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69A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6769A KR20150016769A KR1020130092634A KR20130092634A KR20150016769A KR 20150016769 A KR20150016769 A KR 20150016769A KR 1020130092634 A KR1020130092634 A KR 1020130092634A KR 20130092634 A KR20130092634 A KR 20130092634A KR 20150016769 A KR20150016769 A KR 201500167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hannel
- source
- drain
- g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231—Tunnel BJ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4—Double-diffused metal-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66—Vertical DMOS [VDMOS] FE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48/00—Individual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1/00 - H10D44/00
- H10D48/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48/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ree-or-more electrode devices
- H10D48/032—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ree-or-more electrode devices of unipolar transistors having ohmic electrodes on emitter-like, base-like, and collector-like regions, e.g. hot electron transistors [HET], metal base transistors [MBT], resonant tunneling transistors [RTT], bulk barrier transistors [BBT], planar doped barrier transistors [PDBT] or charge injection transistors [CHINT]
Landscapes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버퍼층 및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소스층, 나노와이어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채널층, 채널층의 윗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드레인층,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채널층의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 절연층, 나노와이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게이트 절연층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층을 포함한다.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urce layer made of nanowires vertically arranged on a buffer layer and a buffer layer, a channel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Drain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top of the buffer layer and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nd a gate layer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anowire and surround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구조를 통해, 채널층과 소스층이 접하는 면을 증가시킴으로써 터널링 전류가 증가될 수 있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in which a tunneling current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a surface where a channel layer and a source layer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thre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반도체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성능이 향상되면서 그 반대급부로 전력의 소모가 증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MOSFET의 축소화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기존의 MOSFET은 문턱전압이하 기울기(Subthreshold Swing: SS)가 상온에서 60mV/dec 이하로 낮아질 수 없는 물리적 한계가 있어, 구동전압이 낮아지면 상당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어 왔다.As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reduced and the performance is improved,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t the opposite level. However, miniaturization of MOSFETs has been limited in semiconductor devices, and conventional MOSFETs have a physical limit that the subthreshold swing (SS) can not be lowered below 60 mV / dec at room temperature, There has been a fundamental problem that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on the ground.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MOSFET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소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에 대한 해법으로서, 주로 oscillator circuits에 사용되던 터널링 소자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o replace or complement the conventional MOSFE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 tunneling element used mainly in oscillator circuits has been spotlighted.
구체적으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기존 MOSFET의 열전자 방출 (thermionic emission)과는 상이한 터널링 방식으로 전자나 홀의 흐름을 제어하므로 입력전압(구동전압)의 미세한 변화가 출력전류의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controls the flow of electrons and holes by a tunneling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hermionic emission of an existing MOSFET, so that a minute change in the input voltage (drive voltage) can lead to a large change in the output current .
이는 ON/OFF 상태의 변화가 게이트 전압의 변화에 따라 매우 급격하게 일어남을 시사하며, 낮은 문턱전압이하 기울기(SS)가 가능함을 의미한다.This implies that the change of ON / OFF state occurs very abrup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ate voltage, and it means that a lower threshold voltage (SS) is possible.
따라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1V 이하의 매우 낮은 구동전압 조건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므로, 터널링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전력을 적게 소모하면서 기존의 MOSFET과 유사한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고에너지 효율의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will be able to operate normally even at a very low driving voltage of 1 V or less. Therefore, using the tunneling transistor, it is possible to obtain similar performance to the conventional MOSFET while consuming less power,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s have been expected to be realized.
이러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도 1과 같이, planar 형태로서,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의 경계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는 원리이다.Such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is basically a planar type tunneling phenomen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drain region and the channel region, as shown in FIG. 1, and thus the transistor operates.
하지만 이와 같은 planar 형태의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2차원적인 구조로 인하여, 실제적인 전류의 양을 결정하는 터널링 현상이 일어나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수준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planar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level is low because the tunneling phenomenon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actual current is limited due to the two-dimensional structure.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구조를 통해, 채널층과 소스층이 접하는 면을 증가시킴으로써 터널링 전류가 증가될 수 있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in which a tunneling current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a surface in contact with a channel layer and a source layer throug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re is.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소스층, 상기 나노와이어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채널층, 상기 채널층의 윗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드레인층,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층의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 절연층, 상기 나노와이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comprising: a source layer including a buffer layer and nanowires arranged vertically above the buffer layer; a channel lay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A drain layer dispos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and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anowire, And a gate layer disposed surrounding the layer.
이 경우, 상기 나노와이어, 상기 채널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nanowire, the channel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한편,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채널층이 접하는 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s, respectively, and tunneling phenomenon may occur on the surface where the source layer and the channel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may be silicon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한편, 상기 채널층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옆면을 3nm 이상 5nm 이하의 두께로 둘러쌀 수 있다.Meanwhile, the channel layer may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with a thickness of 3 nm or more and 5 nm or l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소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층 상부에 채널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물질층 상부에 드레인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물질층과 상기 드레인물질층을 식각하여 상기 나노와이어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는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의 윗면의 기 설정된 영역에 배치되는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층의 옆면을 둘러싸는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abricating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includes forming a source layer of a buffer layer and a nanowi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forming a channel material layer on the source layer, Forming a drain material layer above the material layer, etching the channel material layer and the drain material layer to form a channel layer surroundi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nanowire, and a drain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Forming a gate insulating layer and a gate layer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층의 윗면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층을 기설정된 크기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층의 옆면을 둘러싸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둘러싸는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form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may include etching the drain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to a predetermined size, disposing the buffer layer on the buffer layer, Form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forming a gate layer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nanowires to surround the gate insulating layer.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상기 게이트층에 접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에 접하는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드레인층에 접하여 배치된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gat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gate layer, forming a sourc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buffer layer, and forming a drain electrod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drain layer Step < / RTI >
한편, 상기 소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소스물질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물질층을 기 설정된 형태로 패터닝하여 상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ming of the source layer may include forming a source material layer and patterning the source material layer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form the nanowire.
한편, 상기 나노와이어, 상기 채널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nanowire, the channel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한편,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채널층이 접하는 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s, respectively, and tunneling phenomenon may occur on the surface where the source layer and the channel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may be silicon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한편, 상기 채널층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옆면을 3nm 이상 5nm이하의 두께로 둘러쌀 수 있다.Meanwhile, the channel layer may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with a thickness of 3 nm or more and 5 nm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공정에 의해, 종래의 planar 형태보다 터널링 전류가 증가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n increased tunneling current than a conventional planar type can be obtained by a relatively simple process.
도 1은 종래의 planar 형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tepi길이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곡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Hsource 길이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planar-type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FIG. 2 illustrates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to 12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is a current-voltage curve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t epi of the tunneling
FIG. 14 shows a current-voltage curve according to the H source length change of the tunnel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는 버퍼층(113) 및 나노와이어(115)를 포함하는 소스층(110), 채널층(130), 드레인층(150), 게이트 절연층(170), 게이트층(190), 게이트 전극(210), 소스 전극(230) 및 드레인 전극(250)을 포함한다.2, a tunneling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는 게이트층(190)에 전계가 가해지면, 소스층(110)과 채널층(130) 사이의 에너지 밴드의 밴드갭이 얇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양자역학적 터널링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전류가 흐르게 되는 동작원리를 가진 트랜지스터이다.When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소스층(110)은 버퍼층(113)과 나노와이어(115)를 포함한 것으로서 본 소자에선 기판의 역할을 하므로 기판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반도체 소자에서 소스 영역이 접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소스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source region is ground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구체적으로, 소스층(110)은 버퍼층(113) 및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115)를 포함하고, 버퍼층(113)과 나노와이어(115)는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본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나노와이어'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택한 것일 뿐, 나노와이어라는 용어에 의해, 그 용어에 대응되는 구조의 길이, 폭, 형태 등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적합한, 어떠한 수직형태의 기둥 구조(혹은 돌출된 구조)도 나노와이어(115)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 nanowire " as used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adop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rm " nanowire "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or limited. Any vertical columnar structure (or protruding structure) suitable for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소스층(110)은 P+ 이온주입을 하여 형성된 P+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20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소스층(110)은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에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소스층(110)의 나노와이어(115)는 원통형 구조로서 지름이 10n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 사이즈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는 반도체 소자의 축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
또한 나노와이어(115)의 길이를 길게 함에 따라 소스 영역과 채널 영역이 접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높은 동작 전류(on-state current;I on )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Hsource로 표현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나는 부분의 길이는 20nm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론 70nm이상 일 수 있다. As the length of the
Hsource 길이 변화에 따른 동작 전류 특성은 도 14에 도시된 그래프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cur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 source length chang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graph shown in FIG.
채널층(130)은 나노와이어(115)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며, P- 타입 또는 N-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16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채널층(130)은 원기둥 형태의 나노와이어(115)를 360도 둘러싸며 배치된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2, the
기존의 2차원 형태의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도 1 참조)에선 한 방면으로만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였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는 터널링 현상이 360도 방면으로 모두 발생할 수 있어 높은 동작전류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If the tunneling phenomenon occurs only in one direction in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see FIG. 1), the tunneling
한편, 도 2에서 tepi로 표현된 채널층(130)의 두께가 작을수록, 소스층(110)과 채널층(130)의 접합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는 3nm 이상 5nm이하의 두께일 수 있다. 2, the tunneling phenomenon can be more easily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epi 두께 변화에 따른 동작 전류 특성은 도 13에 도시된 그래프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e operating cur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ickness tepi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graph shown in Fig.
드레인층(150)은 채널층(130)의 윗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이란, 도 2를 참조하면, 드레인층(150)이 차지하는 영역의 외각이 채널층(130)의 외각의 안쪽에 속하도록 설정된 채널층(130) 윗면의 영역이다.The
이처럼 드레인층(150)을 채널층(130)의 윗넓이보다 작도록 배치함으로써, 채널층(130)과 드레인층(150) 접합부분에서 터널링 현상을 지양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off상태에서 채널층(130)과 드레인층(150) 사이의 터널링 현상에 의한 전류의 흐름(누설전류)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disposing the
그리고 드레인층(150)은 N+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18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The
소스층(110)에서 공급된 캐리어가 외부소자로 나갈 수 있도록 통로로서 동작하여 드레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arrier supplied from the
게이트 절연층(170)은 버퍼층(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채널층(130)의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The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170)은 원기둥 형태의 채널층(130)을 360도 둘러싸면서 버퍼층(113)의 윗면을 덮는 원통형 형태로 배치된다.2, the
이와 같은 게이트 절연층(170)은 게이트층(190)과 채널층(130) 사이를 절연시키며, 산화 규소(SiO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산화규소를 절연물질로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옥사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구체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70)의 두께는 게이트 전압이 채널층(130)에 적절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어야 하며 동시에, 게이트층(190)과 채널층(130) 사이의 누설전류를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어야 한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게이트층(190)은 나노와이어(11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게이트 절연층(170)을 둘러싸며 배치된다.The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층(190)은 채널층(130)이 형성된 영역의 게이트 절연층(170)을 360도로 둘러싸는 원통형 형태로 배치된다.2, the
구체적으로, 이와 같이 게이트층(190)이 채널층(130)을 둘러싸는 구조를 게이트 올 어라운드 구조(Gate all around;GAA)라고 일컫는다. GAA구조를 갖는 형태에서, 나노(nano)사이즈의 채널층(130)은 게이트 전압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완전 공핍 상태(fully depletion)를 이룰 수 있어 노말리 오프(Normally off)특성을 가지므로 누설전류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게이트 전압이 가해졌을 때에는, 나노 사이즈의 채널층(130)에 전류가 360도 방향 모두에서 누적(accumulation)될 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이차원적 구조에서보다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GAA구조는 소형화된 반도체 소자에 적합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게이트층(190)에 게이트 전극(210)을 통해 전계가 가해지면 소스층(110)과 채널층(130)사이의 에너지 밴드의 밴드갭이 얇아지게 되고 이를 얇아진 밴드갭을 통해 터널링 효과가 일어나게 된다.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게이트층(190)은 텅스텐(W), 코발트(Co), 티타늄(Ti), 알루미늄(Al), 니켈(Ni), 금(Au) 등의 금속 또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게이트 전극(210)은 게이트층(190)에 접하여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게이트층(190)에 전압이 입력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210)은 게이트층(190)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소스 전극(230)은 버퍼층(113)에 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230)은 제1 소스층(110)의 버퍼층(113) 상에 배치되어, 캐리어를 소스층(110)에 공급할 수 있다.The
드레인 전극(250)은 드레인층(150)에 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전극(250)은 소스 전극(230)으로부터 공급된 캐리어가 외부 소자로 이동되도록 외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소스 전극(230) 및 드레인 전극(250)은 텅스텐(W), 코발트(Co), 티타늄(Ti), 알루미늄(Al), 니켈(Ni) 및 금(Au)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를 구성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제조 단계를 설명한다.The tunneling
이하에서 설명할 각각의 층(layer)을 형성하는 방법은 MBE, ALD, MOCVD, PECVD, APCVD, LPCVD, UHCVD, PVD, 전자빔 방식, 저항 가열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가능하다.The method of forming the respective layers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MBE, ALD, MOCVD, PECVD, APCVD, LPCVD, UHCVD, PVD, electron beam method and resistance heating method.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3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unneling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소스물질층(111)을 마련한다. 여기서 소스물질층(111)은 다음 공정에서 식각되어 결과적으로 소스층(110)이 되므로 소스물질층(111)이라 명명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a
구체적으로 소스물질층(111)은 P+ 이온주입을 하여 형성된 P+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20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소스물질층(111)을 기 설정된 형태로 패터닝하여 상기 나노와이어를 형성한다. 즉, 나노와이어(115)가 형성될 부분만을 남기고 소스물질층(111)을 식각한다. 식각은 IBE(Ion Beam Etching)방식에 의할 수 있다.Referring next to FIG. 4, the
구체적으로, 나노와이어(115)의 지름이 10nm인 원통형 구조가 되도록 패터닝 및 식각한다. 그리고, 나노와이어(115)의 길이가 20nm이상, 구체적으로는 70nm이상이 되도록 식각한다. 상기 식각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스층(110)을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위와 같은 식각(top-down)에 의하여 나노와이어(115)를 형성하는 방식에 의하면, bottom-up방식으로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방식처럼 공정 조건(압력 또는 온도)을 까다롭게 맞춰주지 않아도 비교적 쉽게 나노와이어(115)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소스층(110) 상부에 채널물질층(1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채널물질층(131)은 이후의 식각 공정을 통해 채널층(130)이 되므로 채널물질층(131)이라 명명한 것이다.5, a
구체적으로 채널물질층(131)은 P-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16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채널물질층(131) 상부에 드레인물질층(151)을 형성한다. 여기서 드레인물질층(151)은 이후의 식각 공정을 통해 드레인층(150)이 되므로 드레인물질층(151)이라 명명한 것이다.6, a
구체적으로 드레인물질층(151)은 N+ 타입 도핑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18 atoms/cm-3 농도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채널물질층(131)과 드레인물질층(151)을 동시에 식각하여 채널층(130) 및 드레인층(150)을 형성한다.7, the
구체적으로, 나노와이어(115)가 위치한 채널층(130) 영역의 두께(tepi)가 3nm이상 5nm이하가 되도록 원통형 구조로 패터닝 및 식각한다. 식각은 IBE(Ion Beam Etching)방식에 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위와 같이 채널물질층(131)과 드레인물질층(151)을 동시에 식각하는 방식에 의하면, 채널층(130)과 드레인층(150)을 따로따로 형성할 때보다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simultaneously etching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8을 참고하면, 드레인층(150)을 기설정된 크기로 식각한다. 구체적으로 드레인층(150)의 식각은 IBE(Ion Beam Etching)방식에 의할 수 있다. Referring next to FIG. 8, the
여기서 기설정된 크기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게이트층(190) 영역과 드레인층(150) 영역이 접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드레인층(150) 영역의 외각이 채널층(130) 영역 안쪽으로 들어오도록 설정한 크기이다.8A and 8B, the outer diameter of the region of the
이처럼 드레인층(150)을 기설정된 크기로 식각함으로써, 채널층(130)과 드레인층(150) 접합부분에서 터널링 현상을 지양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off상태에서 채널층(130)과 드레인층(150) 사이의 터널링 현상에 의한 전류의 흐름(누설전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By etching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9를 참고하면, 버퍼층(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채널층(130)의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 절연층(170)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9, a
게이트 절연층(170)은 게이트층(190)과 채널층(130) 사이를 절연시키며, 산화 규소(SiO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산화규소를 절연물질로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옥사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170)을 원기둥 형태의 채널층(130) 및 드레인층(150)을 360도 둘러싸면서 버퍼층(113)의 윗면을 덮도록 증착한다.9,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게이트 절연층(170)이 채널층(130)을 얇게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게이트 절연층(170)을 식각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70)의 식각은 IBE(Ion Beam Etching)방식에 의할 수 있다.10, the
게이트 절연층(170)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하는 이유는, 게이트 전압이 채널층(130)에 적절하게 가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채널층(130)을 감싸는 게이트 절연층(170)의 두께는 게이트층(190)과 채널층(130) 사이의 누설전류를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reason why the
추가적으로,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공정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층(150)의 윗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는 드레인층(150)과 드레인 전극(250)을 전기적으로 접합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 다음 공정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나노와이어(11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게이트 절연층(170)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층(190)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1, a
게이트층(190)은 폴리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70)을 360도 둘러싸는 형태(GAA 구조)로 게이트층(190)을 형성한다.The
그 다음 공정으로, 게이트층(190)에 접하여 배치된 게이트 전극(210), 버퍼층(113)에 접하여 배치된 소스 전극(230) 및 드레인층(150)에 접하여 배치된 드레인 전극(250)을 금속증착방식으로 형성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A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tepi길이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FIG. 13 shows a current-voltage curv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 epi length of the tunneling field-
구체적으로, 게이트 길이 60nm 급의 종래의 planar 구조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곡선(SS=60[mV/dec])을 함께 도시하여 비교기준으로 삼았다.Specifically, a current-voltage curve (SS = 60 [mV / dec]) of a conventional planar structur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a gate length of 60 nm was shown together and used as a comparison standar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pi의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작동 전류(on-current)가 상승됨을 볼 수 있고, 문턱 전압의 상승으로 인한 SS(subthreshold swing)의 향상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ng current (on-current) is increased as the length of t epi decreases, and the SS (subthreshold swing) is improv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threshold voltage.
결과적으로, 공정 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적절한 tepi 값으로, 3-5nm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whe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ide step, the appropriate t epi As a value, you will be able to select 3-5 nm.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Hsource 길이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선, 도 13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도출된 3nm tepi 조건에서 Hsource의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FIG. 14 shows a current-voltage curve according to the H source length change of the tunneling
Hsource의 증가는 터널링이 발생하는 영역 즉, 채널층(130)과 소스층(110)이 접하는 영역의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도 14에서와 같이 Hsource의 증가에 비례하여 전류 값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0)의 구현시, 소스층(110)의 나노와이어(115)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전류량 증가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Since the increase of the H sour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region where the tunneling occurs,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100: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110:소스층
130:채널층 150:드레인층
170:게이트 절연층 190:게이트층100: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110: source layer
130: channel layer 150: drain layer
170: gate insulating layer 190: gate layer
Claims (13)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소스층;
상기 나노와이어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채널층;
상기 채널층의 윗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드레인층;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층의 옆면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 절연층;
상기 나노와이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둘러싸며 배치된 게이트층;을 포함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In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 source layer comprising a buffer layer and a nanowire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buffer layer;
A channel layer surroundi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nanowire;
A drain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and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nd a gate layer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anowires and surround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상기 나노와이어, 상기 채널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anowire, the channel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is a cylindrical structure.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채널층이 접하는 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Wherein a tunneling phenomenon occurs on a surface where the source layer and the channel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silicon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상기 채널층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옆면을 3nm 이상 5nm 이하의 두께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nnel layer comprises:
And a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is surrounded with a thickness of 3 nm or more and 5 nm or less.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소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층 상부에 채널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물질층 상부에 드레인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물질층과 상기 드레인물질층을 식각하여 상기 나노와이어의 윗면과 옆면을 둘러싸는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의 윗면의 기 설정된 영역에 배치되는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층의 옆면을 둘러싸는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Forming a source layer of a buffer layer and a nanowi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Forming a channel material layer over the source layer;
Forming a layer of drain material over the channel material layer;
Etching the channel material layer and the drain material layer to form a channel layer surroundi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nanowire and a drain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nd forming a gate insulating layer and a gate layer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층의 윗면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층을 기설정된 크기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층의 옆면을 둘러싸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둘러싸는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form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comprises:
Etching the drain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to a predetermined size;
Forming a gat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and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channel layer;
And forming a gate lay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nanowires to surround the gate insulating layer. ≪ Desc / Clms Page number 21 >
상기 게이트층에 접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에 접하는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드레인층에 접하여 배치된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orming a gat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gate layer;
Forming a sourc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buffer layer; And
And forming a drain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drain layer. ≪ Desc / Clms Page number 21 >
상기 소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소스물질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물질층을 기 설정된 형태로 패터닝하여 상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forming the source layer comprises:
Providing a source material layer; And
And patterning the source material lay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the nanowire. ≪ Desc / Clms Page number 21 >
상기 나노와이어, 상기 채널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anowire, the channel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layer is a cylindrical structure.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채널층이 접하는 면에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Wherein a tunneling phenomenon occurs on a surface where the source layer and the channel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소스층, 상기 채널층, 및 상기 드레인층이 각각 P+,P- 및 N+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ource layer, the channel layer, and the drain layer are silicon doped with P + , P -, and N + type, respectively.
상기 채널층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옆면을 3nm 이상 5nm이하의 두께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hannel layer comprises: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nanowire is surrounded with a thickness of 3 nm or more and 5 nm or l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634A KR20150016769A (en) | 2013-08-05 | 2013-08-05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634A KR20150016769A (en) | 2013-08-05 | 2013-08-05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6769A true KR20150016769A (en) | 2015-02-13 |
Family
ID=5257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2634A Ceased KR20150016769A (en) | 2013-08-05 | 2013-08-05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6769A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8512A1 (en) * | 2016-08-22 | 2018-03-0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Vertical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CN107799607A (en) * | 2017-10-31 | 2018-03-13 | 沈阳工业大学 | Conduction type is adjustable, and source and drain resistive formula bilateral folds gate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CN107819027A (en) * | 2017-10-31 | 2018-03-20 | 沈阳工业大学 | A kind of source and drain resistive formula H-shaped grid-control two-way switch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CN108987477A (en) * | 2017-06-02 | 2018-12-11 | 三星电子株式会社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190079486A (en) * | 2017-12-27 | 2019-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two-dimensional channel structure |
WO2019168521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22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15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19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23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82264A1 (en) * | 2018-03-23 | 2019-09-26 | 홍잉 | Vertical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190111725A (en) * | 2018-03-23 | 2019-10-02 | 잉 홍 | Method of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
KR20210080034A (en) * | 2019-12-20 | 2021-06-3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of fabricating a nanowire TFET with high on-current and a nanowire TFET thereof |
-
2013
- 2013-08-05 KR KR1020130092634A patent/KR2015001676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8512A1 (en) * | 2016-08-22 | 2018-03-0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Vertical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CN108987477A (en) * | 2017-06-02 | 2018-12-11 | 三星电子株式会社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N108987477B (en) * | 2017-06-02 | 2023-12-15 | 三星电子株式会社 | Vertical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7799607A (en) * | 2017-10-31 | 2018-03-13 | 沈阳工业大学 | Conduction type is adjustable, and source and drain resistive formula bilateral folds gate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CN107819027A (en) * | 2017-10-31 | 2018-03-20 | 沈阳工业大学 | A kind of source and drain resistive formula H-shaped grid-control two-way switch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KR20190079486A (en) * | 2017-12-27 | 2019-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two-dimensional channel structure |
CN110021667A (en) * | 2017-12-27 | 2019-07-16 | 三星电子株式会社 | Vertical field-effect transistor with two-dimentional channel structure |
CN110021667B (en) * | 2017-12-27 | 2025-01-14 | 三星电子株式会社 |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two-dimensional channel structure |
WO2019168523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19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15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US11335793B2 (en) | 2018-02-28 | 2022-05-17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22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US11862715B2 (en) | 2018-02-28 | 2024-01-02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68521A1 (en) * | 2018-02-28 | 2019-09-06 | Intel Corporation | Vertical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
WO2019182264A1 (en) * | 2018-03-23 | 2019-09-26 | 홍잉 | Vertical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190111725A (en) * | 2018-03-23 | 2019-10-02 | 잉 홍 | Method of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
CN111902944A (en) * | 2018-03-23 | 2020-11-06 | 洪瑛 | Vertical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342183B2 (en) | 2018-03-23 | 2022-05-24 | Ying Hong | Vertical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111902944B (en) * | 2018-03-23 | 2024-09-24 | 洪瑛 | Vertical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10080034A (en) * | 2019-12-20 | 2021-06-3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of fabricating a nanowire TFET with high on-current and a nanowire TFET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16769A (en)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8629428B2 (en) | Line-tunneling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TFET)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8829608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20160240614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 |
KR101774824B1 (en) | Transistor having germanium channel on silicon nanowi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TWI752041B (en) | Semiconductor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CN102184955A (en) | Complementary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forming method thereof | |
CN103262243A (en) | Nanowire field-effect device with multiple gates | |
TWI630719B (en) | Epitaxial structure, heterogeneous structure, nanowire lateral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 |
CN103500758A (en) | Semi-gate controlled source schottky barrier typ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 |
JP5886802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CN10254388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gated dio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EP3311413B1 (en) | Method for a vertical gate-last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of a vertical nanowire mosfet | |
WO2006123458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04425609B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1698684B1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1682420B1 (en) | Self-aligned heterojunction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using selective germanium condensation and sidewall processes | |
CN104538442B (en) | A kind of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2449770B (en) | 3D channel archite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 |
CN107706235B (en) | A rectangular gate-controlled U-shaped channel bidirectional switch tunneling transis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8140673B (en)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3413829B (en) | One kind is U-shaped to enclose grid tunneling transistor device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CN108140672B (en) |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5355660A (en) |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684798B1 (en) | Tunneling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