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1337A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 Google Patent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337A
KR20150021337A KR20130098585A KR20130098585A KR20150021337A KR 20150021337 A KR20150021337 A KR 20150021337A KR 20130098585 A KR20130098585 A KR 20130098585A KR 20130098585 A KR20130098585 A KR 20130098585A KR 20150021337 A KR20150021337 A KR 2015002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protective film
polarizer
adhesive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9737B1 (en
Inventor
최진묵
박세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2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3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기준으로 이의 외측에 부착된 필름들의 두께를 각각 제1두께 및 제2두께라 할 때,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를 동일하거나 10% 이내로 설계하는 것으로, 습기 변화량에 대한 대칭성을 갖게 되어, 고습의 환경에서 습기를 흡습하는 양이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대칭성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팽창되어 캡(Cap)형태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습의 환경에서도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가 동일하거나, 10%이내로 형성되는 것으로, 습기가 증발하는 하는 양이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습기 변화량의 대칭성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수축하여 컵(Cup)형태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s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is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thicknes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10%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ing in the high humidity environment is the same, and the symmetry prevents the cap from being bent due to expansion of one side due to such symmetry. .
On the other hand, even in a low-humidity environment,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10%,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moisture becomes the same, and due to the symmetry of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up-shaped bend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Description

3차원 영상표시장치{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빛샘으로 인한 휘도 불균일과 화질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luminance unevenness and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light leakag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evelops, demands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have increased in various forms.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s have been used.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최근에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recently provided a function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을 두 눈을 통한 스트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두 눈이 약 65u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을 보더라도 두 눈의 위치의 차이로 왼쪽과 오른쪽 눈은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Generally, a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s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sion through two eyes. Specifically, since the two eyes exist at a distance of about 65 μm, even if one image is seen, the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images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s of the two eyes.

즉 좌안과 우안은 각각 다른 2차원 영상을 보게 되고, 서로 다른 두 개의 2차원 영상이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 두 영상을 서로 융합하여 원래의 3차원 영상의 깊이감을 재생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two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and the brain fuses these two images to reproduce the depth feeling of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image.

이와 같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As a method of realizing such a three-dimensional image, a patterned retarder is typically used.

이하, 패턴드 리타더를 사용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patterned retarder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의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20)과, 표시패널(20)상부에 형성되는 편광판(50)과, 편광판(50) 상부에 형성되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der)(60)를 포함한다.1,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 includes a display panel 20 for displaying an image, a polarizing plate 50 formed on the display panel 20, And a patterned retreader 60 formed thereon.

표시패널(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사이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하고, 표시영역(DA)은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20 includes a non-display area NDA between the display area D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display area DA and the display area DA includes a left-eye horizontal pixel line Hl and a right- Line Hr.

좌안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수평화소라인(Hl)과 우안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은 표시패널(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수평화소라인(Hr) 각각에는 적, 녹, 청색 화소영역(R, G, B)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for display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pixel line Hr for displaying the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20, Green, and blue pixel regions R, G, and B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each pixel line Hr.

편광판(50)은, 표시패널(20)이 표시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각각 선평광된 좌안영상 및 선편광된 우안영상으로 변조하여 패턴드 리타더(60)에 전달한다.The polarizing plate 50 modulate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20 into a line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and a linearly polarized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 modulate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o the pattern derraser 60.

패턴드 리타더(60)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하는데,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각각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에 대응되어 표시패널(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The pattern reliider 60 includes a left eye retarder Rl and a right eye retarder Rr in which the left eye retarder Rl and the right eye retarder R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rizontal pixel lines Hr.

여기서, 좌안 리타더(Rl)는 선편광을 좌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우안 리타더(Rr)는 선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Here, the left eye retarder Rl modulate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the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outputs it, and the right-eye retarder Rr modulate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the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outputs it.

따라서, 표시패널(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은, 편광판(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6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 되고, 표시패널(20)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우안영상은, 1편광판(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면서 우원편광 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된다.Therefore, the left-eye image displayed by the left-eye horizontal pixel line Hl of the display panel 20 is linearly pola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eft-eye retarder Rl of the patterned retarder 60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right eye pixel line Hr of the display panel 20 is linearly polariz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one polarizing plate 50 and then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the pattern delta- And is transmitted to the viewer.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편광안경(80)은, 좌안렌즈(82) 및 우안렌즈(84)를 포함하는데, 좌안렌즈(82)는 좌원편광만 투과시키고 우안렌즈(84)는 우원편광만 투과시킨다.The polarizing glasses 80 worn by the viewer include a left eye lens 82 and a right eye lens 84. The left eye lens 82 transmits only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the right eye lens 84 transmits only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따라서, 시청자에게 전달된 영상 중, 좌원편광 된 좌안영상은 좌안렌즈(82)를 통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전달되고, 우원편광 된 우안영상은 우안렌즈(84)를 통하여 시청자의 우안에 전달되며, 시청자는 좌우안으로 각각 전달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Therefore, the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eft-ey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viewer's left eye via the left-eye lens 82, the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right-ey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viewer's right eye via the right-eye lens 84, 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transmitted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respectively.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는 3차원 영상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패턴드 리타더층으로 인하여, 수분변화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vulnerable to moisture change due to the pattern drift layer formed additionally for the three-dimensional image.

이하, 수분 변화에 따른 3차원 영상장치의 문제점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blem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water chan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는 고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로 유입되는 수분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고, 3b는 저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타내난 단면도이다.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moisture introduc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and FIG.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oisture evaporation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 a low-humidity environment.

이 때, 전술한 각 요소들의 한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In this cas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lement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도 3a 내지 3b는 수분 변화에 따른 표시패널의 휨 현상을 실험한 결과이다. FIGS. 3A and 3B show experimental results of warpage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changes in moisture.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대기중의 습기을 흡수하게 된다. 이는 대류현상과 같은 맥락으로 3차원 영상표시장치(10)가 머금고 있는 습기가 대기에 포함된 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습기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A, in the high humidity environment, the 3D image display device 10 absorbs moisture in the air. Since the humidity of the 3D image display device 10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due to the convective phenomenon, the 3D image display device 10 absorbs moisture.

여기서, 제2편광판(50)과 패턴드 리타더(60)를 합친 두께를 제2두께(d2)이라 하고, 제1편광판(52)의 두께를 제1두께(d1)라 할 때, 제1두께(d1)과 제2두께(d2)는 패턴드 리타더(60)에 의해 차이를 가지게 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52 is the first thicknes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 combined with the patterned retarder 60 is the second thickness d2, The thickness dl and the second thickness d2 are differentiated by the pattern reliader 60.

이러한 두께 차이는, 습기를 흡습하는 과정에서 흡습하는 양이 상이하게 되는데, 즉, 제2편광판(50)과 패턴드 리타더(60)를 합친 제2두께(d2)가 제1편광판(52)의 제1두께(d1) 보다 습기를 흡습하는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econd thickness d2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 and the patterned retarder 60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d2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52.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ing moisture is larger than the first thickness d1 of the moisture absorbing layer.

다시 말해, 두께가 늘어남으로 흡습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하여, 제1편광판(52)이 흡습 할 수 있는 습기의 양을 다 흡습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편광판(50)과 패턴드 리타더(60)는 여전히 습기를 흡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 amount of moisture absorption increases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 and the pattern reliader 60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2) absorb the amount of moisture that can be absorbed by the first polarizing plate 52 ) Can still absorb moisture.

따라서, 제2두께(d2) 쪽이 제1두께(d1) 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팽창이 일어나므로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Cap)형태의 휨 현상이 발생한다. Therefore, since the second thickness d2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thickness d1,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 can be bent in a cap shape as shown in FIG. 3A do.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대기중으로 습기가 증발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는 대류현상과 같은 맥락으로 3차원 영상표시장치(10)가 머금고 있는 습기가 대기에 포함된 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3차원 영상표시장치(10)의 습기가 증발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B, in a low-humidity environment,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 is caused to evaporate moisture into the atmosp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umidity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air due to the convective phenomenon, moistur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 is evaporated will be.

여기서 제2편광판(50)과 패턴드 리타더(60)의 합친 두께가 제1편광판(52)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증발되는 습기의 양이 많아, 제2두께(d2) 쪽이 제1두께(d1) 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수축현상이 일어나며, 이에 3차원 영상표시장치(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up)형태의 휨 거동이 나타난다.Since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er 50 and the patterned retarder 6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52, the amount of moisture to be evaporated is large, and the second thickness d2 i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a relatively strong shrinkage phenomenon occurs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 than in the case of the d1, so that a cup-shaped bending behavior appears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 as shown in FIG.

따라서, 이러한 휨 현상이 야기되는 것으로, 빛이 새는 현상, 색편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결국 표시장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화면 품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such a deflection phenomenon causes defects such as light leakage, color deviation, and the lik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screen quality throughout the entir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3차원 상표시장치의 전 영역으로 균일한 화면품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 deflec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to maintain a uniform image quality in all areas of a three-dimensional mark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구비된 제1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순차 구비된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광판의 두께를 제1두께,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두께를 제2두께라 정의할 때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는 동일하거나, 10%이내의 두께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3차원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A display panel; A first polarizer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polarizer and a pattern drift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is defined as a first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er and the pattern drift is defined as a second thickness Wherei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equal to each other or have a thickness difference of less than 10%.

상기 제1편광판은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부에 부착되는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1편광소자 하부에 제2보호필름과, 상기 제1보호필름 상부에 제1점착제가 위치하고, 상기 제 2 편광판은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부에 제3보호필름과, 상기 제3편광소자 하부에 제4보호필름과, 상기 제4보호필름 하부에 제2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olarizer includes a first polarizer, a first protective film attached on the first polarizer, a second protective film below the first polarizer, and a first adhesive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The second polarizing plate, the third polarizing element, the third polarizing element, the third polarizing element, the fourth polarizing element, and the fourth polarizing element, and the second polarizing element, .

상기 패턴드 리타더는 리타더층과, 상기 리타더층 상부에 제5보호필름과, 상기 리타더층 하부에 제3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attern reliader comprises a retarder layer, a fifth protective film on the retarder layer, and a third adhesive ag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tarder layer.

상기 전술한 구성에서 제1실시예로써, 상기 제1편광판의 상기 제1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8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 으로 190um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25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25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25um으로 196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may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may be decreas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first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ing element is 25um,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60um, the second protective film is 80um, and the second thickness is 10um or less. , The first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er have a second thickness of 25 mu m, the third protective film is 40 mu m, the fourth protective film is 40 mu m, the second polarizer is the second polarizer, 25um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um for the retarder layer, 40um for the fifth protective film, and 196um for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상기 전술한 구성에서 제2실시예로써, 제1편광판의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과 제2점착제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패턴드 리타더의 제3점착제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으로 170um 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25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18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18um 으로 182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may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may be reduced, Wherein the first thickness of the patterned retarder is reduced to less than 10% by de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first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60um, the second protective film is 60um,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25um, and the second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the pattern reliader is 25um, The second protective film is 40um, the third protective film is 40um, the fourth protective film is 40um, the second adhesive is 18um, the retarder is 1um, the fifth protective film is 40um, and the third adhesive is 18um.

상기 전술한 구성에서 제3실시예로써, 상기 제1편광판의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패턴드 리타더의 제3점착제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으로 170um 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12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25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18um 으로 176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may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ing element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may be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attern reliader is reduced so that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different by 10% or less, and the first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plate i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patterned retarder have a thickness of 25 μm, the first protective film has a thickness of 60 μm, the second protective film has a thickness of 60 μm, and the first adhesive has a thickness of 25 μm. The device is 12 μm, the third protective film is 40 μm, the fourth protective film is 40 μm,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25 μm, the retarder layer is 1 μm, the fifth protective film is 40 μm, and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18 μm.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내지 제5보호필름은 TAC 또는 Acryl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gate wirings and a plurality of data wirings are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define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a plurality of color filter pattern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first to fifth protective films are formed of TAC or Acryl base materi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기준으로 이의 외측에 부착된 필름들의 두께를 각각 제1두께 및 제2두께라 할 때,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를 동일하거나 10% 이내로 설계함으로써, 습기 변화량에 의한 수축율 차이가 일정하여, 패널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are respectively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thicknes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10%, the difference in shrinkage ratio due to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is constan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nel from being warped.

따라서, 빛이 새는 현상과 색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전영역에 걸쳐 균일한 화면 품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light leakage and color deviation from occurring,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screen qualit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고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로 유입되는 수분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고, 2b는 저습의 환경에서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타내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대응되어 표시패널의 휨 현상이 발생한 실험 결과이고, 도 3b는 도2b에 대응되어 표시패널의 휨 현상이 발생한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표(1)의 실혐결과를 통합하여 평균한 산출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polarizing glasses.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moisture introduc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and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oisture evaporation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 a low-humidity environment.
FIG. 3A shows an experimental result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warped according to FIG. 2A, and FIG. 3B shows an experimental result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warped in accordance with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calculated values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ctual acceptance results of Table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기판(122) 및 제2기판(140)과, 제1 및 제2기판(122, 14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48)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12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22 and a second substrate 140 facing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148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2 and 140 ).

제1기판(122) 상부에는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고,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124)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층(126)이 형성된다.A gate electrode 124 connected to a gate wiring and a gate wiring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22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26 is formed on the gate wiring and the gate electrode 124.

게이트 전극(124)에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층(126)상부에는 반도체층(128)이 형성되고, 반도체층(128) 상부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132) 및 드레인 전극(134)과, 소스 전극(132)에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A semiconductor layer 128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6 corresponding to the gate electrode 124. A source electrode 132 and a drain electrode 134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8, (Not shown) connected to the data line 132 is formed.

데이터배선(미도시)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한다.A data line (not shown) intersects a gate line (not shown) to define a pixel region.

여기서, 게이트 전극(124), 반도체층(128),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2, 134)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구성한다.Here, the gate electrode 124, the semiconductor layer 128, and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2 and 134 constitute a thin film transistor T.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2, 134)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상부에는 보호층(136)이 형성되는데, 보호층(136)은 드레인 전극(1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36a)를 포함한다.A protective layer 136 is formed o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2 and 134 and the data line (not shown), and the protective layer 136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136a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34 .

보호층(136)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136a)를 통하여 드레인 전극(134)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138)이 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된다.A pixel electrode 138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34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36a is formed on the protection layer 136 in the pixel region.

제2기판(140)하부에는 각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게이트 배선(미도시), 데이터배선(미도시) 및 박막트랜지스터(T)에 대응되는 블랙매트릭스(142)가 형성되고, 블랙매트릭스(142) 하부와 블랙매트릭스(142)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 제1기판(140)하부에는 컬러필터층(144)이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부는 표시영역(DA)에 대응하며, 블랙매트릭스(142)는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한다.A black matrix 142 corresponding to the gate lines (not shown), the data lines (not shown) and the thin film transistors T is formed under the second substrate 140, A color filter layer 144 is formed under the first substrate 140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black matrix 14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142. Here, the opening corresponds to the display area DA and the black matrix 142 corresponds to the non-display area NDA.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44)은 화소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the color filter layer 144 includes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pixel regions.

그리고, 컬러필터층(144) 하부에는 투명한 공통전극(146)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44)과 공통 전극(146)사이에는 컬러필터층(144)의 보호 및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코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transparent common electrode 146 is formed under the color filter layer 144. Although not shown here, an overcoat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color filter layer 144 and the common electrode 146 for protecting the color filter layer 144 and for planarizing the surface.

액정층(148)은 제1기판(122)의 화소 전극(138)과 제2기판(140)의 공통 전극(146)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층(148)과 화소 전극(138) 사이 및 액정층(148)과 공통 전극(146)사이에는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다.The liquid crystal layer 148 is position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38 of the first substrate 122 and the common electrode 146 of the second substrate 140. An alignment film for determining the initial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form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148 and the pixel electrode 138 an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148 and the common electrode 146.

여기서는 화소 전극(138)과 공통 전극(146)이 각각 제1 및 제2기판(122, 140)에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화소 전극(138)과 공통 전극(146)은 제1기판(122)상에 모두 형성 될 수 있다.The pixel electrode 138 and the common electrode 146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2 and 140 respectively. However, the pixel electrode 138 and the common electrode 146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22 As shown in FIG.

한편, 제1기판(122) 하부에는 제1편광판(152)이 위치하고, 제2기판(140) 상부에는 제2편광판(150)이 위치한다. 제1 및 제2편광판(152, 150)은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1편광판(152)의 광투과축은 제2편광판(150)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A first polarizer 152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ubstrate 122 and a second polarizer 150 is disposed over the second substrate 140.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rs 152 and 150 transmit linearly polarized light parallel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polarizer 152 is perpendicular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polarizer 150.

제1편광판(152)은 TAC필름(252a, 도 6참조), 편광소자(252b, 도 6참조), 아크릴필름(252c, 도 6참조), 점착제(252d, 도 6참조)로 구성 될 수 있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에서 하도록 한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152 may be composed of a TAC film 252a (see FIG. 6), a polarizing element 252b (see FIG. 6), an acrylic film 252c (see FIG. 6) and an adhesive 252d .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구조의 제1편광판(152)은 점착제(252d, 도 6참조)를 통해 표시패널(120) 하부에 부착된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152 having such a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20 through the adhesive 252d (see FIG. 6).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편광판(152)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이 배치되어 표시패널(120)에 빛을 공급한다.Although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is disposed under the first polarizer 152 to supply light to the display panel 120.

제2편광판(150)은 제1편광판(152)과 대응되는 점착제(250a, 도 6참조), 아크릴필름(250b, 도 6참조), 편광소자(250c, 도 6참조), TAC필름(250d, 도 6참조)를 포함 할 수 있다.그리고, 제2편광판(150)상부에는 패턴드 리타더(160)가 부착되는데, 패턴드 리타더(160)는 보호필름(162)과, 보호필름(162) 하부의 리타더층(164)과, 리타더층(164) 하부의 점착층(168)을 포함한다. 리타더층(164)은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을 포함한다.6), a polarizing element 250c (see FIG. 6), a TAC film 250d (see FIG. 6), an acrylic film 250b A pattern reliader 16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er 150. The pattern reliader 160 includes a protective film 162 and a protective film 162 (see FIG. 6)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68 under the retarder layer 164. The retarder layer 164 includes a left-eye retarder R1 and a right-eye retarder Rr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위상지연(retardation)을 λ/4파장(quarter wave)으로 하고, 그 광축을 표시패널 출사광인 선편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도 및 -45도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left-eye retarder Rl and the right-eye retarder Rr have phase retardation of? / 4 wavelength and the optical axis thereof is +45 degrees and -45 degrees, respectively,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can be arranged in a road.

한편, 제1편광판(152)의 두께를 제1두께라 하고, 패턴드 리타더(160)와 제2편광판(150)을 합친 두께를 제2두께 할 때, 제1두께는 구성에 따라 약 170[um] 내지 약 226[um] 가 될 수 있고, 제2두께도 그 구성에 따라 약 176[um] 내지 250[um] 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152 is referred to as a first thickness, and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patterned retarder 160 and the second polarizer 150 is a second thickness, the first thickness is approximately 170 [um] to about 226 [um], and the second thickness may be about 176 [um] to 250 [um]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즉, 제1두께와 제2두께가 동일하거나,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가 10% 이내로 형성되는 것으로, 습기 변화량의 대칭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대칭성이 어긋날 경우 환경 변화에 따라 특히 공기 중 포함되어 있는 수분량의 변화에 따라 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가 수분을 흡습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흡습 및 배출의 변화량에 차이가 발생하여 표시패널(120)의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점은 표시패널(120)에서 빛이 새는 현상, 색편차 등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며, 결국 표시장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화면 품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equal to each other,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less than 10%, so that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can be made symmetrical. If the symmetry is deviated, the amount of change in moisture absorption and emission is different in the process of absorbing and discharging moisture from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 drifter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 the air, ) Is generated. Such a difference is caused by a problem of leakage of light or color deviation in the display panel 120,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screen quality throughout the entire display device.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가 동일하거나, 10%이내로 형성되는 것으로, 습기 변화량에 대한 대칭성을 갖게 됨에 따라, 고습의 환경에서 습기를 흡습하는 양이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대칭성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팽창되어 캡(Cap)형태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10%, and has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The moisture absorbing amount becomes the sam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p from being bent due to the expansion of either one due to the symmetry.

한편, 저습의 환경에서도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가 동일하거나, 10%이내로 형성되는 것으로, 습기가 증발하는 하는 양이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습기 변화량의 대칭성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수축하여 컵(Cup)형태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in a low-humidity environment,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10%,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moisture becomes the same, and due to the symmetry of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up-shaped bend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이를 통해, 3차원 영상표시장치(100)의 빛이 새는 현상과 색편차가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20)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화면 품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light leakage and color devi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image qualit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120 .

이하 표(1)을 참조하여 환경변화에 따라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에 의한 휨량을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환경변화에 따른 단순비교를 위한 수치이므로, 이 실험결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하여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The amount of deflec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However, since it is a numerical value for simple comparis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the experimental resul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음수는 * Negative numbers 컵(Cup)형태의Cup-shaped 변형됨을 의미하며, 양수는  And the positive number means 캡(Cap)형태의Cap-shaped 변형됨을 의미한다. . 두께차이[%]Thickness difference [%] 00 88 1212 2020 4141 5858 필름 두께
[um]
Film thickness
[um]
제2두께
(표시패널 상부필름)
Second thickness
(Display panel upper film)
150150 130130 170170 150150 255255 360360
제1두께
(표시패널 하부필름)
First thickness
(Display panel lower film)
150150 120120 150150 120120 150150 150150
차이[um]Difference [um] 00 1010 2020 3030 105105 210210 휨량
[mm]
Amount of warpage
[mm]
저습Low humidity 1.31.3 0.60.6 1.61.6 1.91.9 -1.6-1.6 -2.0-2.0
고습High humidity 1.21.2 0.90.9 2.22.2 3.83.8 2.62.6 4.34.3 변위량[mm]Displacement [mm] -0.1-0.1 0.30.3 0.60.6 1.91.9 4.24.2 6.36.3

또한, 제1두께와 제2두께가 일정하지만 휨량이 0[mm]의 수치를 갖지 않게 되는 것은 편광판의 자체적인 특성상 완벽한 평판(flat plate)이 아님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환경 변화에 따른 휨량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thicknesses are constant but the amount of deflection does not have a value of 0 [mm], it means that the plate is not a perfect plat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You should not.

더욱, 제1두께와 제2두께가 150[um]로 일정한 경우의 휨량[mm]이 저습조건에서 1.3[mm]이고, 고습조건에서 1.2[mm]인 것을 기준수치로 판단하고, 이때의 변위량(고습-저습)을 -0.1[mm]을 기준수치로 판단한다.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the bending amount [mm] wh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constant at 150 [mu] m is 1.3 [mm] under the low humidity condition and 1.2 [mm] under the high humidity condition, (High humidity - low humidity) is -0.1 [mm] as the reference value.

이때, 제1두께과 제2두께가 일정한 경우에는 수분의 흡습 및 배출이 일정하여 변위량은 그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constant, the moisture absorption and discharge are constant, and the displacement amount hardly shows the difference.

표(1)을 참조하면, 제2두께가 130[um]이고, 제1두께가 120[um]인 경우 기준 두께인 150[um]보다 두껍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휨량은 감소되었지만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 때문에 변위량은 기준 변위량인 -0.1[mm] 보다 증가된 0.3[m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since the second thickness is 130 [mu] m and the first thickness is 120 [mu] m, the warpage is reduced because the thickness is not thicker than the reference thickness 150 [ 2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amount is 0.3 [mm], which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displacement of -0.1 [mm]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다음으로, 제2두께가 170[um]이고, 제1두께가 150[um]인 경우, 제2두께가 제1두께보다 두껍기 때문에 고습의 조건에서 제2두께를 갖는 표시패널 상부필름이 표시패널 하부필름 보다 습기의 흡습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표시패널 상부필름의 팽창이 강해져 기준 휨량인 1.2[mm]보다 증가된 2.2[mm]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저습으로 환경 변화가 일어날 경우 표시패널 상부필름이 표시패널 하부필름보다 습기의 배출이 더 크게 발생 되므로, 표시패널 상부필름의 수축이 강해져 고습인 경우의 휨량 2.2[mm]에서 1.6[mm]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Next, when the second thickness is 170 [mu] m and the first thickness is 150 [mu] m, since the second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display panel upper film having the second thickness under hig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xpansion of the upper film of the display panel becomes stronger and 2.2 [mm], which is more than the reference bending amount of 1.2 [mm], can be confirmed. It is confirmed that the display panel upper film is more shrunk and the warping amount in the case of high humidity is changed from 2.2 [mm] to 1.6 [mm] since the display panel upper film generates moisture discharge more than the display panel lower film.

이는, 고습에서 캡(Cap)형태의 휨이 강하게 발생하였다가, 저습에서 컵(Cup)형태의 휨이 발생하여, 수치적으로는 감소 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는 0.6[mm]의 변위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준 변위량인 0.1[mm]보다 변위가 증가 된 것으로 캡(Cap)형태의 휨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This indicates that a cap-type bending occurred strongly in the high humidity, and a cup-shaped bending occurred in the low humidity, and it is seen that it is numerically decreased, but it is actually 0.6 [mm] have. That is, it can be judged that a cap-shaped bending has occurred when the displacement is increased from the reference displacement amount of 0.1 [mm].

다음으로, 제2두께가 150[um]이고, 제1두께가 120[um]인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고습의 조건에서 표시패널 상부필름이 습기의 흡습이 더 크게 발생되어, 표시패널 상부필름의 팽창이 강해지고, 이에 기준 휨량인 1.2[mm] 보다 증가 된 3.8[mm]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고습에서 저습의 조건으로 환경변화가 일어날 경우 표시패널 상부필름의 수축이 강해져 3.8[mm]에서 1.9[mm]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Next, even when the second thickness is 150 [mu] m and the first thickness is 120 [mu] m, the moisture absorption of the display panel upper film becomes larger under the high humidity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And 3.8 [mm], which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deflection amount of 1.2 [mm], and when environmental changes occur under conditions of high humidity and low humidity, shrinkage of the upper panel of the display panel becomes stronger, [mm].

다음으로, 제2두께가 255[um]이고, 제1두께가 150[um]인 경우, 고습의 조건에서 기준 휨량 1.2[mm]보다 증가 된 2.6[mm]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저습으로 환경의 변화가 일어날 경우 2.6[mm]에서 -1.6[mm]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변위량 또한 4.2[mm]로 증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Next, when the second thickness is 255 [mu] m and the first thickness is 150 [mu] m,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ference bending amount is 2.6 [mm] higher than the reference bending amount 1.2 [mm] The change from 2.6 [mm] to -1.6 [mm] can be confirmed, and the displacement amount is also increased to 4.2 [mm].

한편, 표시패널에 편광판 부착 시 에어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에어갭은 0.5[mm]로 설계되므로, 환경 변화에 대한 표시패널의 상부 및 하부필름의 휨 변위량을 0.5[mm]이내로 관리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기구적인 대응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air gap when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Since the air gap is designed to be 0.5 [mm],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films of the display panel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changes is controlled within 0.5 [mm] It can have an advantage in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도 5은 표(1)의 실험결과를 통합하여 평균한 산출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calculated values obtained by integra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able (1).

y축은 휨 변위량[mm]를 나타내고 있고, x축은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를 나타낸다.The y-axis shows the amount of deflection [mm], and the x-axis shows the difference [%]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도시한 바와 같이, 0[%] ~ 10[%]의 구간 휨 변위량이 0.5[mm] 이내이고, 10[%] 이상의 구간에서는 선형적으로 휨 변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flexural displacement linearly increases within a range of 0 [%] to 10 [%] within 0.5 [mm] and 10 [%] or more.

따라서, 전술한 실험결과에 따라 제1편광판과 제2편광판의 두께 차이를 10%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within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al results.

이하, 제1두께와 제2두께의 차이를 10%이내로 유지하는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for maint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within 10% will be described.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표시장치(200)는 크게 제1편광판(252a), 표시패널(220), 제2편광판(250a), 패턴드 리타더(260)으로 구성된다.6A,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200 mainly includes a first polarizing plate 252a, a display panel 220, a second polarizing plate 250a, and a pattern reliader 260. As shown in FIG.

제1편광판(252)은 TAC필름(252a), 편광소자(252b), 아크릴필름(252c), 점착제(25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252 may include a TAC film 252a, a polarizing element 252b, an acrylic film 252c, and an adhesive 252d.

TAC필름(252a)은 광학적으로 등방이고 투명성과 기계적 강도가 있는 데다 온도, 습도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편광소자(252b)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된다.The TAC film 252a is optically isotropic and has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the polarizing element 252b because of its good dimensional stability against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편광소자(252b)는 일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되어 투과축에 평향한 성분의 빛만이 투과되는 특성을 갖는 소자로써, 요오드를 흡수한 PVA계 수지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제작된다.The polarizing element 252b is a device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a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one direction and only light of a component flattened to the transmission axis is transmitted. The polarizing element 252b is manufactured by stretching a PVA resin absorbing iodine with a strong tension.

PVA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As the PVA resin,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at this tim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한편, TAC필름(252a)는 편광판 원가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인데, TN 액정패널용 편광판에서 TAC필름이 차지하는 비율은 56% 이고 VA용 편광판에서 TAC필름이 차지하는 비율은 42%로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색감차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C film 252a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polarizer cost structure. In the polarizer for the TN liquid crystal panel, the proportion of the TAC film is 56%, and the proportion of the TAC film in the VA polarizer is 42% . Further,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color difference.

따라서, 패널 원가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TAC필름의 제거 및 감소를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TAC필름과 동일한 특성, 즉 등방이고 투명성과 기계적 강도가 높은 아크릴(Acryl)기재를 이용한 아크릴필름(252c)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efforts to reduce or eliminate the TAC film have been focused on reducing the panel c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TAC film include an acrylic film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TAC film, i.e., isotropic, high transparenc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252c are used.

제2편광판(250)은 점착제(250a), 아크릴필름(250b), 편광소자(250c), TAC필름(25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250 may includ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50a, an acrylic film 250b, a polarizing element 250c, and a TAC film 250d.

패턴드 리타더(260)는 점착제(260a)와 리타더층(260b), TAC필름(260c)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The pattern reliader 260 may includ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0a, a retarder layer 260b, and a TAC film 260c.

한편, 제1편광판(252)은 TAC필름(252a) 80[um], 편광소자(252b) 25[um], 아크릴필름(252c) 60[um], 점착제(252d) 25[um]로 설계되어 190[um]의 제1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252 is designed with a TAC film 252a of 80 [um], a polarizing element 252b of 25 [um], an acrylic film 252c of 60 [um], and an adhesive 252d of 25 [ Lt; RTI ID = 0.0 > 190 < / RTI >

제2편광판(250)은 점착제(250a) 25[um], 아크릴필름(250b) 40[um], 편광소자(250c) 25[um], TAC필름(250d) 40[um]로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250 can be designed wit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50a of 25 um, the acrylic film 250b of 40 um, the polarizing element 250c of 25 um, and the TAC film 250d of 40 um .

패턴드 리타더(260)는 점착제(260a) 25[um], 리타더층(260b) 1[um], TAC필름(260c) 40[um]으로 구성 될 수 있다.The patterned retarder 260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0a of 25 [um], a retarder layer 260b of 1 [um], and a TAC film 260c of 40 [um].

제2편광판(250)과 패턴드 리타더(260)의 구성을 합친 제2두께(270)는 196[um]이고, 제1두께(252)는 190[um]로 제2두께와 제1두께의 차이는 약 2%를 갖는다. 즉, 습기 변화량의 대칭성을 갖게 되어 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second thickness 270 combined with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250 and the patterned retarder 260 is 196 um and the first thickness 252 is 190 um. Has a difference of about 2%. That is, it has symmetry of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and the warping phenomenon can be minimized.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편광판(352)은 TAC필름(352a) 60[um], 편광소자(352b) 25[um], 아크릴필름(352c) 60[um], 점착제(352d) 25[um]로 설계되어 170[um]의 제1두께를 가질 수 있다.6B, the first polarizing plate 352 includes a TAC film 352a 60 [um], a polarizing element 352b 25 [um], an acrylic film 352c 60 [u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352d 25 [um] and can have a first thickness of 170 [mu] m.

제2편광판(350)은 점착제(350a) 18[um], 아크릴필름(350b) 40[um], 편광소자(350c) 25[um], TAC필름(350d) 40[um]로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350 may be designed wit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350a 18 um, the acrylic film 350b 40 um, the polarizing element 350c 25 um, and the TAC film 350d 40 um .

패턴드 리타더(360)는 점착제(360a) 18[um], 리타더층(360b) 1[um], TAC필름(360c) 40[um]으로 구성 될 수 있다.The pattern reliader 360 may be composed of the adhesive agent 360a 18 [um], the retarder layer 360b 1 [um], and the TAC film 360c 40 [um].

제2편광판(350)과 패턴드 리타더(360)의 구성을 합친 제2두께(370)는 182[um]이고, 제1두께(352)는 170[um]로 제2두께와 제1두께의 차는는 약 6%를 갖는다. The second thickness 370 combin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350 and the patterned retarder 360 is 182 [mu] m, the first thickness 352 is 170 [mu] Has a difference of about 6%.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편광판(452)은 TAC필름(452a) 60[um], 편광소자(452b) 25[um], 아크릴필름(452c) 60[um], 점착제(452d) 25[um]로 설계되어 170[um]의 제1두께를 가질 수 있다.6C, the first polarizing plate 452 includes a TAC film 452a 60 [um], a polarizing element 452b 25 [um], an acrylic film 452c 60 [u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452d 25 [um] and can have a first thickness of 170 [mu] m.

제2편광판(450)은 점착제(450a) 25[um], 아크릴필름(450b) 40[um], 편광소자(450c) 12[um], TAC필름(450d) 40[um]로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450 may be designed to have a thickness of 25 [um]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450a, 40 [um] for the acrylic film 450b, 12 [um] for the polarizing element 450c, and 40 [ .

패턴드 리타더(460)는 점착제(460a) 18[um], 리타더층(460b) 1[um], TAC필름(460c) 40[um]으로 구성 될 수 있다.The pattern reliader 460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460a 18 um, a retarder layer 460b 1 um, and a TAC film 460c 40 um.

제2편광판(450)과 패턴드 리타더(460)의 구성을 합친 제2두께(470)는 176[um]이고, 제1두께(452)는 170[um]로 제2두께와 제1두께의 차이는 약 3.5%를 갖는다. The second thickness 470 of the second polarizer 450 and the patterned retarder 460 is 176 um and the first thickness 452 is 170 um. Has a difference of about 3.5%.

따라서, 저습의 조건에서 제1두께를 가지는 제1편광판과 제2두께를 가지는 패턴드 리타더와 제2편광판은 동일하게 습기의 배출이 발생되며, 고습의 조건에서 동일하게 습기의 흡습이 발생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under the low humidity condition, the first polarizer having the first thickness, the patterned retarder having the second thickness, and the second polarizer are caused to discharge the moisture in the same manner,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arp phenomenon from occurr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NDA : 비표시영역 DA : 표시영역
Hl : 좌안 수평화소라인 Hr : 우안 수평화소라인
Rl : 좌안 리타더 Rr : 우안 리타더
100 : 3차원 영상표시장치 120 : 표시패널
122 : 제1기판 124 : 게이트 전극
126 : 절연층 128 : 반도체층
132 : 소스 전극 134 : 드레인 전극
136 : 보호층 136a : 드레인 콘택홀
138 : 화소전극 140 : 제2기판
142 : 블랙매트릭스 144 : 컬러필터층
146 : 공통 전극 148 : 액정층
150 : 제2편광판 152 : 제1편광판
160 : 패턴드 리타더 162 : 보호필름
164 : 리타더층 168 : 점착층
NDA: Non-display area DA: Display area
Hl: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Rl: Left eye retarder Rr: Right eye retarder
10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120: display panel
122: first substrate 124: gate electrode
126: insulating layer 128: semiconductor layer
132: source electrode 134: drain electrode
136: protection layer 136a: drain contact hole
138: pixel electrode 140: second substrate
142: black matrix 144: color filter layer
146: common electrode 148: liquid crystal layer
150: second polarizer 152: first polarizer
160: pattern-retarder 162: protective film
164: Retarder layer 168: Adhesive layer

Claims (11)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구비된 제1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순차 구비된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광판의 두께를 제1두께,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두께를 제2두께라 정의할 때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는 동일하거나, 10%이내의 두께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3차원 영상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first polarizer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is defined as a first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er and the pattern reliader is defined as a second thickness,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10%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은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부에 부착되는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1편광소자 하부에 제2보호필름과, 상기 제1보호필름 상부에 제1점착제가 위치하고,
상기 제 2 편광판은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부에 제3보호필름과, 상기 제3편광소자 하부에 제4보호필름과, 상기 제4보호필름 하부에 제2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larizer includes a first polarizer, a first protective film attached on the first polarizer, a second protective film below the first polarizer, and a first adhesive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Located,
Wherei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comprises a second polarizing element, a third protective film on the second polarizing element, a fourth protective film below the third polarizing element, and a second adhesive on the bottom of the fourth protective film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드 리타더는 리타더층과, 상기 리타더층 상부에 제5보호필름과, 상기 리타더층 하부에 제3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ttern reliader comprises a retarder layer, a fifth protective film on the retarder layer, and a third adhesive ag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tarder lay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상기 제1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is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reduced so that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have a difference of not more than 10%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8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 으로 190um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25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25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25um으로 196um인 3차원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olarizer has a first thickness of 25 mu m for the first polarizing element, 60 mu m for the first protective film, 80 mu m for the second protective film, 190 mu m for the first adhesive agent,
The second polarizer and the pattern reliader had a second thickness of 25 mu m for the second polarizing element, 40 mu m for the third protective film, 40 mu m for the fourth protective film, 25 mu m for the second adhesive, 1 mu m for the retarder layer, The protective film is 40um, and the third adhesive is 25um, which is 196u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과 제2점착제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패턴드 리타더의 제3점착제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of the first polarizer is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and the second adhesive of the second polarizer ar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adhesive of the pattern reliader Wherei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으로 170um 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25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18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18um 으로 182um인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polarizer has a first thickness of 25 mu m for the first polarizing element, 60 mu m for the first protective film, 60 mu m for the second protective film, 170 mu m for the first adhesive agent,
The second polarizer and the pattern reliader had a second thickness of 25 mu m for the second polarizing element, 40 mu m for the third protective film, 40 mu m for the fourth protective film, 18 mu m for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 um for the retarder layer, The protective film is 40um, and the third adhesive is 18um, which is 182u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제2편광판의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3 및 제4보호필름의 두께를 줄이고, 상기 패턴드 리타더의 제3점착제 두께를 줄여서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2두께가 10%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of the first polarizer is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er of the second polarizer and the third and fourth protective films are reduced, Wherei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제1두께는, 상기 제1편광소자가 25um, 상기 제1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2보호필름이 60um, 상기 제1점착제가 25um으로 170um 이고,
상기 제2편광판 및 패턴드 리타더의 제2두께는, 상기 제2편광소자가 12um, 제3보호필름이 40um, 제4보호필름이 40um, 제2점착제가 25um, 리타더층은 1um, 제5보호필름은 40um, 제3점착제는 18um 으로 176um인 3차원 영상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olarizer has a first thickness of 25 mu m for the first polarizing element, 60 mu m for the first protective film, 60 mu m for the second protective film, 170 mu m for the first adhesive agent,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the pattern reliader had a second thickness of 12 um, a third protective film of 40 um, a fourth protective film of 40 um,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f 25 um, a retarder layer of 1 um, The protective film is 40um, and the third adhesive is 18um, which is 176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gate wirings and a plurality of data wirings crossing each other are defined to define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a second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color filter patterns are formed,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지 제5보호필름은 TAC 또는 Acryl 기재로 이루어지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o fifth protective films may be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made of TAC or Acryl substrate
KR1020130098585A 2013-08-20 2013-08-2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ctive KR102049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85A KR102049737B1 (en) 2013-08-20 2013-08-2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85A KR102049737B1 (en) 2013-08-20 2013-08-2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37A true KR20150021337A (en) 2015-03-02
KR102049737B1 KR102049737B1 (en) 2019-11-28

Family

ID=5301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585A Active KR102049737B1 (en) 2013-08-20 2013-08-2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715A (en) * 2001-01-25 2002-08-09 Nitto Denko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00120023A (en) * 2009-05-04 2010-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ssembly having patterned retar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715A (en) * 2001-01-25 2002-08-09 Nitto Denko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00120023A (en) * 2009-05-04 2010-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ssembly having patterned retar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37B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8842B2 (en)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9442331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s having compensation lay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066864A1 (en) Display device
KR101266209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for an orientating treatment in a photo-orientable layer
WO2017173687A1 (en)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device
CN112161703B (en) Ambient light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0681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nano capsule liquid crystal layer
KR102277444B1 (en) Polarziation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601143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72505B1 (en) Optical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plat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101587681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5002618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US10649279B2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40210721A1 (en) Active retarder for 3d image display and display device
JP4094513B2 (en) Barrier element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50049175A1 (en) Display device
KR20150021337A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JP2008058868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100701074B1 (en) LCD Display
CN114488601A (en) Display panel
KR100933443B1 (en) Composite optical element for display device
US12147125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US20080186432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50144842A (en) Display device
JP2005010738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