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88U - Barrier Channel Tray - Google Patents
Barrier Channel T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188U KR20150004188U KR2020140003671U KR20140003671U KR20150004188U KR 20150004188 U KR20150004188 U KR 20150004188U KR 2020140003671 U KR2020140003671 U KR 2020140003671U KR 20140003671 U KR20140003671 U KR 20140003671U KR 20150004188 U KR20150004188 U KR 2015000418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tray
- mounting member
- channel
- channel t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구획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가로대 상에 그 가로대로 포설되는 케이블이 구획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케이블이 포설되는 채널 트레이;를 포함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구획하여 포설함에 따라 케이블의 구분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 mounting member fastened and secured to a conventional cable tray so that a cable installed along the side of the cross rail between the side rails of the cable tray is partitioned so that more and more cables can be protected with the partition by a simple and complicated structure; And a channel tray on which an additional cable is installed on top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ly, space utilization can be maximiz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pace, and the cables can be divided and installed in rela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cable can be divided and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Description
본 고안은 장벽 채널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구획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장벽 채널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er channel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rier channel tray for protecting an existing cable tray with an uncomplicated and simple structure with more and more cables.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또는 벽체 등을 따라 배선된다. 상기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 지지된다. Generally, large and small diameter cables are wired along the ceiling, floor, or wall to supply power supply or fluid to the factory, ship, and offshore structure. The cable is supported on a cable tray to avoid aesthetics or inconvenience to passers.
통상적인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Side Rail)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레일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대(Rung)로 구성된다. A typical cable tray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rail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urality of rungs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ide rails in a transverse direction do.
또한, 케이블의 포설 경로에 있어 분기되거나 경로의 급작스러운 변화가 있는 부분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가 요구된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able trays are required in a portion where a cable is branched or a route is suddenly changed.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452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진부와 분기부를 별도의 단으로 형성하여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이는 케이블 포설시 직선 구간에서 분지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2-00024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24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포설되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기술도 제안된 바, 이는 케이블 트레이 간에 연결부재와 장공에 의해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lso,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12468,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able can be easily installed at any place, and a surface of a cable to be laid is not damaged, So that the connection can be made easily by the elongated hole.
한편, 추가되는 각종 기기의 증설이나 선로 변경 등으로 인해 많은 케이블이 추가될 경우,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는 물론 그에 따른 서포트(support) 등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포설하였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number of cables are added due to the addition of various devices to be added or the change of a line, a separate cable tray, support for the cable tray, and the like are installed to lay cabl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시에는 설치해야 하는 시간은 물론 많은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공간적인 제약이 허락되지 않을 경우 추가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when installing a separate cable tray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the cable tray and a lot of additional cost. Moreover, if the space restriction is not allowed, cable tray can not be installed additional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한 선행특허문헌 1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968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 케이블 트레이를 다단으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또한, 선행특허문헌 1 및 2는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상에서 서로 관련된 케이블끼리 구획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구획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장벽 채널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rier channel tray that can protect more cables with a partition by using a simple and complicated structure in a conventional cable tra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추가되는 케이블의 하중에도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have high responsiveness to the load of the added cabl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된 케이블끼리 구획함은 물론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for the addition of more cables as well as additional cable compartment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레일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대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설하기 위한 장벽 채널 트레이로서, 상기 장벽 채널 트레이는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가로대 상에 그 가로대로 포설되는 케이블이 구획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케이블이 포설되는 채널 트레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tray comprising a pair of s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rranged cable trays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ide rails in a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arrier channel tray includes: a mounting member fastened and fixed on a cross bar between the side rails such that a cable that runs along the side bar is partitioned; And a channel tray on which an additional cable is installed above the mounting member.
상기 장착부재는 가로대 상에 체결되는 체결편, 상기 체결편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로대에 포설되는 케이블과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 형성되는 구획대로 구성된다. The mounting member includes a fastening piece to be fastened on the crosspiece, and a section bent upward from the fastener piece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cable installed on the crosspiece.
상기 채널 트레이는 밑면에 상기 구획대와 결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에 상향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The channel tray includes a base plate coupled to the parti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to define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ble.
상기 장착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The mounting member is formed in plural.
상기 채널 트레이의 수용공간에는 그 수용공간이 분할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판을 더 포함한다.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hannel tra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diaphragm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is dividedly formed.
상기 채널 트레이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장착부재 및 채널 트레이로 구성되는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The receiving space of the channel tray further includes a small barrier channel tray comprising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hannel tray.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가로대 상에는 상기 장착부재 및 채널 트레이로 구성되는 장벽 채널 트레이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한다.
And at least two barrier channel trays constituted by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hannel tray are provided on the crossbar between the side rails.
본 고안은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구획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구획하여 포설함에 따라 케이블의 구분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without space restriction by protecting the cable tray with a more complicated and simple structure and protecting more cables together with the compartments, The cable can be divided and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추가되는 케이블의 하중에도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량의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 responsiveness to the load of the added cable, so that an even greater amount of cables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또한, 추가된 케이블끼리 구획함은 물론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구분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활용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as more cabling can be installed as well as the additional cabling compartment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abling and maximize utilization.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use state according to Fig. 1,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대(120)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100)에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설하기 위한 장벽 채널 트레이(1)를 개시한다. A pair of
본 고안은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더욱더 많은 케이블을 이격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able tray with an uncomplicated, simple structure that is capable of protecting more cables with spacing.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장벽 채널 트레이(1)는 상기 사이드 레일(110) 사이의 가로대(120) 상에 그 가로대(120)로 포설되는 케이블이 구획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장착부재(10); 및 상기 장착부재(10)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케이블이 포설되는 채널 트레이(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와 채널 트레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별도로 각각 분리 제작하여 통상적인 볼팅이나 스크류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The barrier channel tra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는 필요로 하는 케이블을 포설함과 동시에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상호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구획하여 포설할 수 있다. 또, 상기 채널 트레이로 인해 별도로 케이블 트레이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또 다른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관계로,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더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 cable can be installed in a cable tray that is installed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cables can be partitioned by interconnecting cables by the mounting member. In addition, since the channel tray does not need to additionally install a cable tray, another cable can be installed, so that a larger amount of cables can be installed simply and conveniently.
아울러, 상기한 본 고안의 장벽 채널 트레이는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는 것으로, 즉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가로대 상에 설치됨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이다. 그로 인해 종래와 같이 추가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때 공간 제약을 받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barrier channel tray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by space, that is, they are installed on a crossbar of a previously installed cable tray, and thus are not limited by sp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space limitation when the cable tray is additionally installed as in the prior art.
장착부재(10)는 가로대(120) 상에 통상적인 볼팅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편(12)과, 상기 체결편(12)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로대(120)에 포설되는 케이블과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 형성되는 구획대(14)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대에는 체결편을 체결시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에 따라 장착부재의 체결편은 가로대에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획대는 가로대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구획하는, 즉 서로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구획하는 역할을도 겸한다. Accordingly, the fastening piece of the mounting member can be fastened and fixed simply, conveniently, and quickly without troublesome or inconvenient to the crosspiece. In addition, the partition serves as a partition for separating the cables installed on the cross bar, that is, for separating the cables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채널 트레이(20)는 밑면에 상기 구획대(14)와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팅 또는 스크류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되는 받침판(22)과, 상기 받침판(22)의 양측에 상향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23)이 형성되는 측면(24)으로 구성된다. The
그에 따라 상기 채널 트레이는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어 별도로 구획하고자 하는 케이블 또한 포설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channel tray can not only provide a cable to be additionally generated, but also can install a cable to be installed in an existing cable tray and to separate the cable tray.
이로써, 본 고안은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작업이 병행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이면서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벽 채널 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경제적이면서 동일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a complicated or troublesome operation but also a simple structure and a simple installation of a barrier channel tray,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workability as well as an economical and large capacity cable installation in the same space .
특히, 설치하고자 하는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됨으로써, 공간 활용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Particularly, since a separate space to install is not required but is provided in a previously installed cable tray, space utilization can also be maximized.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채널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하중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er responsiveness to the load of the cable installed in the channel tray.
즉, 상기 채널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가로대에 체결 고정되는 하나의 장착부재의 경우, 상기 채널 트레이로 포설되는 케이블의 하중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는 관계로, 케이블의 하중에 대해서도 변형없이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one mounting member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nnel tray and fastened and fixed to the cross member of the cable tray, since it may be weak against the load of the cable installed in the channel tray, So that they can have high responsiveness.
상기 채널 트레이(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케이블 트레이(100)의 가로대(120)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장착부재(10)를 복수 개로 형성한다. 상기 장착부재는 채널 트레이의 하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A plurality of mounting
그에 따라 상기 채널 트레이로 포설되는 케이블의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다. So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pe with the load of the cable installed in the channel tray.
아울러, 상기 장착부재를 복수 개로 형성함에 따라 그 장착부재의 구획대 사이로도 필요로 하는 케이블을 구획시켜 포설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member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mounting members,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and install necessary cables between the partitioning portions of the mounting members.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채널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 또한 구획하여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ble installed in the channel tray can be divided and installed.
채널 트레이(20)의 수용공간(23)에는 그 수용공간(23)이 분할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판(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판(30)은 수용공간(23)의 받침판(22) 상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팅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된다. The
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하나 이상의 격판에 의해 여러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포설하고자 하는 케이블 또한 서로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분할하여 포설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Accordingly, by dividing the accommodat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the at least one diaphragm, the cable to be installed also has a condition that the cables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can be divided and installed.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더욱더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a larger amount of cables can be installed.
채널 트레이(20)의 수용공간(23)에는 상기 장착부재(10) 및 채널 트레이(20)로 구성되는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는 전술한 장벽 채널 트레이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며, 단지 크기만 작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그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 장벽 채널 트레이와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가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설치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한 설치작업을 통하여 더욱더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 연관성 있는 케이블끼리 서로 구획하여 포설함에 따라 케이블의 구분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rrier channel tray and the small barrier channel tray are stacked on the cable tra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stall a larger amount of cables through a simple installation operation without inconveniences or inconveniences. In addition, since the cables that are related to each ot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able can be divided and maintenance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에 더욱더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면서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larger amount of cables can be installed in the one cable tray, and the cables can be separat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ables.
상기 사이드 레일(110) 사이의 가로대(120) 상에 상기 장착부재(10) 및 채널 트레이(20)로 구성되는 장벽 채널 트레이(1)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한다. At least two
즉, 기존에 설치된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에 본 고안의 장벽 채널 트레이를 복수 개로 형성함으로써, 한 번에 많은 량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포설할 수 있어, 포설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barrier channel tray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ngle installed cable tray, a large amount of cables can be laid at one tim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condition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the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1 : 장벽 채널 트레이 1A :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
10 : 장착부재 12 : 채결편
14 : 구획대 20 : 채널 트레이
22 : 받침판 23 : 수용공간
24 : 측면 30 : 격판
100 : 케이블 트레이 110 : 사이드 레일
120 : 가로대1:
10: mounting member 12:
14: compartment 20: channel tray
22: base plate 23: accommodation space
24: side 30: diaphragm
100: Cable tray 110: Side rail
120: Crossbar
Claims (7)
상기 장벽 채널 트레이는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가로대 상에 그 가로대로 포설되는 케이블이 구획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케이블이 포설되는 채널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A barrier channel tray for additionally providing a cable to a pair of s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ly arranged cable trays inter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air of side rails in a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arrier channel tray includes: a mounting member fastened and fixed on a cross bar between the side rails so that a cable to be laid across the side rail is partitioned; And
And a channel tray on which an additional cable is installed above the mounting member.
상기 장착부재는 가로대 상에 체결되는 체결편, 상기 체결편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로대에 포설되는 케이블과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 형성되는 구획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member comprises a fastening piece to be fastened on the crosspiece, and a section bent upward from the fastener piece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cable installed on the crosspiece.
상기 채널 트레이는 밑면에 상기 구획대와 결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에 상향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nnel tray comprises a base plate coupled to the partition on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to define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ble.
상기 장착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mounting member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arrier channel trays.
상기 채널 트레이의 수용공간에는 그 수용공간이 분할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hannel tra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diaphragm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is dividedly formed.
상기 채널 트레이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장착부재 및 채널 트레이로 구성되는 소형 장벽 채널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hannel tray further comprises a small barrier channel tray comprised of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hannel tray.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가로대 상에는 상기 장착부재 및 채널 트레이로 구성되는 장벽 채널 트레이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 채널 트레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t least two barrier channel trays constituted by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hannel tray are provided on the cross bar between the side rai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671U KR20150004188U (en) | 2014-05-12 | 2014-05-12 | Barrier Channel Tr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671U KR20150004188U (en) | 2014-05-12 | 2014-05-12 | Barrier Channel Tr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188U true KR20150004188U (en) | 2015-11-20 |
Family
ID=5486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671U Ceased KR20150004188U (en) | 2014-05-12 | 2014-05-12 | Barrier Channel Tr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4188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7081B1 (en) * | 2018-10-05 | 2019-07-05 | 송경영 |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multi-layer cable laying and fixing |
KR102085576B1 (en) * | 2019-08-29 | 2020-03-06 |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 Construction Cable Tray Support |
-
2014
- 2014-05-12 KR KR2020140003671U patent/KR20150004188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7081B1 (en) * | 2018-10-05 | 2019-07-05 | 송경영 |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multi-layer cable laying and fixing |
KR102085576B1 (en) * | 2019-08-29 | 2020-03-06 |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 Construction Cable Tray Sup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45546B2 (en) | Optical fiber distribution system with staggered cable guides | |
KR101399938B1 (en) | Cable tray | |
KR101291298B1 (en) | Cable tray | |
US1004845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and distributing a single optical fiber cable to multiple rack shelves | |
RU179610U1 (en) | Wall-mounted distribution box | |
WO2012026782A3 (en) | Cable duct device having multilayer trays | |
KR20150004188U (en) | Barrier Channel Tray | |
JP5924115B2 (en) | Ceiling wiring structure of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box | |
KR20120004130U (en) | Device for branching off cable tray | |
KR101247783B1 (en) | 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 spacing apparatus | |
KR101646088B1 (en) | Busbar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for a busbar system with a common protection or neutral conductor | |
KR20120074097A (en) | Hanger with varialbe binding site and ceiling support system that is applied | |
KR20120022139A (en) | Cable tray | |
NO161239B (en) | CREATE OR FRAME FOR ELECTRIC SYSTEM TRAILERS. | |
US20100101855A1 (en) | Cable raceway with box | |
JP5826312B2 (en) | Housing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tool used therefor | |
JP5927630B2 (en) | Duct for wiring | |
KR200476352Y1 (en) | Vertical elbow for mesh cable tray | |
EP3498129B1 (en) | A furnishing item comprising a harness assembly integrated | |
KR20120008940A (en) | cable tray | |
SE418551B (en) | INTERMEDIATE FOR DIVISION OF WIRING CHANNEL FOR ELECTRIC WIRES IN SECTIONS | |
JP5361969B2 (en) | Wiring fixing bracket and storage cabinet using this fixing bracket | |
JP2010042895A (en) | Rack | |
KR20210114851A (en) | Quake-proof suspension device | |
KR20120005948U (en) | cable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51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9 |
|
AMND | Amendment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31 |
|
AMND | Amendment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
|
U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