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78U - Furniture Knobs - Google Patents
Furniture Knob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3778U KR20150003778U KR2020140002825U KR20140002825U KR20150003778U KR 20150003778 U KR20150003778 U KR 20150003778U KR 2020140002825 U KR2020140002825 U KR 2020140002825U KR 20140002825 U KR20140002825 U KR 20140002825U KR 20150003778 U KR20150003778 U KR 2015000377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ulling
- connecting surface
- drawer
- inner conn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일면에 다단의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접속면의 양단에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을 결착과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견인면의 내측접속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을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과 내측접속면 및 경사견인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사견인면을 당겨 문짝을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인출할 때에 경사견인면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문짝을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손가락과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 형성된 모서리보호돌편에 의해서는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를 보호하여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face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an inner connecting face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on one 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nding direction, And an out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so that a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pulling surface, and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ser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blique pulling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liding of the fingers on the oblique pulling surface when opening the door or pulling out the drawer by pulling the oblique pulling fac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or the drawer can be pulled out easily and the fingers and nails are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from being damaged by protecting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by the edge protec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tip of the outer connecting surf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구의 문짝 또는 서랍의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ndle used by attaching to the front of a door or a drawer of a furnitur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면에 다단의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접속면의 양단에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을 결착과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견인면의 내측접속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을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과 내측접속면 및 경사견인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경사견인면을 당겨 문짝을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인출할 때에 경사견인면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문짝을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손가락과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 형성된 모서리보호돌편에 의해서는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를 보호하여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To be more specific,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oblique pulling face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fa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ulti-stage fastening piece on one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astening direction, and the tip of the inner connecting face of the oblique pulling face , An out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so that a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pulling surface, and a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sertion groove , And a plurality of non-slidable projection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blique drawing surface to prevent the fingers from slipping on the oblique drawing surface when the door is opened or the drawer is pulled by pulling the oblique draw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ger and the nail from being damaged, By will to provide the furniture handles improved to prevent damage to the edges of the door or drawer to protect the edges of the door or drawer.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배치되어 일상생활에 쓰이는 각종 도구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다.In general, furniture is housed in a room to store various tools used in everyday life.
특히, 가구 중에서도 옷장은 주로 의류와 침구 등을 수납하고, 서랍장에는 각종 책과 서류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며, 근자에는 가구가 보다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인테리어적인 조화를 가미하기도 하며, 가구용 손잡이는 그러한 인테리어적인 요소가 가미된 것 중에서 하나이다.In particular, among the furniture, the closet mainly houses clothes and bedding, and the drawer stores various books and documents, and stores the furniture. In recent years, the furniture has an interior harmony so that the furniture can look more beautiful. It is one of the added elements.
인테리어적인 요소가 가미된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0244434호와 특허등록 제10-0579818호 등이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handle for furniture having interior elements, there is known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44434 and a patent registration No. 10-0579818.
이들은 도어핸들의 내면 일부에 형성된 장홈개폐도어의 일측면을 경합하여 도어와 도어핸들의 선단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어와 도어핸들의 선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front and rear door openings are formed by inserting a finger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handle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handl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그러나, 이와 같이 도어와 도어핸들의 선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도어를 개방할 대에 도어핸들의 내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즉, 손톱이 부러지거나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handle is smoothly formed when the door is opened by inserting the fingers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handle, the finger easily slips, It can not be opened easily, and a finger, that is, a nail breaking phenomenon frequently occurs.
또 다른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로서는 국내의 디자인등록 제30-07261112호가 알려져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 domestic design registration No. 30-07261112 is known.
이는 내측접속면의 일면에는 다단으로 된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접속면의 양단에는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이 결착편과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견인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이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multi-stage fastening pieces ar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are formed with a supporting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astening pie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inner connection surface.
그러나 이는 경사견인면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인출할 때에 손가락이 경사인출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즉, 손톱이 부러지거나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However, this phenomenon occurs when the fingers slip on the inclined withdrawal surface when the fingers are pulled out by contacting the sloped pulling face with the fingers, and the fingers, that is, the fingers are broken frequently.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들을 서랍장의 전면에 부착하여 서랍장을 인출/수납할 때에 서랍장에 서류가 많이 수납되어 중량이 무거울 때에는 서랍장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없고 손가락의 손톱이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Particularly, whe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s ar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 stored, a lot of documents are stored in the drawer. When the weight is heavy, the drawer can not be taken out easily, It occurs frequently.
본 고안은 가구의 문짝 또는 서랍의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를 개선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d furniture handle used by attaching to the front of a door or furniture door.
본 고안은, 일면에 다단의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접속면의 양단에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을 결착과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견인면의 내측접속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을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과 내측접속면 및 경사견인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는 모서리보호돌편을 결착편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surface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an inner connecting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fastener pieces on one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lique pulling surface is joined, Wherei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so that a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pulling surface, Wherein a plurality of anti-slip projections are integrally formed on a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on surface, and edge-protec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tip ends of the outer connection surfaces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견인면을 당겨 문짝을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인출할 때에 경사견인면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문짝을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손가락과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 형성된 모서리보호돌편에 의해서는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를 보호하여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fingers on the oblique pulling surface when opening the door or pulling out the drawer by pulling the oblique pulling face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or the drawer can be easily pulled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nails and to provide an improved furniture handle to protect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by preventing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from being damaged by the edge protec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tip of the outer connecting surface I'm trying to.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The above and other objects,
일면에 다단의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접속면의 양단에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을 결착과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견인면의 내측접속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을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과 내측접속면 및 경사견인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Wherein a support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surface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an inner connecting surfac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er pieces on one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nding direction and an out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erein a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ce and the inner connection surface an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oblique pulling surface,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과;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sertion slot;
상기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formed integrally on the slanting surface;
상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는 모서리보호돌편을 결착편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손잡이(10)에 의해 달성된다.
And the edge of the outer connecting surface is provided with edge-protecting protrusion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piece.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면에 다단의 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접속면의 양단에 지지편과 경사견인면을 결착과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견인면의 내측접속면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을 내측접속면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과 내측접속면 및 경사견인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는 모서리보호돌편을 결착편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이다.Wherein a support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surface are integrally formed on opposite ends of an inner connecting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fastener pieces on one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nding direction and an outer connecting surface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o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of the oblique pulling surface Wherei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with concave-convex por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sertion grooves,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obliqu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edge of the outer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with edge-protecting protrusion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은, 경사견인면을 당겨 문짝을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인출할 때에 경사견인면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문짝을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서랍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손가락과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 형성된 모서리보호돌편에 의해서는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를 보호하여 문짝 또는 서랍의 모서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liding of the fingers on the oblique pulling surface when opening the door or pulling out the drawer by pulling the oblique pulling fac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or the drawer can be pulled out easily and the fingers and nails are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from being damaged by protecting the edge of the door or the drawer by the edge protec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tip of the outer connecting surf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가구의 문짝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설치 상태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설치 상태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of a furniture.
FIGS. 2A and 2B are a 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and FIG. 3B are a 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를 가구(1)의 문짝(3)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 10-1)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설치 상태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다른 실시 예의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2)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설치 상태단면도이다.1 to 3B illustrate a concrete realization example of a furniture handle 10: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10: 10-1, 10-2, 2A and 2B are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urniture handle 10: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urniture handle 10: And FIGS. 3A and 3B are a 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urniture handle 10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another embodiment.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The furniture handle (10: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follows.
내측접속면(11)의 일면에는 다단으로 된 결착편(16)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내측접속면(11)의 양단에는 지지편(14)으로서 긴지지편(14-1) 또는 짧은지지편(14-2) 중에서 어느 하나와 경사견인면(12)을 결착편(16)과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경사견인면(12)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13)을 내측접속면(11)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지지편(14)과 내측접속면(11) 및 경사견인면(12)과의 사이에 손가락삽입홈(15)이 형성되도록 하였다.A plurality of fastening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가구용손잡이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은 상기 손가락삽입홈(15)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11)에는 요철부(21)를 형성하였고, 경사견인면(12)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0)를 일체로 형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요철부(21)는 파형 또는 삼각형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미끄럼방지돌기(20)는 단면으로 보안 반원형, 반타원형,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또 경사견인면(12)의 선단에는 외측접속면(13)을 내측접속면(11)과 나란하게 형성하였고, 상기 외측접속면(13)의 선단에는 모서리보호돌편(22)을 결착편(16)의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The outer connecting
상기와 같이 내측접속면(11)에 요철부(21)가 형성되고, 경사견인면(12)에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20)가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는 도 1과 도 2b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구(1)에서 함체(2)의 전면 설치되는 문짝(3)에 장착(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urniture handle 10 (10-1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 된 바와 같이 문짝(3)의 내측 단부에 장착(고정)하게 되어 문짝(3)을 사용된다.The furniture handle 10: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xed) on the inner end of the
내측접속면(11)에 형성된 결착편(16)을 도 2b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문짝(3)의 단면에서 결합하고, 문짝(3)의 전면에서 내측 모서리가 외측접속면(13)과 모서리보호돌편(22)에 의해 보호되도록 결합(설치)하여 준다.Th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를 문짝(3)의 단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문짝(3)을 개폐시킬 때에 사용한다.And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가 부착된 문짝(3)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To open the door (3) with the furniture handle (10: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 as follows.
지지편(14)과 내측접속면(11) 및 경사견인면(12)과의 사이에 형성된 손가락삽입홈(15)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경사견인면(12)에 손가락의 전면을 접촉시킨다.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상기와 같이 경사견인면(12)에 손가락의 전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경사견인면(12)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경사견인면(12)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0)에 손가락의 표면이 걸리게 되고, 손가락의 표면이 미끄럼방지돌기(20)에 걸린 상태에서 경사견인면(12)을 당기게 되면 손가락이 미끄러짐 없이 당길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문짝(3)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특히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손잡이(10:10-1, 10-2)를 서랍장의 서랍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서랍에 서류가 많이 수잡되어 수랍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손가락이나 손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10: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rawer of the drawer, the drawer is likely to receive a lot of documents, and even if the weight of the drawer is heavy, So that it can be easily drawn out without damaging it.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I will.
1: 가구 2: 함체
3: 문짝 10: 가구용손잡이
11: 내측접속면 12: 경사견인면
13: 외측접속면 14: 지지편
15: 손가락유입홈 16: 결착편
20: 미끄럼방지돌기 21: 요철부
22: 모서리보호돌편1: Furniture 2: Enclosure
3: Door 10: Furniture handle
11: inner connecting surface 12: oblique pulling surface
13: outer connection surface 14:
15: finger inlet groove 16:
20: slip prevention projection 21: concave and convex portion
22: Corner guard
Claims (2)
상기 손가락삽입홈의 방향에서 내측접속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경사견인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외측접속면의 선단에는 모서리보호돌편을 결착편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Wherein a support piece and an oblique pulling surface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an inner connecting surfac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er pieces on one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nding direction and an outer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erein a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ce and the inner connection surface an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oblique pulling surface,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onnec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sertion slot;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formed integrally on the slanting surface;
And the edge of the outer connecting surface is provided with a corner protecting protrus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단면에서 보아, 반원, 삼각형, 사각형, 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2. The slid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anti-slip projection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warp pulling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semicircular, triangular, square, and rectangular as viewed in cross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2825U KR20150003778U (en) | 2014-04-07 | 2014-04-07 | Furniture Knob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2825U KR20150003778U (en) | 2014-04-07 | 2014-04-07 | Furniture Knob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778U true KR20150003778U (en) | 2015-10-15 |
Family
ID=5434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2825U Abandoned KR20150003778U (en) | 2014-04-07 | 2014-04-07 | Furniture Knob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3778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01772A (en) * | 2019-06-28 | 2019-10-08 | 温州市益立艺术家居有限公司 | A kind of cabinet door or drawer face pull handle arrangement and its processing method |
KR20240103575A (en) * | 2022-12-27 | 2024-07-04 | (주)다보스티엔지 | Encapsulated type handle for the furniture door |
-
2014
- 2014-04-07 KR KR2020140002825U patent/KR20150003778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01772A (en) * | 2019-06-28 | 2019-10-08 | 温州市益立艺术家居有限公司 | A kind of cabinet door or drawer face pull handle arrangement and its processing method |
KR20240103575A (en) * | 2022-12-27 | 2024-07-04 | (주)다보스티엔지 | Encapsulated type handle for the furniture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65908B2 (en) | Corner fitting | |
KR101499098B1 (en) | The door that have a function to prevent from trapping a hand in the door | |
US20120305412A1 (en) | Sleeve Kit | |
US9499321B2 (en) | Display board for tools | |
KR20150003778U (en) | Furniture Knobs | |
JP7005011B2 (en) | Fire extinguisher case | |
US20120067620A1 (en) | Cable clip with open and close mechanism | |
JP6492417B2 (en) | Storage rack | |
JP5713500B2 (en) | Handle | |
TW201310459A (en) | Flash drive | |
JP6482496B2 (en) | String terminal cover | |
CN209983798U (en) | Cabinet is accomodate to stack formula | |
CA2727294C (en) | Multi-function hook | |
US7017737B1 (en) | Structure of CD box | |
KR20130002515U (en) | Handle for furniture | |
CN210144212U (en) | Wooden baffle | |
TWM320330U (en) | Universal cushion block | |
US8398183B2 (en) | Hanging hook and modular storage furniture system | |
USD953841S1 (en) | Wireless electronic lock housing | |
KR20170009562A (en) | Display Part Assembly Structure of refrigerator | |
KR200334987Y1 (en) | A drawer type custody box | |
KR100652813B1 (en) | Book and | |
JP2005080768A (en) | Rack component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 |
KR200325898Y1 (en) | A paper keeping box | |
JP5495214B2 (en) | Pipe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4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71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