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54A - Airbag device - Google Patents
Airba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5254A KR20150005254A KR20130078926A KR20130078926A KR20150005254A KR 20150005254 A KR20150005254 A KR 20150005254A KR 20130078926 A KR20130078926 A KR 20130078926A KR 20130078926 A KR20130078926 A KR 20130078926A KR 20150005254 A KR20150005254 A KR 201500052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ver
- bottom plate
- airbag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운전석 에어백 장치가 개시된다. 에어백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절첩 상태로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며,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며 에어백의 팽창시 파열되는 티어 라인을 갖는 커버, 및 하우징 및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결합 유닛은 하우징 및 커버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 및 체결 부재가 결합된 체결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A driver's seat airbag apparatus is disclosed. An airbag device includes a housing, an airbag that is received in a folded state inside the housing, an inflator tha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generates gas for inflating the airbag, a cover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has a tear line that ruptures upon inflation of the airbag,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측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device installed on a driver's seat side steering wheel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시트 벨트와는 별도로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보조석 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팽창시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한다. Generally, the airbag device of an automobile inflates the airbag instantaneously betwe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or between the assistant passenger and the instrument panel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elt, thereby protecting the passenger from the impact.
이러한 에어백 장치 중에서 운전석의 운전자를 위한 에어백 장치는 뇌관의 점화에 의해 가스를 발생키는 인플레이터, 그 발생된 가스에 의해 운전석의 운전자 쪽으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설치되며 스티어링 휠에 스포크로 연결된 하우징,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는 혼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충돌시 충격시 충격 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센서와, 그 충격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 뇌관을 점화시키는 전자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Among these airbag apparatuses, an airbag apparatus for a driver of a driver's seat includes an inflator generating gas by ignition of a primer, an airbag inflated and deployed toward the driver's seat by the generated gas, and a housing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by spokes A driver's seat airbag module composed of a horn plat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 impact sensor for generating an impact signal upon impact upon collision, and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for igniting the inflator's primer according to the impact signal.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은 하우징과 결합되며, 하우징 내부에 절첩 상태로 수용된 에어백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 cover for covering the airbag housed in the folded state inside the housing.
커버에는 에어백 전개시 에어백의 팽창 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 라인이 형성된다. A tear line tearing by the inflation pressure of the airbag is formed in the cover when the airbag is deployed.
하우징 및 커버는 통상 후크 및 후크홀에 의해 스냅 핏(snap-fit) 타입으로 고정된다. The housing and the cover are typically secured in a snap-fit manner by hooks and hook holes.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 관계를 개선하여 커버의 상면은 물론 커버의 측부로 연장된 연장부까지 티어 라인을 형성 가능토록 하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ag device which improves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housing and the cover so as to form a tear lin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the extension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cov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절첩 상태로 수용되는 에어백,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파열되는 티어 라인을 갖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된 체결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ba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an airbag that is received in a folded state inside the housing; an inflat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a gas for inflating the airbag; A cover having a tear line that ruptures upon expansion,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wherein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a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engaged.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어 라인은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까지 이어지는 연장된 티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연장부와 이웃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cover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over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tear line includes an extended tear line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the extension, And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닥판 및 상기 하우징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하우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커버 측벽 및 상기 하우징 측벽으로부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바닥판과 중첩되는 커버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 및 상기 커버 바닥판을 결합할 수 있다.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bottom plate and a housing side wall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The cover includes a cover side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over, and a side wall protruding from the housing side wall toward the inside of the cover, And the fastening member can engage the housing bottom plate and the cover bottom plate.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커버 측벽과 접촉하는 보강 측벽 및 상기 커버 바닥판과 접촉하는 보강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sidewall contacting the cover bottom plate and a reinforcing sidewall contacting the cover sidewall.
상기 커버 바닥판에는 상기 보강 바닥판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bottom plate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reinforcing bottom plate is inserted.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에 일체로 결합된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bolt or a nut integrally coupled to the housing bottom plate.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bottom plate.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metal or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커버 및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백 전개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서 커버의 티어 라인을 하우징을 덮는 측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 에어백 전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and the housing are improved in the fastening structure to firmly fix the cover from the housing when the airbag is deployed, and the tear line of the cover is extended to the side portion covering the housing to improve the airbag deployment characteristic.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스냅 핏 방식 및 커버 연장부에 인접한 부근을 체결부재 및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유닛을 통해 커버 및 하우징을 결합함에 따라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and the housing ar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unit includ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vicinity of the snap pit system and the cover extension, thereby facilitating the engagement of the housing and the cover,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v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운전석측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을 따라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해진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표시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bag device on a driver's seat sid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arrow III of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 display portio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이하에서 상부, 상방과 같은 용어는 스티어링 휠의 중심축(C) 방향을 따라 승객(0)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하부, 하방과 같은 용어는 스티어링 중심축(C) 방향을 따라 인스트루먼트패널(I) 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erms such as upper and upper indicate the direction toward the passenger 0 along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C of the steering wheel, and terms such as the lower and the lower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panel C )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커튼 에어백 마운팅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tain airbag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1)는 스티어링 휠(3)에 장착된다. 에어백 장치(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티어 라인(31)을 가지는 커버(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driver's seat airbag apparatus 1 of a vehicle is mounted on a
스티어링 휠(3)은 차량의 조타를 행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백 장치(1)의 하우징(10)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5)을 포함한다.The
하우징(10) 및 커버(30)는 예컨대, 하우징(10)에 형성된 후크(11) 및 커버(30)에 형성된 후크홀(31)에 의해 스냅 핏(snap-fit)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커버(30)는 하우징(10)의 일측부를 덮도록 하방(L)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33)를 포함한다. The
티어 라인(40)은 커버(3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티어 라인(41) 및, 커버(30)의 연장부(33)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 티어 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도면에서는 티어 라인(40)이 상부 티어 라인(41) 및 연장 티어 라인(43)이 일자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지만, 일자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lthough the
커버(30)가 하우징(10)으로터 이탈되거나 파손됨 없이 상부 티어 라인(41) 및 상부 티어 라인(41)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티어 라인(43)이 찢어지기 위해서는 하우징(10) 및 커버(30)의 견고한 결합력이 요구된다. In order to tear the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 장치(1)는 스티어링 휠(3)에 장착된다. 에어백 장치(1)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절첩 상태로 수용된 에어백(20)과 하우징(10)의 개구(11)를 커버하는 커버(30), 및 하우징(1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에어백(20)을 팽창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irbag apparatus 1 is mounted on the
에어백(20)은 천 등의 자루 형상을 가지며, 절첩 상태로 인플레이터(40)와 함께 하우징(10)에 장착된다. The
인플레이터(40)는 에어백(20)을 팽창 전개시킨다. 인플레이터(40)는 짧은 원기둥 형상을 취하며 하우징(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The inflator (40) expands and deploys the airbag (20). The
인플레이터(40) 내에는 점화 장치 및 가스 발생재 등이 조립된다. 차량 충돌시 충격 검지부 등으로부터 검지 신호등을 받으며, 점화 장치가 가스 발생제를 점화한다. 따라서,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고,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에어백(20)내에 공급된다.In the
하우징(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백(20), 인플레이터(40) 및 커버가 장착된다. 도면에서 에어백(20), 인플레이터(34), 커버(30)가 하우징(10)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브라켓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하우징(10)은 인플레이터(40)가 관통 결합되는 하우징 바닥판(15)과 하우징 바닥판(15)으로부터 상방(U)으로 돌출된 하우징 측벽(17)을 포함한다. The
커버(30)는 수지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백(20)을 덮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The
커버(30)의 연장부(33)와 인접한 하우징 측벽(17)에는 커버(10) 및 하우징(10)을 스냅 핏 방식이 아닌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 유닛(50)이 구비된다. A
결합 유닛(50)은 커버(30)의 연장부(33) 내측면으로부터 하방(L)으로 돌출된 커버 측벽(35)과, 커버 측벽(35)으로부터 커버(3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커버 바닥판(15)과 중첩하는 커버 바닥판(37)을 포함한다. The
결합 유닛(50)은 하우징 바닥판(15) 및 커버 바닥판(37)을 결합하는 체결부재, 예컨대 볼트(53) 및 너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결합 유닛(50)은 체결 부재가 결합된 체결 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ngaging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60) for reinforcing the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을 따라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arrow III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커버(30)의 연장부(33)와 이웃하는 부분에는 커버(30) 및 하우징(10)을 체결볼트(53) 및 너트(55)를 통해 결합하는 결합 유닛(50)이 구비된다. 3, a
결합 유닛(50)은 체결 볼트(53) 및 너트(55)가 체결되는 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보강 부재(60)는 커버(30)의 커버 측벽(35)과 접촉하는 보강 측벽(61) 및 커버 바닥판(37)과 접촉하는 보강 바닥판(63)을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보강 부재(60)는 커버(30)보다 강도가 큰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커버 바닥판(37)에는 보강 바닥판(63)이 안착되는 홈(37a)이 형성될 수 있다. 홈(37a)에 의해 보강 부재(60)가 커버 바닥판(3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연장부(33)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하우징(10) 및 커버(30)의 측벽에는 후크(11) 및 후크홀(31)에 의해 스냅 핏 방식으로 결합된다. The side wall of the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표시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 display portio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부재인 볼트(53)는 하우징 바닥판(1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 몰딩시 금형 내에 볼트(53)를 미리 넣어 하우징(10)을 성형하여 볼트(53) 하우징(10)과 일체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4 and 5, the
다르게는 체결 부재인 너트(55)가 하우징 바닥판(15)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river's seat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차량 충돌시 충격 검지부 등으로부터 검지 신호등을 받으며, 인플레이터(40) 내의 점화 장치가 가스 발생제를 점화한다. 따라서,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고,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에어백(20) 내에 공급되어 에어백(20)이 팽창한다.Upon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an impact detection unit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ignition device in the
이와 같이 인플레이터(40)로부터 가스 공급에 의해 에어백(20)이 팽창하며, 에어백(20)이 전개하는 힘을 받아 커버(30)에 형성된 티어 라인(41,43)이 파열되어 벌어진다. The
이때, 커버(30) 및 하우징(10)은 커버(30)에 형성된 후크홀(3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후크(11)을 통해 스냅 핏 방식으로 고정됨과 아울러서, 연장부(33) 부근에 마련된 결합 유닛(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The
따라서, 커버(3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됨 없이 티어 라인(41,43) 부분이 안정적으로 파열되도록 하여 에어백 전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결합 유닛(50)을 대신하여 스냅 핏 방식을 채택할 경우 후크 및 후크홀을 마련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좀더 높은 하우징 측벽(17)이 요구되고, 연장부(33)로 연장되는 연장 티어 라인(43)의 길이에 제한이 따른다. A higher
결합 유닛(50)은 이와 같이 하우징 측벽(17)의 높이를 낮추고 커버(30) 및 하우징(10)의 결합 관계를 보강하여 연장 티어 라인(43)을 연장부(33)까지 길게 형성 가능토록 한다. The
보강 부재(60)는 강도가 높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볼트(53) 및 너트(55)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커버 바닥판(37)에 형성된 홈(37a)에 안착되므로 커버(30)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커버(30) 및 하우징(10)과의 결합성을 향상시킨다. The reinforcing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 에어백 장치 3: 스티어링 휠
10: 하우징 15: 하우징 바닥판
17: 하우징 측벽 30 : 커버
33: 연장부 35: 하우징 측벽
37: 하우징 바닥판 50 : 결합 유닛
60 : 보강 부재 61 : 보강판 측벽
63: 보강판 바닥판 53: 볼트
55: 너트1: airbag device 3: steering wheel
10: housing 15: housing bottom plate
17: housing side wall 30: cover
33: extension part 35: housing side wall
37: housing bottom plate 50: coupling unit
60: reinforcing member 61: reinforcing plate side wall
63: reinforcing plate bottom plate 53: bolt
55: Nut
Claims (8)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절첩 상태로 수용되는 에어백;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파열되는 티어 라인을 갖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된 체결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housing;
An airbag housed in the housing in a folded state;
An inflator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 gas for inflating the airbag;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having a tear line that ruptures upon inflation of the airbag;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 RTI >
The coupling unit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a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어 라인은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까지 이어지는 연장 티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연장부와 이웃하도록 설치된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over one side of the housing,
The tear line including an extended tear line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the extension,
Wherein the coupling unit is arranged adjacent to the extension.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닥판 및 상기 하우징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커버 측벽 및 상기 하우징 측벽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바닥판과 중첩되는 커버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 및 상기 커버 바닥판을 결합하는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bottom plate and a housing side wall protruding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A cover side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over, and a cover bottom plate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ver to overlap with the housing bottom plat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engages the housing bottom plate and the cover bottom plate.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커버 측벽과 접촉하는 보강 측벽 및 상기 커버 바닥판과 접촉하는 보강 바닥판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reinforcing sidewall contacting the cover bottom plate and a reinforcing sidewall contacting the cover side wall.
상기 커버 바닥판에는 상기 보강 바닥판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에어백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ver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reinforcing bottom plate is inserted.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에 일체로 결합된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bolt or a nut integrally coupled to the housing bottom plate.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바닥판과 일체로 성형된 에어백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bottom plate.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comprises a metal or plastic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926A KR101637206B1 (en) | 2013-07-05 | 2013-07-05 | Airba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926A KR101637206B1 (en) | 2013-07-05 | 2013-07-05 | Airba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254A true KR20150005254A (en) | 2015-01-14 |
KR101637206B1 KR101637206B1 (en) | 2016-07-07 |
Family
ID=5247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89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7206B1 (en) | 2013-07-05 | 2013-07-05 | Airba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72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1280937U (en) * | 2019-09-27 | 2020-08-18 | 奥托立夫开发公司 | Airbag modu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8211A (en) * | 1994-02-17 | 1995-08-29 | Toyoda Gosei Co Ltd | Pad of air bag device |
KR19980046300U (en) * | 1996-12-28 | 1998-09-25 | 김영귀 | Airbag Housing Structure |
JPH1148895A (en) | 1997-08-08 | 1999-02-23 | Nippon Plast Co Ltd | Air bag device |
KR20110029980A (en) | 2009-09-17 | 2011-03-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river's seat airbag device |
JP4950814B2 (en) * | 2007-08-31 | 2012-06-13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Steering wheel with airbag device |
-
2013
- 2013-07-05 KR KR1020130078926A patent/KR1016372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8211A (en) * | 1994-02-17 | 1995-08-29 | Toyoda Gosei Co Ltd | Pad of air bag device |
KR19980046300U (en) * | 1996-12-28 | 1998-09-25 | 김영귀 | Airbag Housing Structure |
JPH1148895A (en) | 1997-08-08 | 1999-02-23 | Nippon Plast Co Ltd | Air bag device |
JP4950814B2 (en) * | 2007-08-31 | 2012-06-13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Steering wheel with airbag device |
KR20110029980A (en) | 2009-09-17 | 2011-03-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river's seat airba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7206B1 (en) | 2016-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1581B2 (en) | Knee airbag device for vehicle | |
US7185912B2 (en) |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 |
US8172258B2 (en) |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US20080082236A1 (en) | Airbag apparatus | |
JP2009292441A (en) | Curtain airbag bracket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 |
KR200417596Y1 (en) | Fixing device for vehicle side airbag | |
US20100164204A1 (en) | Seat | |
US20200148153A1 (en) | Knee airbag device | |
US11332096B2 (en) | Knee airbag device | |
US5738366A (en) | Chute structure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 |
KR101637206B1 (en) | Airbag device | |
JP4653885B2 (en) | Airbag device | |
KR200420435Y1 (en) | Inflator Retention Bracket for Side Airbag | |
JP4301123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irbag module | |
KR100938532B1 (en) | Airbag housing | |
KR100745636B1 (en) | Car Side Airbag Holder | |
KR100778589B1 (en) | Car Driver Airbag | |
JPH0542002U (en) | Air bag device | |
KR100698685B1 (en) | Air Bag Device | |
KR100497975B1 (en) | Invisible passenger side airbag door assembly | |
KR100547298B1 (en) | Car Driver Airbag | |
KR100641034B1 (en) | Air-bag module | |
KR100938531B1 (en) | Automotive airbag module and its assembly method | |
JPH0346335B2 (en) | ||
KR100611121B1 (en) | Airba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