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0327A -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27A
KR20150010327A KR20130085182A KR20130085182A KR20150010327A KR 20150010327 A KR20150010327 A KR 20150010327A KR 20130085182 A KR20130085182 A KR 20130085182A KR 20130085182 A KR20130085182 A KR 20130085182A KR 20150010327 A KR20150010327 A KR 2015001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frequency
signal
distres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웰
Priority to KR2013008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327A/en
Publication of KR2015001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2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01S5/0231Emergency, distress or locator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mitter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자의 위치인식을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 1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인식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주파수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임시 고정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 이후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와 다른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 2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4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의 수신된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을 통해 산출되어진 거리와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임시 고정된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조난자 위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과 구명수단의 배터리 전원 소비를 걱정하지 않더라도 조난자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2.3㎓의 주파수 신호와 433㎒의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단위 동안 동시에 송출하면 이를 수신하는 곳에서는 주파수의 속도 차에 의해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인식할 수 있으면 신호의 수신방향이 조난자의 존재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 좌표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 전력 사용과 유지비용의 부담이 없으면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데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victim, comprising a first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exists; A third step of temporarily fixing an antenna recep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a frequency is received if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determined to exist;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received after the third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tep, the distance betwee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received time signal of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fourth step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victim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nd a sixth step of calculating a location of the victim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fifth step and the receiving direction temporarily fixed through the second step. The frequency of 2.3 GHz and the frequency of 433 GHz can be transmitted to the survivor's rescue means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ctim, so tha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victim can be calculated So as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victim without the burden of low power use and maintenance costs.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reliability.

Figure P1020130085182
Figure P1020130085182

Description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different speeds of different frequencies,

본 발명은 조난자의 위치인식을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난자의 위치인식을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난자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2.3㎓의 주파수 신호와 433㎒의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단위 동안 동시에 송출하면 이를 수신하는 곳에서는 주파수의 속도 차에 의해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인식할 수 있으면 신호의 수신방향이 조난자의 존재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 좌표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 전력 사용과 유지비용의 부담이 없으면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데 신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distres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distresser, If the receiver is capable of recognizing the distance from the victim by the speed difference of the frequency at the receiver,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ctim.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a heterogeneous frequency and a system therefor so as to have reliability in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without burdening the use of a low power and a maintenance cost.

최근에 GPS/GNSS 기술을 연계시켜 항공기의 추락 사고, 선박의 침몰 사고 등이 발생된 경우에 항공기/선박의 조난 탑승자를 구조하기 위한 COSPAS-SARSAT 시스템(Cosmicheskaya Sistyema Poiska Avariynich Sudov-Search and Rescue Satellite-Aided Tracking System)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COSPAS-SARSAT system (Cosmicheskaya Sistyema Poiska Avariynich Sudov-Search and Rescue Satellite-System) for rescuing the distressed occupant of an aircraft / ship in case of collision of an aircraft with a GPS / GNSS technology, Aided Tracking System)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상기 COSPAS-SARSAT 시스템은 지구 궤도 상의 위성과 지상에 구축된 조난관제센터(SARC; Search And Rescue Center)를 통해 항공기의 기체 내부에 실장된 대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ELT;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로부터 항공기 GPS 좌표를 수신받으며, 이러한 항공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헬기, 구조선 등이 해당 지역으로 이동해 조난자들을 구조하게 된다. 여기서,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COSPAS-SARSAT에서는 비콘신호(beacon)라고 정의한다.The COSPAS-SARSAT system is a system that transmits information from a larg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r (ELT), which is mounted inside the aircraft's airplane, through an earth orbit satellite and a search and rescue center (SARC) GPS coordinates are received, and helicopters, rescue ships, etc. are moved to the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location to rescue the victims. Here,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is defined as a beacon signal in COSPAS-SARSAT.

한편, 통상적으로 항공기 추락, 선박 침몰 등은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항공기/선박에 탑승한 다수의 조난자들이 한 곳에서 구조를 기다리기 보다는 자의적/타의적으로 여러 곳에서 구조를 기다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most cases, aircraft crashes and ship sinking lead to large-scale accidents, so that a large number of the victims of an aircraft / ship are awaiting rescue at various locations, rather than waiting for rescue in one place .

예를 들어, 항공기가 공중에서 기체가 파손된 상태로 바다 위에 추락하는 경우에 있어 이 기체 파손으로 인해 일부의 탑승자들은 공중에서 바다의 이곳, 저곳으로 떨어지고, 일부의 탑승자들은 바다에 침수된 상태의 항공기 내부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구조를 기다리고, 일부의 탑승자들은 구명보트로 항공기 추락 지점을 벗어나는 등, 각각의 탑승자 위치가 서로 다르다.For example, if an aircraft crashes into the sea in the event of a breakdown in the air, some of the passengers will fall from the air into the sea, and some passengers will flood the sea Waiting for rescue while wearing a life jacket inside the aircraft, and some passengers departing from the crash point by lifeboat, have different occupant positions.

특히, 위와 같이 바다 위에서 항공기/선박 등의 대형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그 해류로 인해 시시각각 조난자 위치가 바뀐다.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해서 신속하게 조난자 구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Especially, in case of a major accident such as an aircraft / ship on the sea, the position of the victim changes every moment due to the cur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ce the position of the victim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at the rescue operations can be carried out quickly.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및 미국 연방항공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등의 권고에 따라 항공기의 기체 내부에는 한 대의 대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가 실장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항공기 추락 지점이 어느 곳이 라는 것만을 조난 관제센터에 제공할 뿐, 정작 필요한 시시각각 현재 위치가 바뀌고 있는 조난자들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d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 large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However, this system only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aircraft crash point to the distress control center, but it does not provid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ced persons whose positions are changing as need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 대형사고 특성 상 항공기 내부에 실장된 전자/통신 장치, 특히 항공기/선박 사고에 기인한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의 오동작이 긴급 상황 시에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형편이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rt, malfunctions of an electronic / communication apparatus mounted inside an aircraft, particularly an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caused by an aircraft / ship accident, are frequently gen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

이에,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가 조난 관제센터로 항공기 사고 지점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며, 이는 조난관제센터에서 항공기 사고 지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조난자 구조 활동이 그만큼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can not perform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aircraft accident point to the distress control center,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rescue operation of the victim is delayed because the point of the accident is not known at the distress control center.

따라서 항공기 내부에 실장된 대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가 탑승자 개개인의 위치 추적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점을 고려컨대, 개인이 소지할 수 있거나 구명조끼 또는 구명보트 등에 부착할 수 있는 소형 긴급 위치 정보 송신 장치를 각 탑승자에게 제공하며, 이러한 작은 크기의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를 통해 조난자 각각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가 항공기 추락 사실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조난자 위치정보를 신속하게 조난 관제센터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이 조난 관제센터에서 사고로 인한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의 오동작을 감안하여 구조되지 않은 탑승자측의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송신 장치로부터 조난자 위치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considering that the larg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mounted inside the aircraft does not greatly help track the position of each occupant, it is possible to transmit small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hat can be carried by an individual or attached to a life jacket or a lifeboat The personal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can track the exact location of each of the victims and the personal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can accurately detect the fact that the aircraft has fallen,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romptly sent to the distress control center. In consideration of the malfunction of the personal urgent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caused by the accident, the distress center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on the u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to enable information to be received.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어진 많은 선행기술들이 존재하며, 이중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진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19446호(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를 예로 들 수 있다.There are many prior arts propo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Prior Art 10-2007-0119446 (Personal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a victi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선행기술의 설명은 공개공보에 자세히 설명되어져 있으므로 생략하며,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상기 선행기술은 개념적 혹은 이론적으로는 매우 효율적이나 실제 적용상에는 상당한 난제가 존재하는데, 우선 조난자가 소지하는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매우 짧다는 점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is omitted because it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public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the prior art is conceptually or theoretically very efficient, there a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actual application. The use time of the battery for driving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very short.

즉, 해상에서의 조난을 예로 들면 해류의 영향으로 조난자의 위치는 시시각각 변화하게 되기 때문에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긴급위치정보 중계위성(200)과 실시간 혹은 매우 짧은 시간단위로 정보를 교류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전력소모가 배터리 사용시간의 단축을 초래하며, 구조자가 조난자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상당 시간 소요되기 때문에 구조가자 조난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조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구조자는 이전에 인식되어진 조난자 위치를 기준으로 구조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istress at sea is taken as a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victim changes every mo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so that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relay satellite 200 in real- This is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consumes less time on the battery, an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the rescuer to arrive at the victim position. Therefore, the victim can not receive the position of the victim in real time And the rescuer has to perform the rescue work based on the previously recognized distress location, which is very ineffective.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는 현재 기술적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긴급위치정보 중계위성(200)과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긴급위치정보 중계위성(200)과 통신하는 데이터는 실제적으로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며, 수신되어진 GPS위치정보를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송출하는 방식은 CDMA 방식을 통해 지상의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방식인데, 이때 CDMA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100)가 미리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어 개개인의 구명수단(구명조끼)에 모두 적용시키지 못하고 구명보트나 선박 혹은 항공기 자체에는 적용시키고 있다는 점이다.Another problem is that the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does not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relay satellite 200 due to a current technological cost problem, The data communicated with the information relay satellite 200 actually receive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GPS position information by the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via the CDMA system In order to apply the CDMA method, the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must be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dvance, so that a cost problem arises 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ut it is applied to lifeboats, ships or aircraft itself.

상술한 문제점은 상기 선행기술이외에 다른 많은 선행기술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문제점이다.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a problem common to many prior art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난자의 위치인식을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난자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2.3㎓의 주파수 신호와 433㎒의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단위 동안 동시에 송출하면 이를 수신하는 곳에서는 주파수의 속도 차에 의해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인식할 수 있으면 신호의 수신방향이 조난자의 존재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 좌표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 전력 사용과 유지비용의 부담이 없으면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데 신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victi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victim by detecting a frequency of 2.3 GHz and a frequency of 433 MHz At the same time, if the distance to the distressed person can be recognized by the frequency difference in the receiving place,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as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so tha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stressed person can be calcul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a heterogeneous frequency and a system therefor so as to have reliability in recognizing the location of a victim without burdening the use of low power and maintenance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특징은, 조난자 위치 추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 1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인식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주파수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임시 고정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 이후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와 다른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 2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4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의 수신된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을 통해 산출되어진 거리와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임시 고정된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victim by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y, comprising the steps of: A first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exists; A third step of temporarily fixing an antenna recep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a frequency is received if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determined to exist;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received after the third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tep, the distance betwee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received time signal of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fourth step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victim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nd a sixth step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victim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fifth step and the receiving direction temporarily fix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1과정은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동안 송출하되, 상기 구명수단 각각에 대해 부여되어진 고유인식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by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process comprises the steps of: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he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frequency signal for transmitting a unique recognition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life preserv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2.3㎓의 제 2주파수 신호이며,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인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gnizing a distressed person using a speed difference of a differ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a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ourth process is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5과정은 상기 제 2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4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에 실장되어진 고유인식코드를 인식하여 동일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2.3㎓의 제 2주파수 신호와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에 한하여 각 주파수가 수신된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 distress location using a speed difference of a differ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unique recognition code mounted o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frequency band of 2.33 GHz and uses the difference of the received time of each frequency for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and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rg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의 특징은,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에 있어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출부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출부와;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의 동작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부; 및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delivery apparatus using a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urbance signal transmitting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distress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operation times of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433 MHz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delivery apparatus to which a distress signal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unique code engrav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c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되 상기 고유코드 각인부에 저장되어진 고유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delivery apparatus to which a distress signal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a differ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transmit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ransmitting the inherent code stored in the inherent code imprinting unit to each frequency signal to be transmit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요청하는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는 파워스위치 혹은 워터 센서 혹은 충격감지센서 혹은 공기주입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인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to which a distress signal locating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rein the distress signal sending operation switch is one of a power switch, a water sensor, an impact sensor, or an air injection sens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의 특징은,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433㎒의 저주파 신호 혹은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의 현재 수신 방향을 임시 조정시키는 수신방향 감지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2.3㎓의 고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433㎒의 저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서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에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어진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어진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되어진 이격거리와 상기 수신방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어진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 인식하는 조난위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ing a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urbance signal transmitting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And a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the distress signal by using a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speed of a different frequency, the disturbance signal reception device comprising: an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A receiving direction detector for temporarily adjusting a current receiving direction of the antenna when receiving a 433 MHz low frequency signal or a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used as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 second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high frequency signals of 2.3 G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first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counter for counting a time from a time when the second frequency receiver receives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o a time when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is received from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A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to a position where the 433 MHz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using the difference of the counted time at the counter; And a distress position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and the receiving direction sensed by the receiving direction sensing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조난위치 인식부에서 인식되어진 조난자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조난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ing a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speed of a differ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tress posi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istress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카운터는 서로 동일한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에 한하여 작동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ing a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cy signal and a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의 특징은,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출부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출부와,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의 동작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부, 및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조난신호 송출 장치와;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433㎒의 저주파 신호 혹은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의 현재 수신 방향을 임시 조정시키는 수신방향 감지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2.3㎓의 고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433㎒의 저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서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에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어진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어진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되어진 이격거리와 상기 수신방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어진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 인식하는 조난위치 인식부를 구비하는 조난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urbance location recognition system includes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simultane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 synchronizing unit for synchronizing the operating times of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a synchronizing unit for synchronizing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requency signal and a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simultane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reception direction sensing unit for temporarily adjusting a current reception direction of the antenna when receiv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or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used as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 first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second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counter for counting the time from the reception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o the reception of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from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to the reception of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The distance between the low-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is calculated at the same time And a distress signal receiver for calculating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distressor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or and the reception direction sensed by the reception direction sensor, .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조난자 위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과 구명수단의 배터리 전원 소비를 걱정하지 않더라도 조난자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2.3㎓의 주파수 신호와 433㎒의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단위 동안 동시에 송출하면 이를 수신하는 곳에서는 주파수의 속도 차에 의해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인식할 수 있으면 신호의 수신방향이 조난자의 존재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 좌표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 전력 사용과 유지비용의 부담이 없으면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데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frequency of 2.3 GHz and the frequency of 433 MHz can be transmitted to the survivor's rescue means 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extra cost for transmitting the destruct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the life- If the distance to the distressed person can be recognized by the speed difference of the frequency at the receiving place,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as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so tha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stressed person can be calcul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victim without the burden of low power use and maintenance cost.

도 1은 종래 선행기술에 따른 조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이 적용된 조난자 구명장치(송신기)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이 적용된 구조장치(수신기)의 구성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distress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ctim survival device (transmitter) to which a method of recognizing a victim position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cue apparatus (receiver) to which a method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이 적용된 조난자 구명장치(송신기)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이 적용된 구조장치(수신기)의 구성 예시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ructure device (receiver) to which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victim using a velocity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첨부한 도 2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식의 개념을 살펴보면,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구명조끼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을 주기로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예를 들어, 10초)동안 송출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cept of the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life spawning vest having a distresser, Frequency signal and a 2.3 GHz high-frequency signal simultane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for example, 10 seconds).

이때 상기 저주파와 고주파의 예로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예시한 이유는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누구나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예로 든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 실시예에서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즉,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누구나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 중에 상대적인 고주파와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are exemplified by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re exemplified by th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anybody without any additional cos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vance. That is,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a high frequency and a low frequency band in a usable frequency band without any additional cost.

이와 반면에 관제센서에서는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조난신호가 수신되는 가를 항시 감시하게 되는 데, 특별한 사유가 없다는 가정 하에, 관제센서에는 대기 중 전송속도가 빠른 2.3㎓의 고주파 신호가 먼저 도착하고 추후 대기 중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433㎒의 저주파 신호가 도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ensor constantly monitors whether a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rough an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a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And the low-frequency signal of 433 MHz arriving at a later time is relatively slow in the air.

따라서 관제센서에서 2.3㎓의 고주파 신호가 조난신호로 수신되어지면 해당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임시 고정하고, 433㎒의 저주파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을 카운팅하게 되는 데, 이를 통해 2.3㎓의 고주파 신호가 수신되어진 시점에서부터 433㎒의 저주파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발생된 시간차(D)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is received as a distress signal from the control sensor, the antenna reception direction is temporarily fix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and the time of arrival of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is counted. The distance from the victim is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D generated from the time when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GHz is received to the time when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is received.

그러므로 산출되어진 거리와 임시 고정된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victim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and the temporarily fixed receiving direc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식은 조난자 측에서는 단순히 이종의 주파수를 동시에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수신측(관제센터, 구조헬기)에서 조난자와의 이격거리와 방향을 산출함을 통해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destructor posi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the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ant distances and directions from the distresser are calculated in the receiver side (control center, structural helicopter)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is recognized.

따라서 조난자가 착용 혹은 소지하고 있는 구명장치의 구성이 단순하며 배터리 소모량을 극소량을 제한 할 수 있어 구조시점까지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survival device worn by or possessed by the victim is simple, and the battery consumption can be limited to a very small amount,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until the time of the rescu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식의 개념이 적용된 조난자 구명장치(송신기:10)의 구성은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데, 433㎒의 저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출부(11)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출부(12)와,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11)와 제2주파수 송출부(12)의 동작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부(13)와, 조난자 구명장치(10)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14)와, 조난자 구명장치(10)의 작동을 요청하는 작동스위치(15), 및 상기 작동스위치(15)에서 발생된 요청신가 존재하면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을 주기로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11)와 제2주파수 송출부(12)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예를 들어, 10초)동안 송출하되 상기 고유코드 각인부(14)에 저장되어진 고유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부(16)로 구성되어진다. 단, 상기 구성의 동작을 위한 배터리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structure of the destructor survivor device (transmitter) 10 to which the concept of the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speed difference of the differ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3.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is transmitted A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2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nd a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2 for outpu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at an operating point of time of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1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2, A unique code imprinting unit 14 for storing a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a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survivor survivor devices 10,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1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12 are periodically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five minutes) when there is a request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switch 15, A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time unit, but transmitted over (e.g., 10 seconds) is composed of the control unit 16 to be transmitted to the mounting to each of the frequency signal to transmit a unique code is saved in the unique code engraved portion (14).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battery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not shown.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15)는 단순한 파워스위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조난자용 구명조끼인 경우 구명조끼의 공기 주입 여부를 감지하는 공기주입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 할 수도 있고, 해상에서 바다에 빠졌을 경우를 감안한 워터 센서 혹은 산악이나 해상 혹은 교통사고에서 충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혹은 복수의 수단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switch 15 may be a simple power switch, but in the case of a survivor life vest, a detection signal of an air injec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life vest is inflated may be used, A shock sens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one or a plurality of means such as a water sensor that takes into account a case where the vehicle is caught in an accident,

상술한 송출구성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이 적용된 구조장치(수신기: 20)의 구성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데,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21)와, 상기 안테나(21)를 통해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433㎒의 저주파 신호 혹은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21)의 현재 수신 방향을 임시 조정시키는 수신방향 감지부(22)와, 상기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2.3㎓의 고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23)와, 상기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433㎒의 저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24)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23)에서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24)에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며 서로 동일한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주파수 신호에 한하여 카운팅 대상으로 하는 코드감식 카운터(25)와, 상기 코드감식 카운터(25)에서 카운팅되어진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어진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26)와, 상기 거리산출부(26)에서 산출되어진 이격거리와 상기 수신방향 감지부(22)를 통해 감지되어진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 인식하는 조난위치 인식부(27), 및 상기 조난위치 인식부(27)에서 인식되어진 조난자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조난위치 표시부(28)로 구성되어진다.The structure of the rescue device (receiver) 20 to which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a victim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the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sending structure is applied is as shown in FIG. 4, A reception direction sensing unit for temporarily adjusting the current reception direction of the antenna 21 when receiving a 433 MHz low frequency signal or a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used as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21, A second frequency receiver 23 for selectively receiv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mong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1 and a third frequency receiver 233 for selecting a disturbance signal 433 MHz Frequency signal from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24 to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from the time when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requency receiver 23, A code detection counter (25) for counting the time until the reception of the call and counting only a frequency signal in which the same unique recognition code is installed, and a time difference counting means A distance calculator 26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t the same time and a distance calculation unit 26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A distress position recognizing section 27 for calculating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on the basis of the receiving direction detected through the detecting section 22 and a posi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recognized by the distress position recognizing section 27 on the electronic map And a distress position display unit 28. [

상기와 같은 구조장치는 관제센터와 구조헬기에 모두 구비되어지며, 초기 조난신호 수신은 관제센터에서 수행한다 하더라도 실제 구조현장으로 파견되는 구조헬기에서 상기 구성에 따른 수신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조난위치로 접급할 수 있도록 한다.
Even if the initial distress signal recep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center, the rescue helicopter dispatched to the actual rescue site may be provided with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조난자 위치 추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 1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인식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주파수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임시 고정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 이후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와 다른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 2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4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의 수신된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을 통해 산출되어진 거리와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임시 고정된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A method for locating a victim,
A first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specific survival means possessed by the victim;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exists;
A third step of temporarily fixing an antenna recep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a frequency is received if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determined to exist;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signal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received after the third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tep, the distance betwee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received time signal of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fourth step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victim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nd
And a sixth step of calculating a location of the victim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fifth step and the receiving direction temporarily fix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동안 송출하되, 상기 구명수단 각각에 대해 부여되어진 고유인식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s to simultaneously transmit a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specific survival means possessed by the victim,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each of the 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2.3㎓의 제 2주파수 신호이며,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rocess is a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and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ourth process is a 433 MHz first frequency signal. How to identify the victim loca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은 상기 제 2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4과정에서 수신되어진 주파수 신호에 실장되어진 고유인식코드를 인식하여 동일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2.3㎓의 제 2주파수 신호와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에 한하여 각 주파수가 수신된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fth step recognizes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unique recognition code mounted o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in the fourth step, and generates a second frequency signal of 2.3 GHz in which the same identification code is mounted and 433 MHz Wherein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s are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ces of the received times of the respective frequenci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the disturbance frequency.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에 있어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출부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출부와;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의 동작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부; 및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
A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specific survival means possessed by the victim;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The distress signal position recognition metho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signal by using the disturbanc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operation times of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Distress signal delivery device applying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difference.
제 5항에 있어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unique code imprint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es.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되 상기 고유코드 각인부에 저장되어진 고유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Further comprising a unique code imprint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es,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ransmits a unique code stored in the unique code imprinting unit Wherein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요청하는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distress signal sending operation switch for reques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The distress signal sending apparatus applying the distress position recogniz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speed of different frequenci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는 파워스위치 혹은 워터 센서 혹은 충격감지센서 혹은 공기주입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송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tress signal sending operation switch is any one of a power switch, a water sensor, an impact sensor, and an air injection sensor.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433㎒의 저주파 신호 혹은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의 현재 수신 방향을 임시 조정시키는 수신방향 감지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2.3㎓의 고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433㎒의 저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서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에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어진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어진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되어진 이격거리와 상기 수신방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어진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 인식하는 조난위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
A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specific survival means possessed by the victim;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A distress signal position recognition method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distress signal based on a speed difference of a different frequency;
An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A receiving direction detector for temporarily adjusting a current receiving direction of the antenna when receiving a 433 MHz low frequency signal or a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used as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 second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high frequency signals of 2.3 G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first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counter for counting a time from a time when the second frequency receiver receives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o a time when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is received from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A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to a position where the 433 MHz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using the difference of the counted time at the counter; And
And a distress location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nd recognizing the location of a distressed person based on a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and a reception direction sensed by the reception direction sensing unit. Method of applying distress signal receiv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인식부에서 인식되어진 조난자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조난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distress loc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recognized by the distress location recognizing unit on the electronic map.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서로 동일한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에 한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방법을 적용한 조난신호 수신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unter operates only for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in which the sam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mounted.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의 구명수단에서 일정 시간을 주기로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조난신호 송출과정과;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의 제 1주파수 신호와 제 2주파수 신호 간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조난자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거리와 조난신호 수신 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조난자 위치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출부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출부와,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의 동작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부, 및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조난신호 송출 장치와;
전방향성 혹은 단방향성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433㎒의 저주파 신호 혹은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의 현재 수신 방향을 임시 조정시키는 수신방향 감지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2.3㎓의 고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조난신호 중 433㎒의 저주파 신호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서 2.3㎓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에서 433㎒의 저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어진 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어진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되어진 이격거리와 상기 수신방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어진 수신방향을 기준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산출 인식하는 조난위치 인식부를 구비하는 조난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A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step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specific survival means possessed by the victim;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ress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f the distr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s to the distressed person, A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distressed person;
A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and a synchronization section for synchroniz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section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433 MHz first frequency signal and a 2.3 GHz high frequency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 reception direction sensing unit for temporarily adjusting a current reception direction of the antenna when receiving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or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used as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 first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second frequency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low frequency signals of 433 MHz among the distr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counter for counting the time from the reception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o the reception of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from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to the reception of the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The distance between the low-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frequency signal of 2.3 GHz is calculated at the same time And a distress signal receiver for calculating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distressor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or and the reception direction sensed by the reception direction sensor, A distress loca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different speeds of different frequencies.
제 13항에 있어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unique code imprint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es.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조난신호 송출 장치 각각에 대한 고유의 고유코드를 부여함에 따른 해당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 각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주파수 송출부와 제2주파수 송출부를 통해 433㎒의 제 1주파수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일정 시간단위 동안 송출하되 상기 고유코드 각인부에 저장되어진 고유코드를 송출하는 각 주파수신호에 실장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Further comprising a unique code imprint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es,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first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through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ransmits a unique code stored in the unique code imprinting unit And the frequency domain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frequency signal so as to be transmitt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요청하는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distress signal sending operation switch for reques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 송출 작동스위치는 파워스위치 혹은 워터 센서 혹은 충격감지센서 혹은 공기주입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istress signal sending operation switch is any one of a power switch, a water sensor, an impact sensor, and an air injection senso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인식부에서 인식되어진 조난자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조난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distress loc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recognized by the distressed location recognition unit on the electronic map.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서로 동일한 고유인식코드가 실장되어진 433㎒의 저주파 신호와 2.3㎓의 고주파 신호에 한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주파수의 속도차이를 이용한 조난자 위치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counter operates only for a low frequency signal of 433 MHz and a high frequency signal of 2.3 GHz in which the sam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mounted.
KR20130085182A 2013-07-19 2013-07-19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Ceased KR201500103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5182A KR20150010327A (en) 2013-07-19 2013-07-19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5182A KR20150010327A (en) 2013-07-19 2013-07-19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27A true KR20150010327A (en) 2015-01-28

Family

ID=5248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5182A Ceased KR20150010327A (en) 2013-07-19 2013-07-19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32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81A (en) * 2017-04-20 2018-10-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using drone
KR20190124563A (en) * 2018-04-26 2019-11-05 국방과학연구소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at low power
KR102771096B1 (en) * 2024-01-16 2025-02-24 주식회사 포드림 Distress signal sending apparatus for offshore ship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81A (en) * 2017-04-20 2018-10-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using drone
KR20190124563A (en) * 2018-04-26 2019-11-05 국방과학연구소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at low power
KR102771096B1 (en) * 2024-01-16 2025-02-24 주식회사 포드림 Distress signal sending apparatus for offshore shi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4469A (en) Locomotive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Amin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reporting system using GPS, GPRS and GSM technology
US7855654B2 (en) Location recording system
KR101075563B1 (en) 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and Tracking-Rescue Method Using the Same
CN107077781A (en)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otion model for setting up road traffic participant
KR102098778B1 (en) Lafesaving system on sea using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0425958Y1 (en) Personal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distress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same
GB2537019B (en) A system and/or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transmitter
US20200062175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or emergency request
KR20180042655A (en)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JP2006224737A (en) Railway work section protection system, train mounting device therefor, and portable device for workers
KR20070119446A (en) Personal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and distress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20160240073A1 (en) Impact sen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047249B1 (en) Maritime distress rescue system
KR20150010327A (en) cognition method of distance and direction using the difference of velocities between the difference frequency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932119B1 (en) A Pseudo AIS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KR102192784B1 (en) Maritime life saving system with a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US82429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alert based on acceleration derived from GPS
JP5868607B2 (en) Railway alarm generation system
US9767694B1 (en) Intoxicate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KR101741144B1 (en) Boarding,disembarking management of passengers and the location awareness system
CN109814068A (en) A kind of site staff's positioning system and site staff's localization method
KR1019278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ign information
JP7332303B2 (en) IMAG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OPERATION METHOD OF IMAGING DEVICE
KR20170000721A (en) Passengers and crew control system of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