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4511A -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11A
KR20150004511A KR1020130077485A KR20130077485A KR20150004511A KR 20150004511 A KR20150004511 A KR 20150004511A KR 1020130077485 A KR1020130077485 A KR 1020130077485A KR 20130077485 A KR20130077485 A KR 20130077485A KR 20150004511 A KR20150004511 A KR 2015000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orklift
steering
case
limi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675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provided with effort, steering lock, or end-of-strok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6Controlling the motor for returning the steering wheel to neutr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직선 주행만을 필요로 하는 특정 영역에서는 지게차의 구동바퀴를 항상 중앙으로 배치시켜 작업자나 운전자의 부주위나 오작동으로부터 지게차의 안정한 주행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의 조향 제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11)의 폭보다 큰 간격을 유지하며 지게차가 주행하는 작업장 바닥에 직선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R); 차체프레임(11)의 측방에 결합되는 가이드케이스(110); 상기 가이드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R)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2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감지블록(123)이 구비되는 가이드바디(120);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와 가이드바디(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을 향해 가이드바디(120)를 탄성 가압시키는 완충부재(130); 상기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센서(140); 및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Steering limiting device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 주행만을 필요로 하는 특정 영역에서는 지게차의 구동바퀴를 항상 중앙으로 배치시켜 작업자나 운전자의 부주위나 오작동으로부터 지게차의 안정한 주행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의 조향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그 기능에 따라 VNA트럭(협통로용 고소지게차), 오더 피커(Order Picker), 콘테이너 핸들러(Container Handler), 사이드형 지게차(Side Reach Forklift Truck), 워키형 지게차(Walkie Forklift Truck), 방폭형 지게차 등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오더 피커 지게차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다양한 종류의 지게차들 중, 오더 피커(Order Picker) 지게차는 포크(14)와 함께 일체화된 플랫폼(13)이 상승되도록 되어 있고, 플랫폼(13)상에 조작을 위한 대시보드(15)가 마련되어 있어, 플랫폼(15)상에 작업자가 지게차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직접 화물을 랙에 적재하거나 랙으로부터 화물을 이재시키는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더 피커 지게차는 랙 물류 실내 창고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게차로서, 실내 환경 개선을 고려하여 배기가스 및 소음이 현저하게 낮은 전동지게차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에서 미 설명부호 11은 차체프레임이고, 12는 마스터프레임이다.
한편 도 2는 랙 창고에서의 오더 피커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 형태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랙 창고 바닥에는 랙(R)과 랙(R) 사이 즉, 오더 피커 지게차(1)가 진입하는 통로 상에 직진성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이 구비되고, 오더 피커 지게차(1)에는 가이드레일(2)을 따라 안내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차체프레임의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즉, 랙(R)과 랙(R) 사이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체프레임의 측방에 구비된 가이드롤러가 통로 상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을 따라 안정적인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지게차의 안정적인 주행성을 만족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오더 피커 지게차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먼저 랙과 랙 사이의 통로 상에 지게차의 직진 또는 후진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세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측방에 구비된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충돌함에 따른 충격력과 충격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지게차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오더 피커 지게차와 같이 만약 플랫폼 상의 작업자로부터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지게차의 작은 충격력에도 화물이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큰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랙과 랙 사이 통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지게차가 진입하는 순간을 감지하고, 이렇게 가이드레일에 지게차가 진입한 다음에는 조향핸들의 조작과 무관하게 구동바퀴를 항상 중앙에 배치하여 줌으로서 주행통로 내에서 안전하고 정확한 직진(또는 후진) 주행을 만족할 수 있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11)의 폭보다 큰 간격을 유지하며 지게차가 주행하는 작업장 바닥에 직선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R);
차체프레임(11)의 측방에 결합되는 가이드케이스(110);
상기 가이드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R)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2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감지블록(123)이 구비되는 가이드바디(120);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와 가이드바디(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을 향해 가이드바디(120)를 탄성 가압시키는 완충부재(130);
상기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센서(140); 및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디(120)에는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나란한 길이를 갖는 슬롯(127)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는 상기 슬롯(1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케이스(1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바디(1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핀(11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케이스(110)는 상기 가이드바디(1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로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11)와; 상기 케이스본체(111)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정구(115)를 통하여 차체프레임(11)과 결합되는 케이스브래킷(115);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는 감지블록(123)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중, 조향핸들(3)로부터 조향신호가 수신되면 조향 구동부(4)의 작동을 차단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랙과 랙 사이 통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지게차가 진입하는 순간을 감지하고, 이렇게 가이드레일에 지게차가 진입한 다음에는 조향핸들의 조작과 무관하게 구동바퀴를 항상 중앙에 배치하여 줌으로서 주행통로 내에서 정확한 직진(또는 후진) 주행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지게차 조향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 가이드케이스와 가이드바디의 모듈 구조를 조립체를 이용함으로서 기존 지게차에 대한 추가 구성 혹은 유지보수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직진(후진) 주행 구간에서는 조향핸들을 통한 운전자의 조향신호를 무시함으로서, 자율 주행 지게차를 이용한 무인 자동화 물류 시스템에 대한 활용 효과가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더 피커 지게차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랙 창고에서 오더 피커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평상 시 주행 즉, 가이드레일이 미설치된 작업영역에서의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 주행 즉,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작업영역에서의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은 조향 제한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를, 도 4는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를, 도 5 및 도 7은 가이드레일이 미설치된 작업영역에서의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를, 도 6 및 도 8은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작업영역에서의 조향 제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100)는 크게 가이드레일(R), 가이드케이스(110), 가이드바디(120), 완충부재(130), 위치확인센서(140), 및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R)은, 지게차가 주행하는 바닥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지게차의 직진 주행만을 필요로 하는 구역에서 직진 구조를 이루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게차(특히 오더 피커 지게차의 경우)의 직진 주행만을 필요로 하는 랙과 랙 사이 통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R)은 지게차의 폭보다 큰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R)이 설치 구성된다.
가이드레일(R)은 후술되는 가이드바디(120)에 구성된 가이드롤러(121)와 접촉하여 가이드롤러(121)의 구름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구조가 만족되면 되는 것으로, 예컨대 I자, L자, ㄷ자 등의 다양한 단면 구조의 가이드레일(R)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레일(R)의 끝단 즉, 지게차가 진입하는 끝단 부분에는 지게차의 원활한 진입을 안내하는 확장 구조를 이루는 경사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케이스(110)는, 지게차의 차체프레임(11)의 측방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R)과 상응하도록 차체프레임(11)의 양쪽 측방에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케이스(110)는 케이스본체(111)와 케이스브래킷(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11)는 중공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가이드바디(120)를 내부로 수용한 채 상기 가이드레일(R)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바디(1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케이스브래킷(113)은 케이스본체(111)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고정구(115)를 통하여 지게차의 차체프레임(11)에 고정 결합된다.
결국 가이드케이스(110)는 고정구(115)를 통해 지게차의 차체프레임(11)과 결합구조를 이룸으로서 다양한 지게차에 대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지게차마다 가이드레일(R)과의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따라서 고정구(115)를 이용한 장착 시 적정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이드케이스(110)는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중심으로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됨이 좋다.
상기 가이드바디(120)는,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의 내면 형상과 상응하는 외면 형상을 이루면서 가이드케이스(11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R)을 향하는 일단에는 가이드롤러(1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감지블록(123)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21)는 가이드레일(R)에 대한 원활한 구름 동작을 만족하면서 충격에 의한 소음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디(120)에는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나란한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슬롯(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는 슬롯(1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케이스(110)에 대한 가이드바디(1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117)이 구비된다. 결국 가이드바디(120)는 상기 슬롯(127)의 길이구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와 가이드바디(120)의 사이에는 완충부재(130)가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30)는 가이드바디(120)에 구성된 가이드롤러(121)가 가이드레일(R)에 항상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는, 가이드바디(120)의 위치변화 즉, 가이드바디(120)에 구비된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확인센서(140)는 감지블록(123)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 즉, 감지블록(123)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ON 신호를 송신하고, 감지블록(123)이 위치 변화하여 비접촉된 상태에서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OFF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센서(140)는 상기 가이드바디(120)에 형성된 감지블록(123)과 인접하게 가이드케이스(110)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수신된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 신호를 기반으로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일정 위치에 유지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레일(R)과 접촉됨에 따른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 신호를 수신하면,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정중앙에 위치시켜 가이드레일(R)을 따라 직진 또는 후진 주행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조향핸들(3)을 통한 작업자의 조행신호가 입력된다 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조향바퀴(5)의 정중앙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도 3의 미 설명부호 '200'은 조향 제한장치(100)로부터 이격된 차체프레임(11)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R)을 따라 안내되는 고정롤러이다.
도 4 및 도 5의 미 설명부호 '125'는 가이드케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바디(120)에 설치되어 실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슬라이드를 도모하는 마찰패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R)이 설치되지 않은 통로를 지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100)는 작동이 정지된다.
즉, 가이드바디(120)는 완충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케이스(110)의 외부로 최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바디(120)에 형성된 슬롯(127)의 타측에 가이드케이스(110)의 가이드핀(117)이 걸림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완충부재(130)를 통해 가이드바디(120)는 가이드케이스(110)로부터 탄력 지지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바디(120)의 일단에 구비된 감지블록(123)은 위치확인센서(14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러한 감지블록(123)의 초기위치를 감지한 위치확인센서(140)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ON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를 통해 ON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조향핸들(3)을 통한 작업자(운전자)에 의한 조향 조작신호에 따라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조향바퀴(5)를 조향시킬 수 있다. (도 7참조)
한편 지게차를 직선 구조의 가이드레일(R)이 설치된 통로로 진입시키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100)가 작동이 수행된다.
즉, 통로 상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R)은 지게차의 측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21)의 사이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R)을 향해 지게차가 진입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R)과 가이드롤러(121)는 접촉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롤러(121)가 결합된 가이드바디(120)는 완충부재(130)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결국 가이드바디(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위치확인센서(1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감지블록(123)이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이격되고, 이러한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를 감지한 위치확인센서(140)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OFF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를 통해 OFF 신호를 수신한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정중앙에 위치시키게 되며, 이로서 가이드레일(R)상에 진입한 지게차는 안정된 직선 주행(직진 또는 후진)이 만족된다.
한편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가이드바디(120)에 구비된 감지블록(123)이 이격된 OF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게차의 스티어링 조작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됨이 좋다. 즉, 오더 피커 지게차와 같이 플랫폼 상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작업 중인 작업자가 오작동으로 작동하게 되더라도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조향핸들(3)을 통한 조작신호가 조향 구동부(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가이드레일(R)상에서 직선 주행을 만족하는 조향바퀴(5)의 조향 없이 정확한 직선 주행을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직선 구조의 가이드레일(R)이 설치된 통로에 놓인 지게차는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그러한 조행핸들의 조작여부와는 무관하게 가이드레일(R)상에서 직진 또는 후진 구동만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레일(R)이 구비된 통로에서의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지게차가 가이드레일(R)을 벗어나는 것과 동시에 다시 감지블록(123)이 구비된 가이드바디(120)는 완충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케이스(110)로부터 돌출되면서 감지블록(123)이 위치확인센서(1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렇게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이 접촉된 ON 신호를 수신한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다시 작동을 정지하고 조향핸들(3)의 조작신호에 의한 지게차의 조향 및 주행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100)는 물류 창고에 마련된 랙 구조물의 통로 상을 주행하면서 화물을 적재시키거나 이재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 지게차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플랫폼(13:도 1참조)상에서 화물의 적재와 이재를 작업자가 수행하는 오더 피커 지게차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향 제한장치(100)는 자율 주행 지게차로의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나아가 무인 자동화 물류 시스템에 대한 활용 시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지게차 3: 조향핸들
4: 조향 구동부 5: 조향바퀴
R: 가이드레일 100: 조향 제한장치
110: 가이드케이스 117: 가이드핀
120: 가이드바디 121: 가이드롤러
123: 감지블록 127: 슬롯
130: 완충부재 140: 위치확인센서
150: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

Claims (6)

  1. 차체프레임(11)의 폭보다 큰 간격을 유지하며 지게차가 주행하는 작업장 바닥에 직선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R);
    차체프레임(11)의 측방에 결합되는 가이드케이스(110);
    상기 가이드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R)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2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감지블록(123)이 구비되는 가이드바디(120);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와 가이드바디(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을 향해 가이드바디(120)를 탄성 가압시키는 완충부재(130);
    상기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향해 감지블록(123)의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센서(140); 및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조향 구동부(4)를 작동시켜 지게차의 조향바퀴(5)를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120)에는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나란한 길이를 갖는 슬롯(127)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케이스(110)에는 상기 슬롯(1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케이스(1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바디(1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핀(11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110)는 상기 가이드바디(1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로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11)와; 상기 케이스본체(111)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정구(115)를 통하여 차체프레임(11)과 결합되는 케이스브래킷(1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센서(140)는 감지블록(123)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제한구동용 제어반(150)은 위치확인센서(140)로부터 감지블록(123)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중, 조향핸들(3)로부터 조향신호가 수신되면 조향 구동부(4)의 작동을 차단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제한장치(100)는 지게차의 조향바퀴(5)와 나란하게 차체프레임(11)의 양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KR1020130077485A 2013-07-03 2013-07-03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Active KR10191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85A KR101910675B1 (ko) 2013-07-03 2013-07-03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85A KR101910675B1 (ko) 2013-07-03 2013-07-03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11A true KR20150004511A (ko) 2015-01-13
KR101910675B1 KR101910675B1 (ko) 2018-10-22

Family

ID=5247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485A Active KR101910675B1 (ko) 2013-07-03 2013-07-03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935A (zh) * 2016-07-14 2016-09-21 安徽宇锋仓储设备有限公司 采用导轨式浮动驱动结构的托盘搬运车
US9868445B2 (en) 2015-08-14 2018-01-1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Diagnostic supervisor to determine if a traction system is in a fault condition
CN108035992A (zh) * 2018-01-11 2018-05-15 国以贤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刹车装置
US10414288B2 (en) 2017-01-13 2019-09-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Traction speed recovery based on steer wheel dynamic
US10723382B2 (en) 2017-01-13 2020-07-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High speed straight ahead tiller desensitization
US11008037B2 (en) 2015-08-14 2021-05-1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steering model
KR102294902B1 (ko) * 2021-04-20 2021-08-27 주식회사 엠씨맥스 Agv 포크 선단 접촉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한 agv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592A (ja) * 2000-02-02 2001-08-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JP2005255266A (ja) * 2004-03-09 2005-09-22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KR20090110305A (ko) * 2007-01-08 2009-10-21 바이샤먼 인더스트리스 코포레이션 스키드 및 팔레트용 리프트
JP2012218933A (ja) * 2011-04-14 2012-11-12 Toyota Industries Corp 搬送車両
KR20140102440A (ko) * 2013-02-14 2014-08-22 정양자 이동식 전동 스태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592A (ja) * 2000-02-02 2001-08-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JP2005255266A (ja) * 2004-03-09 2005-09-22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KR20090110305A (ko) * 2007-01-08 2009-10-21 바이샤먼 인더스트리스 코포레이션 스키드 및 팔레트용 리프트
JP2012218933A (ja) * 2011-04-14 2012-11-12 Toyota Industries Corp 搬送車両
KR20140102440A (ko) * 2013-02-14 2014-08-22 정양자 이동식 전동 스태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8445B2 (en) 2015-08-14 2018-01-1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Diagnostic supervisor to determine if a traction system is in a fault condition
US10081367B2 (en) 2015-08-14 2018-09-25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teering and traction applications for determining a steering control attribute and a traction control attribute
US10377388B2 (en) 2015-08-14 2019-08-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traction model
US11008037B2 (en) 2015-08-14 2021-05-1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steering model
CN105947935A (zh) * 2016-07-14 2016-09-21 安徽宇锋仓储设备有限公司 采用导轨式浮动驱动结构的托盘搬运车
US10414288B2 (en) 2017-01-13 2019-09-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Traction speed recovery based on steer wheel dynamic
US10723382B2 (en) 2017-01-13 2020-07-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High speed straight ahead tiller desensitization
US11400975B2 (en) 2017-01-13 2022-08-0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High speed straight ahead tiller desensitization
CN108035992A (zh) * 2018-01-11 2018-05-15 国以贤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刹车装置
CN108035992B (zh) * 2018-01-11 2023-10-31 国以贤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刹车装置
KR102294902B1 (ko) * 2021-04-20 2021-08-27 주식회사 엠씨맥스 Agv 포크 선단 접촉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한 ag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675B1 (ko)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675B1 (ko) 지게차 조향 제한장치
KR102408175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132471B2 (ja) 搬送台車と無人搬送車の自動連結装置
US7093543B2 (en) Carriage type conveyor
KR20190001553A (ko) 물품 반송 설비, 및 물품 반송차
CN113493162A (zh) 悬吊式搬运设备及其导引装置与其方向保持模块
KR20140076410A (ko) 측면 이중 포크 캐리지형 무인운반차
KR101348878B1 (ko) 평면왕복식 주차기의 파렛트 출입장치
CN108545664B (zh) Agv无人搬运车
WO2018163753A1 (ja) 無人搬送車
KR101556398B1 (ko) 주행 시스템
CN212828763U (zh) 一种无人搬运车
JP6323386B2 (ja) 物品搬送車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搬送設備
KR102294902B1 (ko) Agv 포크 선단 접촉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한 agv
CN212173582U (zh) 智能送餐车
JP7643197B2 (ja) 無人搬送車
CN205346736U (zh) 一种万向型叉车式agv
CN219885591U (zh) 定位组件和货物搬运装置
CN217229224U (zh) 一种设置有运载机构的agv小车
CN218198579U (zh) 磁导航agv
CN215249379U (zh) 叉车
JP2682970B2 (ja) 搬送台車のバンパ装置
KR20250077498A (ko) 반송 설비
US20220112056A1 (en) Method for Sensing Information Concerning the Extent of a Product Carrier on a Guided Vehicle That Can Be Operated in an at Least Partially Automated Manner
JPS61257895A (ja) 無人走行可能な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