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7963A -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 Google Patents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963A
KR20150017963A KR1020130094254A KR20130094254A KR20150017963A KR 20150017963 A KR20150017963 A KR 20150017963A KR 1020130094254 A KR1020130094254 A KR 1020130094254A KR 20130094254 A KR20130094254 A KR 20130094254A KR 20150017963 A KR20150017963 A KR 2015001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impregnating
cushion
extract
cosmetic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우
김헌
Original Assignee
라미화장품제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미화장품제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미화장품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963A/en
Publication of KR2015001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96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화장료에 사용되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화장시의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방법은, 에어쿠션 화장품의 화장료를 함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반구 형태의 상부쿠션과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하는 하부쿠션으로 구성되어 이들이 상호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단면이 반달형태를 갖는 화장료 함침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하부쿠션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상기 상부쿠션과 하부쿠션을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로 화장료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화장품의 제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에 사용되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화장시의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함침부재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isclosed is a method for impregnating a cosmetic of an air-cushion cosmetic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in a cosmetic material and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moisturizing effect at the time of make-up.
The impregn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mpregnating a cosmetic material of an air cushio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the steps of: a) a semi-spherical upper cushion and a lower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shape, Providing a cosmetic-containing impregnated member having a top surface; b) impregnat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with the lower cushion and extracting the extract from the extract; c) joining the upper cushion and the lower cushion to each other around an edge using a press thermal bonding mold; and d) injecting the cosmetic material into the cosmetic impregnated memb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smetic formulation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in cosmetics, so that the moisturizing effect at the time of makeup can be maintaine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stably accommodating a cosmetic material such as a mucilage, a gel, a cream, or the like so that the cosmetic material can escape from the injection space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only when pressure is applied to use the cosmetic material.

Description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0002]

본 발명은 화장료의 함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에어 쿠션을 하부쿠션 및 이를 수용하는 상부쿠션으로 구성하고, 하부쿠션에는 수분 수용율이 높은 파우더를 적재하며, 상부쿠션에는 화장료를 함침시킴으로써, 화장료의 함유량을 높이고, 수분 유지를 지속할 수 있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filtrating a cosmetic, which comprises a lower cushion and an upper cushion for containing the air cush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of an air-cushion cosmetic, which can increase the content of the cosmetic and maintain moisture.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물론 최근에는 남성들 사이에서도 피부의 청결과 미화를 위해 사용하는 화장료는 사용자의 용모를 밝고 건강하게 변화시키고 유지시키는 데에 필수적인 품목이 되고 있다. 화장료 혹은 화장품은 법규상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특히 형태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파우더 또는 케이크 등과 같이 경(硬)한 소재의 화장료가 있는가 하면, 점액 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 상과 같이 연성의 화장료도 있다.In general, the cosmetics used for cleansing and beautifying the skin, both for women as well as for men in recent years, have become essential items for bright and healthy changing and maintenance of the user's appearance. Cosmetics or cosmetic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product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legal regulations. Especially, when they are classified into morphological categories, cosmetics such as powders or cakes are hard, and mastic, gel or creamy There is cosmetic.

이러한 화장료는 그 성상(性狀)에 따라 보존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계된 용기에 수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토너나 스킨 로션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수는 통상적인 유리병이나 플라스틱병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고, 파우더나 케이크 형태의 화장료는 콤팩트 케이스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 화장료의 성상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These cosmetics are accommodated in containers designed to be easy to use as well as easy to preserve according to their properties. For example, a liquid cosmetic lotion such as a toner or a skin lotion is generally contained in a usual glass bottle or a plastic bottle, and a powder or a cake cosmetic is generally contained in a compact cas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troduced products containing cosmetics in a compact case so that they can be carried easil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such as mucilage, gel or cream.

그런데,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충분히 함침 또는 주입될 수 있어야하고, 케이스를 기울이거나 가볍게 흔들어도 화장료가 임의적으로 유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적절한 화장료 수용체가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accommodate cosmetics in a compact case, a certain amount of cosmetics must be sufficiently impregnated or injected, and cosmetics should not be arbitrarily leaked even if the case is tilted or lightly shaken.

가장 최근에 알려진 화장료 수용체로서, 유중수형(water in oil)의 에멀젼 성상인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특정 범위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를 수용하면서 퍼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경도(硬度)의 발포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것이다.As the most recently known cosmetic material receptacle, a cosmetic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cosmetic material, which is an emulsified form of water in oil,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And is made of a foamed urethane foam having a specific hardness so that it can be used with a puff or the like.

한편, 위와 같은 화장료 수용체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화장료가 담긴 용기에 화장료 수용체를 침전시켜 화장료가 수용체에 스며들도록 하는 침전식있고, 확산기와 압축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료 수용체 상으로 화장료를 분사하여 흡식시키는 분사식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cosmetic material in the above-mentioned cosmetic material receptacle, there is a sedimentation type in which a cosmetic material receiver is precipita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the cosmetic material to allow the cosmetic material to permeate into the receiver. There is a spraying formula in which cosmetics are injected and sucked.

전술한 침전식은 화장료를 수용체 내부로 침전시키기 때문에 화장료의 점도가 낮을 수밖에 없으며, 반면 분사식은 가압적으로 화장료를 압축하기 때문에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도 큰 무리가 없게 된다. 그러나, 침전식은 점도가 낮아 유통 중 용기 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내상인 수상과 외상인 유상의 분리가 발생하여 제품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분사식과 같이 점도를 높이게 되면 끈적이는 단점이 나타내게 된다.Since the above-mentioned precipitation type precipitates the cosmetic material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viscosity of the cosmetic material is inevitably low.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smetic material is compressed by pressurization, the viscosity of the cosmetic material is high. However, since the precipitation type has a low viscos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deteriorate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inner aqueous phase and the external phase during long-term storage in a container during circul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when the viscosity is increased as in the injection formula, the disadvantage of stickiness is shown.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첨부된 특허문헌에서는 발포 우레탄 폼(foam)에 함침시키고 팩트 타입의 용기에 담음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휴대성이 좋고 자외선 차단 효과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손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고 냉각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n the accompanying patent documents, the foam is impregnated in a foamed urethane foam and placed in a fact type container,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maintaining portability, maintaining the persistence of the ultraviolet shielding effect, Thereby providing a composition capable of inducing a cooling effect.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 또한 화장료 수용체에 함침할 경우, 수상과 유상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으나, 화장료의 함침 용량이 낮게 된다. 여기서, 화장료의 함침 용량을 높이기 위해 조성물의 점도를 높일 경우 상기한 끈적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화장료의 함침 용량을 높이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when such a composition is also impregnated in a cosmetic receptor, separation between the water phase and the oil phase does not occur, but the impregnation capacity of the cosmetic is low. Here, when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impregnation capacity of the cosmeti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forementioned stickiness occur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crease the impregnation capacity of the cosmetic material and ensure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9877, 등록일자 2012년 06월 19일, 발명의 명칭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1. Korean Patent No. 10-1159877, filed on June 19, 2012, entitled " UV-curing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impregnating foamed urethane foa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화장품의 제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에 사용되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of an air cushion cosmetic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cosmetic formulations and which can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for cosmetic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함침부재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ushion which can stably contain a cosmetic material such as a mucilage or a gel or a cream so that the cosmetic can be infiltrated from the injection space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only when the cosmetic is pressurized. And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with a cosmeti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은, 에어쿠션 화장품의 화장료를 함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반구 형태의 상부쿠션과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하는 하부쿠션으로 구성되어 이들이 상호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단면이 반달형태를 갖는 화장료 함침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하부쿠션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상기 상부쿠션과 하부쿠션을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로 화장료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mpregnating a cosmetic of an air-cushion cosmetic,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cushion of a hemispherical shape and a cushion Providing a cosmetic material-impregnated member having a half-moon-shaped cross-section; b) impregnat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with the lower cushion and extracting the extract from the extract; c) joining the upper cushion and the lower cushion to each other around an edge using a press thermal bonding mold; and d) injecting the cosmetic material into the cosmetic impregnated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상의 기능성 물질은, 점증제 또는 보습제이며; 상기 점증제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펙틴, 산탄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오스유도체, 및 에틸알코올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소듐락테이트, 피롤리돈카르본산, 디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히아루론산, 및 나토검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reasing agent or a moisturizer; Wherein the incrementing agent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uar gum, locust bean gum, pectin, xanthan gum, carboxyvinyl polymer, cellulose derivative, and ethyl alcohol; The hume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sodium lactate, pyrrolidone carboxylic acid, dipropylene glycol, maltitol, hyaluronic acid,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b) 단계는, b-1)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투입한 후 저속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단계; b-2) 상기 b-1) 과정이 완료되면 고속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시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의 내부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이 함침시키는 단계; b-3)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사이드 인젝션 방식으로 상기 하부쿠션으로 충진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comprises the steps of: b-1) injecting the extract powder and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and rotating the mixture at a low speed for a set time; b-2) When the b-1) process is completed, the liquid is spun at a high speed for a preset time to impregnate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nto the inside of the extract powder. b-3) filling the lower cushion with the powder of the extract of Leucocyphophallus japonica contain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n a side injection manner.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은, 다양한 화장품의 제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에 사용되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화장시의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함침부재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cosmetic impregnating method of the air cushion cosmetic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ormulation of various cosmetic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for cosmetics, so that the moisturizing effect at the time of cosmetics can be maintaine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stably accommodating a cosmetic material such as a mucilage, a gel, a cream, or the like so that the cosmetic material can escape from the injection space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only when pressure is applied to use the cosmetic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료 함침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함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smet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smetic impregnating member of Fig. 1.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함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 함침부재(100)는 휴대하기 용이한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120)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화장용기(120)에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121)에 화장료 함침부재(100)가 안치되는데, 휴대 및 이동시 화장료 함침부재(100)가 흔들림이나 이탈됨이 없이 안착홈(121)에 안정적으로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장료 함침부재(100)와 안착홈(121)의 외형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for explaining a cosmetic material-impregn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00 can be contained in a makeup container 120 such as a compact case that is easy to carry. That is, the cosmetic container 12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21, and the cosmetic filling member 100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However, when carrying and moving the cosmetic filling member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hape of the cosmetic material-impregnated member 100 and the seating groove 121 ar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ate of being stably contained in the seating groove 121 can be maintained.

예컨대, 화장료 함침부재(100)은 평면 구조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하트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안착홈(121) 역시 이러한 화장료 함침부재(100)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0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a circular,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heart-shaped, or the like in plan view. .

본 실시 예에서 화장료 함침부재(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반달형태를 이루고, 반구 형태의 상부쿠션(201)과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하는 하부쿠션(203)으로 구성되어 이들이 상호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부쿠션(201)과 하부쿠현(203)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이 되는데, 예를 들어 톰슨 프레스 열접합 방법을 사용하여 100℃ ~ 110℃의 온도로 상부쿠션(201)과 하부쿠현(203)의 가장자리 둘레만을 접합하게 된다.2, the cosmetic impregnating member 100 includes a semi-circular upper cushion 201 and a lower cushion 203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shape, It is composed of interconnected structures. That is,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3 are bonded to each other along the periphery. For example,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1 are bond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10 ° C using a Thompson press thermal bonding method. Only the periphery of the edge 203 is bonded.

이렇게 접합된 상부쿠션(201) 및 하부쿠션(203)로 구성된 화장료 함침부재(100)는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이 된다.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100)를 구성하는 상부쿠션(201) 및 하부쿠션(203)은 모두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과 같이 점성을 가진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소재로 구성이 된다.The cosmetic impregnated member 100 composed of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3 thus joined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1.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3 constituting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00 are both made of a material having a void G which is permeable to viscous cosmetics such as mucilage, .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스펀지'로 불리는 해면상(海綿狀) 구조의 다공성 소재가 대표적인데, 여기에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 등이 포함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구조라면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porous materials such as sponge, commonly referred to as sponge, are typical, including foamed urethanes and foamed rubbers, which can be imbibed with mucilage, gel or cream formulations,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s long as the gap G is formed.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부쿠션(201)에는 화장료가 함침되고, 상기 하부쿠션(203)에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가 적재된다.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는 평균 직경이 180㎛ 내지 200㎛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는 상기 상부쿠션(201)에 함침된 화장료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서 화장료의 수분을 충분히 머금은 상태에서 상부쿠션(201)으로 지속적인 수분 공급을 유도한다.The upper cushion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egnated with a cosmetic material, and the lower cushion 203 is loaded with a powder of Leek extr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Agaricus orientalis extract powder has an average diameter of 180 mu m to 200 mu m. The upper cushion 201 extract powder is used to maintain the moisture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in the upper cushion 201. When the moistur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ufficiently contained in the extract powder of the cucurbit tree extract, do.

한편,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상부쿠션(201)에 스며든 상태에서 배어나올 수 있도록, 상부쿠션(201) 및 하부쿠션(203)에 형성되는 공극(G)의 크기는 95 ~ 130ppi(pore per inc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pi'는 단위 크기(inch) 당 공극의 수를 나타내는데, ppi값이 작을수록 공극의 개수가 적으면서 공극의 크기가 크며, ppi값이 클수록 공극의 개수는 많으면서 공극의 크기는 작은 것을 의미한다.The size of the gap G formed in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3 is 95 mm so that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cosmetic impregnated member 100 can escape from the upper cushion 201 in a state of being impregnated with the upper cushion 201. [ To 130 ppi (pore per inch). Here, 'ppi' represents the number of pores per unit size (inch). The smaller the ppi value, the smaller the number of pores and the larger the pore size. The larger the ppi value is, .

그리고, ppi값이 작을수록 화장료가 빨리 스며드는 반면, ppi값이 클수록 화장료가 천천히 스며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쿠션(201)이 가압 되었을 때 점성을 가진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상부쿠션(201)에 스며든 상태에서 적정량이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극(G)의 크기를 95 ~ 130ppi로 설정하고 있는데, 만일 95ppi 미만일 경우에는 상부쿠션(201)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료가 상부쿠션(201)의 표면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고, 130ppi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부쿠션(201)을 가압하더라도 화장료가 상부쿠션(201)의 표면으로 배어나오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smaller the ppi value, the faster the cosmetic material penetrates, while the larger the ppi value, the more slowly the cosmetic material is impregn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ow a proper amount to escape from the upper cushion 201 when the viscous mucous phase, gel or cream cosmetic is impregnated into the upper cushion 201 when the upper cushion 201 is pressed, the size of the gap G is set to 95 If the upper cushion 201 is not pressurized, the cosmetic may flow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ushion 201. If the upper cushion 201 is larger than 130 ppi,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osmetic material to escape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cushion 201.

상기 하부쿠션(203)에 적재되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먼저 참죽나무(C. sinensis) 새순을 추출한 후, 건조하여 일정량을 자른 후, 참죽나무 새순 건조물 100g 당 50 % 에탄올 1 L를 이용하여 일주일 동안 침적시킨 후 여과한다. 그리고, 50 %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농축한 후 n-hexane을 이용하여 엽록소, 지질 등의 비극성 성분을 제거한 후, ethyl acetate로 flavonoid를 추출한 분획을 감압/농축하여 파우더를 얻게 된다.First, C. sinensis larvae are extracted from the lower cushion 203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amount. After that, a 50% or less per 100 g of the dried pomegranate extract is added to the lower cushion 203, It is immersed in 1 L of ethanol for one week and then filtered. After removing the non-polar components such as chlorophyll and lipid by using n-hexane after 50% ethanol extract is decompressed / concentrated, the fraction from which the flavonoid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is decompressed / concentrated to obtain a powder.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는 크림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피부의 보습효과를 증대시키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파우더 구조는 화장료의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고, 상부쿠션(201)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함유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powdery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ain a large amount of moistur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upper cushion 201 , It will continuously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powder of Leek extrac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함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킨다.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은 상부쿠션(201)에 적재되는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점증제 또는 보습제이다.First,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impregnated with the above-mentioned extract powder.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an increasing or moisturizing agent for preventing moisture evaporation of the cosmetic material loaded on the upper cushion 201.

이와 같이 액상의 기능성 물질이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함침되어 하부쿠션(203)에 충진될 경우, 장기 보관시 상부쿠션(201)에 적재된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함침 하고자 하는 액상의 기능성 물질 즉, 점증제 내지 보습제를 투여하여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functional material in liquid form is impregnated into the powder of the extract of Leucocyphophallus japonica so as to be filled in the lower cushion 203, moisture evaporation of the cosmetic material loaded on the upper cushion 201 is suppressed during long-term storage,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evaporation of water by administering a liquid functional material to be impregnated, that is, an increasing agent or a moisturizing agent.

상기 점증제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펙틴, 산탄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오스유도체, 및 에틸알코올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계열 점증제를 사용한다.The incr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uar gum, locust bean gum, pectin, xanthan gum, carboxyvinyl polymer, cellulose derivative, and ethyl alcohol, preferably a polymer-based thickener.

또한,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소듐락테이트, 피롤리돈카르본산, 디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히아루론산, 및 나토검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The moisturiz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sodium lactate, pyrrolidonecarboxylic acid, dipropylene glycol, maltitol, hyaluronic acid, have.

이때 점증제 내지 보습제는 총 수용액의 중량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이 원하는 효과를 얻기에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dd the increasing agent or humectant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queous solution,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effect.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하는 과정은 먼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회전운동을 하는 혼합기, 예를 들어 핸슬믹서(hansle mixer)에 투입 후, 고속회전을 시키면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의 내부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하게 된다.The process of impregnating the above extract with the above-mentioned extract powder and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carried out by first introducing the extract powder and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nto a mixer for rotating motion, for example, a hansle mixer, And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impregnated into the inside of the extract powder of Chrysanthemum morifolium extract.

이때, 함침하고자 하는 액상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0 - 10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중요하게는 함침하고자 하는 액상의 기능성 물질의 화장품 내 배합한도 이내 및 효능을 나타내는 최소한도 이상을 첨가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to be impregnated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Importa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liquid functional substance to be impregnated is within a mixing limit in cosmetics and a minimum value indicating efficacy is set as an addition standard.

회전운동을 하는 혼합기로는 핸슬믹서(hansle mixer)가 좋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액상의 물질을 혼합할 수 있는 통상의 설비라면 특히 사용에 있어 제한은 없다.A hansle mixer is preferred as a mixer for rotating mo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in the use of a hansle mixer as long as it is an ordinary facility capable of mixing a powdery material and a liquid material.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따르면, S301 단계에서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함침하고자 하는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핸슬믹서(hansle mixer)에 투입 후 혼합하는 공정에서는, 먼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투입한 후 저속(예를 들어, 500 내지 1000 rpm)으로 회전하면서, 약 8 내지 12분, 바람직하게는 약 10분간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투입한 후, S303 단계와 같이 투입이 완료되면 고속(예를 들어, 2,000 내지 3000rpm)으로 약 1 내지 5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3분간 회전시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의 내부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이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flow chart shown in the flowchart,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functional material, which is a liquid functional material to be impregnated with the extract of Lycopersicon esculentum extract, into a hansle mixer and mixing the same at step S301, (For example, 500 to 1000 rpm), and then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charged for about 8 to 12 minutes, preferably about 10 minutes. Thereafter,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as in step S303, To 3,000 rpm) for about 1 to 5 minutes, preferably about 3 minutes, so that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can be impregnated into the powder of the extract.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의 투입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의 내부로 함침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에어 스프레이, 적하(dropping)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n air spray, a dropping method or the like in that the impregnation of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facilitated inside the powder of the extract.

이후, S305 단계는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상기 하부쿠션(203)으로 충진한다. 이는 파우더 충진금형(미도시함)에 의존하며, 사이드 인젝션 방식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압출하여 충진한다. 즉, 상기 하부쿠션(203)의 형상에 대응하는 파우더 충진금형으로 상기 하부쿠션(203)을 안착시킨 후, 사이드 인젝션 방식에 따라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하부쿠션(203)으로 공급하는 것이다.Thereafter, in step S305, the lower cushion 203 is filled with the powder of the extract of Leucocyphophallus L. extract contain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t relies on a powder filling mold (not shown), and is extruded and filled with a powder of the extract of Leucocyto japonica by a side injection method. That is, after the lower cushion 203 is seated with a powder filling metal mol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cushion 203, the upper cushion extract powder is supplied to the lower cushion 203 according to a side injection method.

여기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하부쿠션(203)으로 공급할 때, 2kg/㎠의 주입 압력을 유지하며, 점도는 6,000cps 내지 7,000cps가 적절하다.Here, when supplying the powdery extract powder contain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to the lower cushion 203, an injection pressure of 2 kg / cm 2 is maintained, and a viscosity of 6,000 cps to 7,000 cps is suitable.

S307 단계에서, 상기 상부쿠션(201)과 하부쿠션(203)을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100℃ ~ 110℃로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한다. 그리고, S309 단계를 거쳐, 상기 상부쿠션(201)를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부재(100)로 화장료를 주입한다.In step S307, the upper cushion 201 and the lower cushion 203 are bonded to each other around the circumference at 100 占 폚 to 110 占 폚 using a press thermal bonding mold. Then, the cosmetic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cosmetic impregnation member 100 including the upper cushion 201 through step S309.

상기 화장료 주입은 통상의 충진기를 사용하여 일정량의 화장료가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100)로 주입이 된다. 이때 화장료를 주입하는 압력은 화장료의 점도에 따라 가변적인데, 예를 들어 점도 6,000cps인 파운데이션의 경우에 주입 압력 2 ~ 3kg/㎠의 범위에서 주입이 가능하고, 점도 30,000cps인 파운데이션의 경우에는 주입 압력 2 ~ 5kg/㎠의 범위에서 주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주입 압력은 화장료의 점도와 충진량에 따라 가변적이다.The cosmetic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00 using a conventional filling machine. In this case, the pressure for injecting the cosmetic material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cosmetic materi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undation having a viscosity of 6,000 cps, injection can be performed at an injection pressure of 2 to 3 kg / cm 2. In the case of a foundation having a viscosity of 30,000 cps, It is possible to inject at a pressure of 2 ~ 5kg / ㎠. This injection pressur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viscosity and filling amount of the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장료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도 가능한데, 페이스트, 유액, 크림, 겔, 미용액, 유탁액, 현탁액,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클렌징 등 액상과 유화물 및 점성형 혼합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The cosmetic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liquids and emulsions such as pastes, emulsions, creams, gels, essences, emulsions, suspensions, foundations, lotions, And a spot-forming mixture.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크림, 맛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바디 클렌저 등을 들 수 있다.More specifically,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cream,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moisturizing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cleansing Lotions, cleansing creams, body lotions, body cleansers, and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100)로 화장료가 주입 완료되면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에 화장료 함침부재(100)를 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When the cosmetic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on member 100, the cosmetic material is filled in the cosmetic container such as a compact case, thereby completing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장료 함침부재(100)는 하부쿠션(203)을 이용하여 액상의 기능성 성분을 충진하고, 상부쿠션(201)에는 화장료가 충진됨에 따라 화장료의 수분함유량을 높여 화장료의 기능성 또는 효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ill a liquid functional ingredient by using the lower cushion 203 and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smetic material as the cosmetic material is filled in the upper cushion 201, Or maintain efficacy on a continuous basis.

100 : 화장료 함침부재 120 : 화장품 용기
121 : 안착홈 201 : 상부쿠션
203 : 하부쿠션
100: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120: Cosmetic container
121: seat groove 201: upper cushion
203: Lower cushion

Claims (5)

에어쿠션 화장품의 화장료를 함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반구 형태의 상부쿠션과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하는 하부쿠션으로 구성되어 이들이 상호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단면이 반달형태를 갖는 화장료 함침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하부쿠션으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에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상기 상부쿠션과 하부쿠션을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화장료 함침부재로 화장료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A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of an air cushion cosmetic,
a) providing a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member having a hemispherical upper cushion and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cushion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mutually bonded and having a half-moon cross-section;
b) impregnat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with the lower cushion and extracting the extract from the extract;
c) joining the upper cushion and the lower cushion to each other around an edge using a press thermal bonding mold;
and d) injecting the cosmetic material into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은 점증제 또는 보습제이며;
상기 점증제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펙틴, 산탄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오스유도체, 및 에틸알코올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소듐락테이트, 피롤리돈카르본산, 디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히아루론산, 및 나토검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s a thickener or a moisturizer;
Wherein the incrementing agent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uar gum, locust bean gum, pectin, xanthan gum, carboxyvinyl polymer, cellulose derivative, and ethyl alcohol;
Wherein the moisturizing agent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sodium lactate, pyrrolidone carboxylic acid, dipropylene glycol, maltitol, hyaluronic acid, Method of impregnating a cosmetic with air cushion cosmetic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 또는 보습제는 총 수용액의 중량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ener or humectant is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queous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와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투입한 후 저속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단계;
b-2) 상기 b-1) 과정이 완료되면 고속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시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의 내부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이 함침시키는 단계;
b-3) 상기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파우더를 사이드 인젝션 방식으로 상기 하부쿠션으로 충진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b)
b-1) injecting the extract powder and liquid functional material, and then rotating at low speed for a set time;
b-2) When the b-1) process is completed, the liquid is spun at a high speed for a preset time to impregnate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into the inside of the extract powder.
b-3) filling the lower cushion with the powder of the extract of Leucocyphophallus japonica containing the liquid functional material, by a side injec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페이스트, 유액, 크림, 겔, 미용액, 유탁액, 현탁액,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클렌징 등 액상과 유화물 및 점성형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smetic is any one of a liquid, an emulsion and a viscous mixture such as a cleansing containing a paste, an emulsion, a cream, a gel, an essence, an emulsion, a suspension, a foundation, a lotion, a cosmetic water and a surfactant. ≪ / RTI >
KR1020130094254A 2013-08-08 2013-08-08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Ceased KR201500179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54A KR20150017963A (en) 2013-08-08 2013-08-08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54A KR20150017963A (en) 2013-08-08 2013-08-08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63A true KR20150017963A (en) 2015-02-23

Family

ID=5304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254A Ceased KR20150017963A (en) 2013-08-08 2013-08-08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963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06B1 (en) 2015-09-09 2016-02-01 (주)와코 Method for impregnating liquid cosmetics and apparatus thereof
WO2016204329A1 (en) * 2015-06-16 2016-12-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Method for filling multiple colors of liquid color cosmetic materials, and multiple-color liquid color cosmetic manufactured by using same
KR20180047781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20180048457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20200102047A (en) 2019-02-20 2020-08-31 주식회사 리엔젠 Cosmetic cushion with antimicrobial function including shungite cushion pact
FR3099349A1 (en) 2019-07-30 2021-02-05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29A1 (en) * 2015-06-16 2016-12-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Method for filling multiple colors of liquid color cosmetic materials, and multiple-color liquid color cosmetic manufactured by using same
US11000455B2 (en) 2015-06-16 2021-05-11 Cosmecca Korea Co., Ltd. Method for filling multiple colors of liquid color cosmetic materials, and multiple-color liquid color cosmetic manufactured by using same
KR101590406B1 (en) 2015-09-09 2016-02-01 (주)와코 Method for impregnating liquid cosmetics and apparatus thereof
KR20180047781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20180048457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20200102047A (en) 2019-02-20 2020-08-31 주식회사 리엔젠 Cosmetic cushion with antimicrobial function including shungite cushion pact
FR3099349A1 (en) 2019-07-30 2021-02-05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7963A (en)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KR101945203B1 (en) Airless Type Container Filled with Foamy Urethane Foam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CN104379124B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urethanes foaming body
CN102892399B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smetics and abluent
US20210205183A1 (en) Makeup Cosmetic Having Improved Impregnated Material
KR20120065982A (en) Uv 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being impregnated in urethane foam
JP2016056172A (en) Foaming cosmetic
KR102034102B1 (en) Multi phas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t layer with enhancing injection stability and excellent spread property to the skin
KR20170033483A (en) Natural surfactant for cosmetic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60109422A (en) Mask pack comprising silver nano particles
KR101736372B1 (en) Cosmetics comprising vertical -section cut impregnating materials
KR200469211Y1 (en) Cosmetic container keeping injection space for cosmetic materials
KR20190037454A (en) Priming 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76476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t and visible spherical particles
EP0999821A1 (en) Back injection molding process
JP2013213013A (en) Foamable skin external preparation
CN111343960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tent of oil component and sheet-like pack using the same
KR20060024612A (en) UV protection cosmetic impregnated sheet
JP6163340B2 (en) Aeroso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CN110227040B (en) Wax-based stick-shaped cosmetic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75467B1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EP3488843A1 (en) Cosmetic product including cosmetic container using specific rubber
KR20160140500A (en) Cosmetic comprising mesh structure
KR202100603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ick package
JP2013227270A (en) Foamable skin care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