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9713A -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 Google Patents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713A
KR20150019713A KR20130096881A KR20130096881A KR20150019713A KR 20150019713 A KR20150019713 A KR 20150019713A KR 20130096881 A KR20130096881 A KR 20130096881A KR 20130096881 A KR20130096881 A KR 20130096881A KR 20150019713 A KR20150019713 A KR 2015001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ve pen
content
playback
unit
p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라사드 다야마 드와르카
아가르웰 판카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713A/en
Publication of KR2015001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13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트 재생 기능을 가진 재생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통신부를 통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을 개시한다.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writing start event signal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 writing start event occurs.

Description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펜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an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트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재생 장치, 이 재생 장치의 컨텐트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back content, an interactive pen capable of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of the playback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및 다른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트를 시청하다가 종이에 메모를 입력하거나,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다가 노트에 필기를 하고 싶은 경우,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재생 장치에 접근하여 입력부를 조작하거나 재생 장치의 리모트 콘트롤을 찾아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시킨 후에 필기를 하게 된다. 재생 장치가 멀리 있을 경우 사용자는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컨텐트 시청 중에 전화가 걸려와서 전화를 받아야 하거나 전화의 내용을 메모하기 위해서는 빨리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재생 장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필기나 메모를 마치고 다시 컨텐트를 재생시키는데도 동일한 조작이 필요한 실정이다.Various smart devices capable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are being used. When a user is watching a video content being played on a smart device and then wants to input a note on a paper or write a note while watching a video lectur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At this time, the user accesses the playback apparatus to operate the input unit or finds the remote control of the playback apparatus, stops the playback of the content, and then performs the handwriting. If the playback device is far away, the user becomes troublesome. In addition, since a phone call must be received while watching the content or the content must be immediately stopped to record the content of the phone, the user will feel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playback device. In addition, the same operation is required to reproduce content again after finishing a handwriting or a memo.

본 발명은 재생 장치의 컨텐트 재생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펜,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pen, a playback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conveniently control content playback of a playback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컨텐트 재생 기능을 가진 재생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 write start event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The write start even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n the playback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write end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 write end event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이 정지되어 있는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The write end even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resume the playback of the content whose playback is stopped in the playback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a tip of the interactive pen, and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unit, and the write start event may be generated when a first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a tip of the interactive pen.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remov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unit, and when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write end event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할 수 있다.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record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andwritte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은,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and 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playback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는, 인터랙티브 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컨텐트를 재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재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ractive pen; A controller for reproducing the content and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produced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en a write start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이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ose reproduction has been stopped when the writing completion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erein when the information written by the interactive pe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associates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the content, Can be s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인터랙티브 펜을 상기 재생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서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ing an interactive pen includes: connecting the interactive pen to the playback apparatus; And transmitting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device when a write start event occurs in the interactive 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은, 인터랙티브 펜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제어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a playback device comprises: connecting to an interactive pen; And controlling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by the reproduction apparatus on the basis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wherein the reproduction control step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en the writing start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와 재생 장치의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이파이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블루투스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과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서 쓰기 시작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layback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the playback apparatus.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reproduction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reproduction in an interactive pen and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contents written by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written by an interactive pen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14B, 14C, and 14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start of writing in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와 재생 장치의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layback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the playback apparatus.

재생 장치(100)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인터랙티브 펜(200)은 종이 등의 매체(300)에 텍스트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펜으로서 재생 장치(10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The interactive pen 200 can control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as a pen that can write or draw text on the medium 300 such as paper.

재생 장치(100)와 인터랙티브 펜(200)은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의 약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ray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연결되고 서로 신호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재생 장치(100)와 인터랙티브 펜(200) 간의 통신 수단이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 통신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인터랙티브 펜(100)은 사용자의 필기에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재생 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할 것이다. 재생 장치(100)와 인터랙티브 펜(200)은 소정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인터랙티브 펜(200)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송신한다. 재생 장치(100)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playback apparatus 100 and the interactive pen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such as Wi-Fi, Wi-Fi Direct,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frared- ray communication, etc., and can exchange signals and inform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the communication means between the playback apparatus 100 and the interactive pen 200 is not limi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using a cable such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ay be used. However, since the interactive pen 100 is a device used for writing by the user,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communicate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wirelessly. The playback apparatus 100 and the interactive pen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ans. The interactive pen 200 senses an event generated by the user in using the interactive pen 200, To 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reproduces and reproduces the control signal.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control playback of the content by performing a contro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

인터랙티브 펜(200)의 사용이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을 조작하는 모든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펜(2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인터랙티브 펜(200)을 손으로 쥐거나, 인터랙티브 펜(200)을 손에서 내려 놓거나, 인터랙티브 펜(200)으로 필기를 하거나, 필기를 멈추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펜(200)의 외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종이에 필기하는데 사용하는 펜과 유사한 형태로서 촉(tip,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촉(260)은 전통적인 종이에 필기하기 위한 잉크가 흘러나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촉(260)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종이에 필기하기 위한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디지털 펜에 사용되는 촉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 매체(300)에 필기를 한다. 매체(300)는, 인터랙티브 펜(20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잉크가 흘러나오는 촉(260)을 구비한 인터랙티브 펜(200)을 사용하는 경우, 매체(300)는 보통의 종이이다. 그러나, 인터랙티브 펜(200)이 다른 유형의 펜일 경우는, 그에 해당하는 전자 종이이거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tant)일 수 있다.The use of 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all actions by the user to operate the interactive pen 2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provided on the interactive pen 200, grasps the interactive pen 200 with his or her hand, places the interactive pen 200 on the hand, writes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Lt; / RTI > The outline of 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a tip 260, which is similar to a pen typically used for writing on paper, as shown in FIG. The pointer 260 may be implemented so that ink for writing on a conventional paper flows out.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tip 26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tip used for a digital pen such as an electronic pen or a stylus pen for writing on an electronic paper. The user writes on the medium 300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The medium 300 may hav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teractive pen 200. That is, when using the interactive pen 200 having the ink spout 260, the medium 300 is ordinary paper. However,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is another type of pen, it may be an electronic paper corresponding to the pen, a mobile phone, a smart device, a tablet PC,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capable of touch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시된 촉(260)을 구비한 인터랙티브 펜(200)은, 컨텐트 재생 기능을 가진 재생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10)와 통신부(210)를 통해 재생 장치(100)에 신호나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인터랙티브 펜(200)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장치(100)에 전송되는 이벤트 신호는 재생 장치(100)가 재생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은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부(230)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을 이용해 필기한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240)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interactive pen 200 having a pointer 260 shown in FIG. 1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for communicating with a playback apparatus 100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and a signal And a control unit 22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20 may transmit an event signal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o the interactive pen 200,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event signal transmit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includ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played back by the playback apparatus 100. [ The interactive pen 200 includes an event sensing unit 230 for sensing an event, a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0 for acquiring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using the interactive pen 200, And a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the data.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인터랙티브 펜(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인터랙티브 펜(200)이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interactive pen 200 may be implemented by a larger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 interactive pen 2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통신부(210)는, 재생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칭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alliance) 기기 간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기술로서, AP를 거치지 않고 와이파이를 탑재한 기기들이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100m 범위안에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고 제어하는 기술규격을 말한다. NFC는 전자태그의 하나로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적외선 통신은 전파 대신 빛의 일종인 적외선을 무선통신 매체로 이용하는 통신을 말한다. 통신부(210)는 상기에서 예로 든 통신 모듈 이외의 다른 통신 모듈을 이용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모듈을 이용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US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USB는 PC의 주변 기기를 동일 규격의 케이블로 접속하기 위한 규격이다.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는 통신부(210)를 통해 미리 정의된 형식에 따른 신호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210)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communicating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or infrared communication. A Wi-Fi is a technology that refers to a local area network (WAN)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access within a certain distance using a radio wave or an infrared transmission method in a place where an access point (AP) is installed. Wi-Fi Direct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supports connection between Wi-Fi alliance devices, allowing Wi-Fi enabled devices to directly communicate without going through an AP.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at refers to a technical standard for wirelessly connecting and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radius of 10-100m using 2.45GHz frequency. NFC is an electronic tag, a non-contact ty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frequency band of 13.56MHz, which means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erminals at a distance of 10cm. Infrared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using infrared rays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which is a kind of light instead of radio waves.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using communication modules other than the communication modules described above. Also,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USB module. USB is a standard for connecting peripherals of a PC with the same standard cable.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exchange signals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forma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munication module,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o suppor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으로 필기를 시작하면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고,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는,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pause)하라는 명령을 포함하거나 컨텐트의 정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청중인 컨텐트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원하는 내용을 필기 또는 메모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tarts wri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a writing start event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unit 220 can transmit a writing start event signal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write start event signal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pause the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n the playback apparatus 100, or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is stopped. The user can memorize or memorize desired contents while the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viewed is temporarily stopped.

사용자가 필기를 하다가 중단하면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되고,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는,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이 일시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resume)하라는 명령을 포함하거나 컨텐트 재생의 재개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제 재생이 정지된 부분부터 다시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stops writing while writing, the write end event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unit 220 can transmit the write end event signal to 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write end event signal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resume playback of the paused content in the playback apparatus 100 or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mption of content playback. The user can now view the content again from the point where playback is stopped.

이벤트 감지부(230)는 인터렉티브 펜(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펜(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상술한 쓰기 시작 이벤트와 쓰기 종료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100)와의 통신 방식이 선택 또는 변경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통신 모드 변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원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온 이벤트 또는 오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에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재생 장치(100)와 연결되면 이에 해당하는 연결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이 필기 내용을 메모리(250)에 기록하는 기록 모드(record mode)나 필기 내용을 재생 장치(100)에 전송하는 클론 모드(clone mode)가 선택되거나 양 모드 간의 전환이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모드 선택 이벤트 또는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필기 내용의 기록(record) 또는 복제(clone)를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기록 시작 이벤트, 기록 종료 이벤트, 클론 시작 이벤트 또는 클론 종료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The event detection unit 230 may detect an event occurring in the interactive pen 200. [ The event occurring in 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the write start event and the write end ev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selected or changed,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e conversion event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interactive pen 200 is turned on or off, corresponding on events or off events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is provided with a USB port, a connec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may be generated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is connec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using a USB cabl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record mode in which the interactive pen 200 records the handwriting content in the memory 250 or a clone mode in which the handwriting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e corresponding mode selection event or mode switching event may occur. In addition, when a record or clone of a handwriting content is started or ended, a corresponding recording start event, a recording end event, a clone start event, or a clone end event may occur.

제어부(220)는 이벤트 감지부(230)를 통해 감지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쓰기 시작 이벤트와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앞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 있으며, 각 이벤트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벤트 감지부(230)가 쓰기 시작 이벤트와 쓰기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과 방법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22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detected through the event detection unit 230. The case where the write start event and the write end event occur has been described briefly, and the processing of each even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for the event detection unit 230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write start event and a write end ev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인터랙티브 펜(200)이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저장부(250)에 기록하거나 재생 장치(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실시예의 경우, 인터랙티브 펜(200)은 인터랙티브 펜(200)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기 정보 획득부(240)는 인터랙티브 펜의 촉(210)에 장착된 마이크로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20)는 필기 정보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필기 정보를 저장부(25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필기 정보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필기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200 has the function of recording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250 or transferring the contents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100. The interactive pen 200 has information And a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40 for obtain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 camera mounted on the touch pen 210 of the interactive p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unit 220 may writ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0 to the storage unit 250. [ The control unit 220 may transmi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0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저장부(250)는 필기 정보 획득부(240)를 통해 획득된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때 필기 시간을 나타내는 파일명이나, 그 밖에 필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파일명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나중에 필기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제어부(220)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0. [ At this time, when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s stored, the control unit 220 can use the file name indicating the handwriting time or the file name capable of identify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handwritten information later.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5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to be input / output.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5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data use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ontrol unit 220. [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50 may be implemented as a flash memory type storage medi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생 장치(100)는, 인터랙티브 펜(2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 컨텐트를 재생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재생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100)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playback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an interactive pen 110 for playing back the content,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200,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In addition,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information.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재생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재생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a larger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통신부(110)는 인터랙티브 펜(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예로 든 통신 모듈 이외의 다른 통신 모듈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을 이용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US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or infra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using communication module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s.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USB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munication module, but may suppor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제어부(120)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재생중이던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 장치(120)를 조작하지 않고 인터랙티브 펜(200)을 손에 쥐고 필기를 시작하는 것만으로도 시청중이던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필기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의 수신시 재생을 정지한 위치부터 컨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재생 장치(120)를 따로 조작하지 않고도, 필기를 멈춤과 동시에 시청하던 컨텐트를 다시 감상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riting start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the control unit 120 can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Accordingly, the user can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eing watched and focus on the handwriting by simply holding the interactive pen 200 in his / her hand without starting the playback apparatus 120 and starting the handwrit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stopped content upon receiving a write end event signal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start to reproduce the conten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reproduction is stopped when receiving the writing start event signal. 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the content watched at the same time as stopping the writing without operating the reproducing apparatus 120 separately.

저장부(140)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수신한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필기 정보를 상기 컨텐트와 연관시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기 정보는, 상기 필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상기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재생이 정지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기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상기 컨텐트에 관한 메모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파일명을 가진 파일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트 재생을 정지하는 동안 필기한 내용을 재생 장치(100)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store the received handwritte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40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For example, the handwritte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content,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where reproduction has been stopped, information indicating a recording time, and /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s a file having a file nam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handwritten content in the playback apparatus 100 while stopping the content playback.

또한, 저장부(1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어부(120)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 RAM, SRAM, 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4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data use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ontrol unit 120. [ 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storage medium. However, 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a RAM, SRAM, ROM, EEPROM, PROM ,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의 이벤트 감지부(230)는 인터랙티브 펜(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S4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위치나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으로 필기를 시작할 때나 종료할 때, 쓰기의 시작이나 종료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벤트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벤트는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에 장착된 스위치 또는 버튼을 조작할 때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감지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220)로 전달될 것이다.The event sensing unit 230 of the interactive pen 200 senses an event generat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S4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a switch or a button, and when the user starts writing or ends wri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d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may be implemented to occur when a user operates a switch or a button mounted on the interactive pen 200. [ The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event will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0.

제어부(220)는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S404). 이는 재생 장치(100)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멀리 떨어져 있는 재생 장치(100)가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재생 장치(100)에 다가가 버튼을 조작하거나 재생 장치(100)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찾아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재생 장치(100)는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다가,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컨텐트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거나 재생이 정지된 컨텐트를 다시 재생한다거나 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펜(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유형과 그에 대응하여 재생 장치(100)로 전송되는 이벤트 신호들은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에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even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S404). This is to allow the playback apparatus 100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roach the playback apparatus 100 to operate the button or manipulate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playback apparatus 100 to manipulate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by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at is far away . The playback apparatus 100 has a control function of playing back the content and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emporarily stopp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or reproducing the stopped content ag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performed. The typ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corresponding event signals transmit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reproduction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은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위한 소정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502). 그 결과로서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는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interactive pen 200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ss for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S502). As a result,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be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인터랙티브 펜(200)은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달한다(S504).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는 재생 장치(100)가 재생 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의 재생 정지를 의미하는 미리 정해진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재생 제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teractive pen 200 transmits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when a write start event occurs (S504). The write start event signal may include an instruction that the playback apparatus 100 stops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other predetermined information indicating stop of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reproduction control.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은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위한 소정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602).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는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210, 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통신부(210, 110) 간의 접속이 설정될 것이다.The interactive pen 200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ss for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S602).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include communication units 210 and 110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s 210 and 110 is set.

인터랙티브 펜(200)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S604). 감지된 이벤트가 쓰기 시작 이벤트인지 판단되며(S606),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한 필기를 시작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610).The interactive pen 200 senses an event occurring in the interior (S6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event is a write start event (S606), if a write start event occurs, a write start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to notify that the user has started the handwriting using the interactive pen S610).

감지된 이벤트가 쓰기 시작 이벤트가 아닌 경우(S606), 감지된 이벤트가 쓰기 종료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612),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한 필기를 종료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612).If the detected event is not a write start event (S6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event is a write end event (S612). If a write end event is generated, a write end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ere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handwriting using the interactive pen has been completed (S612).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의 통신이 더이상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에 설정되었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614). If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no longer required, the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be released (S614).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것이 특정 시간 또는 특정의 상태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원이 켜지면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의 사용을 끝내고 전원을 끌 때까지 연결을 유지하다가, 전원이 꺼질 때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인터랙티브 펜(200)이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할 수 있는 스위치나 버튼 등의 입력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서, 이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인터랙티브 펜(200)이 쓰기 시작 이벤트 등 재생 장치(100)에 알리고자 하는 이벤트를 감지한 때에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한 후에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set and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at a specific time or in a specific state. For example, when the power of the interactive pen 200 is turned on, a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established. When the user finishes using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urns off the power, You can disconnect. Alternatively, the interactive pen 20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nput unit such as a switch or a button that can set and release the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To perform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data. Alternatively,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detects an event to be notifi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such as a write start event, i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When a write end event occurs, (100), and then release the connection.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방법은 두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of establishing and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the two devic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 장치(100)가 인터랙티브 펜(200)과의 연결을 설정한다(S702).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S704), 수신된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 식별한다. The playback apparatus 10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S702). Upo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S704), it identifies which signal is the received signal.

수신된 신호가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했음을 알리는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이면(S706), 수신된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S7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트 재생의 일시 정지 대신, 북마크의 생성, 현재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의 저장 등 다른 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수신된 신호가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했음을 알리는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아니라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라면(S708), 수신된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재생이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S712). 이때 재생이 재개되는 위치는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되었던 시점의 재생 위치와 동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f the received signal is a write start ev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riting (S706), the playback of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can be stopp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rite start event signal (S7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pausing the content reproduction, other control functions may be performed such as generation of bookmarks, storage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and the like. If the received signal is a write end event signal rather than a write start ev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riting (S708), the playback of the stopped content can be resum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rite end event signal (S712 ). At this time, the position at which the reproduction is resumed may be realized to be the same as the reproduction position at the time when the reproduction was stopped in response to the writing start event signa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이파이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원이 켜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 인터랙티브 펜(200)은 보통의 펜과 같이 동작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이 켜지면(S802) 인터랙티브 펜(200)은 재생 장치(100)와의 인터랙션과 같은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시작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인터랙티브 펜(200)에서 전원 온(Power on) 이벤트가 발생하면, 아래의 연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f the interactive pen 200 is not turned on, the interactive pen 200 will operate as a normal pen. However,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by operating the power switch of the interactive pen 200 (S802), the interactive pen 200 will start preparing to perform a smart function such as an interaction with the playback device 100 . In other words, when the power on event occurs in the interactive pen 200, the following connec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의 통신 방법이 복수 개인 경우는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모드가 선택될 것이다. 통신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하는 방법이나 디폴트로 설정된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와이파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다(S804).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의 통신 방법이 와이파이 하나인 경우는 와이파이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S804는 필요치 않을 것이다.If there ar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e communication mode to be used will be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ans such as a method by which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or a method of selecting the communication mode set to the defaul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a case where the Wi-Fi mode is selected (S804). If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one Wi-Fi, step S804 of selecting the Wi-Fi mode will not be required.

재생 장치(100)가 와이파이 스캔을 수행하고(S806), 와이파이를 이용해 통신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펜(200)을 선택한다(S808). 선택된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간의 연결이 설정된다(S810).The playback apparatus 100 performs a Wi-Fi scan (S806), and selects an interactive pen 200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a Wi-Fi (S808). A connection between the selected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established (S81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블루투스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원이 켜지면(S902), 인터랙티브 펜(200)은 재생 장치(100)와의 인터랙션과 같은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시작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인터랙티브 펜(200)에서 전원 온(Power on) 이벤트가 발생하면, 아래의 연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interactive pen 200 is turned on (S902), the interactive pen 200 will start preparations for performing a smart function such as an interac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 In other words, when the power on event occurs in the interactive pen 200, the following connec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의 통신 방법이 복수 개인 경우는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모드가 선택될 것이다. 통신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하는 방법이나 디폴트로 설정된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블루투스 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다(S904).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의 통신 방법이 블루투스 하나인 경우는 블루투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S904는 필요치 않을 것이다.If there ar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the communication mode to be used will be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or a method of selecting the default communication mod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case where the Bluetooth mode is selected (S904). If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is one Bluetooth, the step S904 of selecting the Bluetooth mode will not be required.

재생 장치(100)가 블루투스 스캔을 수행하고(S906), 블루투스를 이용해 통신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펜(200)을 선택한다(S908). 재생 장치(100)는, 선택된 인터랙티브 펜(200)과의 패어링(pairing)을 수행함으로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S810).The reproduction apparatus 100 performs a Bluetooth scan (S906), and selects an interactive pen 200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Bluetooth (S908).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establish a connection by performing pairing with the selected interactive pen 200 (S81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과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reproduction in an interactive pen and 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에 따른 방법에 의해 두 장치 간의 연결이 설정된다(S1002). 재생 장치(100)가 컨텐트를 재생한다(S1004). 컨텐트의 재생은 두 장치 간의 연결이 설정되기 전이나 후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있다.A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established by a metho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S1002). The playback apparatus 100 plays back the content (S1004). The playback of the content may be started before or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established.

인터랙티브 펜(200)에서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면(S1006),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08). 재생 장치(100)가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S1010),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S1012). 이때, 재생 장치(100)는 재생이 정지된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a write start event is generat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S1006), a write start even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S1008). When the playback apparatus 100 receives the write start event signal (S1010),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can be stopped (S1012). At this time,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playback position where the playback is stopped.

인터랙티브 펜(200)의 사용자가 필기를 멈추거나 종료하여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S1014), 인터랙티브 펜(200)은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16). 재생 장치(100)가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S1018),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S1020). 단계 S1012에서 저장된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재생의 재개에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interactive pen 200 stops writing or terminates the writing end event (S1014), the interactive pen 200 can transmit a writing end event signal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100 (S1016). When the playback apparatus 100 receives the write end event signal (S1018), the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can be resumed (S1020). The information on the playback position stored in step S1012 can be used for restarting the content playback.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 간에 설정되었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1022). 사용자의 선택이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두 장치 간의 연결을 해제하기 전에 인터랙티브 펜(200)이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쓰기 시작 이벤트의 발생시부터 쓰기 종료 이벤트의 발생시까지,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생 장치(100)에 스트리밍하여 공유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be released (S1022).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the embodiment of the user, the interactive pen 200 may acquire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and transmit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before sha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apparatuses. Alternatively, the user can stream the content written by the user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in real time from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write start event until the occurrence of the write end even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contents written by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인터랙티브 펜(200)에 구비된 저장부(25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기록 모드(record mode)의 선택 및/또는 시작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S1102, S1104). 즉,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기록 모드를 시작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고, 그에 해당하는 기록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하여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기록 모드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시작 버튼은 토글키로 작동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작 버튼을 다시 누르면 기록 모드가 종료될 것이다.In order to store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250 provid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a selection of a record mode and / or an operation of pressing a start button may be required (S1102, S1104). That is, when an instruction to start the recording mode is input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the user, a recording start event is generated, and the corresponding record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However, the recording mode may be automatically started when the user starts handwriting and a write start event is generated, without any user's operation. The start button may be a button operated by a toggle key, in which case the start mode is terminate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again.

사용자가 종이에 쓰기를 시작하면(S1106), 인터랙티브 펜(200)의 필기 정보 획득부(240)는 쓰여진 필기 내용을 획득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하고, 제어부(220)는 입력된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S1108).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이미지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필기한 텍스트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텍스트 파일일 수도 있다. 필기 정보 획득부(240)는 필기 내용을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마이크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필기 정보 획득부(240)는 다른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촉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을 이미지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tarts writing on paper (S1106), the wr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0 of the interactive pen 200 acquires the written writing contents and outputs the written writing contents to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rol unit 220 stores the inputted information Unit 250 (S1108).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may be an image file obtained by converting a user's handwriting content into an imag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formation may be a text file converted into text by recognizing text written by the use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40 may include a micro camera for capturing the handwriting content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However, the handwritte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40 may be implemented by other methods.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en point and to generate the sensed movement as an image file or a text file.

사용자가 쓰기를 종료하고(S1110), 시작 버튼을 다시 눌러 종료를 지시하거나 별도의 종료 버튼을 누르면(S1112), 기록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기록 모드가 종료될 것이다.When the user finishes the writing (S1110) and the start button is pressed again to instruct the end or the separate end button is pressed (S1112), a recording end event will be generated and the recording mode will be ended accordingly.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written by an interactive pen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이 실시간으로 재생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먼저, 재생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해 연결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S12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장치(100)는 인터랙티브 펜(200)으로부터 스트리밍되는 필기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클론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이 설정되면 클론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필기 정보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100 in real tim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playback apparatus 100 (S1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lone application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handwritten information streamed from the interactive pen 200.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the like.

재생 장치(100)로의 실시간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 클론 모드(clone mode)의 선택 및/또는 시작 버튼의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S1204, S1206). 즉,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클론 모드를 시작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클론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고, 그에 해당하는 클론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하여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클론 모드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시작 버튼은 토글키로 작동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작 버튼을 다시 누르면 클론 모드가 종료될 것이다.In order to perform real-time transmission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selection of a clone mode and / or selection of a start button may be required (S1204, S1206). That is, when a command to start the clone mode is input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the user, a clone start event is generated and the corresponding clone function is performed. However, the clone mode may be automatically started when the user starts handwriting and a write start event is generated, without any user's operation. The start button may be a toggle key, in which case the start button may be pressed again to end the clone mode.

사용자가 종이에 쓰기를 시작하면(S1208), 인터랙티브 펜(200)의 필기 정보 획득부(240)는 쓰여진 필기 내용을 획득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하고, 제어부(220)는 입력된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획득된 필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S1210). 재생 장치(100)의 클론 어플리케이션이 스트리밍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클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생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 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하거나, 스트리밍되는 이미지 파일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클론 어플리케이션이 스트리밍되는 이미지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tarts writing on paper (S1208), the writing information acquiring unit 240 of the interactive pen 200 acquires the written writing contents and outputs the written writing contents to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via the playback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can stream the acquired handwritten information in real time (S1210). The clone application of the playback apparatus 100 can process the information to be streamed. The clone application may display the handwriting content of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playback apparatus 100 or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layback apparatus 100 or recognize the text in the streamed image file,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clone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ability to edit the streamed image file.

사용자가 쓰기를 종료하고(S1212), 시작 버튼을 다시 눌러 종료를 지시하거나 별도의 종료 버튼을 누르면(S1214), 클론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고 클론 모드가 종료될 것이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과 재생 장치(100)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1216).When the user finishes the writing (S1212), the start button is pressed again to instruct the end or the separate end button is pressed (S1214), the clone end event is generated and the clone mode is ended. Al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layback apparatus 100 may be released (S1216).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A and 1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펜(200)의 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1320, 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스위치(1320)는 인터랙티브 팬(20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인터랙티브 펜(200)은 소정의 전력공급원(power suppply) 및/또는 충전식 밧데리(rechargeable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 스위치(1330)는 인터랙티브 펜(200)이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경우 통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스위치(1330)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1 입력 스위치(1320)를 이용해 전원이 켜지면 제2 입력 스위치(1330)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재생 장치(100)와의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13A shows a front view of an interactive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switch 1320 and 1330. [ The first input switch 1320 is a switch that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interactive fan 200. 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and / or a rechargeable battery. The second input switch 1330 i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support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second input switch 1330 may be a switch that can select either Wi-Fi or Bluetooth. When the power is turned on by using the first input switch 1320, a proce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selected by the second input switch 1330 is perform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reproducing apparatus 100 can be established.

인터랙티브 펜(200)은 필기를 위한 촉(1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촉(1310)은 보통의 종이에 쓸 수 있는 잉크가 흘러나오도록 구성된 심에 연결된 촉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생 장치(100) 이외의 다른 입력 장치에 입력 가능한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 디지털 펜의 촉일 수도 있다. 디지털 펜 촉은 터치 입력을 위한 정전식 도전 재료(capacitive conductive material)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전식 도전 재료의 예로는 스펀지(sponge)를 들 수 있다.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a stylus 1310 for writing. The needle 1310 can be a needle coupled to a shim configured to draw ink that can be used on ordinary pap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touch of a digital pen such as an electronic pen or a stylus pen that can be input to another input device other than the playback apparatus 100. [ The digital pen point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conductive material for touch input, and an example of an electroconductive material may be a spon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랙티브 펜(200)은 잉크로 쓰기 위한 제1 촉(1310)과 함께 디지털 펜의 제2 촉(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촉(1310)을 통해 종이에 필기를 시작하거나, 제2 촉(1340)을 이용해 디지털 기기에 필기를 시작하면,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촉(1310)은 인터랙티브 펜(200)의 한쪽 끝에 제2 촉(1340)은 인터랙티브 펜(200)의 다른 쪽 끝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랙티브 펜(200)이 제3의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의 입력 스위치를 조작하면 하부에 제1 촉(1310)과 제2 촉(1340) 중 하나가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pen 200 may include a second tip 1340 of the digital pen with a first tip 1310 for writing into ink. In this case, a write start event may occur when the user starts writing on the paper via the first touch 1310 or starts writing on the digital device using the second touch 1340. [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pointer 131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second pointer 134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active pen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includes a third input switch and the third input switch is operated, the first pointer 1310 and the second pointer 1340 One may be implemented to protrude.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펜(200)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록/클론 모드 스위치(1370), 시작/종료 버튼(1350), USB 단자(13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클론 모드 스위치(1370)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인터랙티브 펜(200) 내의 저장부(250)에 기록하는 기능과 외부 장치인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 간의 모든 전환을 위한 것이다. 시작/종료 버튼(1350)은 기록/클론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 위한 버튼이다. USB 단자(1360)를 사용해 인터랙티브 펜(200)은 재생 장치(100) 뿐만 아니라 다른 컴퓨팅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펜(200)에 기록된 필기 정보를 다른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랙티브 펜(200)이 충전식 밧데리를 구비하는 경우 USB 단자(1360)를 이용해 충전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13B illustrates the rear side of the interactive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recording / clone mode switch 1370, a start / end button 1350, and a USB terminal 1360 . The recording / cloning mode switch 1370 is for switching between the function of recording the user's handwriting content in the storage unit 250 of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as an external device. The start / end button 1350 is a button for starting or end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record / clone mode switch. The interactive pen 200 can be connected to other computing devices as well as the playback device 100 using the USB terminal 1360 and the writte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teractive pen 200 can be used in other devices. In addition, when the interactive pen 20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the interactive pen 200 can be charged using the USB terminal 1360 to receive the necessary power.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터랙티브 펜에서 쓰기 시작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4A, 14B, 14C, and 14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start of writing in an interactiv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및 도 14b는 이벤트 감지부(230)가 압력 감지부(1420 또는 1430)를 이용해 구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4A and 14B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event sensing unit 230 is implemented using the pressure sensing unit 1420 or 1430. FIG.

도 14a를 참조하면, 이벤트 감지부(230)는 쓰기 시작 이벤트 및/또는 쓰기 종료 이벤트의 발생 감지를 위해 인터랙티브 펜(200)의 촉(14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142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20)는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142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제어부(220)는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14A, the event sensing unit 230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1420 for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oint 1400 of the interactive pen 200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 write start event and / ). When the pressure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420,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at a write start event has occurred. Also,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420 is removed, the controller 220 determines that a write termination event has occurred.

압력 감지부(1420)는 인터랙티브 펜(200)의 촉(1400)에 연결되는 심(refill, 14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프링과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으로 필기를 시작하면, 압력 센서에 의해 촉(1400) 및/또는 심(14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펜(200)을 매체(300)에서 소정 시간 이상 떨어 뜨리면,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을 것이고, 제어부(220)는 이를 압력의 제거로 인식하고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part 1420 may be mounted on the refill 1410 connected to the touch point 1400 of the interactive pen 200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ring and a pressure sensor. When the user begins wri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20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usp 1400 and / or the pier 1410 by the pressure sensor will be sensed. In addition, if the user drops the interactive pen 200 from the medium 3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will not be sen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nd event has occurred.

그러나, 압력 감지부(1420)는 인터랙티브 펜(200)의 상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도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펜(200)의 촉(1400) 내부 또는 외부에 압력 센서가 장착되어 인터랙티브 펜(200)의 촉(140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1420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active pen 200. [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touch point 1400 of the interactive pen 200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oint 1400 of the interactive pen 200.

도 14b를 참조하면, 이벤트 감지부(230)는 쓰기 시작 이벤트 및/또는 쓰기 종료 이벤트의 발생 감지를 위해 인터랙티브 펜(200)의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펜(200)을 손으로 쥐면 인터랙티브 펜(200)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압력 감지부(1430)는 감지되는 압력을 제어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1430)는 인터랙티브 펜(200)의 측면 외장과 심(141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프링과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기를 끝내고 인터랙티브 펜(200)을 손에서 내려 놓으면 인터랙티브 펜(200)의 측면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며, 제어부(220)는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4B, the event sensing unit 230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1430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a side surface of the interactive pen 200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 writing start event and / or a writing ending event can do. When the user holds the interactive pen 200 by hand to start writing,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pressure sensing part 1430 can transmit the sensed pressure to the control part 220. 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that a write start event has occurred. The pressure sensing part 1430 may be mount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active pen 200 and the shim 1410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ring and a pressure sensor. When the user finishes the handwriting and releases the interactive pen 200 from the h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ide of the interactive pen 200 is removed, and the controller 220 can determine that the write end event has occurred.

도 14c는 이벤트 감지부(230)가 사용자 입력부(1440)를 이용해 구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440)는 쓰기 시작 또는 쓰기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한번 누를 때마다 쓰기 시작과 쓰기 종료 간의 전환이 수행되는 토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하거나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쓰기 시작이 선택되면, 즉 사용자 입력부(1440)를 통해 쓰기 시작에 해당하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20)는 쓰기 시작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식하고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쓰기 종료가 선택되면, 즉 사용자 입력부(1440)를 통해 쓰기 종료에 해당하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20)는 쓰기 종료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식하고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FIG. 14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vent detection unit 230 is implemented using the user input unit 1440. FIG. The user input unit 1440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 capable of selecting either write start or write en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oggle switch in which switching between write start and write end is performed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key. Any means of inputting the user's choice can be used when the user wishes to start or end the handwriting. If the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start of writing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440, the controller 220 recognizes that the write start event has occurred and transmits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If the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write completio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440, the control unit 22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the write end event and outputs the write end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100).

도 14d는, 인터랙티브 펜(200)이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디지털 펜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감지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벤트 감지부(230)는 촉(1400)의 끝 부분이 전자 종이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매체에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145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감지부(1450)를 통해 터치가 감지되기 시작하면 제어부(220)는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터치 감지부(1450)에 의해 소정 시간 이상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필기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14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vent sensing unit 230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teractive pen 200 is implemented as a digital pen such as an electronic pen or a stylus pen. The event sensing unit 2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touch sensing unit 1450 that senses touching of an end of the touch point 1400 to a medium such as an electronic paper or a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220 can recognize that a write start event has occurred. If the touch sensing unit 1450 does not detect a touch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finished the handwriting and recognizes that the writing end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재생 장치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200: 인터랙티브 펜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이벤트 감지부
240: 필기 정보 획득부
250: 저장부
260: 촉(tip)
300: 매체(media)
1310: 제1 촉
1320: 전원 스위치
1330: 통신 모드 스위치
1340: 제2 촉
1350: 시작/종료 스위치
1360: USB 단자
1370: 기록/클론 모드 스위치
1400: 촉
1410: 심(refill)
1420: 압력 감지부
1430: 압력 감지부
1440: 쓰기 시작 버튼
1450: 터치 감지부
100: playback device
110:
120:
130:
140:
200: Interactive pen
210:
220:
230: Event detection unit
240: handwriting information acquiring unit
250:
260: tip
300: media
1310:
1320: Power switch
1330: Communication mode switch
1340:
1350: Start / End switch
1360: USB terminal
1370: Record / Clone mode switch
1400:
1410: refill
1420: Pressure sensing part
1430: Pressure sensing unit
1440: Start writing button
1450: Touch sensing unit

Claims (28)

컨텐트 재생 기능을 가진 재생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 write start event occ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riting start event signal includes an instruction to stop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n the playback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write end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 write end event occu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이 정지되어 있는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riting end event signal includes an instruction to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ose playback is stopped in the playback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ing part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a tip of the interactive pen,
And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the writing start event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Wherein when the first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write start event is gener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ing part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a tip of the interactive pen,
Wherein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removed, the write end event is generated.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Wherein when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write end event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btained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ords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기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writ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reproducing apparatus via the communication unit.
인터랙티브 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컨텐트를 재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재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active pen;
A controller for reproducing the content and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produced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en a write start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이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resumes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ose reproduction has been stopped when the writing completion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associates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the content when the information written by the interactive pe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인터랙티브 펜을 이용해 컨텐트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을 상기 재생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서 쓰기 시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ing an interactive pen,
Connecting the interactive pen to the playback device;
And transmitting a write start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device when a write start event occurs in the interactive pe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write start event signal includes an instruction to stop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n the playback apparatu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서 쓰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write end event signal to the playback apparatus when a write end event occurs in the interactive pe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는,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이 정지되어 있는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write end event signal includes an instruction to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ose playback is stopped in the playback apparatu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the write start event when a pressure applied to a tip of the interactive pen is sens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시작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the write start event when a first input is received through a user input of the interactive pe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촉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the write end event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touch of the interactive pen is remov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쓰기 종료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the write end event when a second input is received through a user input of the interactive pe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펜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cquir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And storing the obtained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of the interactive pe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cquiring information used by the interactive pen;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playback apparatus.
재생 장치에서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펜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제어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시작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in a playback apparatus,
Connecting with an interactive pen;
And controlling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o be played back in the playback apparatus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Wherein the playback control step stops playback of the content when a write start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쓰기 종료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이 정지된 컨텐트의 재생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suming the playback of the stopped content when a write end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펜으로부터 상기 인터랙티브 펜에 의해 쓰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when the information written by the interactive pen is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pen,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제14항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of claim 14 is recorded. 제24항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9.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of claim 24 is recorded.

KR20130096881A 2013-08-14 2013-08-14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bandoned KR201500197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881A KR20150019713A (en) 2013-08-14 2013-08-14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881A KR20150019713A (en) 2013-08-14 2013-08-14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13A true KR20150019713A (en) 2015-02-25

Family

ID=5257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881A Abandoned KR20150019713A (en) 2013-08-14 2013-08-14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71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552A (en)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handwrit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CN113672120A (en) * 2021-08-09 2021-11-19 深圳腾千里科技有限公司 Handwriting board,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system based on handwriting board and storage medium
KR20230043667A (en) * 2021-09-24 2023-03-31 (주)컴버스테크 Touch pen Used on Interactive White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552A (en)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handwrit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CN113672120A (en) * 2021-08-09 2021-11-19 深圳腾千里科技有限公司 Handwriting board,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system based on handwriting board and storage medium
KR20230043667A (en) * 2021-09-24 2023-03-31 (주)컴버스테크 Touch pen Used on Interactive White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2086B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3434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50373393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12507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175112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793739A (en) 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40079012A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ace recognition with additional component
US20100130132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8013374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602386B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138104A (en) Video playback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CN103914148A (en) Functio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4503690A (en) Arrangement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icons
KR2017009908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2058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s
KR102186815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clipping of contents
KR102479487B1 (en) display device
KR20150019713A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pen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US20130010133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130044618A (en) Media card, media apparatus, content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130066A (en) 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21800B1 (en) The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animated massege by drawing input
KR20220103747A (en) display device
KR102524901B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8600823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