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4570U -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 Google Patents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70U
KR20150004570U KR2020150007971U KR20150007971U KR20150004570U KR 20150004570 U KR20150004570 U KR 20150004570U KR 2020150007971 U KR2020150007971 U KR 2020150007971U KR 20150007971 U KR20150007971 U KR 20150007971U KR 20150004570 U KR20150004570 U KR 20150004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main body
outlet
recepta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흠
Original Assignee
한지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흠 filed Critical 한지흠
Priority to KR2020150007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570U/ko
Publication of KR20150004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70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시중에서 판매되는 모든 스위치 달린 콘센트[5]의 경우, 스위치부와 본체부가 접착제로 서로 강력하게 붙어 있는 일체형이다. 따라서 스위치가 고장나면 스위치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아예 버리게 된다. 본 고안은 스위치부만 교체할 수 있게 하였고, 또 스위치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부만으로도 정상적인 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고장난 경우에 아주 유용하다.

Description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A self operative electric outlet without a separable LED switch}
본 고안은 LED 스위치부를 콘센트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콘센트 본체부만으로도 자체 동작하는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영어 : An electric outlet)는 다수의 플러그를 한꺼번에 꽂을 수 있는 멀티 콘센트로서(제1도),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이 LED 스위치(11)를 콘센트 본체부(20)에 내장한 일체형이며, 모양도 주로 일자형이다. 좀 특이한 형태로는[1,2], 김성민의 발명(회전되는 상하 이중구조의 멀티 콘센트[1])과 윤정석의 발명(다기능 멀티 콘센트[2])이 있다.
김성민의 발명[1]은 두개의 일자형 멀티 콘센트를 상하 중첩상태로 조립한 것으로, 둘 중 하나의 콘센트를 회전시켜 두 개의 콘센트를 +자형으로 교차되게 하여 플러그의 머리 형상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윤정석의 특허[2]는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등)나 벽면 등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나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만든 멀티 콘센트이다.
LED 스위치(11)가 달린 콘센트 분야의 발명[1,2]이나 상품[5]은, 상기와 같이, 형상면에서 서로 차이는 있더라도 LED 스위치(11)가 콘센트 본체부(20)에 내장된 일체형이라는 공통점이 있고, 또 콘센트의 외피 플라스틱(21, 22) 구성품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위(23)를 나사로 체결하지 않고 접착제로 강력하게 붙여서 완제품으로 제작했으며, 스위치의 고장도 빈번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스위치만 파손되더라도 (콘센트 본체부(20)로부터 LED 스위치(11)만 분리할 경우 외피 플라스틱(21, 22)이 파괴되게끔 제작되어 있어서) 콘센트 전체를 버릴 수밖에 없다.
상기 발명[1,2]과 상품[5]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스위치를 분리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3]가 소개되었으나, 이것도 여전히 스위치를 분리할 경우, 콘센트 본체만으로 동작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명기기를 on-off 하는 벽 스위치를 개량(개량 벽 스위치라 칭함)하여 벽스위치와 직렬로 콘센트(개량 스위치의 콘센트라 칭함)를 설치하고, 여기에 끼워지는 플러그와 전선을 통해 연결된 스위치로 멀리서도 on-off 하는 벽스위치가 실용신안[4]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그러나 플러그를 벽스위치의 콘센트에 끼우면 콘센트 내부 스위치가 off 된다고만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off 되는지 제시되지 않다.
[1] 김성민, 출원20-20090-015820 회전되는 상하 이중구조의 멀티 콘센트 (2009.12.07) [2] 윤정석외 1인, 등록특허 101026242 다기능 멀티 콘센트(2011.03.24) [3] 강병수, 공개특허 10-2010-0114701, 절전형 멀티콘센트 어셈블리(2010.10.26.) (실용신안 1) [4] 이진아, 등록실용 20-0280352,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2002.6.19)
[5] 예 : 상품 대현6구-10A 멀티탭 SWS 2062 (2013.7)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특허문헌[1,2] 또는 비특허문헌[5]으로 소개된 콘센트는 LED 스위치(11)가 콘센트 본체부(20)에 내장된 일체형이고, 외피 플라스틱(21, 22)을 접착제로 강력하게 붙여 완제품을 제작하기 때문에 LED 스위치(11)만 파손되더라도 콘센트 전체를 버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맨손으로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부(10)를 교체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스위치부(10)를 분리하더라도 콘센트 본체부(20)만으로 콘센트 기능을 발휘하는 간편한 콘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간편한 콘센트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과제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상의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5]에서 스위치가 고장나도 스위치부(10)만 교체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
둘째,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되, 도구없이 맨손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한다.
셋째,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시키더라도 스위치부(10)가 없는 상태에서 스위치부(10)를 대신하는 보조도구를 추가로 연결하지 않아도 콘센트 본체부(20)만으로도 전기 콘센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5]는 스위치를 내장하는 콘센트[5] 외피 플라스틱(21,22)이 강력한 접착제로 서로 붙어 있는 일체형인데, LED 스위치(11)가 고장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이 때문에 스위치를 교체하려다가 콘센트가 파괴되어 못 쓰게 될 뿐만 아니라 파괴되어 날카롭게 깨진 플라스틱에 의해 손을 다치는 경우도 많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스위치부(10)만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하고, 또 LED 스위치(11) 없이도 콘센트 본체부(20)만을 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 유용하며, 무분별한 낭비도 줄일 수 있다.
도1a. LED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5] 윗면
도1b. LED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5] 아랫면
도2. 본 고안의 기본 아이디어 및 구성도
도3. 본 고안에서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 간의 결합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
도4. 스위치부(10)에서 LED 스위치(11)의 나사체결 구조에 대한 일 실시 예
본 고안의 기능과 구성들 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다수의 전기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 콘센트로서, 전원 개폐용 LED 스위치(11)를 콘센트 본체부(20)에 내장하고, 상기 콘센트 본체부(20)의 외피 플라스틱(21,22)을 서로 강력 접착제로 붙여 일체형으로 만든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제1도),
또는 상기 LED 스위치(11)를 포함하는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부(10)를 콘센트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할 경우, 스위치부(10)가 없는 상태에서도 콘센트 본체부(20)만으로도 전기 콘센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10) 위치에 별도의 보조도구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자체 연결 수단을 구비한 분리형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콘센트 내 동편(40)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편부분을 끊어 낸 다음, 각 끊겨진 부분의 끝에는 동편스위치 단자(51)를 형성하고, 각 인접한 두 동편스위치 단자(51)에는 전기적으로 연결기능이 있는 동편 스위치(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10)에 형성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를 동편스위치 단자(51)에 연결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에 끼웠을 때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가 상기 동편스위치 단자(51)에 밀착되어 전기적인 경로가 상기 스위치부(10)를 경유하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의 동작 과정에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를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에 끼웠을 때 스위치부(10)의 안쪽에 형성한 동편스위치 밀대(pusher)(14)가 콘센트 본체부(20) 내에 설치된 동편 스위치(50)를 밀어 동편(40) 회로가 끊어지도록 하며, 스위치부(10)를 콘센트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하면 콘센트 본체부 내벽(52)과 동편 스위치(50)를 연결하는 용수철(28)에 의해 동편 스위치(5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동편(40)회로가 연결되도록 만든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스위치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10)를 하나의 콘센트 본체부(20)에 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콘센트 본체부(20)에 각 스위치부(10)와 체결될 수 있는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 이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과 접한 동편스위치 단자(51), 인접한 두개의 동편스위치 단자(51) 사이에 설치된 동편 스위치(50) 및 이 동편 스위치(50)와 콘센트 본체부 내벽(52)과 연결하는 용수철(28)을 갖도록 만들 수도 있다(제2도 내지 제3도).
또한, 상기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는 투명한 재료(예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등)로 제작하여 상기 스위치부(10)와 콘센트 본체부(20) 내부에 내장된 부품의 고장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있도록 만든 것을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10)는 LED 스위치(11)와 이와 연결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로 구성하되, 스위치(11)와 스위치부(10)를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형성하여 LED 스위치(11)만 스위치부(10)로부터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있다.
상기 LED 스위치(11)를 스위치부(10)로부터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LED 스위치(11)의 일부에 구멍을 뚫고, 이와 상응하는 스위치부(10)의 위치에 나사 홈구멍(15)을 파서 나사(16) 산을 형성하여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있다(제4도).
10. 스위치부,
11. LED 스위치, 12. 리셋 키
13.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 14. 동편스위치 밀대(pusher)
15. 나사 홈구멍, 16. 나사
20. 콘센트 본체부
21, 22. 외피 플라스틱, 23. 체결부위
24. 플러그 인 구멍, 25. 접지부
26.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 27. 동편스위치 밀대(pusher) 구멍
28. 용수철
30. 전선
40. 콘센트 내 동편
50. 동편 스위치
51. 동편스위치 단자 52. 본체부 내벽

Claims (1)

  1. 스위치부(10)와, 이 스위치부(10)에 의해 전류가 개폐되는 콘센트 본체부(2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부(10)를 콘센트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할 경우, 스위치부(10)가 없는 상태에서도 콘센트 본체부(20)만으로도 전기 콘센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체 연결 수단을 갖춘 분리형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자체수단으로는 콘센트 내 동편(40)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편부분을 끊어 낸 다음, 각 끊겨진 부분의 끝에는 1쌍의 동편스위치 단자(51)를 형성하고, 각 인접한 1쌍의 동편스위치 단자(51)에는 전기적으로 연결기능이 있는 동편 스위치(50)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부(10)에 형성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를 동편스위치 단자(51)에 연결된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에 끼웠을 때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가 상기 동편스위치 단자(51)에 밀착되어 전기적인 경로가 상기 스위치부(10)를 경유하게 만듦으로써,
    상기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rod)(13)를 스위치부 플러그인 로드 구멍(26)에 끼우는 과정에서, 스위치부(10)의 안쪽에 형성한 동편스위치 밀대(pusher)(14)가 콘센트 본체부(20) 내에 설치된 동편 스위치(50)를 밀어 동편(40) 회로가 끊어지도록 하고,
    스위치부(10)를 콘센트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하면 콘센트 본체부 내벽(52)과 동편 스위치(50)를 연결하는 용수철(28)에 의해 동편 스위치(5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동편(40)회로가 연결되도록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위치부를 분리해도 자체 동작하는 전기 콘센트.
KR2020150007971U 2015-12-07 2015-12-07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Ceased KR20150004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71U KR20150004570U (ko) 2015-12-07 2015-12-07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71U KR20150004570U (ko) 2015-12-07 2015-12-07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91U Division KR20150002714U (ko) 2015-06-26 2015-06-26 Led 스위치부를 분리해도 자체 동작하는 전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70U true KR20150004570U (ko) 2015-12-23

Family

ID=5517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71U Ceased KR20150004570U (ko) 2015-12-07 2015-12-07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5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5271A (ko) * 2023-03-03 2024-09-10 신세욱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멀티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892A (ko) 2002-12-16 2004-06-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크라이오 진공펌프
KR20100114701A (ko) 2009-04-16 2010-10-26 강병수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101026242B1 (ko) 2008-05-30 2011-03-31 윤정석 다기능 멀티 콘센트
KR20110005851U (ko) 2009-12-07 2011-06-15 김성민 회전되는 상하 이중구조의 멀티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892A (ko) 2002-12-16 2004-06-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크라이오 진공펌프
KR101026242B1 (ko) 2008-05-30 2011-03-31 윤정석 다기능 멀티 콘센트
KR20100114701A (ko) 2009-04-16 2010-10-26 강병수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20110005851U (ko) 2009-12-07 2011-06-15 김성민 회전되는 상하 이중구조의 멀티 콘센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5] 예 : 상품 대현6구-10A 멀티탭 SWS 2062 (2013.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5271A (ko) * 2023-03-03 2024-09-10 신세욱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223U (ja) ソケットアウトレット
US6825427B2 (en) Electrical interrupt switch
US9196996B2 (en) Safe outlet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JP2011134716A (ja) コンセントソケット用の交換モジュール及び交換モジュール付きコンセントソケット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20170104299A1 (en) Illuminated Power Strip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US20170170614A1 (en) Adapter assembly
KR20150004570U (ko)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KR20150002714U (ko) Led 스위치부를 분리해도 자체 동작하는 전기 콘센트
KR20150000649U (ko) 스위치를 분리해도 자체 동작하는 전기 콘센트
US2137569A (en) Plug-in switch
KR20190011412A (ko)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CN207530165U (zh) 一种电线插头
CN108134290A (zh) 一种结构简单的安全插座
CN114207760A (zh) 具有usb充电器的电缆开关
AU2008207285A1 (en) Switched arrangement
CN206211222U (zh) 一种结构简单的安全插座
CN203911063U (zh) 桌面电源控制系统
RU2574719C2 (ru) Розетка скрытой проводки немецкого типа с заземлением и выключателем
KR20150097881A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200382283Y1 (ko) 2극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콘센트
CN107946818A (zh) 一种电线插头
US20180123297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UA01011R06D

Application number text: 2020150004291

Filing date: 201506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4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