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805A -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9805A KR20150019805A KR20130097127A KR20130097127A KR20150019805A KR 20150019805 A KR20150019805 A KR 20150019805A KR 20130097127 A KR20130097127 A KR 20130097127A KR 20130097127 A KR20130097127 A KR 20130097127A KR 20150019805 A KR20150019805 A KR 201500198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state
- feedback signal
- event
- proc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는 특정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수신 동작,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작,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 동작, 사전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동작,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한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처리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전자 장치의 입력 상태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형태에 따라 특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조작에 의해 발생한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운용이 조정될 수 있다.
그런데 입력부 조작이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물리력이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의도에 관계없이 발생한 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전자 장치 제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입력 신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는 특정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수신 동작,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작,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 동작, 사전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동작,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한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처리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사전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한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다라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를 가지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입력 신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배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입력 상태를 가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이 필요로 하는 상황에 입력 가능 상태를 제공하여 불필요한 장치 운용을 억제하고 그에 따른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스마트 가전(smart whit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등),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진동부(17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추가로 센서 운용을 위한 센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구성 중 입력 장치는 상술한 입력부(120),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 음성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처리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입력 장치의 입력 가능 상태 제어를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상황을 진동부(170) 또는 진동부(170)와 센서부(180)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판단된 상황에 따라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 오동작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의도에 맞는 장치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장치 운용 상태 예컨대 통화 호를 수신하였거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장치의 배치 상태 변화에 따라 입력 불가 상태를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듈의 형태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타 전자 장치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타 전자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수신된 통신 연결 요청 및 메시지 등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통신 연결 요청 및 메시지 등을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동작에서 장치 배치 상태에 기반하여 입력 장치들의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신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 사이드 키, 홈 키, 메뉴 키, 전원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20)는 입력 상태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 신호 및 설정된 입력 상태 제어 모드를 해제하는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생성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가능 상태에서 입력부(120)가 전달한 입력 신호는 유효 처리될 수 있으며,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부(120)가 전달한 입력 신호는 무효 처리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전자 장치(100) 운용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SPK)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특정 오디오 파일의 재생 동작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는 전자 장치(100)의 녹음 기능 또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오디오 신호의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는 진동부(170)에서 발생한 설정 패턴의 진동에 대한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마이크(MIC)가 수집한 진동 피드백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상태 제어 모드 설정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상태 제어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장치 운용이 필요한 경우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연결 요청이나 메시지 등을 수신하면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가능 상태에서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입력 신호 발생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각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 신호 발생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출력을 생략 또는 억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아이콘 화면, 특정 컨텐츠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입력 장치로서 운용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시트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표시부(140)는 손가락 터치, 전자펜 터치 또는 일반 펜 터치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복수의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상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상태 제어 모드 설정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상태바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가능 상태 및 입력 불가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입력 불가 상태인 경우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가능 상태인 경우 턴-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턴-온 상태에서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나 팝업,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가능 상태에서 실행 요청된 앱(App : Application, 이하 앱)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 가능 상태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가 적용된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50)는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적어도 하나의 앱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앱은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앱은 통신 기능 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기능 앱은 통화 기능 앱, 메시지 서비스 앱, 영상 통화나 웹 접속과 같은 데이터 통신 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패턴 DB(151)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DB(151)는 설정된 진동 패턴에 대한 진동 피드백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패턴 DB(151)는 전자 장치(100)가 바지 등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진동 피드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DB(151)는 전자 장치(100)가 상의 주머니가 가방 등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진동 피드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DB(151)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손에 파지된 상태인 경에서의 진동 피드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DB(151)는 전자 장치(100)가 개방된 영역에서 놓인 상태에서의 진동 피드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들에는 각 상태 정보들이 연결 저장될 수 있다.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현재 전자 장치(100)가 배치된 상황에서 수집된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비교될 수 있다.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유사한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60)는 검출된 진동 피드백 신호에 연결 저장된 상태 정보 확인을 수행하여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진동부(170)는 설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70)는 실행 요청되는 앱의 종류나 운용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진동부(170)는 통화 연결 요청 발생에 따른 패턴의 진동과 메시지 수신에 따른 패턴의 진동을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부(170)는 센서부(180) 운용에 대응하여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일정 주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센서부(180)를 운용하여 특정 물체와의 근접도나 조도 상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근접도나 조도가 사전 정의된 일정 기준치 이하 또는 이상인 경우 진동부(170)를 운용할 수 있다. 그러면 진동부(170)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170)는 센서부(180)와는 독립적으로 일정 주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이나 주변 환경에 대응한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180)는 생성된 센서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80)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고도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와, 각 센서들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소프트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80)는 예를 들면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80)는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80)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80)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제어 신호의 처리와 전달, 데이터의 전달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입력 장치 운용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진동부(170)를 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의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진동부(170) 운용 이전에 센서부(180)를 선행적으로 운용하고, 센서부(180) 운용에 따라 진동부(170) 운용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은 도 1에서 설명한 제어부(160)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은 상태 확인 모듈(161), 입력 제어 모듈(163), 기능 처리 모듈(1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 확인을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 상태 확인을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입력 상태 제어 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0) 상태 확인을 수행하고, 입력 상태 제어 모드가 비설정된 상태이면 전자 장치(100) 상태 확인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음악 재생 완료 이벤트, 스케줄 도래를 안내하는 알람 이벤트,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이벤트는 입력 신호 발생을 요청하는 버튼 누름에 대응하는 물리력이 입력부(120)에 가해지는 이벤트, 입력 장치 활성화를 요청하는 터치 입력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확인 모듈(161)은 상술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대응하여 진동부(17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진동부(170)에서 발생한 패턴의 진동에 대응한 피드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패턴 DB(151)에 저장된 특정 형태의 피드백 신호와 유사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전자 장치(100)의 배치 상태 분석 결과를 입력 제어 모듈(163)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확인 모듈(161)은 상술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대응하여 센서부(180)와 진동부(17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우선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센서부(180)를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확인 모듈(161)은 근접 센서와 조도 센서를 운용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근접도와 조도가 설정된 일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또는 이하인 경우 진동부(170)를 통한 배치 상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태 확인 모듈(161)은 근접도와 조도에 따라 가속도 센서를 운용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가속도 센서가 제공하는 속도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중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확인 모듈(161)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동부(170)를 통한 배치 상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상태 확인 모듈(161)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입력 장치의 입력 가능 상태 및 입력 불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제어 모듈(163)은 상태 확인 모듈(161)이 제공한 배치 상태 분석 결과가 주머니 속에 배치된 보관 상태이면 입력 오동작 방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상태 확인 모듈(161)이 제공한 배치 상태 분석 결과가 파지 상태이면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설정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 장치들의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제어 모듈(163)은 배치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 불가 상태 처리가 요청되는 경우 입력부(120) 중 사이드키만을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불가 상태 처리가 요청되면 표시부(140)에 포함된 터치 패널을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고, 입력부(120)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모듈(163)은 홈 키만을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고 다른 입력 구성들은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된 입력 구성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불가 상태를 해제하여 나머지 입력 구성들도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장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여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고, 장소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운용할 상황이 도래하면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여 편리한 운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장치들 전체를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를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여 입력 상태 제어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가 특정 장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 중에서 눌려지거나 터치되지 않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입력 구성을 입력 가능 상태로 제공하고 나머지 입력 구성을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오동작 방지 및 입력 불가 상태 해지를 보다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기능 처리 모듈(165)은 이벤트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기능 처리 모듈(165)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 요청 발생에 따른 표시 화면 처리 및 알람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165)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수신 알람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처리 모듈(165)은 입력 가능 상태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발생된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기능 처리 모듈(165)은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통화 연결 요청을 수락하여 타 전자 장치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처리 모듈(165)은 메시지 수신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시지 확인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은 동작 301에서, 제어부(160)가 기능 대기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능 대기 동작에서 슬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이전 동작 상태 예컨대 음악 재생 상태나 대기 화면 출력 상태 등의 지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제어부(16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가 장치 배치 상태 확인 요청을 위한 이벤트 발생인지 확인할 수 있다. 장치 배치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특정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동작 303에서 해당 이벤트가 장치 배치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아니면 동작 305로 분기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제어부(160)는 해당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이벤트 종류나 특성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을 제어하거나, 방송 수신 기능을 제어하거나, 웹 서핑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슬립 모드 천이를 위한 이벤트 발생인 경우, 전자 장치(100)를 슬립 모드로 천이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동작 303에서 장치 배치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동작 307로 분기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제어부(160)는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설정된 패턴 정보를 진동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진동부(170)는 전달된 패턴 정보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패턴 정보는 장치의 배치 상태 확인을 위해 사전 정의된 일정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설정된 패턴 정보는 이벤트 특성에 따라 사전 정의된 일정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설정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들은 패턴 DB(151)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들은 상기 설정된 패턴 정보들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사전 수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제어부(160)는 현재 발생된 진동에 대한 피드백 신호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MIC)를 활성화할 수 있다. 마이크(MIC)는 진동 발생에 대응한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마이크(MIC)는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제어부(160)는 상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분석 동작은 비교 동작, 검출 동작 및 확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들과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들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면,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제어부(160)는 상태 분석 결과에 따른 장치 입력 제어를 수행하고, 입력 신호 발생에 따른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현재 상태가 주머니 등에 보관된 상태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 발생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무효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현재 상태가 파지 상태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 장치들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보관된 상태에서 파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입력 장치의 입력 불가 상태를 입력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상태 확인을 일정 주기로 수행하거나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따라 통화 연결 요청 수신을 알리는 동안 상태 확인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제어부(160)는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입력 제어에 대한 운용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0는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동작 30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311에서 설명한 상태 분석 동작은 다음과 같이 특징 벡터 추출 동작, 확률 계산 동작, 모델 선택 동작 및 상태 도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1에서, 제어부(160)는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가 수집되면,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MIC)가 수집한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여 정보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간소화된 정보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들을 사전 정의된 일정 규칙에 따라 정렬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제어부(160)는 추출된 특징 벡터를 기반으로 접촉 물체에 대한 확률 계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특징 벡터와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 역시 각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에서의 특징 벡터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의 현재 특징 벡터와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의 특징 벡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현재 특징 벡터와 확률적으로 가장 유사한 특징 벡터를 가지는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사람 신체와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패턴의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는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단단한 책상 등에 놓인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의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는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상의 주머니에 보관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의 진동이 발생한 후 그에 대응하여 수집된 피드백 신호 또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각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를 실험적으로 사전에 수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상태 구분을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제어부(160)는 확률 계산 값이 가장 큰 상태별 진동 피드백 신호를 최적 모델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07에서, 제어부(160)는 최적 모델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신호에 따른 상태 도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설명한 입력 상태 제어 모듈들은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60)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은 상태 확인 모듈(161), 입력 제어 모듈(163), 기능 처리 모듈(165) 및 타이머(16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입력 상태 제어를 위한 모듈들은 도 3에서 설명한 상태 확인 모듈(161), 입력 제어 모듈(163) 및 기능 처리 모듈(165) 외에 타이머(167)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입력 상태 제어 모듈들은 도 3에서 설명한 모듈들의 역할 외에 타이머(167) 운용을 위한 동작을 추가로 더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 3에서 설명한 모듈들의 역할 및 기능과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확인 모듈(161)은 수집된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저장부(150)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의 비교를 통하여 상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현재 상태가 입력 불가 상태로 판단되면, 타이머(167)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현재 상태가 입력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별도의 타이머(167) 구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161)은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입력 제어 모듈(1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태 확인 모듈(161)은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로서 전자 장치(100)가 주머니 등에 보관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정보, 전자 장치(100)가 파지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정보 등을 입력 제어 모듈(163)에 전달할 수도 있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상태 확인 모듈(161)이 전달하는 상태 정보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거나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제어 모듈(163)은 입력 불가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상태 확인 모듈(161)로부터 수신하면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제어 모듈(163)은 타이머(167)가 만료되기 이전에 상태 확인 모듈(161)로부터 입력 상태 변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입력 장치의 입력 불가 상태를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제어 모듈(163)은 타이머(167) 만료 이후에는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기능 처리 모듈(165)은 입력 제어 모듈(163)의 제어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가 입력 가능 상태인 경우,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처리 모듈(165)은 입력 장치가 입력 불가 상태인 경우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른 기능 처리 또는 기능 알람 등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167)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이를 입력 제어 모듈(163)에 안내할 수 있다. 타이머(167)에 설정되는 시간은 입력 상태 제어가 적용되는 기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수신이 발생하면, 타이머(167)는 통화 연결 요청 수신이 유지되는 시간을 만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는 경우 타이머(167)는 메시지 팝업이 유지되는 시간 또는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을 만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상태 제어 방법은 동작 601에서, 제어부(160)가 기능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기능 대기 상태는 슬립 상태, 대기 화면 출력 상태, 메뉴 화면 출력 상태, 음악 재생이 백그라운드로 이루어지면서 표시부(140)는 턴-오프된 상태 등 다양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가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해당하는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연결 요청 수신 여부의 항목은 메시지 수신 여부 항목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통화 연결 요청 수신 여부의 항목은 앞서 설명한 특정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발생 여부 항목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수신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통화 연결 요청 수신을 위한 이벤트가 아니면 동작 605에서, 제어부(160)는 해당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이벤트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특정 웹 서버 장치 접속을 수행하거나, 갤러리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게임 앱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607에서, 제어부(160)는 설정 패턴의 진동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609에서, 제어부(160)는 발생된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제어부(160)는 수집된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분석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하는 특징 벡터 적용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613에서,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가 보관 상태로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상태는 전자 장치(100)가 바지 주머니나 상의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상태는 비 파지 상태로 대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동작 613에서 상태 분석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현재 비 파지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상태들은 서로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패턴 DB(151)에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 비교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보관 상태인 경우 동작 615에서, 제어부(160)는 입력 오동작 방지 및 타이머(167)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입력 오동작 방지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617에서, 제어부(160)는 타이머(167) 만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167) 만료 이전에 동작 619에서, 제어부(160)는 파지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타이머(167) 만료 이전에 파지 상태 전환이 없는 경우 동작 615로 분기하여 입력 오동작 방지 및 타이머(167) 구동 상태 유지를 제어할 수 있다. 파지 상태 전환 확인은 센서부(180) 운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주변 환경이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가속도 센서의 센서 신호 누적 분석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일정 위치에서 들어 올려지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근접 센서의 센서 신호 분석에 따라 특정 물체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특정 물체와의 접촉 상태 해제와 함께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상태 변경을 파지 상태 전환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동작 613에서 보관 상태가 아닌 경우, 동작 617에서 타이머(167)가 만료되거나, 동작 619에서 파지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동작 621에서, 제어부(160)는 입력 가능 상태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623에서, 제어부(160)는 수집된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수락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625에서, 제어부(160)는 종료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23 동작의 기능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종료 이벤트 발생 시 전자 장치(1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기능 대기 상태인 동작 601로 분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진동 발생 및 그에 따른 피드백 신호 분석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가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상태 분석이 제공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입력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를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사용자 입력이 적절한 상태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다 정확한 상태 분석과 운용을 통하여 오동작 방지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직관적인 전자 장치(100)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장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는 통신 장치인 경우 상기 장치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진동부
180 : 센서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진동부
180 : 센서부
Claims (20)
- 특정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수신 동작;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작;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 동작;
사전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동작;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한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처리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동작이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메시지 수신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음악 재생 완료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스케줄 도래를 안내하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입력 신호 발생을 요청하는 버튼 누름에 해당하는 물리력이 입력부에 가해지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 활성화를 요청하는 터치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동작이
상기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의 특징 벡터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동작이
상기 장치의 배치 상태가 보관 상태인지 확인하는 확인 동작;
상기 장치의 배치 상태가 파지 상태인지 확인하는 확인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동작이
상기 배치 상태가 파지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이면 타이머를 구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동작이
상기 타이머 만료 시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에서 파지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동작이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이
상기 입력 장치 중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표시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장치 중 버튼 누름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이
상기 입력 장치 중 버튼 누름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 중 일부 버튼만을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동작이
상기 입력 가능 상태의 일부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입력 상태 제어 방법. -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설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사전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에 대응한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 또는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다라 입력 가능 상태 또는 입력 불가 상태를 가지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음악 재생 완료 이벤트, 스케줄 도래를 안내하는 알람 이벤트,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 입력 신호 발생을 요청하는 버튼 누름에 해당하는 물리력이 입력부에 가해지는 이벤트, 상기 입력 장치 활성화를 요청하는 터치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의 특징 벡터와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진동 피드백 신호와 유사한 저장된 진동 피드백 신호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동 피드백 신호 비교를 통해 상기 장치의 배치 상태가 특정 장소에 보관 상태인지 또는 파지 상태인지 확인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치 상태가 파지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고,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인 경우 동작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이머 만료 시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치 상태가 비파지 상태에서 파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불가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에서 상기 입력 장치 중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표시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고 상기 입력 장치 중 버튼 누름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를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불가 상태로 처리하는 동작에서 상기 입력 장치 중 버튼 누름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 중 일부 버튼만을 입력 가능 상태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가능 상태의 일부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7127A KR20150019805A (ko) | 2013-08-16 | 2013-08-16 |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4/461,843 US20150049036A1 (en) | 2013-08-16 | 2014-08-18 |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tatu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7127A KR20150019805A (ko) | 2013-08-16 | 2013-08-16 |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805A true KR20150019805A (ko) | 2015-02-25 |
Family
ID=5246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7127A Withdrawn KR20150019805A (ko) | 2013-08-16 | 2013-08-16 |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49036A1 (ko) |
KR (1) | KR2015001980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38100A1 (fr) * | 2015-06-26 | 2016-12-30 | Orange | Procede de reconnaissance d'ecriture manuscrite sur une surface physique |
EP3554415B1 (en) * | 2016-12-15 | 2024-06-12 |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 Detection of user touch on controller handle |
CN108769594B (zh) * | 2018-06-05 | 2020-08-07 |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 一种数据监控方法 |
CN110058676A (zh) * | 2018-11-28 | 2019-07-26 |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 一种振动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1935357B (zh) * | 2020-08-17 | 2021-07-27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多媒体播放方法及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24339B2 (en) * | 2001-03-14 | 2004-04-20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
US6784810B2 (en) * | 2001-05-07 | 2004-08-31 |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A/D converter with comparators and low-power detection mode for resistive matrix keyboards |
US7791588B2 (en) * | 2003-12-22 | 2010-09-07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haptic feedback |
US7430439B2 (en) * | 2005-01-31 | 2008-09-3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User hand detection for wireless devices |
CN100555265C (zh) * | 2006-05-25 | 2009-10-28 |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 用于电子产品的组合键盘及利用其实现的输入方法和手机 |
WO2007144014A1 (en) * | 2006-06-15 | 2007-12-21 | Nokia Corporation | Mobile device with virtual keypad |
US8111144B2 (en) * | 2007-02-13 | 2012-02-07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detection of user inaction |
US8378979B2 (en) * | 2009-01-27 | 2013-02-19 | Amazon Technologies, Inc. | Electronic device with haptic feedback |
US8736115B2 (en) * | 2010-08-31 | 2014-05-27 | Apple Inc. | Buttons with modulated bias voltages |
US8311514B2 (en) * | 2010-09-16 | 2012-11-13 | Microsoft Corporation |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
US8736564B2 (en) * | 2011-05-25 | 2014-05-27 | Blackberry Limited | Proximity dete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related object |
-
2013
- 2013-08-16 KR KR20130097127A patent/KR2015001980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8-18 US US14/461,843 patent/US2015004903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49036A1 (en) | 2015-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0750B1 (ko) | 지문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101652373B1 (ko) |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US10764415B2 (en) | Screen lighting method for dual-screen terminal and terminal | |
CN103389863B (zh) | 一种显示控制方法和装置 | |
KR102495239B1 (ko)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
CN110035546B (zh) | 一种传输方法、移动终端及网络设备 | |
CN109032447B (zh) | 一种图标处理方法及移动终端 | |
US20150160731A1 (en) | Method of recognizing gesture through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CN108681498B (zh) | 一种cpu占用率的监测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
CN109995933B (zh) | 控制终端设备的闹钟的方法及终端设备 | |
CN108008859B (zh) |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 |
CN107870674B (zh) | 一种程序启动方法和移动终端 | |
WO2018166204A1 (zh) |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KR20150019805A (ko) | 입력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CN106371749A (zh) | 一种终端控制的方法和装置 | |
CN108319386A (zh) | 一种显示屏防误触方法及移动终端 | |
CN106951143B (zh) |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 |
CN110049486A (zh) | 一种sim卡选择方法及终端设备 | |
CN107066090B (zh) |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及移动终端 | |
CN108984099B (zh) | 一种人机交互方法及终端 | |
EP2991289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messages using the same | |
KR20110095586A (ko) | 단말기의 터치 이벤트 수집 방법 및 장치 | |
CN111417929A (zh) | 界面显示方法及控制终端 | |
CN110515507B (zh) | 一种图标显示方法及终端 | |
CN110471808B (zh) | 一种压力按键检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