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732A -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 Google Patents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1732A KR20150021732A KR20130099040A KR20130099040A KR20150021732A KR 20150021732 A KR20150021732 A KR 20150021732A KR 20130099040 A KR20130099040 A KR 20130099040A KR 20130099040 A KR20130099040 A KR 20130099040A KR 20150021732 A KR20150021732 A KR 20150021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assembly
- safety vent
- notch
- battery
- b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group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치가 형성된 안전 벤트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comprising a notched safety vent.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and discharge voltage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그 중 원통형 전지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고 구조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and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and a pouch-shaped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Among them, the cylindrical battery has a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is structurally stable.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풀셀 또는 바이셀 등의 유닛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스택/폴딩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laminate structure. The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has a jelly-roll type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 stacked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and a stacked / folded type in which unit cells such as a pull cell or a bi-cell are wound by a separation film. Among them,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nufacture and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per weight.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일반적인 원통형 전지의 수직 단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Fig. 1 schematically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cylindrical battery.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이차전지(10)는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12)를 원통형 케이스(13)에 수납하고, 원통형 케이스(13)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 케이스(13)의 개방 상단에 전극 단자(예를 들어, 양극 단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캡 어셈블리(14)를 결합하여 제작한다.1, a cylindrical
전극조립체(12)는 양극(12a)과 음극(12b), 및 이들 사이에 분리막(12c)을 개재한 후 둥근 형태로 감은 구조로서, 그것의 권심(젤리-롤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센터 핀(15)이 삽입되어 있다. 센터 핀(15)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재를 둥글게 절곡한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센터 핀(15)은 전극조립체를 고정 및 지지하는 작용과 충방전 및 작동시 내부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를 방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한다. The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안전성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지가 대략 4.5V 이상으로 과충전되는 경우에는 양극 활물질의 분해반응이 일어나고, 음극에서 리튬 금속의 수지상(dendrite) 성장과, 전해액의 분해반응 등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이 수반되어 상기와 같은 분해반응과 다수의 부반응들이 급속히 진행되며, 급기야는 전지의 발화 및 폭발이 유발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disadvantage of low safety. For example,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to about 4.5 V or mor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occurs, and dendrite growth of lithium metal at the cathode and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occur. In this process, the decomposition reaction and the many side reactions are rapidly proceeded with heat accompanied by heat, and the ignition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may be caused.
고온 조건에서 열에 의한 전해액 분해 반응으로 가스가 발생하며, 짧은 시간내에 전지에서의 발열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열폭주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열폭주 현상은 전지가 계속적인 통전 상태에 놓여 있을 때 발생하거나 또는 더욱 가속화됨으로써, 전지가 발화 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폭발할 위험이 매우 커지므로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Gas is generated due to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by heat at high temperature, and i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rapidly increases within a short time, thermal runaway phenomenon may occur. Thermal runaway occurs when the battery is kept in a continuously energized state or is further accelerated, so that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safety because the risk of explosion of the battery due to ignition or gas pressure becomes very large.
따라서, 고온 등에 의해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고,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통형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high demand for development of a cylindrical battery capable of securing safety by shutting off the current and quickly discharging the generated gas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due to high temperatur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발명의 목적은, 오작동 등에 의한 전지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전지의 내압이 상승하는 경우 외부로 신속하게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that can quickly discharge an internal gas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ell rises due to the generation of gas inside the cell due to malfunction or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mproved in safety by using a cap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에서 캔의 개방 상단부에 탑재되는 캡 어셈블리로서,A cap assembly mounted on an open upper end of a can in a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cylindrical can,
전지 내압의 상승시 파열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 벤트; A safety vent in which a notch ruptur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상기 안전 벤트의 외주면을 따라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상향 돌출형의 상단 캡; 및An upward protruding upper cap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상기 안전 벤트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고, 전지 내압의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부재;A current blocking member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safety vent and interrupting a curren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를 포함하고 있고,And,
상기 안전 벤트는,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수평 절곡된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 중에서 제 1 절곡부에 상기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rein the safety vent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er, And the notch may be formed in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즉, 상기 안전 벤트는 상기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에 의하여 하향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절곡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전지 내압의 상승시 노치가 파단되면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safety vent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bent structure by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When the notch is formed in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notch is brok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ell ris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안전 벤트는, 전지 내압의 상승시 일차적으로 형상이 역전되면서 만입된 부위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해 지도록 변형되고, 전지 내부의 내압이 더욱 높아지면, 제 1 절곡부에 형성된 노치가 파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uch a safety vent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s increased, the shape is reversed and the depressed portion is deformed so as to be convex upward and the notch formed in the first bent portion is brok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ell is further increased .
상기 전류 차단부재는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 파열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부재로서, 구체적인 예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단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가스의 배출을 위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통구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s a member that rupture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and blocks the current. Specifically,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s formed at the center with a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by welding or the like at the lower end of the safety vent. Or more than two through holes may be formed.
이러한 전류 차단부재는 내압 상승에 의한 안전 벤트의 형상 역전에 따라 전류 차단부재와 양극 사이의 연결 부위가 파열되면서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외주면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안전 벤트의 형상 역전에 따라 노치 부위가 파열되면서 돌출부는 안전 벤트와 결합된 상태로 전류 차단부재와 전극조립체의 양극의 연결부위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The current blocking member breaks the current while ruptur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anode due to the shape reversal of the safety v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In a specific example, a notch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notch portion may be ruptured according to the shape reversal of the safety vent,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관통구들은 전류 차단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대칭 위치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상 대칭 위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스 배출이 일 방향으로 지나치게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류 차단부재 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t a radially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n the case of the radially symmetric position, the gas dischar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concentr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strength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tself can be secured.
상기와 같이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절곡부는 전류 차단부재로부터 상향 이동한 가스가 노치에 직접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절곡부는 안전 벤트의 반경(R)을 기준으로 외주면으로부터 0.2R 내지 0.5R의 범위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first bent portion formed with the notch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gas upwardly moved from the current blocking member can directly apply pressure to the notch. Specifically, the first bent portion has a radius R of the safety vent, May be in the range of 0.2R to 0.5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경사부의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고압에 의해 안전 벤트가 역전되더라도 전류 차단부재의 차단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각도가 너무 크면 전지 내부의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안전 벤트의 역전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5 to 30 degrees. If the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is too small, the blocking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does not work even if the safety vent is reversed due to the high pressure. On the contrary, if the angle is too large, Lt; / RTI >
또한, 상기 경사부로부터 절곡되어 있는 제 2 절곡부는 안전 벤트의 반경(R)을 기준으로 외주면으로부터 0.6R 내지 0.9R의 범위에 위치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ent portion bent from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in a range of 0.6R to 0.9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reference to the radius R of the safety vent.
한편, 상기 안전 벤트에 형성된 노치는 전지 내압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수직 단면상으로 V자형 구조 또는 그것의 도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notch formed in the safety vent may be formed in a vertical V-shaped structure or an inverted structure thereof so as to be broken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이러한 노치는, 상기 전류 차단부재의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내압에 의하여 노치가 파단되었을 때, 내부의 가스가 관통구를 경유하여 노치의 파단된 부위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Such a notch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so that when the notch is broken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the gas inside can easily be discharged to the fractured portion of the notch via the through- Structure.
상기 노치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면상으로 원 또는 타원 등의 폐곡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notc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as a closed curve structur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on a plane.
또한, 상기 노치는 평면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개곡선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일측이 개방된 부위, 즉 미노치 부위는 고압 가스에 의해 노치가 파단되어도 전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ch may be formed in an open-curved structure having one side opened in a plan view. 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one side is opened, that is, the minutely notch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even if the notch is broken by the high pressure gas.
구체적으로, 상기 노치는 평면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이 개방된 부위는 상기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5도 내지 120도의 부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 개방된 부위가 너무 작으면 개방된 부위를 형성한 구조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개방된 부위가 너무 크면 전지 내압에 따른 파단의 유도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일측이 개방된 부위는 상기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10도 내지 45도의 부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otch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in a plan view, and a portion where the one side is opened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5 to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rc. If the open portion of the one side is too small, the effect of the open portion is small. On the other hand, if the open portion is too large, the induction of breakage due to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battery does not occur. In a preferred example, the portion where the one side is opened may be formed in a size ranging from 10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rc.
경우에 따라서, 상기 캡 어셈블리에는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시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등의 부재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PTC 소자는 예를 들어, 상기 상단 캡과 안전 벤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cap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such as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element that greatly increases the resistance of the battery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side the battery, thereby blocking the current. Such a PTC element may, for example,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safety vent.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전류 차단부재, 전류 차단부재용 가스켓, 안전 벤트, PTC 소자, 및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캡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적층 구조의 외주면에 가스켓이 추가로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The cap assembly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a current blocking member, a gasket for a current blocking member, a safety vent, a PTC device, and an upper cap having at least one gas outlet formed therein. Lt; / RTI >
상기 전극조립체는, 예를 들어,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가 권취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wound with a separator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원통형 캔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틸,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cylindrical ca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it can be formed of any one of stainless steel, steel, aluminum, and alloys thereof.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원통형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을 제공하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ylindrical battery comprising the cap assembly. The cylindrical battery can be, but is not limit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provide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는 안전 벤트의 노치의 파단에 의해 전지 내부의 고압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전류 차단부재에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discharge the high-pressure gas inside the battery by breaking the notch of the safety vent, and also prevents the ignition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by blocking the current to the current blocking member The safety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안전 벤트가 역전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류 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안전 벤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안전 벤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벤트의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afety vent is reversed in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of Fig. 2;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safety vent of Figure 2;
Figure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fety vent of Figure 2;
7 is a plan view of a safety v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안전 벤트가 역전된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afety vent of FIG. 2 is revers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 어셈블리(100)는 상단 캡(110), 안전 벤트(120), 및 전류 차단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구체적으로, 캡 어셈블리(100)는 전류 차단부재(130), 전류 차단부재(130)용 가스켓(138), 안전 벤트(120), PTC 소자(140), 및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 캡(110)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적층 구조의 외주면에는 가스켓(150)이 추가로 장착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안전 벤트(120)는, 전지 내압의 상승시 도 3과 같이 일차적으로 형상이 역전되면서 만입된 부위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해 지도록 역전되고, 전지 내부의 내압이 더욱 높아지면, 노치(125)가 파단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the shape of the
전류 차단부재(130)는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 파열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부재로서, 안전 벤트(120)의 하단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13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가스의 배출을 위한 관통구들(13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이러한 전류 차단부재(130)는 내압 상승에 의한 안전 벤트(120)의 형상 역전에 따라 전류 차단부재(130)와 양극 사이의 연결 부위가 파열되면서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돌출부(132)에는 외주면에 노치(135)가 형성되어 있고, 안전 벤트(120)의 형상 역전에 따라 노치(135) 부위가 파열되면서 돌출부(132)는 안전 벤트(120)와 결합된 상태로 전류 차단부재(130)와 전극조립체의 양극의 연결부위와 분리된다. In this current blocking
도 4에는 도 2의 전류 차단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of Fig.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전류 차단부재(130) 의 중앙에는 안전 벤트(120)의 만입부 하단에 용접 부착되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류 차단부재(130)의 하단면 중 돌출부(132)를 제외한 부위에는 전극조립체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는 양극 리드(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2, the current blocking
돌출부(130)에는 이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3 개의 관통홀(137)과 관통홀(137)을 연결하는 노치(135)가 형성되어 있는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전류 차단부재(130) 의 외주면에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3 개의 관통구들(136)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대칭 위치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Fur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2의 안전 벤트의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s. 5 and 6 are respectively a plan view and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safety vent of Fig.
도 5 및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안전 벤트(120)는,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122), 제 1 절곡부(122)로부터 하향 연장된 경사부(128), 및 경사부(128)로부터 중심을 향해 수평 절곡된 제 2 절곡부(126)를 포함하고 있고, 제 1 절곡부(122) 및 제 2 절곡부(126) 중에서 제 1 절곡부(122)에 노치(125)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ogether with FIG. 2, the
안전 벤트(120)는 제 1 절곡부(122) 및 제 2 절곡부(126)에 의하여 하향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절곡부(122)에 노치(125)가 형성되어 전지 내압의 상승시 노치(125)가 파단되면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노치(125)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절곡부(122)는 전류 차단부재(130)로부터 상향 이동한 가스가 노치(125)에 직접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28)의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며, 경사부(128)로부터 절곡되어 있는 제 2 절곡부(126)는 안전 벤트(120)의 반경(R)을 기준으로 외주면으로부터 0.6R 내지 0.9R의 범위에 위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벤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 plan view of a safety v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벤트(220)의 노치(225)는 평면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측이 개방된 부위의 각도는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30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일측이 개방된 부위, 즉 미노치 부위는 고압 가스에 의해 노치가 파단되어도 전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전지 내압의 상승시 파열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 벤트;
상기 안전 벤트의 외주면을 따라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상향 돌출형의 상단 캡; 및
상기 안전 벤트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고, 전지 내압의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부재;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전 벤트는,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수평 절곡된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 중에서 제 1 절곡부에 상기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A cap assembly mounted on an open upper end of a can in a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cylindrical can,
A safety vent in which a notch ruptur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An upward protruding upper cap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urrent blocking member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safety vent and interrupting a curren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And,
Wherein the safety vent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er, And the notch is formed in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040A KR20150021732A (en) | 2013-08-21 | 2013-08-21 |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040A KR20150021732A (en) | 2013-08-21 | 2013-08-21 |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1732A true KR20150021732A (en) | 2015-03-03 |
Family
ID=5301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9040A Withdrawn KR20150021732A (en) | 2013-08-21 | 2013-08-21 |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1732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7748A (en) * | 2016-04-14 | 2017-10-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20180017399A (en) * | 2016-08-09 | 2018-0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ap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
KR20190032019A (en) * | 2017-09-19 | 2019-03-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Venting Part |
KR20190042794A (en) * | 2017-10-17 | 2019-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ap Assembly Comprising Magnet |
CN109920965A (en) * | 2017-12-13 | 2019-06-2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its indentation part, battery cover board assembly, single battery, battery modules, power battery and electric car |
-
2013
- 2013-08-21 KR KR20130099040A patent/KR2015002173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7748A (en) * | 2016-04-14 | 2017-10-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20180017399A (en) * | 2016-08-09 | 2018-0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ap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
KR20190032019A (en) * | 2017-09-19 | 2019-03-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Venting Part |
KR20190042794A (en) * | 2017-10-17 | 2019-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ap Assembly Comprising Magnet |
CN109920965A (en) * | 2017-12-13 | 2019-06-2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its indentation part, battery cover board assembly, single battery, battery modules, power battery and electric c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94498B2 (en) | Cap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182284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CN103579535B (en) | Cylindrical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 |
KR101667966B1 (en)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TWI415319B (en) | Cab assembly of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US20140045009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275779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154331B1 (en) | Secondary Battery | |
JP2009245650A (en) | Sealed battery | |
KR101678727B1 (en) | Cap assembly and cylinderical typ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20150021732A (en) | Cap Assembly Having Safety Vent with Notch | |
KR20160043725A (en)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e notch | |
JPWO2016009586A1 (en) | Power storage device | |
KR102263423B1 (en) | Cap Assembly Comprising Guide Member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Safety Vent | |
KR100578805B1 (en)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
KR102394496B1 (en) | The Safety Vent | |
KR102052063B1 (en) | secondary battery | |
US10741821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392645B1 (en) | Cap Assembly Comprising Magnet | |
KR20110105953A (en) |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 |
KR20130063206A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WO2015068353A1 (en) | Stopper for sealed battery, and sealed battery | |
JP2007227283A (en) | Sealed battery | |
KR20240051877A (en) |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 |
KR20180102305A (en) | Cap Assembly Comprising Current Interruptive Device Made of Bimet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