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761A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9761A KR20150019761A KR20130096973A KR20130096973A KR20150019761A KR 20150019761 A KR20150019761 A KR 20150019761A KR 20130096973 A KR20130096973 A KR 20130096973A KR 20130096973 A KR20130096973 A KR 20130096973A KR 20150019761 A KR20150019761 A KR 20150019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haft portion
- shaft
- dental implan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가 측방향의 외압이나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에 의한 충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으며, 시술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탄성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부와,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그 하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의 외주면에 탄성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부가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면에는 지대주의 탄성 체결부에 대응되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축부가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치아에 관련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치아가 측방향의 외압이나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에 의한 충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으며, 시술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고정체를 턱뼈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턱뼈와 융합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체결부재와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을 고정함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적인 시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턱뼈에 식립(植立)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부 축공에 지대주의 체결부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나사식 결합 방식은 하부구조인 고정체와, 상부구조인 지대주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나사풀림, 나사파절, 보철물의 비심미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368호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축공(12)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0)와, 하부에 상기 축공(12)에 삽입되는 형상기억합금의 체결레그(22)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레그(22)를 통해 상기 고정체(10)와 연결시켜 음식물을 씹을 수 있게 하는 지대주(20)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고정체(10)의 체결홈(14)과 지대주(20)의 체결돌기(24)가 암수 간에 상보적(相補的)으로 탄성 결합되게 함으로써, 나사의 풀림현상이나 나사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고, 보철물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횡방향의 외압(外壓)(P)이나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경우, 지대주(20)로부터 연장된 체결레그(22)의 연결부위(C)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균열 또는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체로부터 체결레그가 이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즉,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체결레그(22)는 그와 체결되는 고정체(fixture)의 직경을 마냥 크게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또한 고정체(10)와의 탄력적인 결합을 위하여 그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측방향의 외압이나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이 임플란트(1)에 가해지면, 반복되는 피로하중으로 인하여 지대주(20)의 체결레그(22) 연결부분(C)에서 급속하게 균열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지대주(20)는 고정체(10)로부터 파단 분리되어 탈락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내구성과 사용 수명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인 측방향의 외압으로 인해 체결레그의 체결부위가 고정체의 체결부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강한 측방향의 외압이 가해졌을 때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체결레그 타입은 보다 더 효과적인 충격 완화를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대주를 고정체에 연결시키는 체결레그의 구조를 보강시켜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가해지는 외압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고정체 전체면에 분산시켜 충격 완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시술이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탄성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부와,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그 하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의 외주면에 탄성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부가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면에는 지대주의 탄성 체결부에 대응되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축부가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부의 충격 완충부 외주면에는 체결 홈, 체결 돌기 또는 체결단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부가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체결 돌기, 체결 홈 또는 체결단턱으로 이루어진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축부가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완충부는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홀은 상기 체결축부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부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은 체결축부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로 체결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축부에 형성된 탄성체결부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부와 고정체의 체결 동작시 체결축부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은 그 측단면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부의 형상은 원통 형상 뿐만 아니라, 지대주의 회전 방지를 위한 다각형, 그리고 원통형과 다각형이 혼합된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부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가 채워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의 축공에 지대주를 탄성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충부의 수평관통홀의 그 하단은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충부는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지대주를 고정체에 연결시키는 구조에서, 기존의 레그 구조와는 다르게, 체결축부가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지대주의 체결축 부분을 현저히 구조적으로 보강시키고, 결과적으로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외압 내지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체 전체면에 분산시킬 수 있어서 턱뼈의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고, 체결축 연결부분의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며,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축부의 충격완충부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체결부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 또는 보조 관통홀부를 형성하여 단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체결축부와 고정체의 체결 동작시, 단면 축소에 따른 체결축부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체의 축공에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를 단순히 삽입시키면 쉽게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축부의 탄성체결부 상, 하부가 폐쇄 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체결 돌기나 체결 홈 또는 체결 단턱으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하단이 개방된 구조, 예컨대 절개부를 가지는 체결 레그 보다는 훨씬 더 높은 탄성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결레그 구조에서 레그에 균열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및 갯수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부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부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와 축공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와 축공이 테이퍼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하부에 보조 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상,하부에 보조 요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에 보조 관통홀부를 다수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되기 직전에 체결축부가 수평관통홀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모양 및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및 갯수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부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부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와 축공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와 축공이 테이퍼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하부에 보조 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상,하부에 보조 요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부에 보조 관통홀부를 다수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되기 직전에 체결축부가 수평관통홀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모양 및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탄성체결부'는 체결축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62),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단턱을 지시하고, '대응체결부'는 상기 체결축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62),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단턱에 대응되게 축공(112)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52), 체결 홈(154) 또는 체결 단턱을 지시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2에 분해 조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축공(112)을 형성하고 내부에 가이드 홀(114)이 형성되어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110)와 탄성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부(122)와,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124)로 이루어진 지대주(12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체(110)와 지대주(120)는 그 전체가 바람직하게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적어도 지대주(120)의 체결축(122)이 부분적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면 바람직하다.
즉, 지대주(120)에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은 통상적인 당업계에서 알려진 합금재료으로서, 원하는 모양을 기억하고 있다가 적정한 온도가 되면 그 모양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자기회복성 구성물질의 일종인 합금을 말한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에는 Ti-Ni계 합금 및 Cu-Zn-Al계 합금 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지대주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부(22)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축부(122)의 충격 완충부는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부(122)에 하나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2개 형성되거나,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부(122)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3 내지 4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는 체결축부(122)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홀(142)의 형상은 그 단면에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의 체결축부(122) 상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부(122) 상부의 상부 장착부(124)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142)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미 도시)가 추가적으로 채워져서 보조적 탄성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축부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은 물론이고, 원통형과 다각형이 혼합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고정체(110)의 축공(112) 내주면에 체결 돌기(152), 체결 홈(154) 또는 체결 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축부(122)의 외부면에는 체결 돌기(162),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단턱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축부(122)가 축공(112)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축부(122)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 홈(164),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단턱(소위, 탄성체결부)은, 상기 체결 홈(164),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단턱에 대응되게 축공(112)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52), 체결 홈(154) 또는 체결 단턱(소위, 대응체결부)과 상호 작용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와 체결축부(122)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부(122)의 충격 완충부 외부면에 체결 홈(164)이 형성되면, 축공(112) 내주면에는 체결 돌기(152)가 형성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부(122)의 외부면에 체결 돌기(162)가 형성되면, 축공(112) 내주면에는 체결 홈(154)이 형성되어, 상호 작용하는 탄성 체결 수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홈(154,164)은 각각 링 형상의 오목한 구조이고, 상기 체결 돌기(152,162)들은 각각 링 형상의 볼록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축부(12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일정한 원기둥, 다각형 기둥, 원통형의 구조(A)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원기둥,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과 다각형이 혼합된 기둥 구조(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형 구조(B)에서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은 체결축부(122)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 내로 체결축부(12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축부(122)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체결부, 예컨대 체결 돌기(162),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단턱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170)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부(122)와 고정체(110)의 체결 동작시, 체결축부(122)의 탄성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홈(164)의 하부에 보조 요홈(170)을 형성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부(122)의 체결 홈(164)의 상하부에 모두 보조 요홈(17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요홈(170)과는 다르게 다수의 보조 관통홀부(180)를 체결축부(122)에 형성하여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부(122)와 고정체(110)의 축공(112)의 결합시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교합력에 대한 충격 흡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관통홀부(180)들도 보조 요홈(170)과 유사하게 체결축부(122)의 단면 두께를 축소시켜서 체결축부(122)의 탄성 및 휨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환자의 턱뼈에 고정체(110)를 종래와 같이 식립(植立)하고,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에는 지대주(120)의 체결축부(122)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의 체결축부(122)를 삽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112) 내부에 형성된 체결 돌기(152)에 의해서 지대주(120)의 체결축부(122) 외주면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체결축부(122)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축공(112)의 체결 돌기(152)에 체결축부(122)의 체결 홈(164)이 일치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부(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체결 홈(164)과 체결 돌기(152)는 서로 결합되고, 지대주(120)와 고정체(110) 사이에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모양 및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 단면도인데, 도 9(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는 다양한 모양, 구조,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축부(122)에 수평관통홀을 다양한 모양, 구조, 갯수로 형성함으로써, 체결축부(122)가 고정체(110)의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인 바, 도 9에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를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부(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결부가 구비된 수평관통홀부는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연결시키는 구조에서, 기존의 레그 구조와는 다르게, 탄성체결부가 구비된 수평관통홀부가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축부(122)에 가해지는 외력은 일체로 연결된 체결축부(122)의 전체를 통하여 분산되고, 종래의 레그 구조와는 달리 외력 하중이 체결축부(122)의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지대주(120)의 체결축(122) 부분을 현저히 구조적으로 보강시키고, 결과적으로 임플란트(100)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서 체결축(122)의 연결부분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며, 임플란트(100)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교합력 분산 효과로 한곳에 집중되는 외압에 의한 턱뼈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축부(122)에 형성된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홈(164)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170) 또는 보조 관통홀부(180)를 형성하여 단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체결축부(122)와 고정체(110)의 체결 동작시, 단면 축소에 따른 체결축부(122)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의 체결축부(122)를 단순히 삽입시키면 쉽게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치과에서 임플란트(100) 시술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한편, 상부 장착부로 연장되는 체결축부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체결축부가 고정체의 축공에 결합될 경우 상기 단턱이 고정체의 상측면에 면접되게 안착되고 그 결과, 교합력 등에 의해 지대주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도 밝혀 둔다.
1: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10: 고정체
12: 축공 14: 체결홈
20: 지대주 24: 체결돌기
22: 체결레그 100: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110: 고정체 112: 축공
114: 가이드 홀 120: 지대주
122: 체결축부 122a: 폐쇄 단부
124: 장착부 140: 충격 완충부
142: 수평관통홀 152,162: 체결 돌기
154,164: 체결 홈 170: 보조 요홈
180: 보조 관통홀부 A: 원통형의 구조
B: 테이퍼형 구조 C: 연결부위
P: 외압(外壓)
12: 축공 14: 체결홈
20: 지대주 24: 체결돌기
22: 체결레그 100: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110: 고정체 112: 축공
114: 가이드 홀 120: 지대주
122: 체결축부 122a: 폐쇄 단부
124: 장착부 140: 충격 완충부
142: 수평관통홀 152,162: 체결 돌기
154,164: 체결 홈 170: 보조 요홈
180: 보조 관통홀부 A: 원통형의 구조
B: 테이퍼형 구조 C: 연결부위
P: 외압(外壓)
Claims (9)
-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탄성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부와,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부에 그 하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의 외주면에 탄성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부가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면에는 지대주의 탄성 체결부에 대응되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축부가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부의 충격 완충부 외주면에는 체결 홈, 체결 돌기 또는 체결단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부가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체결 돌기, 체결 홈 또는 체결단턱으로 이루어진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축부가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탄성 체결부가 형성된 상기 충격완충부는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홀은 상기 체결축부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부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은 체결축부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로 체결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부에 형성된 탄성체결부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부와 고정체의 체결 동작시 체결축부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은 그 측단면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부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6973A KR20150019761A (ko) | 2013-08-15 | 2013-08-15 | 치과용 임플란트 |
PCT/KR2013/007361 WO2015023014A1 (ko) | 2013-08-15 | 2013-08-16 | 치과용 임플란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6973A KR20150019761A (ko) | 2013-08-15 | 2013-08-15 | 치과용 임플란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761A true KR20150019761A (ko) | 2015-02-25 |
Family
ID=5246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6973A Abandoned KR20150019761A (ko) | 2013-08-15 | 2013-08-15 | 치과용 임플란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9761A (ko) |
WO (1) | WO201502301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4459A1 (ko) * | 2016-08-16 | 2018-02-22 | 김만용 | 치과용 임플란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79491A1 (en) * | 2020-10-14 | 2022-04-21 | Oz Vachtenberg | Dental and orthopedic fastener with shock absorb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108551D0 (en) * | 2001-04-05 | 2001-05-23 | Osseobiotek Ltd | Implant |
KR100632384B1 (ko) * | 2005-03-04 | 2006-10-12 |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
KR20080049378A (ko) * | 2006-11-30 | 2008-06-04 | 김형우 |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
KR101173758B1 (ko) * | 2010-06-23 | 2012-08-13 | 김형우 |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
KR101280869B1 (ko) * | 2011-07-19 | 2013-07-01 | 권지용 | 임플란트 구조체 |
-
2013
- 2013-08-15 KR KR20130096973A patent/KR20150019761A/ko not_active Abandoned
- 2013-08-16 WO PCT/KR2013/007361 patent/WO201502301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4459A1 (ko) * | 2016-08-16 | 2018-02-22 | 김만용 | 치과용 임플란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23014A1 (ko) | 2015-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1793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2131972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2323729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
JP6397928B2 (ja) | 二重のクッションを備えた歯のインプラント | |
KR101548805B1 (ko) |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 |
JP6285554B2 (ja) | 母指手根中手関節のプロテーゼのための取付部材及び接続部材、並びに母指手根中手関節のプロテーゼ | |
JP6896067B2 (ja) | 歯科補綴システム | |
KR20150083260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40029191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40062212A (ko) | 인공치아 고정체 시술용 드라이버 | |
KR20170086885A (ko) |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 |
KR20200129837A (ko)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
JP2017500957A (ja) | 歯科用インプラント | |
JP2014147431A (ja) | アバットメント及びインプラント | |
KR101487606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50019761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40000101A (ko) | 치과용 어버트먼트 드라이버 | |
KR101632533B1 (ko) | 캡나사형 임플란트 유닛 | |
WO2014035084A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662279B1 (ko) |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 |
KR20200120629A (ko) |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앵커링 시스템 | |
KR101554392B1 (ko) | 비나사형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648742B1 (ko) |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 | |
KR20140006435U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2348490B1 (ko) | 골 접합용 임플란트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