thus, according to the USB connec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al damage of the USB connector and the USB module due to the peak voltage when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감지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의 상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를 마련함에 따라, USB 커넥터 삽입시 USB 커넥터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USB connec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provided in the sensing part, When inserted in a tilted state, the power supply can be cut off.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USB 커넥터의 비정상적인 접속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USB 포트 및 USB 커넥터에 마련된 단자의 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Thus, according to the USB connec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failure of the terminals provided in the USB port and the USB connector, which occurs when power is supplied in an ab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USB connector Effect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가 적용된 호스트 단말과 USB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트부와 감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트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host terminal and a USB module to which a USB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portion and the sensing por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 portion shown in FIG. 2;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method of a USB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USB connec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가 적용된 호스트 단말과 USB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ost terminal and a USB module to which a USB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단말(10)에 마련되고, USB 모듈(70)의 USB 커넥터(71)에 전원을 공급하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포트부(30), USB 커넥터(71)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40), 포트부(30)에 마련된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50) 및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스위칭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1, the
호스트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영상이나 음향을 출력하거나 문서 작성, 인터넷 연결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단말을 말한다. The
이러한 호스트 단말(10)에는 내부에 마련된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1) 및 각 모듈과 메인 제어부(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USB 모듈(70)은 USB 커넥터(71)를 이용해서 호스트 단말(1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메모리 장치와 각종 휴대용 단말기기를 말한다. The
전원공급부(12)는 USB 모듈(7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포트부(30)의 전원 단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포트부 및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portion and the sens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트부와 감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트부의 정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portion and the sensing portion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 portion shown in FIG.
포트부(30)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어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실드(31), 금속 실드(31) 내부 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절연체(32) 및 절연체(32) 하면에 형성된 단자홈에 결합되고 USB 커넥터(71)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금속 실드(31)의 상면과 하면 및 좌우측면에는 각각 후크(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후크(34)는 USB 커넥터(71) 삽입시 USB 커넥터(71)의 상하좌우면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Each of the
이러한 후크(34)는 금속 실드(31)의 상하좌우면을 각각 '<' 형상으로 절개해서 형성되고, 후크(34)의 선단은 금속 실드(31)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해 2중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se
복수의 단자(33)는 각각 전원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마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감지부(40)는 포트부(30)의 금속 실드(31)에 결합되도록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구되어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41) 및 결합부재(41)의 상면 하부와 양측면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는 각각 금속 실드(31)에 형성된 후크(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USB 커넥터(71)의 삽입시 각 후크(34)가 금속 실드(31)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USB 커넥터(71)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여기서, 금속 실드(31)의 가로 길이가 높이에 비해 길게 형성됨에 따라, 금속 실드(31)의 상면에 마련되는 후크(34)와 제1 감지센서(42)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결합부재(41)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의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출력단자(45)가 마련될 수 있다. An
스위칭부(50)는 호스트 단말(10)의 전원공급부(12)에서 포트부(30)의 전원 단자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The switching element may be provided as a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제어부(60)는 감지부(40)의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부(50)에 마련된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The
즉, 제어부(60)는 USB 커넥터(71)가 포트부(30)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USB 모듈(7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That is, whe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USB 커넥터의 비정상적인 접속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USB 포트 및 USB 커넥터에 마련되는 단자의 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failure of terminals provided in the USB port and the USB connector, which are gen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in an ab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USB connector.
이러한 제어부(60)는 포트부(30)와 USB 커넥터(71)를 통해 USB 모듈(7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로 마련되거나, USB 컨트롤러와 별도의 프로세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트부에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여 USB 커넥터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고, USB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전원 단자를 통해 USB 모듈에 전원을 공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 portion, inspecting the inserted state of the USB connector, and supplies power to the USB module through the power terminal when the USB connector is normally inser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USB 커넥터 삽입시 피크 전압에 의한 USB 커넥터 및 USB 모듈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lectrical damage of the USB connector and the USB module due to the peak voltage when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특히, 본 발명은 감지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의 상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를 마련함에 따라, USB 커넥터 삽입시 USB 커넥터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USB 커넥터의 비정상적인 접속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USB 포트 및 USB 커넥터에 마련된 단자의 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coupling member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so that when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USB connector is tilted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terminals provided in the USB port and the USB connector, which are gen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in an ab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USB connector.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의 포트부와 감지부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portion and the sensing portion of the USB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작업자는 포트부(30)의 절연체(32)에 형성된 단자홈에 복수의 단자(33)를 각각 결합한 후, 금속 실드(31)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단자(33)가 결합된 절연체(32)를 삽입해서 USB 접속장치(20)의 포트부(30)를 조립한다. The operator joins the plurality of
이때, 금속 실드(30)의 상하좌우면에는 각각 USB 커넥터(71)의 삽입 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후크(34)가 형성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hooks 34 are formed on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작업자는 결합부(41)의 상면 하부와 양측면에 각각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를 설치한다. The operator installs the first to
이어서, 결합부재(41)를 포트부(3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하방으로 이동시켜 포트부(30)와 결합부재(41)를 결합한다. Subsequently, the engaging
그러면,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는 각각 금속 실드(31)의 각 후크(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to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는 USB 커넥터(71)의 삽입시 각 후크(34)가 금속 실드(31)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USB 커넥터(71)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to
포트부(30)와 감지부(40)의 조립이 완료되면, 포트부(30)의 전원 단자와 전원공급부(12) 사이에 스위칭부(50)의 스위칭 소자를 연결한다.The switching element of the switching
이어서, 감지부(40)와 제어부(60) 사이 및 제어부(60)와 스위칭부(50) 사이에 배선한다.Subsequently, the
물론, 스위칭부(50)와 제어부(6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는 경우, 회로패턴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switchin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USB 접속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호스트 단말(10)의 일측에 마련된 설치공간에 USB 접속장치(20)를 설치한다.
When the assembly of the USB connection device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operator installs the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power control method of the USB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 power control method of a USB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S10단계에서 포트부(30)에 USB 커넥터(71)가 삽입되면, 포트부(30)에 결합된 감지부(40)의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는 각각 USB 커넥터(71)의 삽입 여부를 감지한다. 4, when the
즉,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는 USB 커넥터(71)가 포트부(30)에 삽입되면서 금속 실드(31)에 형성된 각 후크(34)가 금속 실드(31)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That is, when the
제어부(60)는 감지부(40)의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2).The
S12단계의 검사결과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감지신호가 미수신되면, 제어부(60)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까지 대기한다. If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by any one of the first to
반면, S12단계의 검사결과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42 내지 44)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60)는 USB 커넥터(71)가 포트부(30)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칭부(50)에 마련된 스위칭 소자를 온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detection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o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가 온 동작하면서(S14) 전원공급부(12)로부터 포트부(30)의 전원단자 및 USB 커넥터(71)를 거쳐 USB 모듈(70)에 구동전원이 공급된다.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이어서, 제어부(또는 USB 컨트롤러)(60)는 포트부(30)의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USB 모듈(70)과 통신을 수행해서(S18)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동작을 수행한다. Then, the control unit (or the USB controller) 60 communicates with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여 USB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만 USB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and can supply power to the USB module only when the USB connector is normally inser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USB 접속장치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USB conne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즉, 본 발명은 USB 커넥터 이외에도 HDMI(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RS485 등 다양한 방식의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적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connectors such as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M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and RS485 in addition to USB connectors.
본 발명은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여 USB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만 USB 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USB 포트에 USB 커넥터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피크 전압에 의한 전기적 손상을 방지하는 USB 커넥터 접속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USB connector is inserted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USB module only when the USB connector is normally inserted so as to prevent electrical damage due to a peak voltag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USB connector into the USB port Applies to USB connector connection technology.
10: 호스트 단말 11: 메인 제어부
12: 전원공급부 20: USB 접속장치
30: 포트부 31: 금속 실드
32: 절연체 33: 단자
34: 후크 40: 감지부
41: 결합부재 42 내지 44: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45: 출력단자 50: 스위칭부
60: 제어부 70: USB 모듈
71: USB 커넥터10: Host terminal 11:
12: Power supply unit 20: USB connection device
30: port portion 31: metal shield
32: insulator 33: terminal
34: hook 40:
41:
45: Output terminal 50:
60: control unit 70: USB module
71: USB connector
Claims (9)
상기 포트부에 설치되고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포트부에 마련된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 A port por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USB connector of the USB module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port unit and detecting whether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A switch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supply or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어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실드,
상기 금속 실드 내부 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하면에 형성된 단자홈에 결합되고 USB 커넥터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rt portion
A metal shield having a front and a rear open and formed in a square tubular shape,
An insulator provided in the metal shield inner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upled to terminal groov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USB connector.
상기 포트부의 금속 실드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 하부와 양측면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USB 커넥터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ing unit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metal shield of the port portion,
And a first to a third detection senso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coupling memb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connected.
상기 금속 실드의 상하면과 좌우측면에는 USB 커넥터를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는 상기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변형에 의해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Hooks for fixing the USB connector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right and left side surfaces of the metal shield,
Wherein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oks, and detect whether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hooks.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포트부의 전원단자를 통해 USB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USB connector through a power terminal of the port unit.
(b) 상기 포트부에 결합된 감지부를 이용해서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포트부의 전원단자를 통해 USB 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a) inserting a USB connector into a port portion provided in a host terminal,
(b) inspecting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using the sensing unit coupled to the port unit; and
(c)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USB module through the power terminal of the port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b).
상기 포트부에 마련된 금속 실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전체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USB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b)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B connector is inser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all of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provid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metal shield provided in the port portion, .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감지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USB 모듈에 구동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전체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tep (c)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the control unit waits until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sensing sensors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to the USB module Wherein the USB connection device is a USB connection device.
(d) 상기 포트부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장치의 전원 제어방법.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B module through a data terminal of the port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199A KR20150021797A (en) | 2013-08-21 | 2013-08-21 |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199A KR20150021797A (en) | 2013-08-21 | 2013-08-21 |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1797A true KR20150021797A (en) | 2015-03-03 |
Family
ID=5302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9199A Ceased KR20150021797A (en) | 2013-08-21 | 2013-08-21 |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179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98818A (en) * | 2015-10-20 | 2017-04-26 | 索尼移动通信株式会社 | Connector receptacle interfacing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
US11916696B2 (en) | 2021-05-12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SB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KR20250017523A (en) | 2023-07-27 | 2025-02-04 | 김학송 | Potable electric connecting unit |
-
2013
- 2013-08-21 KR KR20130099199A patent/KR2015002179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98818A (en) * | 2015-10-20 | 2017-04-26 | 索尼移动通信株式会社 | Connector receptacle interfacing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
CN106598818B (en) * | 2015-10-20 | 2021-10-15 | 索尼移动通信株式会社 | Connector receptacle interface connectio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
US11916696B2 (en) | 2021-05-12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SB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KR20250017523A (en) | 2023-07-27 | 2025-02-04 | 김학송 | Potable electric connecting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24333B2 (en) | Electrical field device and expansion module for insertion into an electrical field device | |
CN106598818B (en) | Connector receptacle interface connectio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 |
US20120077370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20150021797A (en) | Usb connect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18107859A1 (en) | Device for detecting pluggable module | |
US20180106834A1 (en) | Test fixture and test system applicable to electronic device having universal serial bus type-c receptacle, and method for performing testing on electronic device with aid of test fixture | |
US10802991B2 (en) | Pluggable module identification system | |
KR102002888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connected state of signal line thereof | |
US9426904B2 (en) |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n unauthorized removal of an electrical connector is detected | |
US8197268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terface connector with power supply covering another power supply connector | |
CN101494342B (en) | Detection device and its connector module | |
KR101704917B1 (en) | Camera test apparatus for mobile phones | |
CN106229763A (en) | Adapter and mobile terminal | |
JP2010008178A (en)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connector connection | |
RU2583999C1 (en) | Connection sensor for identifying port of switching panel | |
US20090088009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or mounted thereof | |
JP6555225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222943B2 (en) | Electronics | |
KR10106679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bonding state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 |
JP5762152B2 (en) | Digital relay | |
EP4542210A1 (en) | Liquid intrusion detection device, liquid intrusion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system thereof | |
EP3910444B1 (en) | Smart thermostat and a thermostat adapter with integrated safety interlock for installation and diagnostics of an in-floor heating system | |
US20080060922A1 (en) | Modularized push button switch | |
JP5885466B2 (en) | Electronics | |
CN117676124A (en) | A method, device, medium and equipment for connecting and measuring TV backplane compon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