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368A -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9368A KR20150019368A KR20130096132A KR20130096132A KR20150019368A KR 20150019368 A KR20150019368 A KR 20150019368A KR 20130096132 A KR20130096132 A KR 20130096132A KR 20130096132 A KR20130096132 A KR 20130096132A KR 20150019368 A KR20150019368 A KR 20150019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 user
- mobile device
- shortcut icon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맞춤 기능을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to a user of a mobi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user's usage pattern for the mobile device; determining a function to recommend to the user based on the analyzed usage pattern And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performing the determined function on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맞춤 기능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and a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to a user of the mobile device.
최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이 급속도로 확산된 바 있다. 그와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바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발달에 따라 보다 적은 입력으로 원하는 프로그램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Recently,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spread rapidly. At the same time, the programs used in mobile devices are rapidly increasing. Also, with this developmen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 method for allowing a desired program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with less input.
이와 관련하여 예측된 사항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 전송, 전화 걸기, 이메일 전송 등의 기능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경우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You can think of ways to do this automatically.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serious error may occur when the functions such as message transmission, dialing, and e-mail transmission are perform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과거 모바일 사용 히스토리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맞춤 기능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for analyzing a user's past mobile usage history and recognizing the current status of a user and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to a mobile device user.
높은 실행 빈도수를 가지는 기능을 추천하여 사용자가 쉽게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리마인드 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recommending the function having a high execution frequen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a role of reminding the user to perform the func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function of a mobi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Determining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to a user based on the analyzed usage pattern; And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performing the determined function on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상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analyzing the usage pattern comprises: collecting history of the user using the mobile device;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and confirming the use frequency of each function in the time zone.
상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장소 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alyzing the usage pattern may include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and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each function is used for each location.
상기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을 상기 추천할 기능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unction to be recommended determines the function that is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lace in the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s the function to be recommended.
상기 결정된 추천할 기능이 상기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상기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정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recommendable function is a function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lace in a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nd cancel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is not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프로그램 및 상기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mmendable function concurrently determines a recommended program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nd a recommenda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with the recommended program.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ncel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ed shortcut icon changes in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될 때까지 상기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stroy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wherein the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displayed shortcut icon disappears.
본 발명의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 및 그 실시 예의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또 다시 사용자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동작까지 한꺼번에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변하거나 소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대 및 장소 별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 내역을 수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의 시간과 장소에 대응되도록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소들을 고려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석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thereof will be best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obile device and an executed application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2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in which a user typically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at a mobile device and again allows a user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that a user intends to perform by a user through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shortcut ic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b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at a specific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a mobile device to analyze a usage pattern of a user and perform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performing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by analyz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llecting a user's mobile device usage history by time zone and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o correspond to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idering elements required for grasping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a shortcut icon changes according to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실시예의 일반적 원리를 설명하며, 여기에 청구된 본 발명의 개념을 한정하지 않는다. 게다가 여기에 기재된 특정의 특징들은 여러 가지 가능한 조합과 치환에서 다른 기재된 특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여기에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모든 용어는 종래 기술 또는 사전, 논문에서 정의된 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의미뿐만 아니라 명세서로부터 암시된 의미를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가능한 해석이 부여될 수 있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illustrates the general principl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and does not limit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herein. In addition, the specific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escribed features in various possible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On the contrar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are to be accorded the widest possible interpretation, including meanings understood by ordinary artisans as defined in the prior art or in the literature, hav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erms.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unnecessary redundant explanations an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유저 단말, 다른 유저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network ", and "network" The three terms may mean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and wide are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etween a user terminal, a terminal of another user, and a download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a media play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may include any device that provides a display scree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장치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참여하는 어떤 매체로 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in may be viewed as any medium that participates in providing data that allows a device to perform a particular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디바이스(1200)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기기에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과 소정 거리 이내로 어떠한 물체(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나 자신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터치시키는 경우, 터치 입력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두 개 이상의 터치 입력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ouch input may be an input made to the device by the user touching the screen of the device 1200. [ Specifically, when a user touches an object (e.g., a stylus pen) or his / her body (e.g., a fing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uch scre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is collected by the mobile device . The mobile device can simultaneously receive two or more touch inputs. Accordingly, another touch input can be received in a state where one touch input is received and held. Also, the touch input may be a continuous movement of at least one or more touch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have.
도 1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우선 수행하고, 실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다시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동작하였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 중에 음악을 듣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우선 실행되고, 실행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특정한 노래를 재생하면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들을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특정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두 번에 걸친 입력이 요구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음악 재생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두 번째로 특정 노래를 선택해야 한다.However, when the
통화를 하는 경우도 이와 유사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우선 통화를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하고, 그리고 나서 누구에게 전화를 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번에 걸친 입력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행할 수 있다.A similar method can be used when making a call. The user must first run an application or program to make a call, and then choose who to call.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wice, the
그러나 이와 같은 두 번에 걸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사용자입장에서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는 과거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어떤 패턴으로 사용하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However, receiving such two inputs can be cumbersome for the user. In addition, a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how the user used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거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어떤 패턴으로 사용하였는지를 분석하여, 현재의 시간 및 장소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기능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가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도 2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또 다시 사용자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in which a user typically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in the
단계 S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음악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단계 S2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특정 노래를 재생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단계 S2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230 may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동작까지 한꺼번에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that a user intends to perform by a user through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는 다르게 한번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동작까지 한번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1 and 2, the
단계 S310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있을 때 특정한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In step S310, the
단계 S320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실행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바로가기 아이콘이 특정 노래를 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면,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실행시킬 수 있다.In step S320, the
단계 S33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바로가기 아이콘이 특정 노래를 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면,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에서 해당 노래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shortcut icon that the user wants to execute in the application executed in step S330 can be performed. If the shortcut icon selected by the user is a function of playing a specific so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shortcut ic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b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at a specific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특정인에게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 통화를 위한 기능을 실행시키고, 통화 목록에서 원하는 특정인을 선택하여 전화를 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로가기를 실행시킬 경우 특정인에게 전화하는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아내에게 전화하는 기능을 한번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 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행할 수 있다. Generally, in order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person, a function for making a telephone call can be executed, and a call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a desired person from a call list. However, when executing the shortcu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perform a function of calling a specific pers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 the
또한, 이와 같은 바로가기 아이콘은 특정한 시간대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12시부터 1시 사이의 점심시간에 일반적으로 아내에게 전화를 거는 빈도가 높다면, 이와 같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12시부터 1시 사이에만 아내에게 전화를 거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lso, such a shortcut icon can be displayed only in a specific time zone. If you frequently call your wife during lunch time between 12:00 and 1:00, you can identify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and make a call to your wife only between 12:00 and 1:00. A top ic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the
단계 S5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어떤 시간대에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지 히스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어떤 장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지 히스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In step S510, the
단계 S5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510에서 분석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빈도수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520, the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특정 프로그램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unc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may be to cause a specific application or a specific program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단계 S5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단계 S520에서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과거에 사용된 빈도수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In step S530,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변하거나 소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performing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by analyz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disappear.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5에서 도시된 시계열 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에서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 표시 방법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 표시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6은 도 5와 비교할 때, 단계 S640 및 단계 S650이 부가된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of the
단계 S6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6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도록 할 수 있다. In step S640, the
예를 들면, 단계 S6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처음 표시될 때에는 흐릿한 형태로 표시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더 짙어지고, 다시 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흐려지는 형태로 변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시점에 가장 진하고, 그 시간을 전후로 하여 투명도가 높아지는 형태로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ortcut icon displayed in step S630 may be displayed in a fuzzy form when initially displayed, then gradually become thicker with time, and again become more blurred with time. That is, the shortcut icon may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the darkes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the transparency increases around the point of time.
또는 단계 S6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처음에 표시될 때에는 짙게 표시되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투명도가 높아지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흐른 후에는 소멸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ortcut icon displayed in step S630 is displayed dark when initially displayed, but gradually increases in transparency over time and disappear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즉 단계 S630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된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hortcut icon is displayed in step S630, the transparency of the shortcut icon can be chang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단계 S6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6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S650, the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벗어나거나 특정 장소에 진입하면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되고 일정한 비율로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증가하다가 투명도가 100%가 되어 완전히 투명해지는 시점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ortcut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대 및 장소 별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용 내역을 수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llecting a user's usage history of a
단계 S7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내역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실행시킨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실행시킨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으로 실행시킨 특정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내역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 내역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위치 및 시간,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동작을 실행한 경우 위치 및 시간 등이 모두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용 내역일 수 있다.In step S710, the
단계 S7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20, the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단위로 시간대를 설정하여 특정 시간대에 수행된 기능의 횟수를 확인하여 시간대별 실행 기능의 빈도수를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단계 S7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30, the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범위로 장소의 범위를 설정하여 특정 장소에서 수행된 기능의 횟수를 확인하여 장소 별 실행 기능의 빈도수를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의 시간과 장소에 대응되도록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Figure 8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o correspond to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8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을 추천할 기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현재의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의 시간대와 현재의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실행한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시간과 현재 장소에서 높은 실행 빈도수를 가지는 기능을 추천하여 사용자가 쉽게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리마인드 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step S810, the
또한, 단계 S8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프로그램 및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특정 프로그램과, 특정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함께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810에서 결정된 추천 프로그램과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Also, in step S810, the
단계 S8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단계 S810에서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결정된 기능도 그 중요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사용된 기능의 횟수의 정도에 따라서 그 중요도를 다르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판단된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의 중요도에 따라서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표시되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의 중요도에 따라서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표시되는 투명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의 중요도에 따라서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표시될 때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In step S820, the
단계 S8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추천할 기능이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일단 단계 S820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조건이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장소 및 특정 시간에 사용 빈도수가 높은 바로가기 아이콘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벗어나거나, 특정 시간대가 경과한 이후라면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멸시키는 과정은 단계 840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step S830, the
단계 S8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830에서의 판단 결과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벗어나거나, 특정 시간대가 경과한 이후라면, 더 이상 단계 S810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이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은 소멸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40 that the function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30, the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간과 현재의 장소를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용자에게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심시간에 아내에게 전화하는 빈도가 높은 경우 점심시간에 아내에게 전화를 바로 걸 수 있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심시간이 경과한 경우 아내에게 전화하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 또는 오전 시간에 일정을 확인하는 빈도수가 많은 경우 아침 시간에 일정을 확인하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무실에 들어가면 와이파이를 끄고, 집에 들어와서는 와이파이를 켜는 빈도가 높은 경우 시간과 상관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만으로 집에 들어왔을 때에는 와이파이를 켜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회사에 들어간 경우에는 와이파이를 끄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The shortcut icon providing the recommendation function to the user of the
각각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서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 후 소멸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If each shortcut icon does not depend on the time loc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shortcut icon, the shortcut icon can be preset so as not to disappear after being cre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소들을 고려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 사용자의 일정 데이터,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사용자가 메모를 쓰는 등의 필기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idering elements required for grasping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can be graspe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sensed by the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장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sensed by th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일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일정 데이터를 통해 특정인의 이름이 획득될 경우 해당 특정인의 이름이 해당 일정과 연관된 시간대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획득할 수 있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통화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음성 정보를 통해 특정 음악을 사용자가 선호한다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와 상관 없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경우 소멸하지 않고 계속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획득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메모한 사항에 대해서 사용자가 특정한 책을 선호한다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책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해당 책을 구매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획득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일 예로 채팅 내역이 있을 수 있다.Als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ransparency of a shortcut icon changes according to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상에 아내에게 전화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바로가기 아이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투명도가 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투명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시간대에 가장 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투명도가 변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주기를 가지고 투명도의 변화가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hortcut icon for calling the wife on the screen of the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이다. 바로가기 아이콘의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로가기 아이콘의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상술한 바로가기 아이콘의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실시 예의 구현이 가능하다.11 and 12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for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shortcut icon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shortcut icon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ll the embodiments for performing the shortcut icon display method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표시 장치는 사용패턴 분석부(1110), 결정부(1120), 표시부(1130), 판단부(1140), 소멸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11, the shortcut ic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usage
사용패턴 분석부(1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The usage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어떤 시간대에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지 히스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어떤 장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지 히스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analyze a history of using the various programs provided in the
결정부(1120)는 사용패턴 분석부(1110)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1120)는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을 추천할 기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또한 결정부(1120)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프로그램 및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특정 프로그램과, 특정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함께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결정부(1120)에서 결정된 추천 프로그램과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표시부(1130)는 결정부(1120)에서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30)는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멸부(1150)가 표시부(11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때까지 표시부(1130)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투명도를 점차 증가시킬 수 있다.The
판단부(1140)는 결정부(1120)에서 결정된 기능이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소멸부(1150)는 표시부(1130)에서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The
도면에 나타나있지 않으나, 판단 소멸부는 소멸부(1150)의 한 종류일 수 있다. 판단 소멸부는 판단부(1140)의 판단 결과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표시부(1130)에서 표시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decision canceling unit may be one kind of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패턴 분석부(111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표시 장치는 사용패턴 분석부(1110)는 수집부(1210), 시간대 확인부(1220), 장소 확인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12, the usage
수집부(121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The
시간대 확인부(1220)는 수집부(1210)에서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The time
장소 확인부(1230)는 수집부(1210)에서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customized function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execute the user-customized func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the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de may include a function code related to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n execution procedure 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code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 as to what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eded to cause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should be referenced at any location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rocessor of a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etc.,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de may be stored in a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e.g., a wired and / ) May be used to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related codes such as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should be transmitted or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The functiona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code and code segment may be implement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computer that reads the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the program, Or may be easily modified or modified by the user.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medi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system 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an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at least on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nd transmit the result The receiving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user-customized function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user-customized function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for reading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user-customized function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for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function of a mobile device,
Analyzing a usage pattern of the user for the mobile device;
Determining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to a user based on the analyzed usage pattern; And
And displaying a shortcut ic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o perform the determined function.
상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alyzing the usage pattern comprises:
Collecting history of the user using the mobile device; And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to check the number of times each function is used for each time slot.
상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장소 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Analyzing the usage pattern comprises: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and confirming the use frequency of each function in each place.
상기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 및 사용자의 장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 및 장소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을 상기 추천할 기능으로 결정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mmendable function comprises:
Determining a current time and a location of a user, and determining a function to be us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t the confirmed time and place.
상기 결정된 추천할 기능이 상기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상기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정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recommendable function is a function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lace in a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n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is not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cancel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상기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프로그램 및 상기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결정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mmendable function comprises:
And a recommendation program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nd a recommenda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recommended program.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nihilat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ed shortcut icon changes the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될 때까지 상기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nihilat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Wherein the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displayed shortcut icon disappears.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패턴 분석부;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A device for recommending a customized function of a mobile device,
A usage pattern analyzer for analyz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for a mobile device;
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function to be recommended to a user based on the analyzed usage pattern;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hortcut icon for performing the determined function on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상기 사용패턴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내역을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시간대 확인부를 포함하는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age pattern analyzing unit compris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etails of the use of the mobile device by the user; And
And a time period checking unit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and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each function is used for each time period.
상기 사용패턴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내역을 분석하여 장소 별로 각 기능의 사용 횟수를 확인하는 장소확인부를 포함하는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sage pattern analyzing unit comprises:
And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etails and confirming the use frequency of each function by location.
상기 결정부는,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을 상기 추천할 기능으로 결정하는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d determines the function to be used as a function to be u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t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lace in a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상기 결정된 추천할 기능이 상기 현재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상기 현재의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정횟수 이상 사용된 기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판단소멸부를 포함하는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recommendable function is a function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lace in a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nd a decision canceling unit for cancel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is not used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추천할 기능을 결정하는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프로그램 및 상기 추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추천 동작을 함께 결정하는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function to be recommended,
And a recommended program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nd a recommended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recommended program.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소멸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annihilation unit for annihilat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는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ed shortcut icon changes the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소멸시키는 소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소멸될 때까지 상기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n annihilator for annihilating the displayed shortcut icon,
Wherein the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displayed shortcut icon disappear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132A KR102186455B1 (en) | 2013-08-13 | 2013-08-13 |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132A KR102186455B1 (en) | 2013-08-13 | 2013-08-13 |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368A true KR20150019368A (en) | 2015-02-25 |
KR102186455B1 KR102186455B1 (en) | 2020-12-03 |
Family
ID=5257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6132A Active KR102186455B1 (en) | 2013-08-13 | 2013-08-13 |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645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25548A1 (en) * | 2019-12-16 | 2021-06-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customized manual |
CN113590924A (en) * | 2020-04-30 | 2021-11-02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smart scree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WO2022071733A1 (en) * | 2020-09-30 | 2022-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3085723A1 (en) * | 2021-11-12 | 2023-05-19 | 삼성전자(주)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9611A (en) * | 2008-09-08 | 2010-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thereof |
JP2010092116A (en) * | 2008-10-03 | 2010-04-22 | Toshiba Corp | Content visualization device and content visualization method |
KR101233955B1 (en) * | 2012-05-17 | 2013-02-15 | 권오형 |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
JP2013045370A (en) * | 2011-08-25 | 2013-03-04 | Kyocera Corp | Device, method, and program |
JP5169840B2 (en) * | 2007-02-06 | 2013-03-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bile phone, mobile phone customization method, and mobile phone customization program |
-
2013
- 2013-08-13 KR KR1020130096132A patent/KR1021864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69840B2 (en) * | 2007-02-06 | 2013-03-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bile phone, mobile phone customization method, and mobile phone customization program |
KR20100029611A (en) * | 2008-09-08 | 2010-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thereof |
JP2010092116A (en) * | 2008-10-03 | 2010-04-22 | Toshiba Corp | Content visualization device and content visualization method |
JP2013045370A (en) * | 2011-08-25 | 2013-03-04 | Kyocera Corp | Device, method, and program |
KR101233955B1 (en) * | 2012-05-17 | 2013-02-15 | 권오형 |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25548A1 (en) * | 2019-12-16 | 2021-06-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customized manual |
US11748126B2 (en) | 2019-12-16 | 2023-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customized manual |
CN113590924A (en) * | 2020-04-30 | 2021-11-02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smart scree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WO2022071733A1 (en) * | 2020-09-30 | 2022-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3085723A1 (en) * | 2021-11-12 | 2023-05-19 | 삼성전자(주)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6455B1 (en) | 202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7726B2 (en) |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access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 |
AU2015214697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8723808B2 (en) |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rotary dial display | |
EP2426943B1 (en) | Method for providing a search service on a display apparatus | |
KR101640460B1 (en) | Operation Method of Split Window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8477112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menu and item | |
JP5956725B2 (en) |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xt-aware help content | |
US7596761B2 (en) | Application user interface with navigation bar showing current and prior application contexts | |
KR102150514B1 (en) |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5034697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 |
US20130326415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036049B1 (en) | Icon Displaying Method according to service usage capabilit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140144104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 |
KR20120092487A (en) |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mobile terminal | |
AU2009255409A1 (en) |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 |
KR20150123748A (en)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k screen | |
CN110865734B (en) | Target object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US20140040735A1 (en) | Method for providing voice guidance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140206324A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rejection function | |
CN118519553A (en) | Appl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 |
KR20150019368A (en) | A method of recommending adjusted function to user and a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
WO2013047182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1302189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 |
CN107491431A (en) | List method to set up and device | |
CN106959834A (en) | Split screen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