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176A - Automotive lamp - Google Patents
Automotive l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9176A KR20150009176A KR1020130083311A KR20130083311A KR20150009176A KR 20150009176 A KR20150009176 A KR 20150009176A KR 1020130083311 A KR1020130083311 A KR 1020130083311A KR 20130083311 A KR20130083311 A KR 20130083311A KR 20150009176 A KR20150009176 A KR 201500091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optical member
- reflector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반사광을 발생시키는 리플렉터 및 입사된 상기 광원의 직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that expresses a specific image using light leakag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by the light source to generate reflected light, and an optical system that forms a predetermined image of a predetermined shape by using the incident light or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source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that expresses a specific image using light leakag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 모듈을 구비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includes a lamp module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nighttime,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or road users of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For example, headlights and fog lights are aimed at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ights, taillights, brake lights, side markers and the like are intended for signal functions.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the lamp module has exceeded merely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ignal function, so that a specific type of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and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product of a specific maker.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have differentiation from other products through it because it has been a long-lasting technology to transform the shape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Therefore, the emergence of an invention for a vehicle lamp that can give a clearer differentiation from other products is required.
본 발명은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resent a specific image using light leakag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반사광을 발생시키는 리플렉터 및 입사된 상기 광원의 직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by the light source and generating a reflected light,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by the light source, Type optical memb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차량용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될 때 특정 이미지 내지 형상이 표현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pecific image or shape is expressed when the vehicle lamp is turned on or off.
둘째,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광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있다.Second, since the light leakag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is utiliz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leakage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vehicle.
6 is a plan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ide view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imag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광원 모듈(100), 리플렉터(200), 지지부(300) 및 광학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광원 모듈(100)은 빛을 발생시켜 광축을 따라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광원 모듈(100)은 광원(110)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1은 광원(110) 및 그 아래 쪽에 광원(110)을 부착하고 있는 광원 패널로 구성된 광원 모듈(100)을 도시하고 있다.The
그러나, 본원발명의 광원 모듈(100)이 반드시 광원(110)과 광원 패널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광원 모듈(100)은 광원(11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원(110)을 부착하고 있는 수단도 패널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However, the
또한, 본 발명에서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지향성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벌브와 같이 무지향성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이 이용되는 경우 이를 지향성 빔 패턴으로 전환시켜주는 반사판(미도시) 또는 렌즈(미도시) 등이 광원 모듈(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리플렉터(200)는 광원(110)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반사광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반사광을 원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플렉터(200)는 광원 모듈(10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110)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반사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리플렉터(200)는 광원(110)에 의한 빛이 반사된 지점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리플렉터(200)의 반사면은 포물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포물 곡면의 초점에 광원(11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광원(110)에 의한 빛이 리플렉터(200)의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경우 모든 반사광이 평행하게 조사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리플렉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복수의 반사판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반사판 조각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광원(110)에 의한 빛은 반사되는 반사판 조각의 위치에 따라 조사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즉, 하나의 반사판 조각에 의하여 형성되는 반사 영역 중 특정 지점에서 반사된 반사광과 다른 지점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조사 방향은 다른 것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각 반사판 조각의 중앙에 광원(110)의 빛이 조사되어 반사되는 경우 그 반사광은 모든 반사판 조각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200)가 포물 곡면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광원(110)이 포물 곡면의 초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모든 반사광은 평행하게 조사되는데, 모든 반사판 조각의 중앙이 포물 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반사광이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이다.When the light from the
그러나, 본 발명의 리플렉터(200)에 포함된 반사판 조각의 배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또는 일부 반사판 조각은 그 중심이 포물 곡면에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부 또는 전체 반사판 조각의 중심이 포물 곡면에 접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반사광의 조사 방향은 보다 다양하게 된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reflector pieces included in the
이상과 같은 하나의 포물 곡면 또는 복수의 반사판 조각에 의하여 반사된 빛(반사광)은 동일한 방향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조사되는데, 차량용 램프(10)가 전조등인 경우 반사광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one parabolic surface or a plurality of reflector pieces is irradiated in the same direction or a similar direction. When the
광학 부재(400)는 입사된 광원(110)의 직광 또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 부재(4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광체인 것이 바람직한데, 도광체인 광학 부재(400)를 통하여 빛이 입사됨에 따라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광학 부재(400)에 형성된 일정한 형태의 형상으로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인식된다.The
전술한 로우 빔 패턴은 반사광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는 광원(110)의 직광 및 반사광은 로우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광 즉, 누광을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low beam pattern is formed by reflected light. The direct light and reflected light of the
즉, 광원(110)의 빛이 지향성 패턴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광원(110)에 의하여 직접 발생된 직광 또는 리플렉터(200)에 의한 반사된 반사광의 모두가 로우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지 못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light of the
본 발명의 광학 부재(400)는 로우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누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이미지 형성을 위한 별도의 광원(110)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누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도 없게 된다.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200)를 구성하는 반사판 조각 중 일부 또는 전체 반사판 조각의 중심이 포물 곡면에 접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반사광의 조사 방향은 보다 다양해지는데, 이러한 경우 광학 부재(400)로 유입되는 빛이 증가하게 되어 광학 부재(400)에 의한 이미지 형성 효과는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enter of a part or all of the reflector pieces constituting the
광학 부재(400)는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된 광 변형 수단(410, 420)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광 변형 수단(410, 420)은 광 굴절 패턴, 스크래치 및 페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은 직선 형태의 광 굴절 패턴 또는 스크래치가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수직 단면이 페인트로 칠해진 광학 부재(400)를 도시하고 있다. 페인트는 흰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이 이용될 수도 있다. 유색 페인트가 이용되는 경우 광원(110)의 색상과 페인트의 색상이 결합하여 이미지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The
광원(110)의 빛이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는 경우 입사된 빛은 광학 부재(400)의 내부에서 표면을 따라 반사되면서 이동하다가 광 변형 수단(410, 420)에 다다르게 되면 굴절되거나 산란되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거나 낮은 휘도를 가지면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light from the
광학 부재(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미지는 면발광 이미지(520)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400)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일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수직 단면을 따라 도포된 페인트에 의하여 면발광 이미지(5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image formed by the
여기서, 면발광 이미지(520)는 광학 부재(400)의 판 표면 또는 판 측면으로 입사된 광원(110)의 직광 또는 반사광이 이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본 발명의 광학 부재(400)가 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은 면발광 이미지(520)를 형성하는 광 변형 수단(420)이 "U"자 형이고 광학 부재(400)의 내부에 구비된 광 변형 수단(410)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즉, 광학 부재(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미지는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의 광학 부재(400)는 판의 표면에 형성된 옵틱에 의하여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옵틱은 광 굴절 패턴 및 스크래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은 직선 형태의 스크래치에 의한 직선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That is, the image formed by the
결국, 본 발명에서 광원(110)의 빛이 이용되어 광학 부재(400)상에서 형성되는 이미지는 광 굴절 패턴에 의한 빛의 굴절이 이용되거나, 스크래치 또는 페인트에 의한 빛의 산란이 이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직선 패턴, 곡선 패턴, 다각형 패턴 또는 면 패턴과 같은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formed on the
지지부(300)는 리플렉터(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리플렉터(200)는 얇은 판형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데, 지지부(300)는 리플렉터(200)의 양측을 고정시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ing
또한, 지지부(300)는 그 일측이 광학 부재(400)의 일측과 결합하여 리플렉터(200)와 광학 부재(400)간의 접합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ing
따라서, 리플렉터(200)의 재료가 단단한 재질이거나 리플렉터(200)와 광학 부재(400)를 직접 접합시키는 경우 지지부(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로서, 광학 부재(400)의 일측이 리플렉터(200)에 접해 있고, 지지부(300)가 광학 부재(400)와 리플렉터(200)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광학 부재(400)의 표면 또는 내부에는 광 변형 수단(410, 420)이 구비되어 있는데, 광원 모듈(100)의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의 직광 또는 리플렉터(200)를 통하여 반사된 반사광이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는 경우 광 변형 수단(410, 420)에 의하여 일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The
도 2는 광학 부재(400)의 내부에 직선 형태로 광 변형 수단(410)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직선 형태의 이미지가 광학 부재(400)의 내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단면에 "U"자 형태로 형성된 광 변형 수단(420)에 의하여 "U"자 형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2 shows tha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이다. 리플렉터(200)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전술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광학 부재(400)로 입사된 빛은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도 3은 "U"자 형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3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flected by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량용 램프(10)가 전조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s. 4 and 5 show that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showing that the
도 4는 차량용 램프(10)가 소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차량용 램프(10)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소등된 상태에서는 차량용 램프(10)의 면발광 이미지(510)가 명확하지 않으나, 점등된 상태에서는 "U"자 형태의 면발광 이미지(520)가 뚜렷하게 된다.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차량용 램프(10)에 의한 로우 빔 패턴이 면발광 이미지(520)와 함께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빔 패턴 및 면발광 이미지(520)의 조합에 의하여 다른 차량용 램프와는 차별성 있는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a low beam pattern b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로서, 광원(110)의 빛이 빔 패턴을 위하여 조사되거나 이미지 형성을 위하여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plan view of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light from a
광학 부재(400)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서, 리플렉터(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광학 부재(400)의 측면이 밀착되어 배치되는데, 광원(110)의 직광 또는 반사광이 광학 부재(400)의 판 표면 또는 판 측면으로 입사되어 이미지를 형성한다.The
즉, 리플렉터(200)에 의하여 반사된 빛(610, 630, 640) 중 일부(610)는 전방으로 조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되고, 또 다른 일부(630, 640)는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어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That is, a
여기서,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는 빛은 반사광(630, 640)뿐만 아니라 직광(6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원(110)에서 발생된 빛이 리플렉터(200)에 반사되지 않고 직접 광학 부재(400)로 입사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light incident on the
본 발명의 광학 부재(400)는 "U"자 형으로 절곡된 판형일 수 있는데, 판 표면 또는 판 측면으로 입사된 광원(110)의 직광(620) 또는 반사광(630, 640)에 의하여 면발광 이미지(520)을 비롯한 다양한 이미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하여, 광학 부재(400)는 단차를 두어 지지부(300)와 접할 수 있으며, 지지부(300)에 접하는 광학 부재(400)의 측면이 리플렉터(200)의 전체 영역 안에 포함될 수 있다.For this, the
이에 따라, 광원(110)의 빛이 광학 부재(400)의 측면으로 입사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광 변형 수단(410, 420)에 의한 이미지 형성이 보다 뚜렷해 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from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로서, 광원(110)의 조사 방향에 따른 반사 효율을 나타낸 도면이다.FIGS. 7 and 8 are side views of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refle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지향성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러한 광원(110)에 의한 빛은 일정한 조사 각도 범위(700)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범위의 각도(700)를 가지고 빛이 조사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 light is irradiated with a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포물 곡면을 가지고 있는 리플렉터(200)로 광원(110)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의 빛(710)은 리플렉터(200)로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낭비된다.7, when the light of the
이렇게 리플렉터(200)로 조사되지 않은 빛(710)은 광학 부재(400)로 전달되어 이미지 형성에 이용될 수는 있으나, 로우 빔의 휘도가 감소된다.The light 710 not irradiated by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200)에 대한 광원(110)의 지향 각도(800)는 광원(110)의 조사 각도 범위가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For this, the
도 8은 광원(110)의 조사 각도 범위(700) 및 리플렉터(200)의 배치를 고려하여 광원(110)의 지향 각도(800)가 결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와 같이 광원(110)의 조사 각도 범위(700)에 포함된 빛이 모두 리플렉터(200)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로우 빔의 휘도가 상승하게 된다.8 is a view showing that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리플렉터(200)에 의하여 반사된 광원(110)의 빛이 빔 패턴을 형성하거나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어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light from a
리플렉터(200)에 의하여 반사된 빛(610, 631, 632, 640) 중 일부(610)는 전방으로 조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되고, 나머지 일부(631, 632, 640)는 광학 부재(400)로 입사되어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데, 광학 부재(400)로 입사된 빛(631, 632, 640)은 광학 부재(400)의 내부에서 표면을 따라 반사되면서 이동하다가 광 변형 수단(410, 420)에 다다르게 되면 굴절되거나 산란되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거나 낮은 휘도를 갖게 된다.A
도 9는 반사광(631, 632, 640)이 광학 부재(400)의 표면 또는 측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입사된 빛은 광학 부재(400) 내부의 광 변형 수단(410)에 도달하여 직선 이미지를 형성하거나 수직 단면에 도달하여 면발광 이미지(520)를 형성한다.9 shows that the reflected
이와 같이, 광학 부재(400)로 입사된 빛(631, 632, 640)이 광학 부재(400)를 완전히 투과하지 않고 그 내부 표면에 의하여 반사되어 광 변형 수단(410, 42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400)의 표면은 빛의 입사는 자유롭지만 출사가 자유롭지 않도록 코팅 처리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light 631, 632, and 640 incident on th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광원 모듈 110: 광원
200: 리플렉터 300: 지지부
400: 광학 부재 410, 420: 광 변형 수단100: light source module 110: light source
200: reflector 300:
400:
Claims (13)
상기 광원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반사광을 발생시키는 리플렉터; 및
입사된 상기 광원의 직광 또는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Light source;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by the light source to generate reflected light; And
And an optical member for form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type predetermined by using the direct light of the light source or the reflected light of the incident light source.
상기 반사광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ed light forms a low beam pattern.
상기 광학 부재로 입사되는 상기 광원의 직광 및 반사광은 상기 로우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광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rec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source incident on the optical member include light not used for forming the low beam pattern.
상기 광원의 조사 각도 범위가 고려되어 상기 리플렉터에 대한 상기 광원의 지향 각도가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sourc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etermine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light source with respect to the reflector.
상기 이미지는 면발광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comprises surface emission.
상기 광학 부재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서 판의 수직 단면을 따라 도포된 페인트에 의하여 상기 면발광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tical member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surface light emission is formed by a paint applied along a vertical section of the plate.
상기 면발광의 형상은 "U"자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hape of the surface emitting light includes a "U" shape.
상기 광학 부재의 판 표면 또는 판 측면으로 입사된 상기 광원의 직광 또는 상기 반사광에 의하여 상기 면발광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rface light emission is formed by the direct light or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source incident on a plate surface or a plate side of the optical member.
상기 광학 부재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서 판의 표면에 형성된 옵틱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member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image is formed by an optic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상기 옵틱은 광 굴절 패턴 및 스크래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tic is formed by at least one of a light refraction pattern and a scratch.
상기 이미지는 직선 패턴, 곡선 패턴 또는 다각형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mage comprises a straight pattern, a curved pattern, or a polygonal pattern.
상기 광학 부재의 판 표면 또는 판 측면으로 입사된 상기 광원의 직광 또는 상기 반사광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mage is formed by the direct light or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source incident on a plate surface or a plate side of the optical member.
상기 광학 부재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광학 부재의 측면이 밀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member is of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is closely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reflector.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3311A KR20150009176A (en) | 2013-07-16 | 2013-07-16 | Automotive lamp |
US14/333,216 US20150023039A1 (en) | 2013-07-16 | 2014-07-16 | Vehicle lamp |
CN201420392167.2U CN203963757U (en) | 2013-07-16 | 2014-07-16 | Automotive l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3311A KR20150009176A (en) | 2013-07-16 | 2013-07-16 | Automotive lam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176A true KR20150009176A (en) | 2015-01-26 |
Family
ID=5257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3311A Ceased KR20150009176A (en) | 2013-07-16 | 2013-07-16 | Automotive la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917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060A (en) * | 2019-03-20 | 2020-10-05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Illumination device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thereof |
-
2013
- 2013-07-16 KR KR1020130083311A patent/KR2015000917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060A (en) * | 2019-03-20 | 2020-10-05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Illumination device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thereof |
WO2020190027A3 (en) * | 2019-03-20 | 2020-11-19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Lighting apparatus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lighting apparatus |
CN113646581A (en) * | 2019-03-20 | 2021-11-12 | 首尔半导体株式会社 | Lighting device and moving vehicle provided with same |
EP3943811A4 (en) * | 2019-03-20 | 2022-11-30 | Seoul Semiconductor Co., Ltd. | LIGHTING DEVICE AND MOBILE VEHICLE WITH LIGHTING DEVICE |
US11649940B2 (en) | 2019-03-20 | 2023-05-16 | Seoul Semiconductor Co., Ltd. | Lighting apparatus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lighting apparatus |
US12038145B2 (en) | 2019-03-20 | 2024-07-16 | Seoul Semiconductor Co., Ltd. | Lighting apparatus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lighting apparatus |
US12253230B2 (en) | 2019-03-20 | 2025-03-18 | Seoul Semiconductor Co., Ltd. | Lighting apparatus and mobile vehicle comprising light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5857B2 (en) | Vehicle headlamp and light guide lens | |
CN109506205B (en) | Light beam adjusting device, vehicle lamp and motor vehicle | |
JP4930787B2 (en) | VEHICLE LIGHT AND LIGHT GUIDE LENS USED FOR VEHICLE LIGHT | |
JP6246437B2 (en) | Headlight light source and moving body headlight | |
US7997778B2 (en) | Vehicle light | |
US8920009B2 (en) | Lamp device for vehicle | |
CN203963757U (en) | Automotive lamp | |
US20200158309A1 (en) |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 |
US8109664B2 (en) | Vehicle lighting equipment | |
KR101684004B1 (en) | Light source module of lamp for vehicle | |
JP2006236588A (en) | Optical llumination device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 |
JP6609135B2 (en) |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s | |
JP5168551B2 (en) | Projection lens for lamp, optical unit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 |
US20200072431A1 (en) | Vehicle lamp | |
US20090207610A1 (en) | Combination rear lighting system | |
KR102145189B1 (en) | Lamp for vehicle | |
US9862306B2 (en) | Vehicle decorativ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 |
JP5708991B2 (en) | Vehicle lamp and light guide lens used in vehicle lamp | |
KR20160054984A (en) | Lamp for vehicles | |
KR101486818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064342B1 (en) | Light sourc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US9809162B2 (en) | Vehicle interior spotlight | |
KR102178817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50009176A (en) | Automotive lamp | |
KR20220120287A (en) | Automotive 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