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1359A -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359A
KR20150021359A KR20130098619A KR20130098619A KR20150021359A KR 20150021359 A KR20150021359 A KR 20150021359A KR 20130098619 A KR20130098619 A KR 20130098619A KR 20130098619 A KR20130098619 A KR 20130098619A KR 20150021359 A KR20150021359 A KR 2015002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unit
time
detection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진
유경국
이종오
김철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to KR2013009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359A/ko
Publication of KR2015002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를 검출하고 물리 값을 적용하여 골프공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도록 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출 장치부가 타석의 바닥에 설치되며, 골프공 타격 시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며; 데이터 처리장치부가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생성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며; 표시 장치부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분석한 분석결과정보와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전원 공급장치부가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검출 장치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 및 상기 표시 장치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Description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Golf practic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를 검출하고 물리 값을 적용하여 골프공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도록 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서 스크린에 실제 골프장 모습과 유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주고, 1팀당 9홀 또는 18홀을 경기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경기 전 연습 모드를 통해서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제 골프장에 가지 않고도 적은 비용으로 골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반면에, 골프 클럽으로 직접 공을 타격해야만 시뮬레이션 골프게임이 진행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골프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직접 스크린 골프 연습장을 찾아가야 하며, 이로 인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또한 금전적으로 많은 제약사항이 있다.
골프 스윙은 골프 클럽의 헤드를 어떤 특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골프공을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올바른 골프 스윙을 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자세(즉,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윙, 피니쉬)가 매우 중요하다. 즉, 골프는 다른 어느 운동보다도 자세가 중요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세의 요소로는 스윙의 각도 및 궤적, 스윙의 시간 및 리듬, 스윙 시의 체중이동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반복하여 자신에 맞는 이상적인 자세를 항상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이 골프 연습의 목표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대부분 골퍼의 스윙 자세만을 촬영한 후 연습을 멈추고 촬영된 이미지를 보면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골퍼가 실시간으로 연습할 경우 자신의 자세를 볼 수 없어 전문 코치가 자신의 자세를 지적해 주지 않으면 자세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에,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골퍼의 자세를 캡처하는 카메라와, 골프 스윙 시 골퍼의 무게 중심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골프공의 임팩트 존을 골프클럽의 속도 및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골프스윙자세 및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등을 포함한 스윙분석장치로 이루어져, 골퍼의 스윙 시 각도, 시간, 체중이동 등을 검출하여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7906호(2012.07.10 공개)는 종래의 스크린골프시스템에 있어서 실재 골프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는데 따른 공간적, 물리적 제약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정, 사무실, 골프연습장 등 어디에서나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를 장착한 센서클럽과 광센서가 내장된 센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빈 스윙을 하면 이로 인해 생성된 스윙데이터를 받아 스윙궤적, 공의 방향, 공의 비거리, 공의 구질 등을 분석해 주는 콘솔박스로 구성된 시뮬레이션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혼자 또는 온라인을 통해 다자간 시뮬레이션골프게임을 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는 온오프라인에서 스윙분석 및 자세교정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통신기반 다자간 실시간 시뮬레이션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동형 스크린골프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골퍼의 스윙을 감지하는 스윙감지수단과, 상기 스윙감지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주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골퍼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궤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유무선통신기반 다자간 실시간 시뮬레이션 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동형 스크린골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윙감지수단은 상기 골퍼가 잡고, 휘두르는 과정을 통해 상기 골퍼의 스윙궤도 및 속도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클럽, 상기 센서클럽의 방향 및 속도를 센싱하는 센서플레이트, 상기 센서클럽과 센서플레이트에서 생성된 신호값을 분석하여 화면에서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하거나 스윙결과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스윙데이터를 분석하고 전송해주는 콘솔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8595호(2011.01.10 등록)는 스크린 골프 연습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실내에서 골프 연습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면에 배치된 스크린; 각각 부분적으로 연습장 영상을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에 전체 연습장 영상을 투사하는 다수의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에 마주한 타석의 주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골퍼에 의해서 타격된 볼의 속도와 방향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송출하는 다수의 레이저 센서; 및 상기 레이저 센서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들에 의해서 각각의 골퍼가 타구한 골프공의 비거리 및 타구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를 통하여 각각의 골퍼에 의하여 타격된 골프공의 비거리 및 타구방향의 궤적을 상기 스크린 상에 전체 연습장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실내에서 스크린 상에 인도어 연습장 또는 필드 영상을 투사하여 실내에서 인도어 연습장 또는 필드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고, 연습자가 골프 볼의 타구 시, 각자의 볼이 날아가는 상태를 동시에 모두 표현하여 실제 인도어 연습장 또는 필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기후 변화나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효과적인 골프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프 실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골프 연습 시스템은, 센서부 및 통신부와, 데이터를 표시하는 컴퓨터 장치로 구성되어, 골프공의 검출 센서의 측정 후 측정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 스크린 모니터 등 별도의 표시 장치를 추가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골프 연습 시스템은, 골프 연습기에서 골프공의 검출된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고속 그래픽 처리 PC와 스크린 표시를 위한 프로젝터를 구비하는데 고가의 설치 투자 및 유지 관리가 필요하여 연습장에 도입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소량 설치 후 추가 욕구가 낮아지고 있어 고가의 설치 투자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단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790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0859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를 검출하고 물리 값을 적용하여 골프공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도록 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타석의 바닥에 설치되며, 골프공 타격 시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 장치부;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생성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분석한 분석결과정보와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부; 및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검출 장치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 및 상기 표시 장치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부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며,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공을 최초 타격 시부터 연습시간을 카운팅하며, 카운터에 의해 골프공 타격 시마다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 및 높이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반비례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계산하며,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방향각을 측정하며, 타석의 가상 평행선에서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높이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고도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가 설치된 바닥의 말단 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검출 장치부의 바깥 부분 또는 안쪽 부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가 설치된 바닥과 분리형으로 형성되며, 통신 라인을 통해 골프공 비거리, 골프공 방향각, 골프공 고도각, 연습시간, 연습타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출 장치부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하나의 세트로 타석을 가운데로 하여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양측에 설치되되,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좌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좌측 방향, 고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검출 센서부와;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우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우측 방향, 고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검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사용자의 연습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연습시간 표시부; 사용자의 연습타수를 표시하기 위한 연습타수 표시부;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비거리 표시부;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좌우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 표시부; 및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고도각을 표시하기 위한 고도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타석의 바닥에 설치된 검출 장치부에서 골프공 타격 시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상기 생성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장치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부에서 상기 분석한 분석결과정보와 상기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상기 검출 장치부가 감지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 및 높이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를 검출하고 물리 값을 적용하여 골프공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시스템 에러율과 단가는 낮추면서 사용자한테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빠르게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골프연습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며, 골프 연습장 사용자의 기능적 필요사항과 운영자의 경제적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연습 장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출 장치부와 표시 장치부를 일체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검출 장치부와 표시 장치부를 분리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골프 타석 연습기용 타구의 검출, 분석 및 표시 장치로서, 전원 공급장치부(110), 검출 장치부(120), 데이터 처리장치부(130), 표시 장치부(14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장치부(110)는, 외부의 상용전원(예를 들어, 교류 220V 전원)을 공급받아 골프 연습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즉, 검출 장치부(120), 데이터 처리장치부(130), 표시 장치부(140))에 필요한 전원(예를 들어, 직류 12V 전원, 직류 5V 전원 등)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검출 장치부(120)는, 골프공을 놓고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석의 바닥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장치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골프공 타격 시에 해당 골프공의 검출 시간, 범위, 방향을 감지(측정)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타석(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는, 시작 및 종료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클럽선택 버튼, 클럽선택 확인버튼, 티다운 버튼, 티업 버튼 등과 같은 다수의 다른 기능의 버튼들이 병행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출 장치부(120)는, 예를 들어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로서,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잡고서 골프공을 타격하게 되면, 골프공의 비행을 검출하여 골프공에 대한 검출 시간, 범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검출 장치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정보를 표시 장치부(140)로 전달하며, 또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연습정보를 표시 장치부(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검출 장치부(120)에서 측정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공을 최초 타격 시부터 연습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고 카운터에 의해 골프공 타격 시마다 연습타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예측)하여 미리 설정 저장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으며, 또한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지점(즉, 위치(방향) 및 높이(범위))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 및 고도각을 계산(예측)하여 미리 설정 저장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에 검출 장치부(120)에서 측정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위치(방향) 및 높이(범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장치부(120)에서 측정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이 짧을수록 골프공이 고속이고 비거리도 증가하며, 이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반비례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알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위치(방향)의 경우에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위치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방향각을 알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높이(범위)의 경우에 타석의 가상 평행선에서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높이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고도각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사용자가 타석에 들어선 후에 타석에 구비된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골프 연습을 개시하게 되며, 종료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골프 연습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티업 장치를 제어하여 골프공을 자동으로 티업(Tee-up)시켜 주며, 골프공을 티업함과 동시에, 타석위치, 선택한 클럽번호, 타구시간, 타구순번(또는, 타구횟수) 등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출 장치부(120)가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에 바로 송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자마자 골프공의 예상 비거리, 방향 및 구질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검출하여 비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골프공의 회전방향(또는, 골프 클럽의 진입 및 통과방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의 방향을 예측하고, 해당 골프공의 비거리 및 타구방향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표시 장치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부(140)는,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분석결과정보 및 연습정보를 LED,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 장치부(140)는,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과,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검출 장치부(120)의 센서를 통해 골프공이 고속 또는 저속으로 이동할 때에 검출되는 센서의 신호 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처리장치부(130)에 의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높이를 수학적 계산(예측) 또는 실험에 의하여 구한 후에, 해당 구한 속도, 방향, 높이를 물리 값으로 변환하여 골프공의 비거리, 좌우 방향각, 고도각을 표시 장치부(140)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타격횟수와 연습시간을 카운팅하여 표시 장치부(140)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에러율과 단가는 낮추면서 사용자한테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빠르게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골프연습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며, 골프 연습장 사용자의 기능적 필요사항과 운영자의 경제적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연습 장비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데이터 처리장치부(130)에서 분석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에 대한 분석결과정보와,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에 대한 연습정보를 표시 장치부(140)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기존과 같은 그래픽 장치와 컴퓨터 장치를 제외하고, 전원 공급장치부(110), 검출 장치부(120), 데이터 처리장치부(130), 표시 장치부(140),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골프공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부(120)와 이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부(14)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출 장치부와 표시 장치부를 일체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출 장치부(120)와 표시 장치부(1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검출 장치부(120)가 설치된 바닥의 말단 부분에 표시 장치부(140)가 설치된다. 다르게는, 표시 장치부(140)는, 해당 바닥에서 검출 장치부(120)의 바깥 부분 또는 안쪽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검출 장치부(120)는,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을 하나의 세트로 타석을 가운데로 하여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검출 센서부(121, 122)를 포함한다.
제1 검출 센서부(121)는,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좌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해당 골프공의 검출 시간, 좌측 방향, 범위(고도)를 감지(측정)한다.
제2 검출 센서부(122)는,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우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해당 골프공의 검출 시간, 우측 방향, 범위(고도)를 감지(측정)한다.
표시 장치부(140)는, 사용자의 연습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연습시간 표시부(141), 사용자의 연습타수를 표시하기 위한 연습타수 표시부(142),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비거리 표시부(143),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좌우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 표시부(144),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고도각을 표시하기 위한 고도각 표시부(145)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검출 장치부와 표시 장치부를 분리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 장치부(120)와 표시 장치부(140)의 구성 요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검출 장치부(120)와 표시 장치부(140)는 분리형으로 형성되며, 검출 장치부(120)와 표시 장치부(140) 사이에는 통신 라인(유선 또는 무선)(15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검출 장치부(120)와 표시 장치부(140)는 통신 라인(150)을 통해 정보(예를 들어, 골프공 비거리, 골프공 방향각, 골프공 고도각, 연습시간, 연습타수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전원 공급장치부(110)에서는 외부의 전원공급단자(예를 들어, 콘센트 등)를 통해 상용전원(예를 들어, 교류 220V 전원)을 공급받고, 해당 공급받은 교류 전원을 검출 장치부(120), 데이터 처리장치부(130) 및 표시 장치부(140)에 필요한 전원(예를 들어, 직류 12V 전원, 직류 5V 전원 등)으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된 직류 전원을 각각 검출 장치부(120), 데이터 처리장치부(130) 및 표시 장치부(140)에 공급해 준다.
골프공을 놓고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석의 바닥에 설치된 검출 장치부(120)는, 전원 공급장치부(11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골프공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타석에 있는 골프공을 타격할 경우에, 해당 타격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범위(고도) 및 방향을 감지(측정)하고(S401), 해당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범위(고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골프공의 타격 정보로 생성하며(S402), 해당 생성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구비한 검출 장치부(120)는,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잡고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에 해당 타격된 골프공의 비행을 바로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골프공에 대한 검출 시간, 범위, 방향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좌측 편에 설치된 제1 검출 센서부(121)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해당 골프공의 검출 시간, 좌측 방향, 범위(고도)를 감지(측정)할 수 있다.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우측 편에 설치된 제2 검출 센서부(122)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해당 골프공의 검출 시간, 우측 방향, 범위(고도)를 감지(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검출 장치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며(S403), 또한 사용자가 골프를 연습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한다(S404).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생성시킨 골프공의 타격 정보(즉,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대한 정보)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예측)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공을 최초 타격 시부터 연습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고 카운터에 의해 골프공 타격 시마다 연습타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첫 번째 예를 들어, 골프공 비거리의 경우,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예측)하여 미리 설정 저장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검출 장치부(120)에서 측정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이 짧을수록 골프공이 고속이고 비거리도 증가하며, 이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반비례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알 수 있다.
두 번째 예를 들어, 골프공 방향각의 경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지점(즉, 위치(방향))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을 계산(예측)하여 미리 설정 저장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위치(방향)의 경우에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위치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방향각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예를 들어, 골프공 고도각의 경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지점(즉, 높이(범위))별로 이에 대응하는 고도각을 계산(예측)하여 미리 설정 저장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높이(범위)의 경우에 타석의 가상 평행선에서부터 검출 장치부(120)에서 감지한 높이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고도각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의 경우에,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는,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생성시킨 골프공의 타격 정보(즉,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표시 장치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3에서 분석한 분석결과정보 및 상술한 단계 S404에서 연습정보는 표시 장치부(140)로 전달되며, 이에 표시 장치부(140)는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분석결과정보 및 연습정보를 LED,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준다(S405). 이때, 표시 장치부(140)는 데이터 처리장치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과,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연습시간 표시부(141)는 사용자의 연습시간을 표시하며, 연습타수 표시부(142)는 사용자의 연습타수를 표시하며, 비거리 표시부(143)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표시하며, 방향 표시부(144)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좌우 방향을 표시하며, 고도각 표시부(145)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고도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검출 장치부(120)의 센서를 통해 골프공이 고속 또는 저속으로 이동할 때에 검출되는 센서의 신호 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처리장치부(130)에 의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높이를 수학적 계산(예측) 또는 실험에 의하여 구한 후에, 해당 구한 속도, 방향, 높이를 물리 값으로 변환하여 골프공의 비거리, 좌우 방향각, 고도각을 표시 장치부(140)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타격횟수와 연습시간을 카운팅하여 표시 장치부(140)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에러율과 단가는 낮추면서 사용자한테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빠르게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골프연습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며, 골프 연습장 사용자의 기능적 필요사항과 운영자의 경제적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연습 장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골프 연습 시스템
110: 전원 공급장치부
120: 검출 장치부
121, 122: 검출 센서부
130: 데이터 처리장치부
140: 표시 장치부
141: 연습시간 표시부
142: 연습타수 표시부
143: 비거리 표시부
144: 방향 표시부
145: 고도각 표시부
150: 통신 라인

Claims (11)

  1. 타석의 바닥에 설치되며, 골프공 타격 시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 장치부;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생성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분석한 분석결과정보와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부; 및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검출 장치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 및 상기 표시 장치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부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며,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공을 최초 타격 시부터 연습시간을 카운팅하며, 카운터에 의해 골프공 타격 시마다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 및 높이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반비례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계산하며,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방향각을 측정하며, 타석의 가상 평행선에서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높이까지의 각도로 골프공의 고도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가 설치된 바닥의 말단 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검출 장치부의 바깥 부분 또는 안쪽 부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상기 검출 장치부가 설치된 바닥과 분리형으로 형성되며, 통신 라인을 통해 골프공 비거리, 골프공 방향각, 골프공 고도각, 연습시간, 연습타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부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하나의 세트로 타석을 가운데로 하여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양측에 설치되되,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좌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좌측 방향, 고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검출 센서부와;
    타석의 가상 중심선에서 우측 편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좌 방향으로 날아가는 경우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우측 방향, 고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검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부는,
    사용자의 연습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연습시간 표시부;
    사용자의 연습타수를 표시하기 위한 연습타수 표시부;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비거리 표시부;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좌우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 표시부; 및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고도각을 표시하기 위한 고도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9. 타석의 바닥에 설치된 검출 장치부에서 골프공 타격 시에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상기 생성한 골프공의 타격 정보를 분석하고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장치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부에서 상기 분석한 분석결과정보와 상기 카운팅한 연습시간 및 연습타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상기 검출 장치부가 감지한 골프공의 검출 시간, 방향, 범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부에서 골프공 타격 시점부터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시점까지의 검출 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 비거리를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한 위치 및 높이별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여 설정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장치부에서 감지된 골프공의 검출 시간,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비거리, 방향각 및 고도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30098619A 2013-08-20 2013-08-20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eased KR20150021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19A KR20150021359A (ko) 2013-08-20 2013-08-20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19A KR20150021359A (ko) 2013-08-20 2013-08-20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59A true KR20150021359A (ko) 2015-03-02

Family

ID=5301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619A Ceased KR20150021359A (ko) 2013-08-20 2013-08-20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033B1 (ko) * 2021-05-18 2022-04-26 안동구 골프연습장 원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033B1 (ko) * 2021-05-18 2022-04-26 안동구 골프연습장 원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323B1 (ko) 스타트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US10092793B1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s for tennis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EP24097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golf ball fitting analysis
US20080200287A1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fack system for tennis
US20130281223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mpensation ball flight distance decreasing rate
CN102245269B (zh) 用于感应入射角和击打点的感应系统
JP2011015760A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と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のセンシング方法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20190003926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30047965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34209A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549172B2 (en) Sensor for improving and training putting technique
KR101008595B1 (ko) 스크린 골프 연습 시스템
KR100918302B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KR20150021359A (ko) 골프 연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1087442A (ja) ゴルフアプローチショ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7248353B1 (ja) ヒッティング解析システム及びヒッティング解析方法
KR101348419B1 (ko) 영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7989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570007B1 (ko) 스윙 연습 장치
KR20150057216A (ko) 센서 시스템을 갖는 골프공
KR20130057101A (ko) 듀얼 센서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101300374B1 (ko) 광센싱과 초음파센싱 기반의 모의 골프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스윙분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