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416A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9416A KR20150009416A KR20130152519A KR20130152519A KR20150009416A KR 20150009416 A KR20150009416 A KR 20150009416A KR 20130152519 A KR20130152519 A KR 20130152519A KR 20130152519 A KR20130152519 A KR 20130152519A KR 20150009416 A KR20150009416 A KR 20150009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ring
- joint
- flange
- joint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821 foa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10 elbow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4 epoxy coating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용 배관에서 이음관의 경량화와 이음부 구조의 단순화와 함께 상수도관 이음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음부 구조를 갖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강관을 사용하여 상수도용 배관 및 상수도용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관들을 경량화하고, 배관의 단부에 체결공들이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직경이 확대된 소켓부를 형성하며, 그 소켓부에 끼워지는 다른 이음 배관 또는 상수도용 이음관의 단부에 압륜을 체결하여 상수도용 기본 배관에 이음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하되, 압륜과 소켓부를 체결할 때 패킹을 가압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연결되는 이음 배관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링이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지 않게 하여 이음 배관을 충분히 조여 이음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강관을 사용하여 상수도용 배관 및 상수도용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관들을 경량화하고, 배관의 단부에 체결공들이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직경이 확대된 소켓부를 형성하며, 그 소켓부에 끼워지는 다른 이음 배관 또는 상수도용 이음관의 단부에 압륜을 체결하여 상수도용 기본 배관에 이음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하되, 압륜과 소켓부를 체결할 때 패킹을 가압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연결되는 이음 배관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링이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지 않게 하여 이음 배관을 충분히 조여 이음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관의 경량화와 이음부 구조의 단순화와 함께 상수도관 이음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음부 구조를 갖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주철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철관은 일정 길이로 생산되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작업 현장에서 주철관들을 연결하여 상수도관을 시공하였다.
이러한 상수도관의 연결구조의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특허 제10-0845953호의 "배관 연결구"에서는 배관의 외주면에 압륜(10), 스토퍼(20), 제1패킹(30), 제2패킹(40)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차례대로 삽입되고, 연결관(50)의 확관단부에 제2패킹(40), 제1패킹(30) 및 스토퍼(20)가 내삽되며, 상기 압륜(10)과 연결관(50)을 볼트체결하여 결속하게 되는데, 상기 압륜(10)과 연결관(50)을 체결하게 되면, 압륜(10)에 의해 스토퍼(2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스토퍼(20)는 압륜(10)의 경사면(130) 및 연결관(50)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직경이 좁아지게 배관(70)의 외경을 결속하게 되며, 또한 상기 스토퍼(20)가 가압되어 연결관(50)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패킹(30) 및 제2패킹(40)을 가압하게 되어 내삽된 배관(70)의 외경과 상기 제1패킹(30) 및 제2패킹(40)의 내주면과 밀착하게 됨으로써 수밀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관연결구의 스토퍼(20)는 링형으로 일측부분이 절개되어 있음과 아울러 연결관(50)을 향하는 부분과 압륜(10)을 향하는 부분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어, 압륜(10)과 연결관(50)을 볼트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스토퍼(20)가 압륜(10)과 연결관(50)의 경사진 내부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절개된 부분이 조여지면서 스토퍼(20) 내측으로 삽입된 배관의 외주면을 결속하고 또한 제1패킹(30)과 제2패킹(40)도 가압하여 배관(70)과 연결관(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스토퍼(20)가 연결관(50)의 단부 속으로 삽입되면서 연결관(50)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어 충분히 조여지지 못함으로써 스토퍼(20) 내측으로 삽입된 배관의 외주면을 충분히 결속하지 못하게 되고 이 경우 배관(70)이 연결관(50)으로부터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배관(70)이나 연결관(50) 등은 주로 주철로 주물제작하기 때문에 정밀한 크기로 제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연결부위의 수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결부위를 별도로 정밀가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이 수반되고, 무게가 무거워 현장가공이 어려우며, 가공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연결작업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배관 연결구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수도용 배관 및 그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관들을 경량화하고, 배관의 단부에 체결공들이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직경이 확대된 소켓부를 형성하고, 그 소켓부에 끼워지는 다른 이음 배관의 단부에 압륜을 체결하여 상수도관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연장하도록 하되, 압륜과 소켓부를 체결할 때 패킹을 가압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연결되는 이음 배관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링이 이음 배관을 충분히 조여 이음 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음부 구조를 갖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기본 배관과 결합될 다른 이음 배관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직경이 외향으로 확대되어 확관경사부가 형성된 소켓부가 배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음 배관의 단부를 중앙에 관통시켜 상기 소켓부에 이탈되지 않게 체결하는 압륜을 포함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경량화를 위하여 강관을 사용하되 외부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하고 내부에는 에폭시가 코팅되며,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에는 자유단부에서 내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공들이 형성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음 배관의 단부에 제공되는 압륜과 키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확관경사부의 내측으로는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확관경사부에 접촉되며 가압시 직각의 외측면이 확관경사부의 개구끝단면까지 가압되는 고무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무링과 압륜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확관경사부의 개구된 끝단면 속으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링형상의 이탈방지링이 설치되어, 이음 배관을 압륜의 내측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기본 배관의 소켓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압륜을 키볼트로 체결할 때, 상기 이탈방지링의 외측면이 압륜경사면의 대경부부터 접촉되면서 측방 및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확관경사부의 개구된 끝단면에 접촉되어 멈출 때까지 상기 고무링을 확관경사부 내측으로 측면가압함과 더불어 이음배관을 조이고, 이후 키볼트로 완전 체결될 때까지 압륜경사면의 소경부측으로 점차 접촉되어 중심방향으로 더욱 조여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링은 단면이 원형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링은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압륜의 내측에 형성된 압륜경사면에 접촉되고, 상기 이탈방지링의 수직측면은 고무링의 외측 수직면과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륜에는 키볼트의 헤드가 배치될 수 있게 상기 플랜지와 대향된 면의 반대쪽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헤드가 배치된 키볼트는 이음 배관에 형성된 플랜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단부에서 너트로 체결되고, 이음 배관의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키볼트의 단부와 너트를 보호하도록 너트보호캡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음 배관의 플랜지와 압륜의 대향면들 사이에는 고무링과 이탈방지링을 부식이나 손상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발포고무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강관을 사용하여 배관을 형성하고, 배관의 외부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하고 내부에는 에폭시 코팅되어 경량화됨으로써 시공시 인건비와 장비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기본 배관에 이음 배관을 연결할 때 이탈방지링이 가압되어 조여질 때 이음 배관의 외부표면의 코팅부위를 누르고 들어감으로써, 누르고 들어간 부분이 걸림턱 역할을 하여 이음 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링이 배관의 확관경사부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고 멈춘 상태에서 압륜에 의해 더욱 조여지므로 이음 배관을 더욱 견고히 고정할 있다.
나아가, 이음 배관의 플랜지와 압륜의 대향면들 사이에는 발포고무링이 제공됨으로써 그 사이에 물이나 흙과 같은 것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링과 이탈방지링이 부식이나 손상으로 부터 보호되고, 이음 배관의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키볼트의 단부와 거기에 체결된 너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너트보호캡이 제공되어 볼트와 너트가 부식으로 부터 보호되며, 고무링은 이탈방지링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됨으로써 이음관에 가해지는 지진발생과 같이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도 균일한 압력분포로 내압에 대한 지지강성이 향상되고 이탈방지링에 의해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이음구조 보다 내진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 구조를 갖는 이음관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음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T자형 이음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엘보형 이음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외부표면에 폴리에틸렌 코팅부가 형성된 배관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 구조를 갖는 이음관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음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T자형 이음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엘보형 이음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외부표면에 폴리에틸렌 코팅부가 형성된 배관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상의 주철관 대용으로 사용하는 일자형 강관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일자형 이음관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수도용 배관(100:100A, 100B)에서 기본 배관(100A)의 일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소켓부(101)가 형성되고, 그 소켓부(101)의 자유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확관된 형태의 확관경사부(102)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101)의 외주면에는 자유단부에서 내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볼트 체결공(104)들이 형성된 플랜지(10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101)에는 결합될 배관인 이음 배관(100B)의 단부(106)가 끼워지며, 상기 이음 배관(100B)의 단부(106)에는 외주면상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압륜(110)이 관통되어 배치된다.
상기 압륜(110)은 환형으로서 이음 배관(100B)의 외주면에 면한 내측부가 소켓부(101)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커지는 압륜경사면(111)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측부에는 상기 소켓부(101)에 형성된 체결공(104)들과 볼트로, 예를 들어 키볼트(114)로 체결될 수 있게 체결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본 배관(100A)의 자유단부의 확관경사부(102)과 상기 이음 배관(100B) 단부(106)에 제공되는 압륜(110)의 내측부에 형성된 압륜경사면(111) 사이에는 배관의 연결부에서의 시일을 위한 고무링(113)과, 그 고무링(113)을 확관경사부(102)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이탈방지링(112)이 설치된다. 상기 고무링(113)은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그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확관경사부(102)에 접촉되며, 외측부는 배관(100B)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링(112)은 탄성이 있는 금속제로서 부분적으로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압륜(110)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111)에 접촉되며, 소켓부(101)를 향하는 외측부는 배관(100B)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링(112)의 외측부의 외경은 이탈방지링(112)이 최대한 조여졌을 때 확관경사부(102)의 입구인 끝단면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링(112)과 고무링(113)의 외측부는 서로 수직면이 접촉되게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탈방지링(112)은 키볼트(114)로 압륜(110)을 소켓부(101)의 플랜지(105)에 체결할 때, 압륜(110)의 압륜경사면(111)에 의해 이탈방지링(112)의 경사면에 작용되는 힘의 수평방향 분력은 이탈방지링(112)의 외측부가 확관경사부(102)의 입구와 접촉하여 멈출 때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고무링(113)을 가압함으로써 기본 배관(100A)과 이음 배관(100B)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수밀을 유지되게 한다.
또한 이음 배관(100B)을 향하는 중심방향의 수직방향 분력은 이탈방지링(112)의 경사면이 압륜(110)의 경사면(111)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됨에 따라 절개된 이탈방지링(112)의 양단부가 밀착될 정도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이탈방지링(112)의 저면이 이음 배관(100B)의 단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면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음 배관(100B)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이음 배관(100B)이 소켓부(101)에서 빠지지 않고 유지되게 한다.
특히, 이탈방지링(112)은 압륜(110)에 의해 소켓부(101)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될 때 압륜경사부(111)와 접촉되어 절개된 양단부가 밀착되면서 조여지다가, 이탈방지링(112)의 외측부가 확관경사부(102)의 입구와 접촉하여 이동이 멈춘 상태에서 압륜(110)에 의해 수직방향 분력이 더욱 작용되면 절개된 이탈방지링(112)의 양단부가 거의 완전히 밀착되도록 조여지면서 이음 배관(100B)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이탈방지링(112)이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륜(110)에는 키볼트(114)의 헤드가 배치될 수 있게 상기 플랜지와 대향된 면의 반대쪽에 요홈부(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116)에 헤드가 배치된 키볼트(114)는 배관(100)에 형성된 플랜지(105)의 체결공(104)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단부에서 너트(117)로 체결된다.
상기 기본 배관(100A)의 플랜지(105)와 압륜(110)의 대향면들 사이의 키볼트(114)의 둘레에는 발포고무링(118)이 제공됨으로써 키볼트(114) 둘레의 부식을 보호한다. 또한, 배관의 플랜지(105)에서 돌출되는 키볼트(114)의 단부와 거기에 체결된 너트(117)를 보호하기 위하여 너트보호캡(119)이 제공되어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압륜(110)의 요홈부(116)에도 거기에 배치되는 키볼트(114)의 헤드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시일용 고무패드(120)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기본 배관(100A)의 플랜지(105)와 압륜(110) 사이에 키볼트(114)를 체결하여 너트(117)로 조임에 따라, 기본 배관(100A)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된 플랜지(105) 쪽으로 압륜(110)이 이동되면서 압륜과 함께 그 내측에 제공된 이탈방지링(112) 또한 이동되어 기본 배관(100A)의 확관경사면(102)에 대하여 고무링(113)을 압축시켜 압력에 견딜 수 있으며, 이음 배관(100B)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준다. 고무링(113)은 이탈방지링(112)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됨으로써 배관(100A, 100B)에 가해지는 지진발생과 같이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도 균일한 압력분포로 내압에 대한 지지강성이 향상되고 이탈방지링(112)에 의해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이음구조 보다 내진 강도가 증가된다.
도 6과 7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관 연결장치의 구조를 T자형 이음관(200)과 엘보형 이음관(300)에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T자형 이음관(200)의 단부들과 엘보형 이음관(300)의 양단부들에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소켓부를 형성하고, 그에 대향되게 압륜과 고무링 및 이탈방지링을 배치하여 키볼트로 체결하여 이음관 또는 상수도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링(212)의 형상이 그 단면이 원형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구성 및 작용에 있어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탈방지링(212)의 구조 및 작용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탈방지링(212)은 앞의 실시예와 달리 단면이 원형인 환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탈방지링(212)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봉재를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의 환봉으로 절곡하여 사용함으로써 가공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링(212)의 단면의 직경은 확관경사부(102)의 개구된 끝단면 속으로 삽입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링(212)은 키볼트(114)를 조임에 따라 압륜(110)에 의해 확관경사부(102)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될 때 압륜경사부(111)와 접촉되어 절개된 양단부가 점차 밀착되면서 조여지다가, 이탈방지링(212)의 측부가 확관경사부(102)의 입구와 접촉하여 이동이 멈춘 상태에서 압륜(110)에 의해 수직방향 분력이 더욱 작용되면 절개된 이탈방지링(212)의 양단부가 거의 완전히 밀착되도록 조여지면서 이음 배관(100B)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이탈방지링(112)이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배관(100)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경량화를 위하여 강관을 사용하되, 외부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 코팅부(1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을 연결하고 연결된 배관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키볼트(114)를 조여 압륜(110)으로 이탈방지링(112)(212)과 고무링(113)을 가압할 때 이탈방지링(112)(212)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분력으로 이음 배관(100B)의 외부표면의 코팅부(150)을 누르고 들어가게 되고, 누르고 들어간 부분에 의해 이음 배관(100B)이 이탈방지링(112)(212)에 걸려진 형태가 되어 이음 배관(100B)이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강관 뿐만 아니라 PVC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상수도용의 주철재의 본관에 대한 분기관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주철관들 사이의 이음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장치에서 소켓부와 플랜지 및 확관형태의 경사면의 구성은 이음관 제조시 형성할 수도 있고, 플랜지는 별도로 제조하여 용접에 의해 이음관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는 생산공정이 빠르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두께 4mm의 강철관 내부에 두께 2mm의 에폭시 코팅을 한 이음관을, 상기한 종래 기술의 신축이탈방지압륜을 적용한 두께 7.4mm의 주철관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규격 80A에 대하여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규격 | 강관이음관 | 주철이음관 | ||
최대압력(kgf) | 내진압력(kgf) | 최대압력(kgf) | 내진압력(kgf) | |
80A | 92 | 55 | 85 | 30 |
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강관 이음관은 최대압력과 내진압력에서 스파이크와 가압링을 구비한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를 적용한 종래 주철이음관과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최대압력과 내진압력을 나타냈고, 스파이크를 사용하지 않아 부품이 감소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은 종래 상수도용의 주철관의 이음부 구조에 대하여 이음관을 강관으로 하고, 이음관의 단부에 압륜과 결합되는 이음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수도용 이음관으로 이용할 수 있다.
100 ; 이음관 101 : 소켓부
102 : 경사면 105 : 플랜지
110 : 압륜 111 ; 경사면
112 : 이탈방지링 113 : 고무링
114 : 키볼트 118 : 발포고무링
102 : 경사면 105 : 플랜지
110 : 압륜 111 ; 경사면
112 : 이탈방지링 113 : 고무링
114 : 키볼트 118 : 발포고무링
Claims (5)
- 기본 배관과 결합될 다른 이음 배관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직경이 외향으로 확대되어 확관경사부가 형성된 소켓부가 배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음 배관의 단부를 중앙에 관통시켜 상기 소켓부에 이탈되지 않게 체결하는 압륜을 포함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경량화를 위하여 강관을 사용하되 외부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하고 내부에는 에폭시가 코팅되며,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에는 자유단부에서 내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공들이 형성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음 배관의 단부에 제공되는 압륜과 키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확관경사부의 내측으로는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확관경사부에 접촉되며 가압시 직각의 외측면이 확관경사부의 개구끝단면까지 가압되는 고무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무링과 압륜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확관경사부의 개구된 끝단면 속으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링형상의 이탈방지링이 설치되어,
이음 배관을 압륜의 내측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기본 배관의 소켓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압륜을 키볼트로 체결할 때, 상기 이탈방지링의 외측면이 압륜경사면의 대경부부터 접촉되면서 측방 및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확관경사부의 개구된 끝단면에 접촉되어 멈출 때까지 상기 고무링을 확관경사부 내측으로 측면가압함과 더불어 이음배관을 조이고, 이후 키볼트로 완전 체결될 때까지 압륜경사면의 소경부측으로 점차 접촉되어 중심방향으로 더욱 조여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단면이 원형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단면이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이 압륜의 내측에 형성된 압륜경사면에 접촉되고, 상기 이탈방지링의 수직측면은 고무링의 외측 수직면과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에는 키볼트의 헤드가 배치될 수 있게 상기 플랜지와 대향된 면의 반대쪽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헤드가 배치된 키볼트는 이음 배관에 형성된 플랜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단부에서 너트로 체결되고, 이음 배관의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키볼트의 단부와 너트를 보호하도록 너트보호캡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배관의 플랜지와 압륜의 대향면들 사이에는 고무링과 이탈방지링을 부식이나 손상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발포고무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159A KR101512940B1 (ko) | 2013-07-16 | 2014-06-25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3276 | 2013-07-16 | ||
KR1020130083276 | 2013-07-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416A true KR20150009416A (ko) | 2015-01-26 |
Family
ID=52572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52519A Pending KR20150009416A (ko) | 2013-07-16 | 2013-12-09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장치 |
KR10201400781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2940B1 (ko) | 2013-07-16 | 2014-06-25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 구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1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2940B1 (ko) | 2013-07-16 | 2014-06-25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5000941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53917A (zh) * | 2017-10-12 | 2019-04-19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配管部结合构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258B1 (ko) * | 2017-08-04 | 2018-02-28 | (주)에이치엔피테크 | 유동형 이음관 |
KR200489918Y1 (ko) | 2018-02-27 | 2019-10-21 |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 내진성이 우수한 매립 압력관용 연결관 구조 |
KR20190002238U (ko) | 2018-02-27 | 2019-09-04 |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 내진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구조 |
KR102095325B1 (ko) * | 2018-10-05 | 2020-03-31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소켓을 가진 피복강관, 피복강관 제조방법 및 피복강관 연결구조 |
KR20210027843A (ko) | 2019-09-03 | 2021-03-11 | (주)에이치엔피테크 | 수도용 경질 pvc 파이프의 결합구조 |
KR102110822B1 (ko) | 2020-03-09 | 2020-05-13 | (주)에이치엔피테크 | 압륜을 이용한 링 조인트 배관 결합장치 |
KR102158132B1 (ko) * | 2020-08-18 | 2020-09-21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피복강관 제조방법 |
KR102510309B1 (ko) | 2022-06-17 | 2023-03-15 | (주)에이치엔피테크 | 이중 실링구조를 구비하는 배관 연결 구조 |
-
2013
- 2013-12-09 KR KR20130152519A patent/KR20150009416A/ko active Pending
-
2014
- 2014-06-25 KR KR1020140078159A patent/KR10151294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53917A (zh) * | 2017-10-12 | 2019-04-19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配管部结合构造 |
CN109653917B (zh) * | 2017-10-12 | 2021-04-16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配管部结合构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438A (ko) | 2015-01-26 |
KR101512940B1 (ko) | 2015-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2940B1 (ko) |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 구조 | |
US9163760B2 (en) | Pipe joint restraint apparatus | |
US4568112A (en) | Pipe joint restrainer glands | |
JP6142427B2 (ja) |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 |
JPS6124593B2 (ko) | ||
US9879805B2 (en) | Pipe coupl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WO2015170407A1 (ja) |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 |
US9951896B2 (en) | Pipe couplers and methods | |
US9982817B2 (en) | Separation preventive pipe joint and pipeline constituent member | |
US11098827B2 (en) | Tubula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6262544B2 (ja) |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 |
JP6133762B2 (ja) |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 |
KR101267263B1 (ko) |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 |
JP6327897B2 (ja) |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 |
KR102276622B1 (ko) |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 |
JP2024009299A (ja) | 管継手離脱防止構造 | |
CA2732048C (en) |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 |
JP6591738B2 (ja) |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 |
KR20050046508A (ko) | 관 접속구조 | |
US4678211A (en) | Joints formed with welded flange pipes | |
JP2006112541A (ja) |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 |
KR101638312B1 (ko) | 관이음용 어댑터 | |
US11499655B2 (en) | Pipe retaining device for pipe fitting | |
JP7499077B2 (ja) | 管体の離脱防止継ぎ手、離脱防止構造、及び、離脱防止構造の施工方法 | |
KR102524410B1 (ko) |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13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